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525B1 -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525B1
KR101203525B1 KR1020100051241A KR20100051241A KR101203525B1 KR 101203525 B1 KR101203525 B1 KR 101203525B1 KR 1020100051241 A KR1020100051241 A KR 1020100051241A KR 20100051241 A KR20100051241 A KR 20100051241A KR 101203525 B1 KR101203525 B1 KR 101203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towel
yarn
pile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676A (ko
Inventor
백광전
Original Assignee
한미타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타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타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5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10Fabrics woven face-to-face, e.g. double velv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03D27/08Terry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4/00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4Lin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6Ju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사(麻絲)를 이용하여 양면에 파일이 형성되는 타월을 제조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준비된 상기 마사(麻絲) 중 정경기를 이용하여 경사(經絲)의 갯수를 정하고, 정해진 경사의 갯수에 따라 경사의 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경사에 유연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유연제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유연제가 도포된 상기 경사를 한쌍의 제1 및 제2 파일경사와 한쌍의 제1 및 제2 지경사로 구분하고, 연경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경사 및 지경사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호 연결된 상기 파일경사와 지경사와, 위사를 공급하는 방직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 상기 직조된 직물에 표백제를 도포하여 상기 직물에 포함된 불순물 및 마사의 유분을 제거하면서 상기 직물을 표백하는 단계, 표백된 상기 직물을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하고, 탈수된 상기 직물을 열풍건조기 또는 터방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직물의 양변 및 양단을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사(麻絲)를 이용하되, 호부작업을 생략하고 유연제 처리하여 마사(麻絲)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제직단계에서 파일을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할 뿐 아니라 피부에 접촉시 자극이 적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athod of towel using hemp yarn}
본 발명은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사(麻絲)를 이용하여 제직하는 경우에도 파일을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할 뿐 아니라 피부에 접촉시 자극이 적은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타월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직조되고, 양면에 파일이 형성되어 흡수성과 통풍성이 향상된 것으로서, 피부에 잔존하는 수분이나 땀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타월은 크게 준비단계, 제직단계, 염색단계 및 봉제단계를 거쳐 제조되는데, 여기서 종래의 타월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타월의 제조공정 중 첫 단계인 준비단계에서 타월을 제작하기 위한 면사를 제품의 규격에 대응되게 경사와 위사로 구분하며, 이후 제직단계를 거치면서 준비된 경사와 위사를 이용하여 직물이 직조된다.
이와 같이 직조된 직물은 염색단계에서 색상이 입혀지며, 염색이 완료된 직물은 봉제단계에서 직물의 양변 및 양단이 봉제됨으로써 타월이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타월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땀이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100%면사를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나, 100%면을 사용한 타월은 흡수효과에 한계가 있고 장기간 사용하면 흡습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경직되어 피부에 접촉시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천연섬유를 이용한 타월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천연섬유인 마사(麻絲)를 이용하여 타월을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된 바 있으나, 상기한 마사(麻絲)는 줄기섬유로서 그 특성이 뻣뻣하고, 탄성이 부족하여 파일형성이 곤란할 뿐 아니라 피부 접촉시 촉감이 거칠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사(麻絲)를 이용하되, 호부작업을 생략하고 유연제 처리하여 마사(麻絲)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마사(麻絲)를 이용하여 제직하는 경우에도 파일을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할 뿐 아니라 피부에 접촉시 자극이 적은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위사 4개를 사용한 4본위로 파일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파일의 빠짐이 적고, 흡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마사(麻絲)를 이용하여 양면에 파일이 형성되는 타월을 제조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준비된 상기 