KR102296447B1 -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447B1
KR102296447B1 KR1020167029641A KR20167029641A KR102296447B1 KR 102296447 B1 KR102296447 B1 KR 102296447B1 KR 1020167029641 A KR1020167029641 A KR 1020167029641A KR 20167029641 A KR20167029641 A KR 20167029641A KR 102296447 B1 KR102296447 B1 KR 10229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ating
moisture content
raw material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614A (ko
Inventor
마나부 히라오카
토시히로 이케우치
시게키 후지타
토시노부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실제로 농약제제의 시작품 제조를 행하지 않아도, 당해 농약제제의 처방구성으로부터 당해 농약제제의 건조성이나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스킴을 확립하고, 이로써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처방 검토의 대폭적인 효율화와 고품질 또한 생산성이 우수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기 위한 수법의 제공한다.
농약 활성성분, 부유성 담체 및 0.3~3질량%의 범위 내의 물을 함유하고, 입경 3mm 이상의 것이 80%이상의 입도분포, 수면에 부유하는 성질 및 수중 투입 30분 이내에 수면에서 붕괴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로, 당해 농약제제를 구성하는 농약 활성성분과 보조 성분(단, 물을 제외하다)의 모두인 합계 n종의 원료에 대해서, 하기 식
Figure 112016103192120-pct00009

[식중, W1, W2……Wn는 물을 제외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100중량부에 대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의 각각의 중량부를 나타내고, EM1, EM2……EMn은 60℃, 상대습도 21%중에 1주간 정치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칼 피셔법으로 측정한 각각의 수분 함유율의 질량%  값을 나타낸다]
에 의해 정의되는 값 X가 0.5~2의 범위 내인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ARGE GRANULAR AGROCHMICAL COMPOSITION THAT FLOATS ON WATER SURFA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예를 들면, 논 등의 수면에 부분적으로 소량을 직접 살포하는 것으로, 농약 활성성분을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는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다.
종래, 논 등에서 이용되는 농약제제는 입제, 분제, 유제, 수화제 및 플로어블제가 일반적이다. 이들 농약제제 중에서 입제 및 분제는 통상 10a당 3~4kg을 물에 희석하지 않고 직접 살포되어 왔지만, 근년, 농약 살포의 생력화(省力化)가 외쳐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농약제제 중의 농약활성성분 함유량을 높여 농약제제로서의 살포량을 저감하거나, 또는 논에 들어가지 않고 논두렁에서 던지는 것만으로 살포 가능한, 생력(省力) 살포 농약제제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서 각종 생력화된 농약제제가 검토되고, 그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특히 유효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농약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입경 3mm 이상의 것이 80%이상인 입도분포와 수면에 부유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30분 이내에 수면에서 붕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농약제제는 높은 자기확산성(自己擴散性)을 구비하고 있어 논 10a당 250~500g정도와 소량의 농약제제를 직접 살포하는 것으로, 논 전체에 농약 활성성분이 균일하게 널리 퍼지기 때문에, 논두렁에서가 던져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상적인 생력 살포 대응 농약제제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농약제제를 제조하는 데에는 통상의 입제 제조설비를 어느 정도의 부분 유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지만, 조립물의 입경이 3mm 이상과 통상 0.3~1.7mm인 일반적인 입제의 입경보다 크고, 비표면적이 작게 되기 때문에, 제조상 필수공정인 건조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건조 공정이 율속(律速)으로 되어, 생산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건조 공정에 고온 및/또는 장시간을 요구된다는 것은 농약제제에 열피폭(熱彼曝)이 많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필연적으로 열에 불안정한 농약 활성성분이나 기능성 부원료 등의 적용에 제약을 받게 된다. 특히, 상기 특허문헌 1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 부유성 담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벽재로 하는 마이크로스페아를 채용하는 경우는 과도한 열피폭에 의해 부유성 담체의 중공 구조가 파괴되어 농약제제의 수면에 부유하는 성질이 손상되는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농약제제에 대해서는 구조적으로 불가피한 이들 문제를 안으면서도, 건조성이 우수한 처방설계가 요망되고 있었다.
그런데, 농약제제의 처방 검토는 기본적으로 시행 착오의 연속이다. 특히, 전기와 같은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서는 부유성이나 붕괴시간 등의, 일반적인 입제에 요구되지 않는 품질이 요구되고, 또한, 이들 품질이 처방구성의 미세한 질적 또는 양적인 변경, 제조조건의 미세한 변경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변화한다. 게다가, 의도한 조성물의 품질을 해치지 않는 건조온도 상한이나 당해 온도 조건에 있어서의 건조 소요시간, 각 조건에서 제조한 농약제제의 부유성이나 붕괴시간 등은 거의 예측 불가능한 것으로, 결국 시제품 제조의 회수를 거듭하여 데이터를 얻을 수밖에 없고,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처방 검토는 통상의 입제와 비교해도 다른 차원의 번잡한 작업을 요하는 것이었다.
1. 일본국 특허공개 2002-179507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상의 문제점 및 개발상의 곤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실제로 농약제제의 시제품 제조하지 않고도, 당해 농약제제의 처방구성으로부터 그 농약제제의 건조성이나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스킴을 확립하고, 더욱이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처방검토의 대폭적인 효율화와 고품질이면서도 생산성이 우수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기 위한 수법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관하여 예의 연구한 바, 농약제제의 처방구성에 있어서, 조성 중의 평형 수분량을 고려함으로써 그의 입경을 크게 한 경우의 건조에 따르는 문제 등,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 내용의 것이다.
(1) 농약 활성성분 및 부유성 담체를 함유하고, 입경 3mm 이상의 것이 80%이상인 입도분포와 수면에 부유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30분 이내에 수면에서 붕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로, 당해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구성하는 농약 활성성분 및 부유성 담체를 함유하는 조성성분의 모두(단, 물은 제외)인 합계 n종(種)의 원료, 즉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하기 식
Figure 112016103192120-pct00001
[식중, W1, W2……Wn는 물을 제외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100중량부에 대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의 각각의 중량부를 나타내고, EM1, EM2……EMn은 60℃, 상대습도 21%의 데시케이타 중에서 1주간 정치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칼 피셔법으로 측정한 각각의 수분 함유율의 질량%값, 즉 평형 수분율을 나타낸다]
으로 정의되는 값 X가 0.5~2의 범위 내에 있으며, 또한 수분 함유율이 0.3~3질량%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2) 농약 활성성분으로서 분해점, 융점, 비점, 승화점, 연화점 또는 결정 전이온도가 100℃이하의 것을 함유하는 상기 (1)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3) 부유성 담체로서 연화점이 100℃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의 중공체를 함유 하는 상기(1) 또는 (2)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4) 부유성 담체가 연화점이 100℃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이고, 농약 성분이 이것에 피복, 분산 또는 모노리틱으로 내포되어 함유되는 상기(1)~(3)의 어느 하나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5) 농약 활성성분 및 부유성 담체를 함유하고, 입경 3mm 이상의 것이 80%이상인 입도분포와 수면에 부유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30분 이내에 수면에서 붕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으로, 당해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구성하는 농약 활성성분 및 부유성 담체를 함유하는 성분(단 물을 제외하다)의 전체 합계 n종의 원료, 즉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하기 식
Figure 112016103192120-pct00002
[여기서, W1, W2……Wn는 물을 제외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100중량부에 대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의 각각의 중량부를 나타내고, EM1, EM2……EMn는 60℃, 상대습도 21%의 데시케이타 중에서 1주간 정치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칼 피셔법으로 측정한 각각의 수분 함유율의 질량%값, 즉 평형 수분율을 나타낸다]
에 의해 정의되는 값 X가 0.5~2의 범위 내로 되도록 선택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그대로 또는 소정량의 물을 가하여 혼련하고, 공경 3mm 이상의 스크린으로부터 압출 조립하여 성형하여 수분 함유율이 0.3~3질량%의 범위 내로 될 때까지 가열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6) 가열 건조에서의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의 곱이 7200℃·분 이하인 상기(5)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7) 가열 건조온도가 80℃이하인 상기(5) 또는 (6) 기재의 농약 입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8) 농약 활성성분에, 분해점, 융점, 비점, 승화점, 연화점 또는 결정 전이온도가 100℃이하의 것을 함유하는 상기(5)~(7)의 어느 하나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9) 부유성 담체가 연화점이 100℃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이고, 농약 활성성분이 이것에 피복, 분산 또는 모노리틱으로 내포되어 함유하는 상기(5)~(7)의 어느 하나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10) 부유성 담체로서 연화점이 100℃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의 중공체를 함유 하는 상기(5)~(7)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11) 가열 건조에서의 건조온도 T가, 하기 조건식
Figure 112016103192120-pct00003
[식중, V0는 압출 조립을 행하기 전의 전체 원료의 혼합물 5g에 물을 가해 100mL의 분산액으로 하고, 격렬하게 진탕한 후 10분간 정치하고, 수면에 부유하는 고형분의 체적을 나타내며, VT는 이 분산액을 온도 T로 2시간 가열하고, 재차 격렬하게 진탕한 후, 10분간 정치했을 때에 수면에 부유하는 고형분의 체적을 나타낸다]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12) 가열 건조에서의 건조시간이 120분 이하인 상기(5)~(11)의 어느 하나 기재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 부유성 및 붕괴성이 우수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높은 건조효율 및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처방설계의 대부분을 책상에서 시뮬레이션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개발에 필요로 하는 번잡한 검토가 대폭 간편화된다.
