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706Y1 - 타월 - Google Patents

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706Y1
KR200350706Y1 KR20-2004-0003438U KR20040003438U KR200350706Y1 KR 200350706 Y1 KR200350706 Y1 KR 200350706Y1 KR 20040003438 U KR20040003438 U KR 20040003438U KR 200350706 Y1 KR200350706 Y1 KR 200350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owel
loop
fi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세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경세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세, 이종석 filed Critical 이경세
Priority to KR20-2004-0003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03D27/08Terry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2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natural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대두) 섬유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는 타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면사로 제직되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는 콩 섬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월{A towel}
본 고안은 타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대두) 섬유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는 타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월이라 함은 수건이라고도 하며, 특성은 루프(고리)가 있으므로 흡수성과 통풍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용도에 따라 목욕할 때 쓰는 규격이 큰 목욕 타월, 보통 크기의 세면 타월,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타월 행거치프, 침심 타월, 침실 잠옷, 유아복, 스포츠용 의류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타월은 지경사와 위사를 통해 지조직을 직조하면서 상경사를 통해 바닥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 모두에 루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타월에 사용되는 지경사 및 위사와 상경사 모두는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땀이나 수분 등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면사를 원사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에는 기존의 천연 섬유와 다른 각종 기능성 섬유들이 개발되어 각종 직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두 섬유(이하, "콩 섬유"라 한다)는 대두(大豆, 콩)를 주원료로 하고 있으며, 기름을 제거한 대두 잔여물로부터 구형 단백질을 추출하여 공간 구조를 변화시켜 습식 방사(Wet spinning) 방법으로 단사 규격이 0.9~3.0 dtex인 원사로 만들어진 천연 식물성 섬유이다.
이 콩 섬유는 생산과정 동안 환경, 대기, 물,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 친 환경적인 천연섬유로 콩을 주원료로 하기 때문에 콩이 가지는 고유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 생활에 밀접한 타월에 있어서는 이에 대한 개발이 전혀 없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친 환경적이면서, 면사로 이루어진 타월에 비하여 보다 우수하고 다양한 기능, 예를 들면 피부노화 방지, 자외선 차단, 항균 및 항알러지 예방 등의 기능을 가지는 타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타월 제조 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경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경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직조부
200 : 경사 공급부
210 : 지경사 공급부
220 : 상경사 공급부
300 : 위사 공급부
1 : 지경사
2 : 위사
3 : 상경사
31 : 콩 섬유
32 : 합성 섬유
33 : 면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타월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타월의 바닥부가 면사로 제직되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는 콩 섬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은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의 원사로 콩 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피부 노화 및 자외선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항균 기능과 함께 피부의 트러블에 대한 항알러지 기능 등을 가지므로기능성과 사용성 면에 있어서 종래 100%면사로 구성된 타월에 비하여 보다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타월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타월의 바닥부가 면사로 제직되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는 콩 섬유와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가 혼방된 혼방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타월은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타월의 바닥부가 면사로 제직되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는 심사인 면사에 콩 섬유가 나선형으로 감겨진 커버링 연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타월을 제조하는 타월 제조 직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타월을 직조하는 장치는 중간에 횡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직조부(100)와, 이 직조부(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다수열의 경사를 공급하는 경사 공급부(200) 및 직조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위사를 공급하는 위사공급부(300)로 구성된다.
특히 경사 공급부(200)는 직조부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 열로 바닥 경사인 지경사(1)가 공급되는 다수의 보빈(B: Bobbin)으로 구성된 지경사 공급부(210)와 이 지경사 공급부(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다수 열로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3)가 공급되는 다수의 보빈(B)으로 구성된 상경사 공급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위사 공급부(300)는 위사(2)를 공급하는 보빈(B)과 이 위사 공급 보빈(B)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사(2)를 직조부(100)의 상부에서 반복적으로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북(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타월 직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경사 공급부(200)를 구성하는 지경사 공급부(210) 및 상경사 공급부(220)를 통해 다수열의 지경사(1)와 상경사(3)를 공급하는 구체적인 장치 동작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으로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위사 공급부(300)를 통해 위사(2)를 공급하는 구체적인 장치 동작 역시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으로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또 지경사(1) 및 상경사(3)와 위사(2)가 상호 공급되어 직조부(100)를 통해 직조되는 구체적인 장치 동작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으로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월 제조 직기를 통해 제조되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원사는 바닥부를 구성하는 면사와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인 콩 섬유로서,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월의 바닥부인 지조직은 다수열의 지경사(1)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2)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면사로 제직된다.
그리고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3)는 콩 섬유(31)로서, 그 굵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단사 혹은 두 가닥의 죽 섬유가 꼬임을 갖는 연사물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은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 원사로 100% 순수한 콩 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콩 섬유 고유의 기능을, 예를 들면 피부 노화, 자외선 차단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기능, 항균 및 항알러지 기능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크와 거의 흡사한 촉감과 매끄러운 광택뿐만 아니라 드레이핑 계수가 낮아 드레이프성이 뛰어나고 수분 등에 대한 흡수 기능성면에서 뛰어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1)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2)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면사로 제직된다.
그리고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3)는 콩 섬유(31)와, 합성 섬유(32) 또는 천연 섬유가 혼방된 혼방사로서, 섬유의 굵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은 타월에 사용되는 콩 섬유(31)는 울, 면, 실크및 기타 합성 섬유 등과 혼방하여도 원하는 소재와 만들 수 있는 혼방성이 우수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섬유(32) 또는 천연 섬유와 콩 섬유(31)가 혼방된 혼방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은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 원사로 콩 섬유와 타 섬유가 혼방된 혼방사를 사용함으로써, 혼방사를 형성하는 각각의 섬유가 가지는 섬유 고유의 장점, 예를 들면 콩 섬유의 피부 노화, 자외선 차단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기능, 항균 및 항알러지 기능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크와 거의 흡사한 촉감과 매끄러운 광택뿐만 아니라 드레이핑 계수가 낮아 드레이프성이 뛰어나고 수분 등에 대한 흡수 기능성면에서 뛰어나 효과를 그대로 살릴 수 있고, 단점은 상호 보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1)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2)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면사로 제직된다.
그리고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3)는 심사인 면사(33)에 콩 섬유(31)가 나선형으로 감겨진 커버링 연사로 구성된다.
이 때 심사인 면사와 이 면사를 감싸는 콩 섬유 각각은 필요에 따라 두 가닥의 섬유가 꼬임을 갖는 연사물일 수도 있으며, 그 굵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은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 원사로 콩 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콩 섬유 고유의 기능, 예를 들면 피부 노화, 자외선 차단으로 인한피부 손상 방지 기능, 항균 및 항알러지 기능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크와 거의 흡사한 촉감과 매끄러운 광택뿐만 아니라 드레이핑 계수가 낮아 드레이프성이 뛰어나고 수분 등에 대한 흡수 기능성면에서 뛰어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월은 면사만으로 직조된 타월에 비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 원사로 콩 섬유/ 콩 섬유와 합성섬유 또는 천연 섬유가 혼방된 혼방사/ 면사와 콩 섬유로 이루어진 커버링 연사가 사용됨으로써, 콩 섬유 고유의 장점, 예를 들면 피부 노화, 자외선 차단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 기능, 항균 및 항알러지 기능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크와 거의 흡사한 촉감과 매끄러운 광택뿐만 아니라 드레이핑 계수가 낮아 드레이프성이 뛰어나고 수분 등에 대한 흡수 기능성면에서 뛰어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면사로 제직되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는 콩 섬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2.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면사로 제직되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는 콩 섬유와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가 혼방된 혼방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3. 표면에 루프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의 바닥부는 다수열의 지경사인 면사에 대하여 위사인 면사를 횡 방향으로 반복 이동되게 공급시켜 면사로 제직되고,
    상기 루프를 형성하는 상경사는 심사인 면사에 콩 섬유가 나선형으로 감겨진 커버링 연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KR20-2004-0003438U 2004-02-11 2004-02-11 타월 KR200350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438U KR200350706Y1 (ko) 2004-02-11 2004-02-11 타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438U KR200350706Y1 (ko) 2004-02-11 2004-02-11 타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706Y1 true KR200350706Y1 (ko) 2004-05-17

