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629B1 - 기능성 타월 - Google Patents

기능성 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629B1
KR100836629B1 KR1020080021438A KR20080021438A KR100836629B1 KR 100836629 B1 KR100836629 B1 KR 100836629B1 KR 1020080021438 A KR1020080021438 A KR 1020080021438A KR 20080021438 A KR20080021438 A KR 20080021438A KR 100836629 B1 KR100836629 B1 KR 10083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yarn
weft yarn
loop
t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
Priority to KR102008002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10Bamboo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타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부는 4본위로 직조되고, 상, 하부 루프는 대나무사로 형성됨으로써, 흡수성이 종래의 면제품보다 뛰어나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가볍고, 사용시 얼룩이 생기지 않는 것은 물론, 4본위 직조로 인하여 바닥부가 약화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타월은, 다수열의 하경사와 상경사에 대하여 위사가 횡방향으로 공급되어 바닥부의 양면에 루프가 형성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제1위사와 제2위사가 하경사에 대하여 동일한 개구 내에 위치되고, 제3위사와 제4위사가 각각 다른 개구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위사, 제2위사, 제3위사 및 제4위사가 순서대로 다수회 반복되는 4본위로 직조되며,
상기 바닥부의 양면에 형성된 루프는 제1상경사가 제3위사에 대하여 교차되어 형성된 상부 루프와 제2상경사가 제3위사에 대하여 교차되어 형성된 하부 루프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제1상경사와 제2상경사는 대나무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경사, 위사, 상경사, 대나무사, 루프