본 명세서 중에서, 「평형 수분율」이란, 60℃, 상대습도 21%의 데시케이타 에서 1주간 정치한 시료에 대해서 칼 피셔법으로 측정한 수분 함유율의 질량%값을 말한다. 60℃, 상대습도 21%의 분위기는 예를 들면, 불화칼륨의 포화 수용액을 보존한 데시케이타를 60℃로 가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비중을 취급하는 경우, 특히 언급하지 않는 한, 「비중」이란, 소정의 용량의 용기에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충전하여 측정한 겉보기 비중을 말한다. 또, 본 명세서 중에서 입경이란 소정 메쉬의 시이브를 이용하여 체절법으로 구한 입경을 의미하며, 입도분포는 체절법에 의해 구한 소정의 입경 범위의 적산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 원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 농약 활성성분은 일반적으로 농약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상온에서 고체 또는 액체의 어느 쪽이어도 좋다. 특히, 100℃이하로 분해점, 융점, 비점, 승화점, 연화점 또는 결정 전이온도(이하, 총칭해 「분해점 또는 전이점」이라고 한다)를 가지는 농약 활성성분은 제조 중에 입자경이나 결정형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종래는 농약제제화에 고심했지만, 본 발명의 처방설계에 의하면 문제없이 농약제제화 할 수 있다. 더욱이, 당해 농약 활성성분은 물에 난용성 또는 이용성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제초 활성성분, 살충 활성성분, 살균 활성성분, 식물 생육 조절 활성성분이 이용되지만, 특히 수면 시용에서 유용한 농약 활성성분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이 배합 가능한 제초 활성성분, 살충 활성성분, 살균 활성성분, 식물 생육 조절 활성성분의 예를 이하에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농약 활성성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초 활성성분]
아이옥시닐(ioxynil), 아클로니펜(aclonifen), 아클로레인(acrolein), 아자페니딘(azafenidin), 아시플루오르펜-나트륨(acifluorfen-sodium), 아짐술푸론(azimsulfuron), 아수람(asulam), 아세토클로르(acetochlor), 아트라진(atrazine), 아니로포스(anilofos), 아미카르바존(amicarbazone), 아미드술푸론(amidosulfuron), 아미트롤(amitrole),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aminocyclopyrachlor), 아미노피라리드(aminopyralid), 아미프로포스-메틸(amiprofos-methyl), 아메트린(ametryn), 알라클로르(alachlor), 알록시딤(alloxydim), 이소우론(isouron), 이속사클로르톨(isoxachlortole), 이속사플루토르(isoxaflutole), 이속사벤(isoxaben), 이소프로트론(isoproturon), 입프펜카르바존(ipfencarbazone),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피크(imazapic)(아민 등과의 염을 포함한다), 이마자피르(imazapyr)(이소프로필아민 등의 염을 포함한다), 이마자메타벤즈-메틸(imazamethabenz-methyl), 이마자목스(imazamox), 이마제타필(imazethapyr), 이마조술푸론(imazosulfuron), 인다지플람(indaziflam), 인다노판(indanofan), 에글리나진-에틸(eglinazine-ethyl), 에스프로카르브(esprocarb), 에타메토술푸론-메틸(ethametsulfuron-methyl), 에탈플루라린(ethalfluralin), 에티디무론(ethidimuron), 에톡시술푸론(ethoxysulfuron), 에톡시펜(ethoxyfen-ethyl), 에토푸메세이트(ethofumesate),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엔도탈-2나트륨염(endothal-disodium), 옥사디아존(oxadiazon), 옥사디아르길(oxadiargyl), 옥사디클로메폰(oxaziclomefone),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오리자린(oryzalin), 오르토술파무론(orthosulfamuron), 오르벤카르브(orbencarb), 카펜스트롤(cafenstrole), 카르펜트라존-에틸(carfentrazone-ethyl), 카르부틸레이트(karbutilate), 카르베타미드(carbetamide), 퀴자로홉-에틸(quizalofop-ethyl), 키자로홉-P-에틸(quizalofop-P-ethyl), 키자로홉-P-테푸릴(quizalofop-P-tefuryl), 퀴노클라민(quinoclamine),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크(quinmerac), 쿠미르론(cumyluron), 클라시포스(clacyfos), 글리포세이트(glyphosate)(나트륨, 아민, 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메틸아민 또는 트리메시움 등의 염을 포함한다),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아민 또는 나트륨 등의 염을 포함한다), 클레토딤(clethodim), 클로디나홉-프로파질(clodinafop-propargyl), 클로피라리드(clopyralid), 클로마존(clomazone),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클로메프롭(clomeprop), 클란술람-메틸(cloransulam-methyi), 클로란벤(chloramben), 클로리다존(chloridazon), 클로림론-에틸(chlorimuron-ethyl), 클로르술푸론(chlorsulfuron), 클로르탈-디메틸(chlorthal-dimethyl), 클로르티아미드(chlorthiamid), 클로르프탈림(chlorphthalim), 클로르플루레놀-메틸(chlorflurenol-methyl),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클로르브롬론(chlorbromuron), 클로록스론(chloroxuron),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사플루페나실(saflufenacil), 시아나진(cyanazine), 시아나미드(cyanamide), 디우론(diuron), 디에타틸-에틸(diethatyl-ethyl), 디캄바(dicamba)(아민, 디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글리콜아민, 나트륨 또는 리튬 등의 염을 포함한다), 시클로에이트(cycloate), 시클록시딤(cycloxydim), 디클로술람(diclosulam), 시클로술파무론(cyclosulfamuron), 시클로피리모레이트(cyclopyrimorate), 디클로베닐(dichlobenil), 디클로홉-P-메틸(diclofop-P-methyl), 디클로홉-메틸(diclofop-methyl), 디클로르프롭(dichlorprop), 디클로르프롭-P(dichlorprop-P), 디쿠왓트(diquat), 디티오필(dithiopyr), 시듀론(siduron), 디니트라민(dinitramine), 시니돈-에틸(cinidon-ethyl), 시노술푸론(cinosulfuron), 디노테르브(dinoterb), 시할로홉-부틸(cyhalofop-butyl), 디페나미드(diphenamid), 디펜조쿼아트(difenzoquat), 디플루페니칸(diflufenican), 디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 시마진(simazine), 디메타클로르(dimethachlor),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디메테나미드(dimethenamid), 디메테나미드-P(dimethenamid-P), 시메트린(simetryn),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 디메푸론(dimefuron), 신메틸린(cinmethylin), 스엡(swep), 술코트리온(sulcotrione), 술펜트라존(sulfentrazone), 세톡시짐(sethoxydim), 타바실(terbacil), 다임 론(daimuron), 다라폰(dalapon), 티아조피르(thiazopyr), 티아페나실(tiafenacil), 티엔카르바존(thiencarbazone)(나트륨염, 메틸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티오카르바질(tiocarbazil), 티오벤카르브(thiobencarb), 티디아지민(thidiazimin), 티펜술푸론-메틸(thifensulfuron-methyl), 데스메디팜(desmedipham), 데스메트린(desmetryne), 테닐클로르(thenylchlor), 테브탐(tebutam), 테브티우론(tebuthiuron), 테프라록시짐(tepraloxydim), 테푸릴트리온(tefuryltrione), 템보트리온(tembotrione), 터부틸아진(terbuthylazine), 터부트린(terbutryn), 터부메튼(terbumeton), 토프라메존(topramezone), 트랄콕시짐(tralkoxydim), 트리아지플람(triaziflam), 트리아술푸론(triasulfuron), 트리아파몬(triafamone), 트리아레이트(tri-allate), 트리에타진(trietazine), 트리클로피르(triclopyr), 트리클로피르-부토틸(triclopyr-butotyl), 트리토술푸론(tritosulfuron), 트리플루술푸론-메틸(triflusulfuron-methyl),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트리플록술푸론나트륨염(trifloxysulfuron-sodium), 트리베뉴론-메틸(tribenuron-methyl), 나프타람(naptalam)(나트륨 등과의 염을 포함한다),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네브론(neburon), 노르플루라존(norflurazon), 버노레이트(vernolate), 파라쿼트 디클로라이드(paraquat dichloride), 할록시펜-메틸(halauxifen-methyl), 할록시홉(haloxyfop), 할록시홉-P(haloxyfop-P), 할록시홉에토틸(haloxyfop-etotyl), 할로술푸론·메틸(halosulfuron-methyl), 피클로람(picloram), 피코리나펜(picolinafen), 비시클로피론(bicyclopyrone), 비스피리박크-나트륨염(bispyribac-sodium), 피녹사젠(pinoxaden), 비페녹스(bifenox), 피페로포스(piperophos), 피라클로닐(pyraclonil), 피라술포톨(pyrasulfotole), 피라술포톨(pyrasulfotole), 피라족시펜(pyrazoxyfen), 피라졸리네이트(pyrazolynate), 비라나포스(bilanafos), 피라플르펜-에틸(pyraflufen-ethyl), 피리다폴(pyridafol), 피리티오박-나트륨염(pyrithiobac-sodium), 피리데이트(pyridate),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피리부티카르브(pyributicarb),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미술판(pyrimisulfan), 피리미노박-메틸(pyriminobac-methyl), 피록스술람(pyroxsulam), 페니소팜(phenisopham), 페뉴론(fenuron), 페녹시술폰(fenoxasulfone), 페녹시프롭-P-에틸(fenoxaprop-P-ethyl), 펜퀴노트리온(fenquinotrione), 펜티아프롭-에틸(fenthiaprop-ethyl),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펜메디팜(phenmedipham), 포람술푸론(foramsulfuron), 부타클로르(butachlor), 부타페나실(butafenacil), 부타미포스(butamifos), 부틸레이트(butylate), 부테나클로르(butenachlor), 부트라린(butralin), 부트록시짐(butroxydim), 플라자술푸론(flazasulfuron), 플람프롭(flamprop)(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플람프롭-M(flamprop-M)(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플루아지홉-부틸(fluazifop-butyl), 플루아지홉-P-부티틸(fluazifop-P-butyl), 플루아지홉조레이트(fluazolate), 플루오메토론(fluometuron), 플루오로글리코펜-에틸(fluoroglycofen-ethyl), 플루카르바존·나트륨염(flucarbazone-sodium), 플루클로라린(fluchloralin), 플루세트술푸론(flucetosulfuron), 플티아셋-메틸(fluthiacet-methyl), 플루피르술푸론-메틸-나트륨(flupyrsulfuron-methyl-sodium), 플루페나셋(flufenacet), 플루펜피르-에틸(flufenpyr-ethyl), 플루프로파네이트(flupropanate), 플루폭삼(flupoxame),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풀루미클로락-펜틸(flumiclorac-pentyl), 플루메토술람(flumetsulam), 플루리존(fluridone), 플루르타몬(flurtamone), 플루록시피르(fluroxypyr), 플루로클로리존(flurochloridone),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프로카르바존-나트륨염(procarbazone-sodium), 프로디아민(prodiamine), 프로술포카르브(prosulfocarb), 프로파퀴자홉(propaquizafop),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프로파진(propazine), 프로파닐(propanil),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프로피소클로르(propisochlor), 프로피리술푸론(propyrisulfuron), 프로팜(propham),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프로폭시카르바존-나트륨염(propoxycarbazone-sodium), 프로폭시짐(profoxydim), 브로마실(bromacil), 브롬피라존(brompyrazon), 프로메트린(prometryn), 프로메톤(prometon), 브로목시닐(bromoxynil)(부티르산, 옥탄산 또는 헵탄산 등의 에스테르체를 포함한다), 브로모페녹심(bromofenoxim), 브로모브티드(bromobutide), 플로라술람(florasulam), 페톡사미드(pethoxamid), 베나조린(benazolin), 페녹스술람(penoxsulam), 헵타마록시로글루칸(heptamaloxyloglucan), 베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페브레이트(pebulate), 벤카르바존(bencarbazone), 펜디메타린(pendimethalin),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벤술리드(bensulide), 벤술푸론-메틸(bensulfuron-methyl), 벤조비시클로(benzobicyclon), 벤조페납(benzofenap), 벤타존(bentazone), 펜타노클로르(pentanochlor), 펜톡사존(pentoxazone), 벤플루라린(benfluralin),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 포사민(fosamine), 포메사펜(fomesafen), 메코프롭(mecoprop)(나트륨, 칼륨, 이소프로필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민 등의 염을 포함한다), 메코프롭-P-칼륨염(mecoprop-P), 메소술푸론-메틸(mesosulfuronmethyl), 메소트리온(mesotrione), 메타자클로르(metazachlor), 메타조술푸론(metazosulfuron), 메타벤즈티아주론(methabenzthiazuron), 메타미트론(metamitron), 메타미홉(metamifop), 메티오졸린(methiozolin), 메틸다이물론(methyldymuron), 메톡시론(metoxuron), 메토술람(metosulam), 메토브롬론(metobromuron), 메토벤즈론(metobenzuron), 메토라클로르(metolachlor), 메토리브진(metribuzin), 메페나셋트(mefenacet), 모노리뉴론(monolinuron), 모리네이트(molinate), 요오도술푸론(iodosulfuron), 요오도술푸론-메틸-나트륨염(iodosulfulon-methyl-sodium), 요펜술푸론(iofensulfuron), 요펜술푸론-나트륨염(iofensulfuron-sodium), 락토펜(lactofen), 리뉴론(linuron), 레나실(lenacil), 2,3,6-트리클로로벤조산(2,3,6-TBA), 2,4,5-트리클로로페녹시 아세트산(2,4,5-T),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D)(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나트륨 또는 리튬 등의 염을 포함한다), 4-(2,4-디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2,4-DB), AE-F-150944(코드번호), 4,6-디니트로-O-크레졸(DNOC)(아민 또는 나트륨 등의 염을 포함한다), S-메틸디프로필티오카르바메이트(EPTC), 2-메틸-4-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MCPA), MCPA-티오에틸(MCPA-thioethyl), 2-메틸-4-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MCPB)(나트륨염, 에틸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SL-573(코드번호), SYP-298(코드번호), SYP-300(코드번호), S-메토라클로르(S-metolachlor), 2,2,2-트리클로로아세트산(TCA)(나트륨, 칼슘 또는 암모니아 등의 염을 포함한다).
