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909B1 -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 Google Patents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909B1
KR101094909B1 KR1020110011540A KR20110011540A KR101094909B1 KR 101094909 B1 KR101094909 B1 KR 101094909B1 KR 1020110011540 A KR1020110011540 A KR 1020110011540A KR 20110011540 A KR20110011540 A KR 20110011540A KR 101094909 B1 KR101094909 B1 KR 10109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cotton
ripple
w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직
Original Assignee
신현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직 filed Critical 신현직
Priority to KR1020110011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10)와 위사(20)를 지닌 리플원단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경사(10)로서 티시페브릭(T/C; Polyester 65%와 Cotton 35%)으로 이루어지면서 20수~50수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10)는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를 규칙 또는 불규칙한 폭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혼방사(12)는 고수축사(14)의 비율보다 큰 폭으로 배열하고, 상기 위사(20)로서 순면사(22)를 구성하며, 상기 경사(10)와 위사(20)의 제직 후 열을 가하여 고수축사(14)의 수축성에 의해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표면에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단의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와 소비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면서 이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에 따른 설비가 간소화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Ripple fabrics using high shrinkage yarn}
본 발명은 고수축사의 수축성을 이용한 리플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단의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와 소비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면서 이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에 따른 설비가 간소화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 리플(ripple)은 잔물결 모양인 요철(凹凸)이 있는 면(綿) 또는 레이온 원단으로서 리플렛이라고도 칭한다. 이러한 리플원단을 면으로 형성할 경우, 수산화나트륨 액으로 팽윤(膨潤)ㆍ수축시키는 방법에 의해 원단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한다. 즉, 면 원단은 진한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의해 수축되는데,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면 원단에 수산화나트륨을 섞은 풀을 줄 또는 점으로 칠하면 수산화나트륨에 처리된 부분이 수축됨에 따라 직물의 표면은 올록볼록한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리플은 이러한 가공처리를 하여 표면에 요철무늬를 넣은 직물로써 세탁 후에도 요철무늬가 없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리플원단은 여름복지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침구류, 커튼, 의류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면으로 이루어진 리플원단은 수산화나트륨에 의해 리플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산화나트륨은 인체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즉, 리플원단을 형성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수용액상태로 만들어야 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위험이 따르게 되는데 수산화나트륨에 다량 노출되면 심한 무기력증이나 구토와 어지러움 증을 동반하게 되는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리플원단을 제조하기 위해서 화학약품에 대한 안전과 환경에 따른 복잡한 설비를 갖추어야 되고 작업자는 마스크와 보안경을 반듯이 착용해야 되는 작업성이 저하되고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반적으로 제조공정이 복잡하면서 어려워 그에 따른 원단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였기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면서 리플을 형성하는 면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774호의 리플효과를 연출하는 주름무늬 구조의 교직물에 의하면, 대나무섬유사 또는 대나무섬유와 면섬유를 혼방해서 얻은 혼방사 중 어느 하나와 면사로 직조되는 교직물이고, 상기 교직물은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나무섬유사 또는 혼방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면사를 교호로 배열하고, 그 배열과 대응하는 경사 또는 위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면사만으로 배열해서 직조되며, 그 교직물에는 상기 대나무섬유사 또는 혼방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면사의 수축률 차이로 인해서 리플효과를 연출하는 주름무늬가 상기 대나무섬유사 또는 혼방사 중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된 구성을 제안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면 원단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요체로 대나무섬유사를 이용하고 있다. 즉, 대나무섬유사는 항균성, 소취성, 자외선차단성, 음이온발생, 영구청량감, 뛰어난 흡수성, 부드러운 촉감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효과는 있지만 이러한 대나무섬유사는 대나무를 펄프화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 대나무섬유를 면섬유와 혼합하는 혼합공정을 거치고 다시 카드기에서의 카드공정, 정방공정 등을 거쳐 뽑아내는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된다. 