마사(麻絲) 중 정경기를 이용하여 경사(經絲)의 갯수를 정하고, 정해진 경사의 갯수에 따라 경사의 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경사에 유연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유연제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유연제가 도포된 상기 경사를 한쌍의 제1 및 제2 파일경사와 한쌍의 제1 및 제2 지경사로 구분하고, 연경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경사 및 지경사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호 연결된 상기 파일경사와 지경사와, 위사를 공급하는 방직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 상기 직조된 직물에 표백제를 도포하여 상기 직물에 포함된 불순물 및 마사의 유분을 제거하면서 상기 직물을 표백하는 단계, 표백된 상기 직물을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하고, 탈수된 상기 직물을 열풍건조기 또는 터방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직물의 양변 및 양단을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지방산과 유화제 및 흡습제가 포함된 유연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마사(麻絲)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장의 습도를 75~85%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지경사가 상호 얽히면서 형성되는 개구 중 제1,2 위사가 동일한 개구에 위치하고, 제3 및 제4 위사가 각각 다른 개구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파일 경사가 상기 지경사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상기 위사와 직조되되, 상기 제1 및 제2 파일경사는 상기 제3 위사와 직조되면서 상호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사(麻絲)를 이용하되, 호부작업을 생략하고 유연제 처리하여 마사(麻絲)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제직단계에서 파일을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할 뿐 아니라 피부에 접촉시 자극이 적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위사 4개를 사용한 4본위로 파일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파일의 빠짐이 적고, 흡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월의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된 마사(麻絲) 중 정경기를 이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타월의 규격과 대응되는 크기로 잘라진 경사를 준비하는 정경작업이 실시된다.(S10)
이후 경사가 준비되면 종래와는 달리 경사에 풀을 입히고 이를 건조시키는 호부작업을 생략하고, 준비된 경사가 유연해 지도록 유연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킨다.(S20)
이때, 여기서 사용되는 유연제는 지방산과, 유화제 및 흡습제가 포함된 KCH-2 유연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준비된 경사에 호부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유연제를 도포하는 이유는 마사 특유의 뻣뻣한 성질로 인해 호부작업시 풀을 입히는 과정에서 경사가 더 뻣뻣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경사에 유연제를 도포함으로서 경사가 유연해지도록 하여 제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다음, 도포된 유연제가 건조되면, 준비된 경사를 한쌍의 제1 및 제2 파일경사와 한쌍의 제1 및 제2 지경사로 구분하고, 연경기를 이용하여 파일경사와 지경사를 상호 연결한다.(S30)
이와 같이 파일경사와 지경사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준비된 파일경사와 지경사 및 위사를 공급하는 방직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한다.(S40)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을 형성하면서 직물을 직조하며, 파일은 4본위로 형성하게 되는데, 파일을 4본위로 직조하는 방법은 도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서 위사는 호부작업이 실시된 면사(綿絲)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이 직조되면 직조된 직물에 표백제을 도포하여 직물에 포함된 불순물 및 유분을 제거하고, 직물을 표백한다.(S50)
여기서, 표백제로는 통상 과산화수소가 사용된다.
그리고, 제조하고자 하는 타월의 형상에 따라 표백된 직물을 염색한다.(S60)
이후 염색된 직물은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한 후 터방건조기 또는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게 된다.(S70)
건조가 완료된 직물은 양변 및 양단을 봉제함으로써 타월을 제조한다.(S8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에서는 마사를 유연하게 하여 파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작업장의 습도가 75%미만인 경우 마사 특유의 뻣뻣함으로 인해 직물을 직조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작업장의 습도가 8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호부작업이 실시된 면사로 이루어진 위사들이 상호 눌러붙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에서는 마사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장의 습도를 75~85%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월의 단면도이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월(1)은 제1 및 제2 파일경사(21,22)와, 제1 및 제2 지경사(23,24)와, 제1,2,3,4 위사(11,12,13,14)가 직조된 4본위 조직로 파일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경사(23,24)는 상호 얽히면서 개구(H)를 형성하며, 형성된 개구 중 제1,2 위사(11,12)가 동일 개구에 위치하고, 제3,4 위사(13,14)가 각각 다른 개구에 위치한다.
아울러, 제1 파일경사(21)는 상방으로 루프를 형성하면서 제3 위사(13)와 직조되고, 제2 파일경사(22)는 하방으로 루프를 형성하면서 제1 파일경사(21)와 교차되게 제3 위사(13)와 직조된다.