[살충 활성성분]
아크리나트린(acrinathrin), 아자디라크틴(azadirachtin), 아자메티포스(azamethiphos), 아진포스-에틸(azinphos-ethyl), 아진포스-메틸(azinphos-methyl), 아세퀴노실(acequinocyl),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아세토프롤(acetoprole), 아세페이트(acephate), 아조시클로틴(azocyclotin), 아바멕틴(abamectin), 아피도피로펜(afidopyropen), 아미도플루멧트(amidoflumet), 아미트라즈(amitraz), 아라니카르브(alanycarb), 알디카르브(aldicarb), 알독시카르브(aldoxycarb), 아레트린(allethrin)[d-cis-trans-체, d-trans-체를 포함한다], 이사조포스(isazophos), 이사미드포스(isamidofos), 이소카르보포스(isocarbophos), 이속사티온(isoxathion), 이소펜포스(isofenphos-methyl), 이소프로카르브(isoprocarb), 이소프로필 O-(메톡시아미노티오포스포릴) 살리틸레이트(isopropyl-(methoxyaminothio-phosphoryl)salicylate), 이베르멕틴(ivermectin), 이미시아포스(imicyafos),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이미프로트린(imiprothrin), 인독사카르브(indoxacarb), 에스펜바레레이트(esfenvalerate), 에티오펜카르브(ethiofencarb), 에티온(ethion), 에티프로르(ethiprole), 에틸렌디브로미드(ethylene dibromide), 에톡사졸(etoxazole), 에토펜프록스(etofenprox), 에토프로포스(ethoprophos), 에트림포스(etrimfos), 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엔도술판(endosulfan), 엔펜트린(empenthrin), 옥사밀(oxamyl), 옥시디메톤-메틸(oxydemeton-methyl), 옥시데프로포스(oxydeprofos), 오메토에이트(omethoate), 카두사포스(cadusafos), 카잔진(karanjin), 카르탑(cartap), 카르바릴(carbaryl), 카르보술판(carbosulfan), 카르보푸란(carbofuran), 감마-BHC(gamma-BHC), 크실릴카르브(xylylcarb), 퀴날포스(quinalphos), 퀴노프렌(kinoprene), 퀴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쿠마포스(coumaphos), 크리오라이트(cryolite), 클로티아니진(clothianidin), 클로펜테진(clofentezine), 클로마페노지드(chromafenozide), 클로란트라니리프롤(chlorantraniliprole), 클로르에톡시포스(chlorethoxyfos), 클로르단(chlordane), 클로로피크린(chloropicrin), 클로르피리포스(chlorpyrifos), 클로르피리포스-메틸(chlorpyrifos-methyl), 클로르페나피르(chlorfenapyr), 클로르펜빈포스(chlorfenvinphos), 클로르플루아주론(chlorfluazuron), 클로르메포스(chlormephos), 시아노포스(cyanophos), 디아펜티우론(diafenthiuron), 디아미다포스(diamidafos), 시안트라니리프롤(cyantraniliprole), 디에노클로르(dienochlor), 시에노피라펜(cyenopyrafen), 디옥사벤조포스(dioxabenzofos), 디오페노란(diofenolan), 시크라니리프롤(cyclaniliprole), 디클로트포스(dicrotophos), 디클로펜티온(dichlofenthion), 시클로프로트린(cycloprothrin), 디클로르보스(dichlorvos), 1,3­디클로로프로펜(1,3-dichloropropene), 디코폴(dicofol), 디시크라닐(dicyclanil), 디술포튼(disulfoton), 디노테푸란(dinotefuran), 디노브튼(dinobuton), 시할로트린(cyhalothrin)[gamma-체, lambda-체를 포함한다], 시페노트린(cyphenothrin)[(1R)-trans-체를 포함한다], 시플루트린(cyfluthrin)[beta-체를 포함한다], 디플루벤즈론(diflubenzuron), 시플루메토펜(cyflumetofen), 디플로비다진(diflovidazin), 시헥사틴(cyhexatin), 시페르메트린(cypermethrin)[alpha-체, beta-체, theta-체, zeta-체를 포함한다], 디메틸빈포스(dimethylvinphos), 디메플루트린(dimefluthrin),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시라플루오펜(silafluofen), 시로마진(cyromazine), 스피네트람(spinetoram), 스피노사드(spinosad), 스피로디클로펜(spirodiclofen), 스피로테트라마트(spirotetramat), 스피로메시펜(spiromesifen), 술코푸론-나트륨(sulcofuron-sodium), 술플루라미드(sulfluramid), 술폭사플로르(sulfoxaflor), 술포텝(sulfotep), 다이아지논(diazinon), 티아클로프리드(thiacloprid), 티아메톡삼(thiamethoxam), 티옥사자펜(tioxazafen), 티오지카르브(thiodicarb), 티오시크람(thiocyclam), 티오술탑(thiosultap), 티오나진(thionazin), 티오파녹스(thiofanox), 티오메톤(thiometon), 테트라클로르빈포스(tetrachlorvinphos), 테트라디폰(tetradifon), 테트라메틸플루트린(tetramethylfluthrin), 테트라메트린(tetramethrin), 테부피림포스(tebupirimfos), 테부페노지드(tebufenozide), 테브펜피라드(tebufenpyrad), 테플루트린(tefluthrin), 테플루벤즈론(teflubenzuron), 데메톤-S-메틸(demeton-S-methyl), 테메포스(temephos), 델타메트린(deltamethrin), 테르부포스(terbufos), 트랄로메트린(tralomethrin), 트란스플루트린(transfluthrin), 트리아자메이트(triazamate), 트리아조포스(triazophos), 트리클로르폰(trichlorfon), 트리플루무론(triflumuron), 트리플루메조피림(triflumezopyrim), 트리메타카르브(trimethacarb), 톨펜피라드(tolfenpyrad), 나렛드(naled), 니텐피람(nitenpyram), 노바르론(novaluron), 노비플루무론(noviflumuron), 버티실리움 레카니(Verticillium lecanii), 하이드로프렌(hydroprene), 파스트리아페네트란스 포자(Pasteuriapenetrans), 바미드티온(vamidothion), 파라티온(parathion), 파라티온-메틸(parathion-methyl), 할펜프록스(halfenprox), 할로페노지드(halofenozide), 비오아레트린(bioallethrin), 비오아레트린 S-시클로펜테닐(bioallethrin S-cyclopentenyl), 비오레스메트린(bioresmethrin), 비스트리풀론(bistrifluron), 히드라메틸논(hydramethylnon), 비페나제이트(bifenazate), 비펜트린(bifenthrin), 피플루브미드(pyflubumide), 피페로니르부톡시드(piperonyl butoxide), 피메토로진(pymetrozine), 피라클로포스(pyraclofos), 피라플루프롤(pyrafluprole), 피리다펜티온(pyridaphenthion), 피리다벤(pyridaben), 피리다릴(pyridalyl), 피리플루퀴나존(pyrifluquinazon), 피리프로르(pyriprole), 피리프록시펜(pyriproxyfen), 피리미카르브(pirimicarb), 피리미디펜(pyrimidifen), 피리미노스트로빈(pyriminostrobin), 피리미포스-메틸(pirimiphos-methyl), 피레트린(pyrethrine), 팜훌(famphur), 피프로닐(fipronil), 페나자퀸(fenazaquin), 페나미포스(fenamiphos),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페녹시카르브(fenoxycarb), 페노티오카르브(fenothiocarb), 페노트린(phenothrin)[(1R)-trans-체를 포함한다], 페노부카르브(fenobucarb), 펜티온(fenthion), 펜토에이트(phenthoate), 펜바레레이트(fenvalerate), 펜피록시메이트(fenpyroximate), 펜브탄틴-옥시드(fenbutatin oxide),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포노포스(fonofos), 술푸릴 플루오라이드(sulfuryl fluoride), 부토카르복심(butocarboxim), 부톡시카르복심(butoxycarboxim), 부프로페진(buprofezin), 푸라티오카르브(furathiocarb), 프라레트린(prallethrin), 플루아크리피림(fluacrypyrim), 풀루아주론(fluazuron), 플루엔술폰(fluensulfone), 플루오르아세트산 나트륨염(sodium fluoroacetate), 플루시클록수론(flucycloxuron), 플루시트리네이트(flucythrinate), 플루술파미드(flusulfamide), 플루바리네이트(fluvalinate)[tau-체를 포함한다], 풀루피라디푸론(flupyradifurone), 플루피라조포스(flupyrazofos), 플루피프로르(flufiprole), 플루페네림(flufenerim), 플루페녹시스트로빈(flufenoxystrobin), 플루페노크스론(flufenoxuron), 플루벤디아미드(flubendiamide), 플루메트린(flumethrin), 프로트리펜부트(protrifenbute), 프로티오포스(prothiofos), 플로니카미드(flonicamid), 프로파포스(propaphos), 프로파르깃트(propargite), 프로페노포스(profenofos),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 프로페탐포스(propetamphos), 프로폭술(propoxur), 플로메토퀸(flometoquin), 브로모프로피레이트(bromopropylate), 헥사티아조크스(hexythiazox), 헥사플루무론(hexaflumuron), 페키로마이세스·테누이페스(Paecilimyces tenuipes), 페키로마이세스·푸모소로세우스(Paecilomyces