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520B1 -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520B1
KR100833520B1 KR1020047006915A KR20047006915A KR100833520B1 KR 100833520 B1 KR100833520 B1 KR 100833520B1 KR 1020047006915 A KR1020047006915 A KR 1020047006915A KR 20047006915 A KR20047006915 A KR 20047006915A KR 100833520 B1 KR100833520 B1 KR 10083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knitting
yarn
pattern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806A (ko
Inventor
오쿠노마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6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tubular portions of variable diameter or distinct axial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4베드 횡편기를 이용하여 인타샤 패턴 등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 하는 경우에도 드레드 재밍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분할편성을 불필요하게 하여 생산성도 양호가 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횡편기에는, 인타샤 편성의 전후에서 급사부재로부터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인타샤 편성용의 기능을 구비하고, 인타샤 패턴(3, 8)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바늘(K)로부터 급사부재의 급사구(10)로 연장되는 편사(11)를, 그 바늘(K)이 속하는 니들베드의 상위측의 니들베드에 있는 빈 바늘에 훅시킨 상태에서 그 인타샤 패턴(3, 8)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한다.

Description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스웨터(sweater) 등의 니트의류(knit 衣類)를 4베드 횡편기(4 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이용하여 무봉제(無縫製)의 통(筒)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면서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을 넣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되는 대표적인 편성포로서,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패턴 편성포가 잘 알려져 있다. 도5(a)는, 스웨터1에 있어서의 앞쪽 몸통2의 일부에 다이아몬드 패턴(diamond pattern)의 인타샤 패턴 편성포3이 편성되고, 다른 부분은 그라운드 편성포(ground 編成布)4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또 이 스웨터1은, 앞쪽 몸통2와 대향(對向)하는 뒤쪽 몸통도 앞쪽 몸통과 병행(竝行)하여 편성되어 양단부에서 연결되는 통 모양 편성포로서, 무봉제로 제조할 수 있다. 앞쪽 몸통2 및 뒤쪽 몸통의 하부에는, 옷단 고무라고 불리우는 고무 편성포5가 편성된다. 도5(b)는, 스웨터6에 있어서의 앞쪽 몸통7의 일부에 세로 줄무늬 모양의 인타샤 패턴 편성포8이 편성되고, 다른 부분은 그라운드 편성포9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6은,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을 포함하는 통 모양의 편성포를 4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할 때의 바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4베드 횡편기의 기본적인 구조나 그것을 이용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본원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1-57173호(= 미국 특허 제4905483)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주지의 사항이다. 앞쪽 몸통의 옷단 고무5는 앞측 하부 니들베드(이하, 니들베드FD라고 한다)의 바늘과 뒤측 상부 니들베드(이하, 니들베드BU라고 한다)의 바늘을 사용하고, 뒤쪽 몸통의 옷단 고무는 뒤측 하부 니들베드(이하, 니들베드BD라고 한다)의 바늘과 앞측 상부 니들베드(이하, 니들베드FU라고 한다)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앞쪽 몸통의 옷단 고무5의 코스편성이 이루어질 때에는, 니들베드FU의 바늘에 의하여 편성되는 뒤쪽 몸통의 옷단 고무의 백 스티치(back stitch)는 모두 니들베드BD의 바늘로 이동되어 지지된다. 이와 반대로 뒤쪽 몸통의 옷단 고무5의 코스편성이 이루어질 때에는, 니들베드BU의 바늘에 의하여 편성되는 앞쪽 몸통의 옷단 고무의 백 스티치는 니들베드FD의 바늘로 이동되어 지지된다. 즉 앞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측 편성포를 니들베드BD의 바늘에 부속시키고, 반대로 뒤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앞측 편성포를 니들베드FD의 바늘에 부속시켜서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전후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편성한다. 이렇게 하여 통 모양의 몸통에 옷단 고무5를 형성한다. 옷단 고무5에 이어지는 몸통은 평편성조직(平編成組織)으로 편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스티치의 이동은 불필요하여 앞쪽 몸통은 니들베드FD의 바늘, 뒤쪽 몸통은 니들베드BD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된다. 몸통에 링크스(links)나 스티치 이동 패턴 등의 조직을 몸통에 넣는 경우에는 옷단 고무5의 편성과 마찬가지로 백 스티치를 대향하는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스티치를 이동시키면서 편성을 한다.