Description

기능성 타월{TOWEL}
본 발명은 기능성 타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부는 4본위로 직조되고, 상, 하부 루프는 대나무사로 형성됨으로써, 흡수성이 종래의 면제품보다 뛰어나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가볍고, 사용시 얼룩이 생기지 않는 것은 물론, 4본위 직조로 인하여 바닥부가 약화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월은 타월 직기를 이용하여 위사와 경사에 의해 제직되며, 루프가 형성되어 흡수성과 통풍성이 우수하여 세면시 또는 목욕시 피부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타월은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경사(G)(G')와 위사(10)(20)(30)를 통해 직조하면서 상경사(F)(B)를 통해 바닥의 상부 또는 하부, 상하부에 모두에 루프를 형성한다.(도 1에서는 상, 하부 모두에 루프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타월은 통상적으로 3본위로 직조되는 바, 하나의 루프형성을 위해 3개의 실(10)(20)(30)을 유입시켜 루프를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타월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땀이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100% 면사를 사용하여 제직, 재단, 봉재하여 제조하였으나, 100%면을 사용한 타월은 흡수효과에 한계가 있고 장기간 사용하면 흡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경직되어 피부에 접촉시 이질감을 느끼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나아가 각종 기능성 섬유를 이용하여 타월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한 예로서 면보다 흡수효과가 뛰어난 폴리에스테르를 주재로한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을 혼합한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월은 흡습성과 마모성은 면보다 우수하나, 너무 부드러워 쉽게 긁혀 표면이 뜯겨나가고, 일정한 모양이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선등록된 등록특허 제10-0467226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경사로 면사를 사용하고, 위사로 대나무섬유와 면섬유가 혼합된 혼합사를 사용하며, 상경사로 폴리에스테르와 면사가 혼합된 혼합사를 이용하여 제직함으로써, 흡수효과가 좋은 면을 표면층으로 하고 내층에는 내구성이 좋은 폴리에스테르가 위치되도록 하였으나, 위사로서 대나무섬유가 포함된 혼합사를 이용함으로써 바닥부가 약화되어 타월의 내구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경사로서 면사를 이용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면 흡습성이 떨어지고 경직되어 피부에 접촉시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타월에 부분적으로 색 무늬부를 형성하였는 바, 이러한 타월 은 루프를 형성하면서 타월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루프의 형성을 중지함과 동시에 직조되는 타월에 별도의 색원사를 공급하여 타월의 표면으로 색원사가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색 무늬부를 직조하고 다시 루프가 형성되는 타월을 직조함으로서 타월을 완성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타월의 색 무늬부는 타월의 직조과정에서 별도로 공급되는 색원사가 타월에 표면에 수를 놓는 것으로서, 색무늬부는 타월의 표면으로 노출되면서 조밀하게 직조되면서 루프의 형성직조는 중지됨으로써, 색 무늬부가 피부에 닿는 순간에 거친 느낌을 받아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등록된 특허 제10-0521664호에서는 루프가 포함되는 색 무늬부를 제공하였으나, 바닥면에 색원사를 사용함으로써 입체감이 표현되지 않으며, 무늬의 표현 외에 별다른 기능성을 갖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에 대한 문헌 정보*
특허출원 제10-2004-0043549호
특허출원 제10-2004-0039210호
특허출원 제10-2005-0022319호
특허출원 제10-2006-0101318호
특허출원 제10-2003-0001498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03438호
특허출원 제10-2003-0074454호
특허출원 제10-2005-0046515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03441호
특허출원 제10-2005-0041939호
특허출원 제10-2005-0079893호
특허출원 제10-2005-004654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타월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나무사로서 루프를 형성시켜 흡수성이 종래의 면제품보다 뛰어나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가볍고, 사용시 얼룩이지지 않도록 하고, 바닥부를 4본위로 직조하여 대나무사의 사용으로 인해 바닥부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성 타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루프와 하부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인 대나무사의 연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타월에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타월은, 다수열의 하경사와 상경사에 대하여 위사가 횡방향으로 공급되어 바닥부의 양면에 루프가 형성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제1위사와 제2위사가 하경사에 대하여 동일한 개구 내에 위치되고, 제3위사와 제4위사가 각각 다른 개구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위사, 제2위사, 제3위사 및 제4위사가 순서대로 다수회 반복되는 4본위로 직조되며,
상기 바닥부의 양면에 형성된 루프는 제1상경사가 제3위사에 대하여 교차되어 형성된 상부 루프와 제2상경사가 제3위사에 대하여 교차되어 형성된 하부 루프 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제1상경사와 제2상경사는 대나무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나무사는 대나무섬유를 포함하여서 되는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경사의 연수(T.P.I)는 13이고, 상기 제2상경사의 연수(T.P.I)는 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위사, 제2위사 및 제3위사는 면사로 되고, 상기 제4위사는 면사, 대나무사 및 대마사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열의 하경사는 면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타월은 대나무사로서 루프를 형성시켜 흡수성이 종래의 면제품보다 뛰어나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가볍고, 사용시 얼룩이지지 않도록 하고, 바닥부를 4본위로 직조하여 대나무사의 사용으로 인해 바닥부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 하부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인 대나무사의 연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타월에 별도의 무늬를 형성하지 않아도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 제조 직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루프형성부의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루프 형성부(G100), 하경사 공급부(G200), 상경사 공급부(G300) 및 위사 공급부(G400), 위사(1), 하경사(2), 상경사(2)로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포함한 통상의 타월은 하경사 공급부(G200)를 통하여 공급되는 하경사(2)에 대하여 위사(1)를 횡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바닥부를 직조하면서, 이 바닥부를 직조하는 과정에서 상경사 공급부(G300)로부터 다수열의 상경사(3)를 빠르게 공급하여 루프 형성부(G100)를 통해 위사(1)의 사이에 루프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타월의 바닥부를 종래의 3본위가 아닌 4본위로 직조되는 바, 제1위사(11)부터 제4위사(14)가 다수회 반복적으로 유입되어 직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루프 형성부(G100)에는 루프 형성 리드바(G6300)가 위치되는 바, 루프 형성 리드바(G6300)에 의해 제1상경사(31)와 제2상경사(31)가 제3위사(13)를 기준으로 상부 루프와 하부루프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위사(11)와 제2위사(12)가 하경사(2)에 대하여 동일한 개구 내에 위치되도록 직조되며, 제3위사(13)와 제4위사(14)는 각각 다른 개구 내에 위치되도록 직조된다. 즉, 상기 제1위사(11), 제3위사(13) 및 제4위사(14)는 각가 다른 개구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위사(12)는 제1위사(11)와 동일한 개구내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1위사(11), 제2위사(12), 제3위사(13) 및 제4위사(14)가 차례로 다수회 반복되어 타월의 바닥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양면에 형성된 루프는 제1상경사(31)가 제3위사(13)에 대하여 교차됨으로써 상부 루프가 형성되고, 제2상경사(31)가 제3위사(13)에 대하여 교차됨으로써 하부 루프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3경사(13) 기준으로 상부 루프와 하부 루프를 구성하는 제1상경사(31)와 제2상경사(32)가 교차되는 것이다.
즉, 도 5에서와 같이(도면의 × 부분은 경사가 위사보다 상부에 위치했을 때를 나타낸다.), 상기 제1상경사(31)는 제1위사(11), 제2위사(1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3위사(13)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4위사(14)의 상부에 위치되게 되고, 상기 제2상경사(32)는 제3위사(13)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1위사(11), 제2위사(12) 및 제4위사(14)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경사(2)는 제1위사(11), 제2위사(12), 제4위사(14), 제3위사(13), 그리고 다시 제1위사(11)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되며, 이웃하는 하경사(2)와는 교차, 즉 하나의 하경사(2)가 제1위사와 제2위사, 제4위사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되었다면, 이웃하는 하경사(2)는 제3위사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되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4본위로 타월을 직조하는 것은 바닥부를 튼튼하게 구성하여 루프, 즉 상경사(3)를 대나무사로 하더라도 그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제1상경사(31)와 제2상경사(32)는 모두 대나무 사로 됨으로써, 종래 면사로 되는 타월 보다 흡수성이 뛰어남은 물론, 사용감이 우수하고 사용이 얼룩이 생기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그 촉감이 딱딱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때 상기 대나무사는 대나무로 부터 추출된 대나무섬유를 포함하여서 되는 방적사를 말하는 것으로, 대나무섬유 100%만으로 되는 것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대나무섬유와 면섬유를 50:50 중량비로 혼합하여된 방적사일 수도 있으며, 그 비를 달리하거나 면섬유가 아닌 기타의 다른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되는 기능성 타월에 입체감을 주기 위해서는 상기 제1상경사(31)와 제2상경사(32)의 연수(TWIST PER INCH, T.P.I)를 달리한다. 이때 상기 제1상경사의 연수는 13으로 하고 상기 제2상경사의 연수는 8로 한다면, 그 입체감을 우수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를 더욱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위사(11), 제2위사(12) 및 제3위사(13)는 면사로 되고, 상기 제4위사(14)는 대마사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제4위사(14)를 대마사 이외에도 면사, 대나무사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대마사가 면보다 강력이 강하며, 물에 젖으면 강해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고, 이와 더불어 흡습성이 좋아 수분과 땀을 잘 흡수하고 흡수한 수분을 잘 발산시키므로 타월의 바닥부로서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열의 하경사(2)는 면사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타월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 제조 직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월 제조 직기의 루프형성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의 조직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위사 2: 하경사 3: 상경사
11: 제1위사 12: 제2위사 13: 제3위사
14: 제4위사 31: 제1상경사 32: 제2상경사