fumosoroceus), 헵타플루트린(heptafluthrin), 헵테노포스(heptenophos), 페르메트린(permethrin), 벤클로티아즈(benclothiaz), 벤술탑(bensultap), 벤족시메이트(benzoximate), 벤다이오카르브(bendiocarb), 벤푸라카르브(benfuracarb), 보베리아·테네이라(Beauveria tenella), 보베리아·밧시아나(Beauveria bassiana), 보베리아·브론니아티(Beauveria brongniartii), 폭심(phoxim), 포살롱(phosalone), 포스티아제이트(fosthiazate), 포스티에탄(fosthietan), 포스파미존(phosphamidon), 포스멧트(phosmet), 폴리나크틴 복합체(polynactins), 폴메타네이트(formetanate), 포레이트(phorate), 마라티온(malathion), 밀베멕틴(milbemectin), 메카르밤(mecarbam), 메술펜포스(mesulfenfos), 메토밀(methomyl), 메타플루미존(metaflumizone), 메타미드포스(methamidophos), 메탐(metham), 메티오카르브(methiocarb), 메티다티온(methidathion), 메틸이소티오시아네이트(methyl isothiocyanate), 메틸 브로마이드(methyl bromide), 메톡시클로르(methoxychlor), 메톡시페노지드(methoxyfenozide), 메토트린(methothrin),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메토프렌(methoprene), 메토르카르브(metolcarb), 메빈포스(mevinphos), 메페르플루트린(meperfluthrin), 모나클로스폴리움·피마트파감(Monacrosporium phymatophagum), 모노클로트포스(monocrotophos), 몸플루오로스린(momfluorothrin), 리트루아 A(litlure-A), 리투르아 B(litlure-B), 인화알루미늄(aluminium phosphide), 인화아연(zinc phosphide), 인화수소(phosphine), 루페누론(lufenuron), 레스카르레(rescalure), 레스메트린(resmethrin), 레피멕틴(lepimectin), 로테논(rotenone), 산화펜부타틴(fenbutatin oxide), 석회질소(calcium cyanide), 황산니코틴(nicotine-sulfate), (Z)-11-테트라데세닐=아세테이트, (Z)-11-헥사데세날, (Z)-11-헥사데세닐=아세테이트, (Z)-9,12-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 (Z)-9-테트라데센 1-올, (Z,E)-9,11-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 (Z,E)-9,12-테트라데카디에닐=아세테이트, 바실루스·포피리에(Bacillus popilliae), 바실루스·섭틸리스(Bacillus subtillis), 바실루스·스페리카스(Bacillus sphaericus), 바실루스·투린겐시스·섭스피.·아이자와이(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바실루스·투린겐시스·섭스피.·이스라에렌시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바실루스·투린겐시스·섭스피.·크루스타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바실루스·투린겐시스·섭스피.·테네브리오니스(Bacillus thuringiensis subsp. Tenebrionis), Bt단백질 (Cry1Ab, Cry1Ac, Cry1Fa, Cry2Ab, mCry3A, Cry3Ab, Cry3Bb, Cry34/35ab1), CL900167(코드번호), 비스-(2-클로로-1-메틸에틸)에테르(DCIP), 1,1,1-트리클로로-2,2-비스(4-클로로페닐)에탄(DDT), 디메틸-2,2,2-트리클로로-1-히드록시에티르포스포네이트(DEP), 4,6-디니트로-O-크레졸(DNOC), O,O-디에틸-O-[4-(디메틸술파모일)페닐]-포스포로티오네이트(DSP), 에틸-P-니트로페닐티오노벤젠포스포네이트(EPN), NA-85(코드번호), NA-89(코드번호), NC-515(코드번호), RU15525(코드번호), ZDI-2501(코드번호), XMC(XMC), Z-13-이코센 10-온, ZXI8901(코드번호), ME5382(코드번호).
[살균 활성성분]
아자코나졸(azaconazole), 아시벤조랄-S-메틸(acibenzolar-S-methyl),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아니라진(anilazine), 아미술브롬(amisulbrom), 아메톡트라딘(ametoctradin), 알디모르프(aldimorph), 이소티아닐(isotianil), 이소피라잠(isopyrazam), 이소페타미드(isofetamid), 이소프로티오란(isoprothiolane), 이프코나졸(ipconazole), 이프로지온(iprodione), 이프로바리카르브(iprovalicarb), 이프로벤포스(iprobenfos), 이마잘릴(imazalil), 이미녹타딘-알베실산염(iminoctadine-albesilate), 이미넉타딘 아세트산염(iminoctadine- triacetate), 이미벤코나졸(imibenconazole), 에디펜포스(edifenphos), 에타코나졸(etaconazole), 에타복삼(ethaboxam), 에티리몰(ethirimol), 에톡시킨(ethoxyquin), 에트리디아졸(etridiazole), 에네스트로부린(enestroburin), 에녹사스트로빈(enoxastrobin), 에폭시코나졸(epoxiconazole), 오가닉 오일(organic oils), 옥사지키실(oxadixyl), 옥사지니라졸(oxazinylazole), 옥사티아피프로린(oxathiapiprolin), 옥시카르복신(oxycarboxin), 옥시퀴놀린-동(oxine-copper),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 옥스포코나졸푸말산염(oxpoconazole-fumarate), 옥소리닌산(oxolinic acid), 디옥탄산동(copper dioctanoate), 옥티리논(octhilinone), 오푸라세(ofurace), 오리사스트로빈(orysastrobin), 올소-페닐페놀(o-phenylphenol), 카스가마이신(kasugamycin), 카프타폴(captafol), 카르프로파미드(carpropamid), 카르벤다짐(carbendazim), 카르복신(carboxin), 카르보네(carvone), 퀴녹시펜(quinoxyfen), 퀴노메티오네이트(chinomethionat), 캡탄(captan), 퀸코나졸(quinconazole), 퀸토젠(quintozene), 구아자틴(guazatine), 쿠프라넵(cufraneb), 쿠목시스트로빈(coumoxystrobin),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클로질라콘(clozylacon), 클로졸리네이트(chlozolinate), 클로로타로닐(chlorothalonil), 클로로네브(chloroneb), 시아조파미드(cyazofamid), 디에토펜카르브(diethofencarb), 디클로시멧(diclocymet), 디클로플루아니드(dichlofluanid), 디클로메진(diclomezine), 디클로란(dicloran), 디클로로펜(dichlorophen), 디티아논(dithianon), 디니코나졸(diniconazole), 디니코나졸-M(diniconazole-M), 지네브(zineb), 디노캅(dinocap), 디페닐아민(diphenylamine), 디페노코나졸(difenoconazole), 디펜조쿠아트-메틸술페이트(difenzoquat-methyl sulfate), 시플루페나미드(cyflufenamid), 디플루메토림(diflumetorim), 시프로코나졸(cyproconazole), 시프로디닐(cyprodinil), 시메코나졸(simeconazole), 디메티리몰(dimethirimol), 디메틸디술피드(dimethyl disulfide),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시목사닐(cymoxanil), 디목시스트로빈(dimoxystrobin), 지람(ziram), 실티오팜(silthiofam),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스피록사민(spiroxamine), 세닥산(sedaxane), 족사미드(zoxamide), 다조멧(dazomet), 티아디닐(tiadinil), 티아벤다졸(thiabendazole), 티람(thiram), 티오파네이트(thiophanate), 티오파네이트-메틸(thiophanate-methyl), 티플루자미드(thifluzamide), 테크나젠(tecnazene), 테클로후타람(tecloftalam), 테트라코나졸(tetraconazole), 데바카르브(debacarb), 테브코나졸(tebuconazole), 테브후로킨(tebufloquin), 테르비나핀(terbinafine), 도딘(dodine), 도데모르프(dodemorph), 트리아디메놀(triadimenol), 트리아디메폰(triadimefon), 트리아족시드(triazoxide), 트리크라미드(trichlamide), 트리클로피리카르브(triclopyricarb), 트리시크라졸(tricyclazole), 트리티코나졸(triticonazole), 트리데모르프(tridemorph), 트리플루미졸(triflumizole), 트리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트리포린(triforine), 트리르플루아니드(tolylfluanid), 트르클로포스-메틸(tolclofos-methyl), 톨니파니드(tolnifanide), 톨프로카르브(tolprocarb), 나밤(nabam), 나타마이신(natamycin), 나프티핀(naftifine), 니트라피린(nitrapyrin), 니트로탈-이소프로필(nitrothal-isopropyl), 누아리몰(nuarimol), 노닐페놀 술폰네이트(copper nonylphenol sulphonate), 바실루스·숩틸리스(Bacillus subtilis)(strain: QST 713), 바리다마이신(validamycin), 바리페나레이트(valifenalate), 피카르부트라족스(picarbutrazox), 빅사펜(bixafen), 피콕시스트로빈(picoxystrobin), 비테르타놀(bitertanol), 비나파크릴(binapacryl), 비페닐(biphenyl), 피페라린(piperalin), 히멕사졸(hymexazol), 피라옥시스트로빈(pyraoxystrobin), 