인타샤 패턴3, 8은, 그라운드 편성포4, 9와는 다른 얀 캐리어(yarn carrier : 이하, 간단하게 캐리어라고 한다) 등의 급사부재(給絲部材)를 사용하여 편성한다. 앞쪽 몸통2, 7 및 뒤쪽 몸통은 알파벳의 대문자로 나타나 있는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A, B, C … 를 사용하여 각각 편성한다. 소문자로 나타나 있는 바늘a, b, c는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을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인타샤 패턴3, 8의 편사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그라운드 편성포4, 9의 편사를 가는 선으로 나타내었다.
니들베드의 상방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복수의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이 매달려서 설치되고, 복수의 캐리어가 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 주사(走査)하는 캐리지에 설치된 캠(cam)에 연동(連動)되어 캐리어의 급사구(給絲口)로부터 편사를 니들베드의 임의의 바늘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편성코스에서 인타샤 패턴부분3, 8의 편성에 사용된 캐리어는, 다음 코스에서의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을 편성할 때에 다시 사용하기 위하여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과 그라운드 편성포4, 9와의 경계부(境界部) 부근에 정지시킨다. 즉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편성포의 편성에는, 다른 캐리어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과 그라운드 편성포4, 9와의 경계부 부근에서는, 복수의 캐리어가 섞이게 되어 캐리어의 급사구 상호간이 서로 간섭하거나, 정지상태의 캐리어에 편성동작에 제공되는 바늘의 선단(先端)이 충돌하거나,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의 최종 스티치(最終 stitch)로부터 정지상태의 캐리어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에 인접하는 그라운드 편성포4, 9의 편성시에 바늘의 선단에 삽입시켜 버리는 드레드 재밍(thread jamming)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인타샤 패턴을 편성할 때에 캐리어의 급사구를 주행방향의 전후로 회전변위(回轉變位)시킬 수 있는 인타샤 패턴 편성용의 캐리어가 생각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51061호 공보에서, 캐리어의 급사구를 회전변위시키고, 정지상태에서는 최종 스티치로부터 대략 바로 상측방향으로 편사가 연장되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는 캐리어와 그것을 이용한 인타샤 패턴의 편성방법을 개시하였다. 급사구의 위치가 변경되는 캐리어를 이용하면, 복수의 캠 시스템(cam system)을 구비하는 캐리지에 의하여 1코스를 편성할 때에 복수의 인타샤 패턴을 넣을 수 있다. 또한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23300호 공보에는, 편사를 안내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하는 하단부를 바늘 사이의 간격 내에 삽입시키는 상하방향의 변위에 의하여 캐리어 상호간의 간섭을 피하는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스웨터 등의 니트의류를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면서 인타샤 패턴을 넣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하여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852호 공보를 먼저 제안하였다. 동 공보에서는, 인타샤 패턴을 앞측 편성포로 디자인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2가지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동 공보의 도2에 나타나 있는 제1실시예에서는, 뒤쪽 니들베드에서의 뒤쪽 몸통에는 인타샤 패턴이 없더라도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 앞쪽 몸통의 인타샤 패턴의 경계부에서 그 때마다 각각의 캐리어를 반전(反轉) 이동시키도록 하여 뒤쪽 몸통의 편성을 분할(分割)함으로써 캐리어 상호간의 간섭이나 뜻하지 않은 드레드 재밍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인타샤 패턴에 대향하는 그라운드 부분의 코스를 편성할 때에, a : 인타샤 패턴용의 캐리어를 인타샤 패턴의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되돌림을 한 후에 그라운드 부분을 인타샤 패턴의 전방까지 편성하고, b : 인타샤 패턴용 및 그라운드 부분용의 캐리어를 인타샤 패턴의 범위 외로 이동시키는 되돌림을 한 후에 나머지 그라운드 부분을 편성하고 있다. 또한 동 공보의 도3에 나타나 있는 제2실시예에서는, 앞쪽 몸통의 인타샤 패턴의 편성에 사용한 캐리어를,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는 편성포 전체의 폭(幅)보다 외부로 대피시킴으로써 간섭이나 드레드 재밍을 방지하도 록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8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제1실시예에서는,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 되돌림 편성을 한다. 동 공보의 제[0011]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되돌림 편성에서는 캐리어가 반전 이동하는 부분에서 스티치가 막혀 버려서 편성포의 미관을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하여는, 반전위치에 있는 바늘에서 형성되는 스티치를 루즈(loose)하게 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지만, 그 조정은 어렵고 번거롭다. 