Claims (5)

  1. 다수열의 하경사와 상경사에 대하여 위사가 횡방향으로 공급되어 바닥부의 양면에 루프가 형성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제1위사와 제2위사가 하경사에 대하여 동일한 개구 내에 위치되고, 제3위사와 제4위사가 각각 다른 개구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제1위사, 제2위사, 제3위사 및 제4위사가 순서대로 다수회 반복되는 4본위로 직조되며,
    상기 바닥부의 양면에 형성된 루프는 제1상경사가 제3위사에 대하여 교차되어 형성된 상부 루프와 제2상경사가 제3위사에 대하여 교차되어 형성된 하부 루프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제1상경사와 제2상경사는 대나무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타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사는 대나무섬유를 포함하여서 되는 방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타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경사의 연수(T.P.I)는 13이고, 상기 제2상경사의 연수(T.P.I)는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타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사, 제2위사 및 제3위사는 면사로 되고, 상기 제4위사는 면사, 대나무사 및 대마사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타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열의 하경사는 면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타월.
KR1020080021438A 2008-03-07 2008-03-07 기능성 타월 KR10083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38A KR100836629B1 (ko) 2008-03-07 2008-03-07 기능성 타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438A KR100836629B1 (ko) 2008-03-07 2008-03-07 기능성 타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629B1 true KR100836629B1 (ko) 2008-06-10