피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피라조포스(pyrazophos), 피라메토스트로빈(pyrametostrobin), 피리오페논(pyriofenone), 피리속사졸(pyrisoxazole), 피리페녹스(pyrifenox), 피리부티카르브(pyributicarb), 피리벤카르브(pyribencarb), 피리메타닐(pyrimethanil), 피로퀼론(pyroquilon), 빈클로졸린(vinclozolin), 페르밤(ferbam), 파목사존(famoxadone), 페나진옥시드(phenazine oxide), 페나미존(fenamidone), 페나민스트로빈(fenaminstrobin), 페나리몰(fenarimol), 페녹시닐(fenoxanil), 페림존(ferimzone), 펜피클로닐(fenpiclonil), 펜피라자민(fenpyrazamine), 펜브코나졸(fenbuconazole), 펜플람(fenfuram), 펜프로피진(fenpropidin), 펜프로피모르프(fenpropimorph), 펜헥사미드(fenhexamid), 폴펫트(folpet), 프탈라이드(phthalide), 부피리메이트(bupirimate), 프베리다졸(fuberidazole), 블라티시딘-S(blasticidin-S), 프라메트피르(furametpyr), 프라락실(furalaxyl), 푸란카르본산(furancarboxylic acid), 플루아지남(fluazinam), 플루옥사스트로빈(fluoxastrobin), 플루오피코리드(fluopicolide), 플루오피람(fluopyram), 플루오르이미드(fluoroimide), 플룩사피록사드(fluxapyroxad), 플루킨코나졸(fluquinconazole), 플루코나졸(furconazole), 플루코나졸-시스(furconazole -cis), 플루디옥소닐(fludioxonil), 플루시라졸(flusilazole), 플루술파미드(flusulfamide), 플루티아닐(flutianil), 플루트라닐(flutolanil), 플루트리아폴(flutriafol), 플루페녹시스트로빈(flufenoxystrobin), 플루메토벨(flumetover), 플루모르프(flumorph), 프로퀴나지드(proquinazid), 프로클로라즈(prochloraz), 프로시미돈(procymidone), 프로티오카르브(prothiocarb), 프로티오코나졸(prothioconazole), 브로노폴(bronopol), 프로파모카르브-염산염(propamocarb-hydrochloride), 프로피코나졸 (propiconazole), 프로피네브(propineb), 프로베나졸(probenazole), 브롬코나졸(bromuconazole), 헥사코나졸(hexaconazole), 베나락실(benalaxyl), 베나락실-M(benalaxyl-M), 베노다닐(benodanil), 베노밀(benomyl), 페푸라조에이트(pefurazoate), 펜코나졸(penconazole), 펜시클로(pencycuron), 벤조빈디플루피르(benzovindiflupyr), 벤티아졸(benthiazole), 벤티아바리카르브-이소프로필(benthiavalicarb-isopropyl), 페티오피라드(penthiopyrad), 펜플루펜(penflufen), 보스카리드(boscalid), 포세틸(fosetyl)(알루미늄염, 칼슘염, 나트륨염을 포함한다), 폴리옥신(polyoxin), 폴리카르바메이트(polycarbamate), 보르도액(Bordeaux mixture), 만코제브(mancozeb), 만지프로파미드(mandipropamid), 만데스트로빈(mandestrobin), 만네브(maneb), 미클로부타닐(myclobutanil), 미네랄 오일(mineral oils), 미르디오마이신(mildiomycin), 메타술포카르브(methasulfocarb), 메탐(metam), 메타락실(metalaxyl), 메타락실-M(metalaxyl-M), 메티람(metiram), 메토코나졸(metconazole), 메토미노스트로빈(metominostrobin), 메토라페논(metrafenone), 메파니피림(mepanipyrim), 멥틸디노캅(meptyldinocap), 메프로닐(mepronil), 요오도카르브(iodocarb), 라미나린(laminarin), 아인산 및 그의 염(phosphorous acid and salts), 염기성 염화동(copper oxychloride), 은(silver), 산화 제일동(cuprous oxide), 수산화 제2동(copper hydroxide), 탄산수소칼륨(potassium bi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유황(sulfur), 황산옥시퀴놀린(oxyquinoline sulfate), 황산구리(copper sulfate), 3-(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일)메틸 4-(tert-부틸) 벤조산에스테르(화학명, CAS 등록번호: 1231214-23-5), 3-((3,4-디클로로이소티아졸-5-일)메톡시)벤조[d]이소티아졸-1,1-디옥시드(화학명, CAS 등록번호: 957144-77-3), BAF-045(코드번호), BAG-010(코드번호), 도데실벤젠술폰산에틸렌디아민동착염[II](DBEDC), IKF-5411(코드번호), SYP-Z-048(코드번호), 아세트산 트리페닐주석(TPTA), 트리페닐틴클로라이드(TPTC), 수산화트리페닐주석(TPTH).
[식물 생육조절 활성성분]
1-메틸시클로프로펜(1-methylcyclopropene), 1-나프틸아세트아미드(1-naphthylacetamide), 2,6-디이소프로필나프탈렌(2,6-diisopropylnaphthalene), 4-CPA(4-CPA), 벤질아미노퓨린(benzylaminopurine), 안시미돌(ancymidol), 아비글리신(aviglycine), 카르보네(carvone), 클로르메쿠아트(chlormequat), 클로프롭(cloprop), 크록시포낙(cloxyfonac), 크록시포낙-칼륨염(cloxyfonac-potassium), 시크라니리드(cyclanilide), 사이토카이닌(cytokinins), 다미노짓(daminozide), 디케그락(dikegulac), 디메티핀(dimethipin), 에테폰(ethephon), 에포코레온(epocholeone), 에티클로제이트(ethychlozate), 플루메탈린(flumetralin), 플루레놀(flurenol), 플루르프리미돌(flurprimidol), 포르클로르페뉴론(forchlorfenuron), 지베렐린(gibberellin acid), 아니벤피드(inabenfide), 인돌 아세트산(indole acetic acid), 인돌 부티르산(indole butyric acid), 말레인산 히드라지드(maleic hydrazide), 메플루이디드(mefluidide), 메피쿠아트·염화물(mepiquat chloride), n-데카놀(n-decanol), 파클로부트라졸(paclobutrazol), 프로헥사디온-칼슘염(prohexadione-calcium), 프로히드로자스몬(prohydrojasmon), 신토펜(sintofen), 티디주론(thidiazuron), 트리아콘타놀(triacontanol), 트리넥사팍-에틸(trinexapac-ethyl), 우니코나졸(uniconazole), 우니코나졸-P(uniconazole-P) 또는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티르산(화학명, CAS 등록 번호: 1083-55-2).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의 농약 활성성분은 순품을 그대로 이용해도 좋고, 미리 고체 또는 액체의 부원료와 혼합한 벌크 성분 또는 원액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더욱이 농약 활성성분의 입자를 부원료로 피복, 분산 또는 균일하게 내포(內包)한 마이크로 캅셀의 형태로 이용해도 좋다. 상기 마이크로 캅셀의 막의 재료가 되는 부원료로는 공지의 물질을 임의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 캅셀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공지의 수단을 임의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농약 활성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농약 활성성분의 배합 비율의 합계는 조성물 100중량부당, 통상, 0.1~7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1~50중량부 정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25중량부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는 상기 농약 활성성분과 함께, 약해 경감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배합 가능한 약해 경감 화합물의 예를 아래에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약해 경감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해 경감 화합물]
베녹사코르(benoxacor), 푸릴라졸(furilazole), 디클로르미드(dichlormid), 디시클로논(dicyclonone), N1,N2-디알릴-N2-디클로로아세틸글리신아미드(DKA-24), 4-디클로로아세틸-1-옥사-4-아자스피로[4.5]데칸(AD-67), 2,2-디클로로-N-(1,3-디옥산-2-일메틸)-N-(2-프로페닐)아세트아미드(PPG-1292), 3-디클로로아세틸-2,2,5-트리메틸-1,3-옥사졸리딘(R-29148), 클로퀸트셋-멕실(cloquintcet-mexyl), 나프탈산무수물(1,8-naphthalic anhydride), 메펜피르-디에틸(mefenpyr-diethyl), 메펜피르(mefenpyr), 메펜피르-에틸(mefenpyr-ethyl), 펜클로라졸-에틸(fenchlorazole-O-ethyl), 펜클로림(fenclorim), 2-디클로로메틸-2-메틸-1,3-디옥산(MG-191), 시오메트리닐(cyometrinil), 플루라졸(flurazole), 플룩소페님(fluxofenim), 이속사디펜(isoxadifen), 이속사디펜-에틸(isoxadifen-ethyl), MON4660(코드번호), 옥사베트리닐(oxabetrinil), 시프로술파미드(cyprosulfamide), 저급알킬 치환 벤조산, TI-35(코드번호) 또는 N-(2-메톡시벤조일)-4-[(메틸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벤젠술폰아미드(화학명, CAS 등록 번호: 129531-12-0).