또한 뒤쪽 몸통을 한 번에 편성하는 것이 아니라 분할하여 편성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되돌림을 할 필요는 없지만 동 공보의 제[0012]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사를 직접 상방으로부터 급사부재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실을 취하는 방법이 한정되어 색(色)의 수를 많게 할 수 없다.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5106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편성용의 캐리어를 이용하면, 색의 수나 실을 취하는 방법에 관한 제한은 완화된다. 또 되돌림 편성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인타샤 경계부에서의 스티치를 조정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에 있어서의 상기한 드레드 재밍의 문제는 반드시 해소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이유는 급사구가 변위하는 캐리어이더라도 인타샤 패턴의 경계부에서 정지하는 위치의 정밀도는 반드시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7은, 예를 들면 니들베드FD에서 바늘K에 인타샤 패턴의 최후의 스 티치를 형성하여 캐리어의 급사구10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7에서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과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이 보이도록 위상을 비키어 놓은 상태에서 나타내었지만, 실제의 편성기에서는 각 니들베드에 장착되는 상하의 바늘은 니들베드 길이방향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위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바늘K, L, M은, 편사11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의 신 루프(新 loop)를 형성하고, 구 루프(舊 loop)14가 녹 오버(knock over) 되어 있다. 캐리어의 급사구10의 정지위치가 예를 들면 A의 범위라면, 니들베드FD의 바늘K로부터 급사구10으로 연장되는 편사11을 니들베드BD의 바늘이 삽입되는 드레드 재밍이 발생하지 않는다. 급사구10과 바늘K와의 사이에는 고저(高低) 차이가 있기 때문에, A의 범위는 니들베드BD의 바늘J를 약간 넘는 위치까지 넓어진다. 그러나 정지 정밀도의 관계에서, 급사구10을 항상 A의 범위 내에 정지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캐리지에 설치된 연동 핀(連動 pin)에 의하여 연동되어 주행하는 형식의 캐리어는, 전환 핀(轉換 pin)과의 결합이 해제되면 캐리어는 얀 가이드 레일의 도중에 정지한다. 캐리어와 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는, 캐리지에 연동될 때에는 이동하기 쉽도록 슬라이딩 저항(sliding 抵抗)이 작고, 캐리지에 연동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하기 어려워진다는 양립(兩立)이 곤란한 특성이 요구된다.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윤활유 등을 도포(塗布)하고, 제동성(制動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그넷(magnet)에 의한 흡착력(吸着力) 등이 이용되지만, 얀 캐리어의 정지 정밀도를 매우 높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급사구10은 드레드 재밍이 발생하기 어려운 범위A 내에 멈출 수 없어 범위A 외부 등에서 정지되어 드레드 재밍이 쉽게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4베드 횡편기를 이용하여 인타샤 패턴 등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서도 뜻하지 않은 드레드 재밍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되돌림 편성을 불필요하게 하여 생산성도 양호하게 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후 한 쌍으로 설치되는 하부 니들베드(下部 needle bed)와 그 하부 니들베드의 각각의 상위에 설치되는 상부 니들베드(上部 needle bed)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4 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측 편성포를 뒤측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에 부속시키고, 반대로 뒤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앞측 편성포를 앞측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에 부속시켜서 전후로 포갠 상태에서 양측단(兩側端)에서 연결되는 통(筒) 모양의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급사구(給絲口)로부터 편사를 토출(吐出)하여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복수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을 넣어서 편성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횡편기에는 인타샤 편성의 전후에서 급사부재로부터 바늘로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인타 샤 편성용 기능을 구비하고,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最終 stitch)를 지지하는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급사부재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바늘이 속하는 니들베드측의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에서 훅(hook)하여, 그 편사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멀리한 상태에서,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한다. 