이와 같이 파일을 형성하면서 4개의 위사(11,12,13,14)가 경사(20)와 직조됨으로써 위사와 경사간 결합력이 향상되어 파일의 빠짐이 적을 뿐 아니라 마사(麻絲)가 포함되어 흡수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마사로 제직된 타월 10 : 위사
11 : 제1 위사 12 : 제2 위사
13 : 제3 위사 14 : 제4 위사
20 : 경사 21 : 제1 파일경사
22 : 제2 파일경사 23 : 제1 지경사
24 : 제2 지경사

Claims (4)

  1. 마사(麻絲)를 이용하여 양면에 파일이 형성되는 타월을 제조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준비된 상기 마사(麻絲) 중에서 정경기를 이용하여 경사(經絲)의 갯수를 정하고, 정해진 경사의 갯수에 따라 경사의 양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경사에 유연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유연제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유연제가 도포된 상기 경사를 한쌍의 제1 및 제2 파일경사와 한쌍의 제1 및 제2 지경사로 구분하고, 연경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경사 및 지경사를 상호 연결하는 단계;
    상호 연결된 상기 파일경사와 지경사와, 위사를 공급하는 방직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
    상기 직조된 직물에 표백제를 도포하여 상기 직물에 포함된 불순물 및 마사의 유분을 제거하면서 상기 직물을 표백하는 단계;
    표백된 상기 직물을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하고, 탈수된 상기 직물을 열풍건조기 또는 터방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상기 직물의 양변 및 양단을 봉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에 유연제를 도포하는 단계에서는 지방산과 유화제 및 흡습제가 포함된 유연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마사(麻絲)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작업장의 습도를 75~85%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을 직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지경사가 상호 얽히면서 형성되는 개구 중 제1,2 위사가 동일한 개구에 위치하고, 제3 및 제4 위사가 각각 다른 개구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파일 경사가 상기 지경사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상기 위사와 직조되되,
    상기 제1 및 제2 파일경사는 상기 제3 위사와 직조되면서 상호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KR1020100051241A 2010-05-31 2010-05-31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KR10120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241A KR101203525B1 (ko) 2010-05-31 2010-05-31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241A KR101203525B1 (ko) 2010-05-31 2010-05-31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76A KR20110131676A (ko) 2011-12-07
KR101203525B1 true KR101203525B1 (ko) 2012-11-21

Family

ID=4550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241A KR101203525B1 (ko) 2010-05-31 2010-05-31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5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1470A1 (de) 2013-02-14 2014-08-14 Hanshin Towe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Handtuchs mit einer Frotteestruktur unter Benutzung einer Bambusfaser und damit hergestelltes mehrschichtiges Handtuch
KR20140102436A (ko)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한신타올공업 대나무섬유를 이용한 테리구조를 가지는 다층 타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다층 타월
KR101985716B1 (ko) * 2019-01-15 2019-06-04 김수진 레노 조직으로 보강된 타월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044B1 (ko) * 2022-05-19 2023-02-06 주식회사 한신타올공업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타월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796B1 (ko) 2005-02-15 2005-08-17 노숙자 후염식 투톤 타월의 제조방법
KR100836629B1 (ko) 2008-03-07 2008-06-10 주식회사 경동 기능성 타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796B1 (ko) 2005-02-15 2005-08-17 노숙자 후염식 투톤 타월의 제조방법
KR100836629B1 (ko) 2008-03-07 2008-06-10 주식회사 경동 기능성 타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1470A1 (de) 2013-02-14 2014-08-14 Hanshin Towe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Handtuchs mit einer Frotteestruktur unter Benutzung einer Bambusfaser und damit hergestelltes mehrschichtiges Handtuch
KR20140102436A (ko) 2013-02-14 2014-08-22 주식회사 한신타올공업 대나무섬유를 이용한 테리구조를 가지는 다층 타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다층 타월
KR101985716B1 (ko) * 2019-01-15 2019-06-04 김수진 레노 조직으로 보강된 타월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76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7564C (en) Wound dressing for use in vacuum therapy
KR101203525B1 (ko) 마사(麻絲)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US5598615A (en) Silk velvet tex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660587A (zh) 一种嵌入式纬浮线持久蓬松柔软毛圈织物的生产方法
KR100845925B1 (ko) 실크 가공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직물지
CN103924395B (zh) 粗纺绒线双面机绣的方法和应用
CN112030308A (zh) 一种具有单向导湿功能的面料及其制备方法
JP2005188013A (ja) 竹繊維含有絹織物及び該絹織物からなる衣服
JP3162651U (ja) 袋編みした袋編み製品
KR20070111215A (ko)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50923A (zh) 一种真丝面膜布的织造方法
JP6656308B2 (ja) 二重ガーゼ織物およびその製法
CN216968878U (zh) 持久留香涤纶面料
JP2000064138A (ja) 糸及びそれを用いた布類
KR20150124767A (ko) 때밀이용구용 원단의 제조방법
KR200348737Y1 (ko) 타월
CN212199575U (zh) 一种具有褶皱效果的经编提花织物
CN110373757A (zh) 一种柔软的纯汉麻细纱、织物及其成纱工艺
CN109371532A (zh) 一种纺织成型的夏凉被及其生产方法
WO2016194824A1 (ja) 生糸によるパイル織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したパイル織製品
CN107574547A (zh) 一种宽幅薄型单面组织针织布的制备方法
KR200350706Y1 (ko) 타월
JPH0411595Y2 (ko)
KR101367792B1 (ko) 목욕용구 제조용 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목욕용구
KR102268026B1 (ko) 연약한 피부에 적합한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