상기 약해 경감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약해 경감 화합물을 배합하는 경우, 그의 배합 비율의 합계는 조성물 100중량부당, 통상, 0.1~7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1~50중량부 정도이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2~25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는 수면에서 낱알을 30분 이내에서 붕괴시켜 농약 활성성분을 수중에 확산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서는 농약제제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아릴페닐에테르, 소르비탄 모노알킬레이트, 아세틸렌 알코올 및 아세틸렌 디올 및 이들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물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아릴술폰산염, 디알킬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 및 그의 축합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아릴페닐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카르본산형고분자 활성제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또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또, 액체의 계면활성제로는 화이트 카본, 규조토, 요소 등의 고체 담체에 흡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계면활성제의 배합 비율은 조성물 100중량부당, 통상, 0.1~3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5~20중량부, 더 바람직하기로는 2~1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수면에 부유하는 것이 필수이다. 이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수면 부유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진주암이나 흑요석으로 이루어지는 펄라이트, 실라스로 이루어진 발포 실라스,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로 고온에서 소성하여 이루어진 필러 실, 규산소다 또는 붕사를 발포시킨 마이크로 벌룬, 경석, 입상 규조토, 입상 활성탄, 목분, 코르크분, 케나프 조각, 페놀수지로 이루어진 페놀 마이크로 벌룬,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에코스페아,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포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마이크로스페아, 화력발전시 재로서 산출하는 플라이 애쉬 등, 독립한 1개 또는 복수 개의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부유성 담체를 함유시키는 방법, 스테아린산 및 그의 염, 소수성 화이트 카본 등의 발수성 물질을 함유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전자의 독립한 1개 또는 복수 개의 공기 주머니를 가지는 부유성 담체를 함유시키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부유성 담체 내지 발수성 물질의 배합량은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가 수면 부유성을 얻는 양이면 특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필요 이상으로 배합하면 무른 낱알로 되어, 사용시에 무너지거나 분진 발생량이 많아지는 등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 최소량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부유성 담체 등의 배합량의 상한은 일반적으로 제제 100중량부당, 30중량부 정도까지이고, 일반적으로는 20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기로는 15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한은 0.3중량부이고, 0.5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 전기 부유성 담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제제 중에 미량의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물의 배합량은 제제 100중량부당, 0.3~3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0.3~1.5중량부 정도이다. 물이 0.3중량부 이하의 경우에는 제제 내부에 물이 침입하기 쉬운 구조로 되기 때문에, 물에 제제를 투입하면, 일단 수면에 부유하지만, 그 후 제제 내부의 공기가 빠져 침강하는 경우가 있어, 필요 이상으로 전기 부유성 담체를 함유 시키지 않으면 안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물이 3중량부 이상의 경우, 입상물 끼리 달라붙어 살포하기 곤란하게 되거나 제제가 무르게 되어 살포시에 미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 소정량의 물을 함유 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일단 제제를 완전하게 건조시킨 후, 분무하여 가하는 방법도 있지만, 통상은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면서 건조하고, 소정량의 수분 함유량이 된 시점에서 건조를 종료시키면 좋다. 또,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중의 물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칼 피셔 방식의 수분측정장치나 적외선 수분측정장치 등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는 통상, 고체 담체가 배합된다. 고체 담체로서는 수용성 담체 또는 비수용성 담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수용성 담체로는,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중탄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시트르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유기 또는 무기산 염류, 시트르산, 숙신산 등의 유기산류, 자당, 락토스 등의 당류,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또, 비수용성 담체는 일반적으로는 광물질 미분이 이용되며, 예를 들면, 클레이류,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탈크, 규조토, 스테아린산칼슘, 화이트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체 담체의 배합 비율은 조성물 100중량부당, 통상, 5~8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0~7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는, 기타 성분으로서 보조제가 필요에 따라 배합된다. 이 임의의 성분인 보조제의 예로서는 결합제, 유기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용되는 결합제는 농약 입상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며, 수용성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 결합제의 예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 덱스트린, 수용성 전분, 크산탄검, 구아시드검, 자당,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염, 평균 분자량 6,000~20,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10만~500만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결합제를 배합하는 경우, 결합제의 배합 비율은 조성물 100중량부당, 통상, 0.01~1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6중량부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있어서는 농약 활성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하는 경우에 보조제로서 유기용제를 이용해도 좋다. 이 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옥틸프탈레이트, 메틸나프탈렌, 알킬피롤리돈, 페닐크실릴에탄, 글리세린, 알킬렌글리콜, 머신유, 메탄계 탄화수소, 지방산에스테르, 다염기산, 야자유, 콩기름, 유채씨유, 실리콘 오일 등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고비등점 용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용제를 배합하는 경우, 유기용제의 사용 비율은 농약 활성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10~20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통상, 이상 설명한 성분을 함유하여서 이루어진 수면에 부유하는 입상 제제이나, 전술의 각 성분 및 배합량은 3mm 이상의 입경의 것이 80%를 넘는 입도분포의 제제로 했을 때, 수면에서 30분 이내에, 바람직하기로는 20분 이내에 붕괴하도록 조정된다. 붕괴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30분을 넘기는 경우, 바람에 제제가 날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바람에 날리는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제제가 수면에 부유했을 때, 수면상에 노출한 부분이, 제제 전체의 40%이하, 바람직하기로는 20%이하로 되도록 상기 각 성분의 배합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상기 각 원료의 평형 수분율과 그의 배합율이 중요하게 된다. 개개의 원료의 평형 수분율은 문헌값 등을 인용해도 좋고, 당업자는 간소한 시험에 의해 이것을 구할 수도 있다. 즉, 소정량의 불화칼륨의 포화 수용액을 적당한 비밀폐계의 용기에 넣어 데시케이타 내에 소정량의 원료와 상기 불화칼륨의 포화 수용액을 넣은 용기를 넣고, 뚜껑을 닫은 후, 60℃로 가온하면서 1주간 정치한 후, 원료를 꺼내, 칼 피셔법에 의해 구한 당해 원료의 수분 함유율을, 그대로 당해 원료의 평형 수분율로서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원료로서 대표적인 물질의 평형 수분율을 나타내면, 이하와 같다.
계면활성제: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염=4.01;
  알킬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나트륨염= 8.95;
  디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염=3.17;
  폴리메틸알킨디올디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1.25.
부유성 담체: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0.97;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물= 0.48.
고체 담체:
  클레이= 0.14;
  경질 탄산칼슘= 0.15;
  중질 탄산칼슘= 0.05;
  소성 규조토= 0.09;
  요소= 0.01;
  벤토나이트=5.17;
  화이트 카본=5.40;
  황산나트륨(무수물)= 0.01.
기타 보조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 8.82;
  효소 변성 덱스트린=5.50;
  트리폴리인산 나트륨염(무수물)= 0.68;
  트리폴리 인산 나트륨염(6수염)= 2.95;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분자량 5000)= 11.56;
  폴리비닐알코올= 1,99;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70;
  인산 가교 전분=6.62.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당해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구성하는 농약 활성성분, 부유성 담체 성분, 보조 성분(단, 물을 제외한다) 등의 모든 합계 n종의 원료, 즉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상기 원료 1(평형 수분율 EM1)의 W1중량부와, 상기 원료 2(평형 수분율 EM2)의 W2중량부와……상기 원료 n(평형 수분율 EMn)의 Wn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체(단, 원료에 물이 포함되는 경우는 물의 중량분을 제외한다)를 100중량부로 할 때, 하기 식
Figure 112016103192120-pct00004
로 정의되는 값 X가 0.5~2의 범위 내로 되도록 처방설계된다.
이 값 X가 0.5 미만이면, 원료 혼합물이 물을 유지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혼련이 진행되지 않고, 압출 조립이 곤란해진다. 다량의 물을 가하여 혼련함으로써 일단 조립은 가능하게 되지만, 이 경우는 혼련이 과도하게 진행하여, 수면에서의 붕괴에 시간을 요하는 조립물로 되기 쉽다. 또, 조립물이 매우 부드럽고, 형상 유지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조립물은 대량 생산에 적절한 기계로 취급하면 무너져 수납하기 쉽고, 어쩔 수 없이 수작업으로 취급한다고 해도, 그 시점에서 생산 능력이 저하하고, 첨가한 다량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고온 및/또는 장시간의 건조가 필요로 하는 점에 변화는 없다.
한편, 값 X가 2를 넘는 경우는 조립물의 보수성이 과잉으로 되어, 건조가 지연되어 진행되지 않고, 역시 고온 및/또는 장시간의 건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상에서 건조하게 이용되는 온도 영역은 통상 40~95℃이지만,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제조하는 경우의 건조온도는 80℃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건조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조온도를 높게 설정하면 좋지만,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고온 및/또는 장시간의 열 피폭에 의해 수면 부유성이나 붕괴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100℃이하의 온도 영역에 분해점 또는 전이점을 가지는 농약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건조온도를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건조온도를 내리면 건조 시간 효율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특정의 농약 활성성분으로 한정되는 일 없이 실시할 수 있지만, 저온에서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100℃이하의 온도 영역에 분해점 또는 전이점을 가지는 농약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제조할 때에는 특별히 유효하게 된다.
또, 부원료에 있어서도, 특히, 농약 활성성분의 마이크로 캅셀의 막 재료나 부유성 담체인 마이크로 스페아의 막벽으로서 이용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 중에서 소정의 기능이 기대되는 기능성 부원료이고, 내열성에 어려움이 있어도 배합을 시도하고자 하는 사정이 생길 수 있다. 상기 농약 활성성분의 예에 준하여,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100℃이하의 온도 영역에 연화점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배합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제조하는 경우 있어서도, 특별히 유효하게 된다.
열가소성 수지의 마이크로 스페아는 부유성 담체로서 이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료 혼합물의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부유성 담체로서 바람직한 원료이지만, 막재가 열가소성 수지이기 때문에, 건조시의 열 피폭에 의해 물리적으로 중공 구조가 파괴되어 부유성 담체로서의 기능이 손상되는 일이 있다. 이 현상은 함께 배합되는 다른 부원료의 영향이나, 때로는 농약 활성성분의 영향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 이하에서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처방구성에 대해서 설정한 건조 조건에서 수면 부유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 종래에는 예측하기 곤란하였고, 실제로 제조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물에 띄워, 결과론으로부터 건조 조건의 타당성 또는 실당성(失當性)을 확인할 수밖에 없고,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건조온도의 설정에는 지극히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했다. 또한, 마이크로 스페아의 일부가 건조 중에 파손하는 것을 예측하여 미리 다량의 마이크로 스페아를 배합하여 놓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러한 처방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물리적으로 부셔지기 쉽고, 또, 비중이 너무 가벼워 포장의 부피가 커져, 논두렁에서가 투입 살포에서 비거리를 낼 수 없는 등, 유통이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비중의 범위는 통상 0.3~1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에서는 간편한 방법으로 조성물에 적절한 건조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압출 조립을 행하기 전의 전체 원료의 혼합물 5g에 물을 가해 100mL의 분산액으로 하고, 격렬하게 진탕한 후 10분간 정치하고, 수면에 부유하는 고형분의 체적 V0를 구하고, 이어서 이 분산액을 소정의 온도 T로 2시간 가열하고, 재차 격렬하게 진탕한 후 10분간 정치했을 때에 수면에 부유하는 고형분의 체적 VT를 구한다. 이 때, V0와 VT의 관계가, 하기 조건식
  
Figure 112016103192120-pct00005
을 만족하는 T 또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를 행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이다. 또, T가 낮으면 낮을 정도, 상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개연성은 높아지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조온도를 내리면 그만큼 생산성은 악화되기 때문에, 농약제제의 품질을 담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높은 건조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45℃, 55℃, 65℃, 75℃와 다른 온도수 점에서 상기 조작을 행하고, 그 중에서 상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최고 온도를 T로서 채용하면 좋다.