이에 의하면, 인타샤 패턴의 편성에 사용되어 인타샤 패턴의 경계부 부근에서 정지하는 캐리어의 급사구로부터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바늘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바늘이 속하는 니들베드의 상위측의 니들베드의 빈 바늘에 훅시킨다. 이에 따라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대피시키기 때문에,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바늘이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퇴(進退) 조작되더라도 인타샤의 편사를 잘못하여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인타샤 패턴의 경계 부근에서 분할편성을 위한 되돌림 편성을 할 필요가 없어 편성포의 품질을 향상시켜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사를 훅하는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은,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의 바로 상측이거나 근접하는 바늘이 사용된다. 이에 의하면, 편사가 연장되는 범위를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바늘의 부근에서 멈추게 하여 드레드 재밍(thread jamming)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니들베드의 바늘에 대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캠(cam)을 복수 조씩 구비하는 캐리지(carriage)를 사용하여 상기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바늘로부터 급사부재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의 빈 바늘(empty needle)로의 훅과, 훅되어 있는 편사의 해제를 교대로 한다. 예를 들면 선행측의 캠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급사부재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동일한 측의 상부 니들베드의 빈 바늘에 훅하여 편사를 대피시킨 후에, 계속되는 후행측의 캠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한다. 그리고 이 훅한 편사의 바늘로부터의 해제는, 선행의 캠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후행측의 캠에 의하여 훅한 바늘을 진퇴 조작하여야 하므로 편성포 편성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인타샤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에 있어서의 편성의 전반(前半) 부분을 나타낸다.
도2는, 도1에 이어지는 인타샤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에 있어서의 편성의 후반(後半) 부분을 나타낸다.
도3은, 도1의 캐리지 이동의 3코스에서 편사를 앞측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에 훅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4는 도2의 우측면도이다.
도5는 인타샤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6은, 도4의 통 모양 편성포를 4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바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도7은 캐리어를 사용하여 드레드 재밍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도5에 나타나 있는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을 구비하는 스웨터(sweater)에 있어서의 통(筒) 모양으로 편성되는 몸통을 4베드 횡편기(4 bed flat knitting machine)에 의하여 편성하는 경우의 편성도(編成圖)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몸통에 있어서의 각 부분의 편성에 사용되는 바늘의 수는 적게 되어 있다. 알파벳의 대문자는 하부 니들베드(下部 needle bed)의 바늘, 소문자는 상부 니들베드(上部 needle bed)의 바늘을 각각 나타낸다. 옷단 고무5에 이어지는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은 모두 평편성조직(平編成組織)으로 편성되고, 앞쪽 몸통은 니들베드FD의 바늘A, B, C, D … 를 사용하여 편성되고, 뒤쪽 몸통은 니들베드BD의 바늘A, B, C, D … 를 사용하여 편성된다. 인타샤 패턴으로서는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세로의 줄무늬를 예로 한다.
캐리지(carriage)로서는, 각 니들베드에 대하여 2조의 캠(cam)을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캐리지의 일방(一方)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선행측(先行側)의 캠을 L측, 후행측(後行側)의 캠을 T측이라고 한다. 캐리지가 타방(他方)으로 이동할 때에는 선행과 후행이 교체된다. 캐리어(carrier)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5106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회전 타입(回轉 type)의 것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스(course)1∼6으로 나타나 있는 6코스의 캐리지 이동을 1사이클(1-cycle)로 하여 통 모양 편성포의 2코스를 편성할 수 있다. 또 니들베드에 복합 니들(compound needle)이 장착된다.