따라서 대나무섬유사의 제조공정이 복잡하면서 어려워 그에 따른 원단의 단가가 동반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0774호 "리플효과를 연출하는 주름무늬 구조의 교직물"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단의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와 소비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면서 이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에 따른 설비가 간소화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사와 위사를 지닌 리플원단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서 티시페브릭(T/C; Polyester 65%와 Cotton 35%)으로 이루어지면서 20수~50수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혼방사와 고수축사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는 혼방사와 고수축사를 규칙 또는 불규칙한 폭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혼방사는 고수축사의 비율보다 큰 폭으로 배열하고, 상기 위사로서 순면사를 구성하며, 상기 경사와 위사의 제직 후 열을 가하여 고수축사의 수축성에 의해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표면에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리플원단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단의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와 소비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면서 이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에 따른 설비가 간소화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플원단의 수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플원단의 수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플원단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플원단의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경사(10)와 위사(20)를 지닌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에 관련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 면을 이용한 원단에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리플원단에 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사(10)로서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를 구성하고, 상기 위사(20)로서 순면사(22)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경사(10)를 구성하는 혼방사(12)는 면과 폴리를 혼용하여 가공한 원사로 면의 보온성 및 흡수성과 폴리의 가격과 적절한 강도 등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는 티시페브릭으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서 고수축사(14)와 위사(20)를 구성하는 순면사(22)는 실의 종류나 굵기는 제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혼방사(12)는 Polyester 65%와 Cotton 35%를 혼합한 것으로, 이러한 혼방사(12)는 비싼 면과 값싼 폴리를 혼합하여 가격을 낮추고 강도가 약한 면과 우수한 폴리를 혼합하여 강도를 증대시키면서 보온성, 흡수성은 우수한 면으로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강한 폴리와 혼합하여 품질을 개량한 것이다. 이러한 혼방사(12)는 20수~50수(바람직하게는 45수)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고수축사(14)는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체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폴리고축연사 80~320데니어(바람직하게는 160데니어) 정도를 표준으로 삼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위사(20)를 구성하는 순면사(22)는 혼방면사 또는 낙면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면 원단의 특성을 최대한 구현할 수 있는 99% 이상의 면을 함유하는 순면사로 구비한다. 이러한 순면사(22)는 30수~60수(바람직하게는 40수) 정도를 표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경사(10)는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를 규칙 또는 불규칙한 폭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되, 상기 혼방사(12)는 고수축사(14)의 비율보다 큰 폭으로 배열한다. 즉, 위사(20)의 순면사(22)로부터 횡방향으로 제직되는 경사(20)는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를 상호 규칙 또는 불규칙한 폭으로 연속적으로 배열한다. 일예로 혼방사(12)를 32올로 배치한 후, 고수축사(14)를 8올로 배치하고 또 다시 혼방사(12)를 32올로 배치하는 규칙적인 폭으로 연속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혼방사(12)를 16올로 배치한 후, 고수축사(14)를 4올로 배치하고 또 다시 혼방사(12)를 32올로 배치한 후, 고수축사(14)를 8올로 배치하는 불규칙한 폭으로 연속적으로 배열한다. 즉,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의 배치되는 폭에 따라 원단표면으로 요철을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하여 입체감을 증대할 수 있다. 이때, 혼방사(12)는 고수축사(14)의 비율보다 큰 폭으로 배열해야 되는데 혼방사(12)의 폭의 비율보다 고수축사(14)의 폭의 비율이 높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면의 특성이 사라지고 나염이 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경사(10)와 위사(20)의 제직 후 열을 작용하여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데, 이는 상기 경사(10)와 위사(20)로 제직된 원단은 열을 가하여 고수축사(14)의 수축성에 의해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표면에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도 1과 같이 경사(10)와 위사(20)가 제직이 완료되면, 원단에 열을 직접적으로 가하거나 뜨거운 물속으로 투입하여 고수축사(14)의 수축성을 유발시킨다. 