다만, 농약 활성성분이나 열가소성 수지의 물리적·화확적 변질을 방지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건조온도를 충분히 내려 건조를 행하면 좋으나, 함부로 건조온도를 내리면 건조 효율이 저하하고, 필연적으로 건조의 소요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생산성은 악화된다. 어쨌든, 분해점 또는 전이점은 그 물질 고유의 특성값으로, 원칙적으로 불변이므로, 상기 생산성의 악화를 면하기 위해서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요구되는 부유성·붕괴성 등의 물리화학성을 담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높은 건조온도를 설정함과 함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처방설계를, 비교적 저온에서도 충분히 신속히 건조를 행하는, 건조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조립방법은 특히 제약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을 제외한 전체 원료를 혼합한 후, 이것에 물을 가하고, 혼련하여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로부터 압출하여 조립할 방법이 바람직하다. 조립물을 적당한 길이에 재단한 후, 재단한 조립물로 구르게 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곡면의 상태가 된 시점에서 움직임을 멈추는 방법에 의해 성형한다. 이 때의 입상물의 형상은 1알의 단경과 장경의 비율이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된 입상물은 물의 함유량이 제제 100중량부에 대해서 0.3~3중량부의 범위가 될 때까지의 시간, 건조하면 좋다. 이러한 건조에 요하는 시간이,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생산성에 직결되는 중요한 인자로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수치 X가 0.5~2인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건조 효율이 양호하고, 그 소요 건조시간은 건조온도에도 다르나, 통상 120분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90분 이하, 더 바람직하기로는 60분 이하이다. 한편, 적용되는 건조온도는 통상 80℃이하이지만, 80℃이하의 온도 영역에 분해점 또는 전이점을 가지는 농약 활성성분이나 부원료가 배합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대해서는 건조온도를 해분해점 또는 전이점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건조시의 열피폭의도 합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건조온도와 건조시간의 적산치는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대해 통상 7200℃·분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6000℃·분 이하, 더 바람직하기로는 4800℃·분 이하이다.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바람직한 제제예로서는 예를 들면, 성분으로서 수면 시용 효과가 있는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그의 입경이 3~8mm, 비중이 0.3~1이고, 수면에 살포한 후, 1~20분에 붕괴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입경이 3mm 이상의 것을 더 많이 포함하는 것, 즉,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인 입도분포를 가지는 것이 필수 요건이고, 더욱이 입경 3~10mm의 입자가 80%이상인 것, 특히 3~8mm의 입자가 80%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제를 상기의 입도분포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논두렁에서 살포했을 경우에서도, 논두렁에서 1 m이상의 거리에, 전논면적의 5~50%의 살포 면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입경을 3mm 이상으로 하는 부차적인 효과로서는 통상 입경 0.8mm 전후의 입자를 많이 포함한 무논 육묘상자 시용입제와 용이하게 판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만약 만일 수도 육묘상자에 처리한 후, 오용을 알아차렸을 경우에서도, 육묘상자마다 물에 담그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제만 수면으로 부상하기 위해, 오용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논 등의 수면에 살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제약은 없지만, 예를 들면, 비닐 장갑을 착용한 손으로 제제를 잡아 던지는 방법, 동력 살포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분두로부터 토출시켜 살포하는 방법, 또는 셔터 레바를 순간적으로 개폐해, 단속적으로 토출시켜 살포하는 방법, 국자를 이용해 투입하는 방법, 통 모양의 용기를 흔들어 투입하는 방법, 수동식 산립기를 이용하는 방법, 또 무선조종 헬리콥터를 이용해 줄무늬 모양으로, 또는 스폿적으로 살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종래, 논에 있어서의 벼농사에 있어서, 이식 시기가 빠른 소위 조기 재배의 경우는 이식 후 1~2주간의 기간 내에 수면 부유성의 농약제제를 국소적으로 살포해도, 논에 조류(藻類)의 발생은 거의 없고, 농약 활성성분의 확산성은 양호하고,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식 시기가 5월 이후로 되는, 소위 보통기 재배에 대해서는 수온이 상승하여, 농약 살포의 적기에는 조류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조류가 농약 활성성분의 확산을 현저하게 저해하기 때문에, 소기의 농약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많다. 특히, 조류가 바람으로 날려온 논에, 수면 부유성의 농약제제를 국소적으로 살포했을 경우, 조류가 바람에 불어온 부분은 거의 농약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또, 이식 수 주간 후, 수도의 생육이 진행되어, 벼포기가 커진 후에 수면 부유성의 농약제제를 국소적으로 살포했을 경우 있어서도, 농약 활성성분의 확산을 방해할 수 있어 버린다. 이와 같이, 국소적 살포가 전제가 되는 생력 살포 제제는 볏 포기가 어린 때에 살포되는 제제였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는 조류가 발생한 논에 있어, 또는 어느 정도 볏그루가 성육한 논에 있어도, 농약 활성성분의 확산이 양호하고, 소기의 농약의 효과가 얻어지는 수면 부유성의 입상 농약제제라고 할 수가 있으며, 이것을 논의 특정의 위치에, 한편 특정의 면적 내에 살포하는 것으로, 농약 살포시의 생력성을 거의 방해하는 일 없이 농약 활성성분의 균일 살포를 가능으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입경이 3mm 이상의 것이 80%이상으로, 수면에 부유하고, 또한 30분 이내에 수면에서 붕괴하는 확산성 입상 제제는 담수 하의 논의 논두렁에서 1 m이상의 거리에, 바람직하기로는 논두렁에서 2 m이상의 거리에, 전체 논면적의 5~50%의 면적, 바람직하기로는 10~50%에 흩뿌려 살포함으로써, 논에 균일하게 농약 활성성분을 살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전체 논면적의 50%이상으로 살포해도 아무런 문제 없지만, 생력적인 농약 살포라고 하는 목적으로부터는 무의미하고, 50%이하의 면적에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당연한 것이나, 조류 발생이 없는 논, 이식 전의 논, 볏 포기가 작은 논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에 의한 농약 활성성분의 확산은 양호하고, 소기의 농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어떤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 두고,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펜트라자미드(융점 78.9℃, 평형 수분율 0.14) 12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마린 축합물 나트륨염(평형 수분율 8.95) 5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11.56) 2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평형 수분율 0.70) 2부, 효소 변성 덱스트린(평형 수분율 5.50) 2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2부, 벤토나이트(평형 수분율 5.17) 5부, 요소(평형 수분율 0.01) 10부 및 중질 탄산칼슘(평형 수분율 0.05) 60.8부를 고속 혼합기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량의 물을 가하여 혼련한 후, 5mm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轉動)시켜 성형한 후, 60℃에서 수분이 1.1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1.11, T=60℃에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36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을 넣은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모든 알이 붕괴할 때까지의 시간; 이하 같다)은 13분이었다.
실시예 2
메토미노스트로빈(융점 88.8℃, 평형 수분율 0.08) 60부, 디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3.17) 3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포르마린 축합물 나트륨염(평형 수분율 8.95) 2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11.56) 5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평형 수분율 0.70) 2부, 효소 변성 덱스트린(평형 수분율 5.50) 2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2부, 벤토나이트(평형 수분율 5.17) 3부, 요소(평형 수분율 0.01) 10부 및 중질 탄산칼슘(평형 수분율 0.05) 11.8부를 고속 혼합기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로부터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하여 성형한 후, 65℃에서 수분이 1.4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1.19, T=65℃에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3 9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5분이었다.
실시예 3
옥사디클로메폰(융점 147℃, 평형 수분율 0.06) 2부, 쿠로메플롭(융점 147.8℃, 평형 수분율 0.12) 14부, 피리미노박메틸(융점 69.8℃(Z체) 및 106.9℃(E체), 평형 수분율 0.14) 2부, 벤술푸론메틸(융점 181℃, 평형 수분율 0.05) 2부, 알킬 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4.01) 8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11.56) 5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티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2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2부, 화이트 카본(평형 수분율 5.40) 2부, 무수 망초(평형 수분율 0.01) 20부 및 요소(평형 수분율 0.01) 41.8부를 고속 혼합기 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시켜 성형한 후, 60℃에서 수분이 1.5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1.06, T=60℃에 있어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12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72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6분이었다.
실시예 4
브로모부티드(융점 179.5℃, 평형 수분율 0.11) 36부, 펜톡사존(융점 104℃, 평형 수분율 0.08) 8부, 피리미노박메틸(융점 69.8℃(Z체) 및 106.9℃(E체), 평형 수분율 0.14) 2부, 벤술푸론메틸(융점 181℃, 평형 수분율 0.05) 2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포르마린 축합물 나트륨염(평형 수분율 8.95) 3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4.01) 5부,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르페닐에테르 황산염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혼합물(평형 수분율 1.93) 2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11.56) 5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1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2부, 화이트 카본(평형 수분율 5.40) 2부, 벤토나이트(평형 수분율 5.17) 2부, 요소(평형 수분율 0.01) 12부 및 경질 탄산칼슘(평형 수분율 0.15) 18.8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65℃로 수분이 1.0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1.39, T=65℃에 있어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9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585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 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15분이었다.
실시예 5
피리미술판(융점 98.8℃, 평형 수분율 0.21) 2부, 옥사디클로메폰(융점 147℃, 평형 수분율 0.06) 3부, 디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3.17) 3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5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11.56) 6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염(평형 수분율 8.82) 1부, 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100℃, 평형 수분율 0.97) 1.6부, 규조토(평형 수분율 0.09) 20부, 벤토나이트(평형 수분율 5.17) 5부 및 클레이(평형 수분율 0.14) 53.4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60℃에서 수분이 1.0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1.31, T=60℃에 있어서의 VT/V0는 0.98, 소요 건조시간은 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36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16분이었다.
실시예 6
디노테푸란(융점 107.5℃, 평형 수분율 0.08) 12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포르마린 축합물 나트륨염(평형 수분율 8.95) 2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4.01) 3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1부, 효소 변성 덱스트린(평형 수분율 5.50) 2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5부, 화이트 카본(평형 수분율 5.40) 3부, 벤토나이트(평형 수분율 5.17) 5부, 요소(평형 수분율 0.01) 10부 및 중질 탄산칼슘(평형 수분율 0.05) 60.5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70℃에서 수분이 0.8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0.89, T=70℃에 있어서의 VT/V0는 0.96, 소요 건조시간은 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42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8분이었다.
실시예 7
피리미술판(융점 98.8℃, 평형 수분율 0.21) 3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4.01) 3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1부, 폴리비닐 알코올(평형 수분율 1.99) 5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5부, 화이트 카본(평형 수분율 5.40) 5부, 규조토(평형 수분율 0.09) 30부 및 클레이(평형 수분율 0.14) 51.5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60℃에서 수분이 0.9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0.61, T=60℃에 있어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36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14분이었다.