Family

ID=4934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438U KR200350706Y1 (ko) 2004-02-11 2004-02-11 타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7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27B1 (ko) 2005-08-30 2007-04-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콩섬유를 함유하는 다층 구조의 복합 섬유 교직물
KR101015819B1 (ko) * 2008-07-18 2011-02-22 (주)핼릭스케어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콩 섬유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27B1 (ko) 2005-08-30 2007-04-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콩섬유를 함유하는 다층 구조의 복합 섬유 교직물
KR101015819B1 (ko) * 2008-07-18 2011-02-22 (주)핼릭스케어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콩 섬유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0054B2 (en) Composite textile fabrics
EP1704272B1 (en) Looped fabric comprising bamboo loops and terry made there from
JP3214172U (ja) 両面面ファスナー織物
CN106435916B (zh) 水溶性维纶无捻纱或弱捻纱多层面料及其织造方法
CN105986348B (zh) 包括包芯纱的纺织结构体及其有关制造方法
ES2777574T3 (es) Tejido de felpa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TWI527948B (zh) Plush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09527290A (ja) タオル製品
CN108026674A (zh) 多层结构圆形针织物
CN108950800A (zh) 一种抗菌舒适型面料及其加工工艺
CN110446806A (zh) 衣料
KR100844922B1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흡한속건성 직편물
CN102268762B (zh) 羽毛的钻出防止结构
KR20070093013A (ko) 코튼린터 타월
KR200350706Y1 (ko) 타월
KR100792013B1 (ko) 일방향 주름 직물의 제직 방법 및 그에 따른 일방향 주름 직물
CN112030308A (zh) 一种具有单向导湿功能的面料及其制备方法
KR200348737Y1 (ko) 타월
KR101427012B1 (ko) 와이핑클로스성이 우수한 자카드 타월 직물
CN206675467U (zh) 一种抗菌毛巾
CN108588988A (zh) 一种麻纤维混纺立体多向织物
CN211199600U (zh) 一种超柔棉涤的针织双面布
CN209775764U (zh) 单提花复合毛巾布
CZ23466U1 (cs) Funkcní smycková tkanina
CN210471040U (zh) 耐磨羊毛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