즉, 도 2에서 표현되는 것처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열을 작용하여 고수축사(14)에 열이 가해지면 수축되는 성질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수축하게 되고 수축성이 없는 혼방사(12)는 고수축사(14)에 의해 원단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는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하고 입체감을 부여해주는 바, 일정하고 평탄한 면을 나타내는 고수축사(14)의 수축에 의해 수축과 무관하게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혼방사(12)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철효과에 의해 시원한 느낌과 함께 밀착성이 뛰어나 특히 여름철에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경사(10)와 위사(20)로 제직된 원단에 열을 가하기 전, 다양한 무늬를 지니도록 나염을 처리하여 침장, 커튼, 식탁보, 의류, 수예품 등의 다방면에서 새로운 디자인으로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단의 표면으로 요철을 형성할 수 있어 작업자와 소비자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면서 이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에 따른 설비가 간소화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어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경사 12: 혼방사
14: 고수축사 20: 위사
22: 순면사

Claims (4)

  1. 경사(10)와 위사(20)를 지닌 리플원단에 있어서:
    상기 경사(10)로서 티시페브릭(T/C; Polyester 65%와 Cotton 35%)으로 이루어지면서 20수~50수 중에서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구비하는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를 구성하되, 상기 경사(10)는 혼방사(12)와 고수축사(14)를 규칙 또는 불규칙한 폭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 상기 혼방사(12)는 고수축사(14)의 비율보다 큰 폭으로 배열하고,
    상기 위사(20)로서 순면사(22)를 구성하며,
    상기 경사(10)와 위사(20)의 제직 후 열을 가하여 고수축사(14)의 수축성에 의해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표면에 요철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11540A 2011-02-09 2011-02-09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KR10109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540A KR101094909B1 (ko) 2011-02-09 2011-02-09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540A KR101094909B1 (ko) 2011-02-09 2011-02-09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909B1 true KR101094909B1 (ko) 2011-12-15

Family

ID=4550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540A KR101094909B1 (ko) 2011-02-09 2011-02-09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9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08B1 (ko) * 2012-11-15 2013-06-21 신현직 도비형 주름직물
KR101613464B1 (ko) 2015-04-24 2016-04-19 주식회사 다원물산 입체 구조를 가지는 피부 친화성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40402B1 (ko) * 2018-07-03 2019-11-04 김은숙 뛰어난 통기성과 흡습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KR20220005409A (ko) 2020-07-06 2022-01-13 사단법인 코티티시험연구원 분진포집효율이 향상된 마스크 원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59Y1 (ko) 2004-08-04 2005-01-14 정성곤 수축사를 이용한 리본 주름 직물지
KR100881930B1 (ko) * 2007-11-30 2009-02-04 신현직 고수축사를 교직한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559Y1 (ko) 2004-08-04 2005-01-14 정성곤 수축사를 이용한 리본 주름 직물지
KR100881930B1 (ko) * 2007-11-30 2009-02-04 신현직 고수축사를 교직한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808B1 (ko) * 2012-11-15 2013-06-21 신현직 도비형 주름직물
KR101613464B1 (ko) 2015-04-24 2016-04-19 주식회사 다원물산 입체 구조를 가지는 피부 친화성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40402B1 (ko) * 2018-07-03 2019-11-04 김은숙 뛰어난 통기성과 흡습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원단
KR20220005409A (ko) 2020-07-06 2022-01-13 사단법인 코티티시험연구원 분진포집효율이 향상된 마스크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909B1 (ko) 고수축사를 이용한 리플원단
JP4873246B2 (ja) 起毛経編布帛
CN208930858U (zh) 一种防紫外线面料
CN205741454U (zh) 一种防汗渍织物结构
CN107326516B (zh) 一种具有吸湿排汗、保暖、抗菌多功能的针织面料及其生产方法
CN209813286U (zh) 一种保健泳装面料
CN203247381U (zh) 一种竹棉抗菌面料
CN211771871U (zh) 一种环保涤纶仿棉面料
CN214395691U (zh) 一种手感柔软的服装面料
CN205171078U (zh) 一种多花型类阻燃面料
CN210851567U (zh) 一种防水保温防辐射的服装面料
CN210975011U (zh) 一种带有抗菌面料层的衬衫防霉面料
CN210368086U (zh) 一种多股混合纤维纱线
CN206616323U (zh) 一种双面牛仔面料
CN112048811A (zh) 具有不收缩纱、易收缩纱及发热纱织造成的三层结构布及其加工方法
TWM598855U (zh) 具有保濕鎖水、親膚及抗紫外線的結構織物
CN217459762U (zh) 一种新型条纹针织面料
CN204959179U (zh) 一种3d玫瑰花提花面料
CN104389070A (zh) 一种防蚊虫纺织面料的制备方法
CN215040997U (zh) 一种抗紫外针织面料
CN210590843U (zh) 一种纬编提花麂皮绒织物
JP3242059U (ja) ボディタオル
CN214244742U (zh) 一种亲肤布料
KR102489431B1 (ko) 고밀도 멀티플렉스 원단 제조방법
KR101272420B1 (ko) 커버링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