실시예 8
카펜스트롤(융점 117.5℃, 평형 수분율 0.10) 8부, 벤술푸론메틸(융점 181℃, 평형 수분율 0.05) 2부, 벤조비시클로(융점 188℃, 평형 수분율 0.10) 8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포르마린 축합물 나트륨염(평형 수분율 8.95) 5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4.01) 3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1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2.0부, 화이트 카본(평형 수분율 5.40) 3부, 효소 변성 덱스트린(평형 수분율 5.50) 2부, 요소(평형 수분율 0.01) 10부 및 중질 탄산칼슘(평형 수분율 0.05) 56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55℃로 수분이 0.7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0.91, T=55℃에 있어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9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495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7분이었다.
실시예 9
피리미노박메틸(융점 69.8℃(Z체) 및 106.9℃(E체), 평형 수분율 0.14) 5부, 디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3.17) 5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2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11.56) 5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2부, 벤토나이트(평형 수분율 5.17) 6부, 요소(평형 수분율 0.01) 10부, 경질 탄산칼슘(평형 수분율 0.15) 30부 및 중질 탄산칼슘(평형 수분율 0.05) 35.8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60℃에서 수분이 0.8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1.15, T=60℃에 있어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36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다. 또,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5분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으로 얻어진 조립물을 성형한 후, 80℃에서 수분이 1.0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1.11, T=80℃에 있어서의 VT/V0는 0.72, 소요 건조시간은 5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40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 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35알이 침강하고, 그 때의 알의 붕괴시간은 40분이었다.
비교예 2
피리미술판(융점 98.8℃, 평형 수분율 0.21) 3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4.01) 1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1부, 폴리비닐 알코올(평형 수분율 1.99) 5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5부, 화이트 카본(평형 수분율 5.40) 2부, 규조토(평형 수분율 0.09) 30부 및 클레이(평형 수분율 0.14) 56.5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60℃에서 수분이 0.6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0.38, T=60℃에 있어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36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지만,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31분이었다.
비교예 3
옥사디클로메폰(융점 147℃, 평형 수분율 0.06) 2부, 크로메플롭(융점 147.8℃, 평형 수분율 0.12) 14부, 피리미노박메틸(융점 69.8℃(Z체) 및 106.9℃(E체), 평형 수분율 0.14) 2부, 벤술푸론메틸(융점 181℃, 평형 수분율 0.05) 2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4.01) 12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평형 수분율 11.56) 5부, 폴리옥시에틸렌아세틸렌글리콜에테르(평형 수분율 1.25) 2부, 염화비닐리덴/폴리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막벽으로 하는 플라스틱 중공체(연화점 75℃, 평형 수분율 0.48) 1.2부, 화이트 카본(평형 수분율 5.40) 2부, 벤토나이트(평형 수분율 5.17) 20부, 무수 망초(평형 수분율 0.01) 20부 및 요소(평형 수분율 0.01) 17.8부를 고속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을 가해 혼련한 후, 5mm의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에서 압출 조립을 행했다.
얻어진 조립물을 옆으로 누인 드럼에 넣어 회전시키면서 조립물을 전동 성형한 후, 60℃에서 수분이 1.5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2.26, T=60℃에 있어서의 VT/V0는 0.99, 소요 건조시간은 16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96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부유했지만, 부유 후의 알의 붕괴시간은 35분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6과 같은 조성으로 얻어진 조립물을 성형한 후, 85℃로 수분이 0.3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0.89, T=85℃에 있어서의 VT/V0는 0.65, 소요 건조시간은 9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765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모든 알이 침강하고, 그 때의 알의 붕괴시간은 25분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6과 같은 조성으로 얻어진 조립물을 성형한 후, 70℃에서 수분이 0.5질량%로 될 때까지 건조하여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얻었다. 상기 처방에 있어서의 X 값은 0.89, T=70℃에 있어서의 VT/V0는 0.96, 소요 건조시간은 120분이었다(건조온도×건조시간=8400℃·분).
이 농약제제의 입도분포는 입경 3mm 이상의 입자가 80%이상이었다. 또, 본제제 100알을 물로 채운 용기에 투입한 바, 23알이 침강하고, 그 때의 알의 붕괴시간은 20분이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처방설계의 대부분을 탁상의 시뮬레이션으로 행할 수가 있으며, 수면 부유성 및 붕괴성이 우수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높은 건조 효율 및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개발에 큰 공헌을 기대할 수 있으며, 농약제제의 개발 분야에 있어 지극히 유용한 것이다.

Claims (12)

  1. 농약 활성성분 및 부유성 담체를 함유하고, 입경 3mm 이상의 것이 80%이상인 입도분포와 수면에 부유하는 성질을 가지며, 또한 30분 이내에 수면에서 붕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으로,
    당해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를 구성하는 농약 활성성분 및 부유성 담체를 함유하는 조성성분의 모두(단, 물을 제외하다)인 합계 n종의 원료, 즉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하기 식
    Figure 112021086497719-pct00006

    [식중, W1, W2……Wn는 물을 제외한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 100 중량부에 대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의 각각의 중량부를 나타내고, EM1, EM2……EMn는 60℃, 상대습도 21%의 데시케이타에서 1주간 정치한 원료 1, 원료 2……원료 n에 대해서 칼 피셔법으로 측정한 각각의 수분 함유율의 질량%값, 즉 평형 수분율을 나타낸다]
    에 의해 정의되는 값 X가 0.5~2의 범위 내로 되도록 선택하고,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어서 그대로 또는 소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혼련하고, 공경 3mm 이상의 스크린으로부터 압출하여 조립하여 성형하여 수분 함유율이 0.3~3질량%의 범위 내로 될 때까지 가열 건조하고, 가열 건조에서의 건조온도와 건조 시간의 곱이 7200℃·분 이하이며, 건조온도 T가 하기 조건 식
    Figure 112021086497719-pct00010

    [식중, V0는 압출 조립을 행하기 전의 전체 원료의 혼합물 5g에 물을 가하여 100mL의 분산액으로 하고, 격렬하게 진탕한 후, 10분간 정치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고형분의 체적을 나타내고, VT는 이 분산액을 온도 T에서 2시간 가열하고, 다시 격렬하게 진탕한 후 10분간 정치했을 때에 수면에 부유하는 고형분의 체적을 나타낸다.]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열 건조온도가 80℃ 이하인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농약 활성성분의 분해점, 융점, 비점, 승화점, 연화점 또는 결정 전이온도가 100℃이하의 것을 함유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부유성 담체가 연화점이 10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이며, 농약 활성성분이 이것에 피복, 분산 또는 모노리틱으로 내포되어 함유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부유성 담체로서 연화점이 10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의 중공체를 함유하는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가열 건조에서의 건조시간이 120분 이하인 수면 부유성 대형 입상 농약제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7029641A 2014-04-18 2015-04-15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6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6605 2014-04-18
JPJP-P-2014-086605 2014-04-18
PCT/JP2015/061532 WO2015159906A1 (ja) 2014-04-18 2015-04-15 水面浮遊性大型農薬粒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614A KR20160145614A (ko) 2016-12-20
KR102296447B1 true KR102296447B1 (ko) 2021-08-31

Family

ID=5432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641A KR102296447B1 (ko) 2014-04-18 2015-04-15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57495B2 (ko)
KR (1) KR102296447B1 (ko)
WO (1) WO2015159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357B1 (ko) * 2015-02-09 2023-08-14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입상 농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6951325B2 (ja) * 2016-04-28 2021-10-20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除草農薬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除草方法
JP7179593B2 (ja) * 2017-11-30 2022-11-29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粒状農薬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602A (ja) 1999-04-23 2000-10-31 Kumiai Chem Ind Co Ltd 水面浮遊性粒状農薬製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散布方法
JP2000319103A (ja) 1999-05-13 2000-11-21 Kumiai Chem Ind Co Ltd 水面浮遊性粒状農薬製剤及びその製造法
JP2002179507A (ja) 2000-10-05 2002-06-26 Kumiai Chem Ind Co Ltd 均一拡散性粒状農薬製剤およびその散布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9905A (ja) * 1996-10-03 1998-04-28 Kumiai Chem Ind Co Ltd 粒状農薬組成物及びその散布方法
KR100225878B1 (ko) * 1997-01-24 1999-10-15 조명현 수면부상성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TWI245601B (en) * 2001-09-26 2005-12-21 Kumiai Chemical Industry Co Granular agricultural chemical preparations and its scattering method with uniformly diffusivity
CN1856247B (zh) * 2003-09-26 2010-05-05 组合化学工业株式会社 均一扩散性粒状农药制剂
CN100581359C (zh) * 2003-09-26 2010-01-20 组合化学工业株式会社 粒状农药制剂
JP5090165B2 (ja) * 2005-07-08 2012-12-05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除草剤組成物
KR100843332B1 (ko) * 2006-12-05 2008-07-03 주식회사동방아그로 수면부유확산성을 갖는 중대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2602A (ja) 1999-04-23 2000-10-31 Kumiai Chem Ind Co Ltd 水面浮遊性粒状農薬製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散布方法
JP2000319103A (ja) 1999-05-13 2000-11-21 Kumiai Chem Ind Co Ltd 水面浮遊性粒状農薬製剤及びその製造法
JP2002179507A (ja) 2000-10-05 2002-06-26 Kumiai Chem Ind Co Ltd 均一拡散性粒状農薬製剤およびその散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57495B2 (ja) 2019-01-23
JPWO2015159906A1 (ja) 2017-04-13
KR20160145614A (ko) 2016-12-20
WO2015159906A1 (ja)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77284B (zh) 莖葉處理用農藥組成物
KR102390275B1 (ko) 수성 현탁 농약 조성물
JP6608851B2 (ja) 水面浮遊性大型農薬粒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51325B2 (ja) 除草農薬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除草方法
CN107920507A (zh) 粒状农药组合物
US11406105B2 (en) Agrochemical composition and dispersal method therefor
CN107920508A (zh) 粒状农药组合物及其制造方法
AU2019372535A1 (en) Microcapsule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grochemical formulation comprising same and weed control method
KR102296447B1 (ko) 수면 부유성 대형 농약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949278A (zh) 粒状农药组合物
EP3369317A1 (en) Granular agrochemical composition
KR102567357B1 (ko) 입상 농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7350844B2 (ja) 粒状農薬組成物およびこれの散布方法
KR102350438B1 (ko) 입상 농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403954B2 (ja) 混合粒状農薬組成物、これを利用した粒状農薬合剤および粒状農薬合剤キット
KR20220090524A (ko) 농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