Family

ID=3977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438A KR100836629B1 (ko) 2008-03-07 2008-03-07 기능성 타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6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25B1 (ko) 2010-05-31 2012-11-21 한미타올 주식회사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KR101364257B1 (ko) 2013-02-15 2014-02-1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인피섬유 혼합방적사를 사용한 자카드 레노 직물
CN103835050A (zh) * 2013-12-16 2014-06-04 江苏圣夫岛纺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休闲裤纺织面料
KR20150143238A (ko) 2014-06-13 2015-12-23 김재정 촉감과 흡습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10804786A (zh) * 2019-11-11 2020-02-18 厦门趣赚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清水即可卸妆的卸妆清洁巾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11A (ko) 1996-08-08 1998-05-25 노희찬 고강력레이온사를 이용한 타월제조방법
KR20000023944A (ko) 1999-12-02 2000-05-06 이영임 목욕용 타월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6620A (ko) 2002-08-19 2004-02-25 (주)무한타올 고흡수성 타월 직물
KR20040045552A (ko) 2002-11-25 2004-06-02 (주)풍전티.티 타월용 합성섬유 테리직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11A (ko) 1996-08-08 1998-05-25 노희찬 고강력레이온사를 이용한 타월제조방법
KR20000023944A (ko) 1999-12-02 2000-05-06 이영임 목욕용 타월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16620A (ko) 2002-08-19 2004-02-25 (주)무한타올 고흡수성 타월 직물
KR20040045552A (ko) 2002-11-25 2004-06-02 (주)풍전티.티 타월용 합성섬유 테리직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100467226 B1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25B1 (ko) 2010-05-31 2012-11-21 한미타올 주식회사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KR101364257B1 (ko) 2013-02-15 2014-02-1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인피섬유 혼합방적사를 사용한 자카드 레노 직물
CN103835050A (zh) * 2013-12-16 2014-06-04 江苏圣夫岛纺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休闲裤纺织面料
KR20150143238A (ko) 2014-06-13 2015-12-23 김재정 촉감과 흡습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10804786A (zh) * 2019-11-11 2020-02-18 厦门趣赚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清水即可卸妆的卸妆清洁巾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629B1 (ko) 기능성 타월
JP4769476B2 (ja) 多重ガーゼのデザイン織成方法
JP4873246B2 (ja) 起毛経編布帛
CN202925258U (zh) 纬编针织两面提花盖毯织物
KR100875433B1 (ko) 타월 직물
KR101427012B1 (ko) 와이핑클로스성이 우수한 자카드 타월 직물
KR101094909B1 (ko)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JP3115658U (ja) あかすり用手拭
CN104452038B (zh) 一种机织枪刺地毯
KR100732209B1 (ko) 자카드 직물 및 그 제직 구조와 제직 방법
JP4427018B2 (ja) 浴用ボディタオル
JP7132325B2 (ja) 高性能ウールブレンドファブリック
KR100498890B1 (ko) 타월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타월
JP2022092733A (ja) パイル編地およびタオルハンカチ
CN104342818B (zh) 一种透气织物
KR200348737Y1 (ko) 타월
JP3151280U (ja) ふきん
WO2018056302A1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CN109371532A (zh) 一种纺织成型的夏凉被及其生产方法
CN204959178U (zh) 一种青花瓷3d提花面料
CN213138099U (zh) 一种防污渍印花面料
KR200350706Y1 (ko) 타월
KR100528820B1 (ko) 벨벳조직을 가진 견직물 원단 및 그 원단제조방법
CN204959179U (zh) 一种3d玫瑰花提花面料
JP3242059U (ja) ボディタ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