캐리지 이동의 1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좌단(左端)으로부터 우측의 도중까지 이동시키고, 앞쪽 몸통을 L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K, L, … P, Q의 인타샤 패턴부분, T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A, B, … I, J의 그라운드(ground)의 좌측부분을 각각 니들베드FD에서 편성한다. 인타샤 패턴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좌단은, 그라운드 좌측부분의 우단(右端)의 바늘J에 턱(tuck)되어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인타샤 패턴과 그라운드 좌측부분의 1코스가 편성된다.
캐리지 이동의 2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측의 도중으로부터 좌단으로 이동시키고, 앞쪽 몸통을 L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Q, P, … L, K의 인타샤 패턴부분, T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J, I, … B, A의 그라운드의 좌측부분을 편성한다. 인타샤 패턴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우단은, 그라운드 우측부분의 좌단의 바늘R에 턱되어 연결된다. 그라운드의 좌측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우단은, 인타샤 패턴부분의 좌단의 바늘L에 턱되어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인타샤 패턴과 그라운드 좌측부분의 2코스가 편성된다.
3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L측의 캠에 의하여 캐리어를 바늘K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L측의 캠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의 좌단의 바늘K로부터 캐리어의 급사구(給絲口)로 연장되는 편사를 니들베드FU의 빈 바늘(empty needle)k에 훅시키고, T측에서는 니들베드BD의 바늘A, B, … Y, Z에 급사(給絲)하여 뒤쪽 몸통을 편성한다. 니들베드FU의 빈 바늘k는 편사를 훅한 후에는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부터 많이 후퇴시켜서 캐리어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부분을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이 동작은 스티치 캠(stitch cam)의 삽입량을 크게 설정하거나 또는 상측 캐리지에 설치한 대피 캠(待避 cam)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바늘을 삽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뒤쪽 몸통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바늘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부분의 편성에 사용되는 캐리어의 편사를 뜻하지 않게 삽입시켜 버리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뒤쪽 몸통을 T측의 캠에 의하여 편성할 때에는, 니들베드FD에서 인타샤 패턴의 좌단이 되는 바늘K로부터의 편사는 니들베드FU의 바늘k를 경유하여 캐리어의 급사구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의 정지위치의 정밀도에 오차가 있더라도 뜻하지 않게 드레드 재밍(thread jamming)이 발생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뒤쪽 몸통의 그라운드 1코스가 편성된다.
캐리지 이동의 4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단으로부터 좌측의 도중으로 이동시키고, T측의 캠을 사용하여 니들베드FD의 바늘Z, Y, … S, R의 앞쪽 몸통의 그라운드 우측부분을 편성한다. 캐리지 이동의 5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좌측의 도중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시키고, T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R, S … Y, Z의 앞쪽 몸통의 우측부분을 편성한다. 앞쪽 몸통의 그라운드 우측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좌단은, 인타샤 패턴의 우단의 바늘Q에 턱되어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앞쪽 몸통의 그라운드 우측부분의 1코스와 2코스가 편성된다.
캐리지 이동의 6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측으로부터 좌단으로 이동시키고, L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Z, Y, … B, A의 뒤쪽 몸통의 그라운드를 편성하면서, T측에서 캐리어를 바늘k의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T측의 캠에 의하여 니들베드FU의 바늘k를 진퇴(進退)시켜서 훅되어 있는 편사를 바늘에서 빼낸다. 이렇게 하여 뒤쪽 몸통의 그라운드 2코스가 편성된 후에 니들베드FU의 바늘k에 훅되어 있던 편사가 바늘로부터 제거된다.
도3 및 도4는,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 인타샤의 편사가 니들베드BD의 바늘에 편성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도3은 앞에서 설명한 도7과 마찬가지로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과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위상(位相)을 비키어 놓은 상태로 나타내었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1에서의 캐리지 이동의 3코스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FD에서 편성되는 인타샤 패턴의 좌단의 바늘K로부터 캐리어의 급사구10으로 연장되는 편사11을, 캐리어의 되돌림과 연동(連動)시켜서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FU의 빈 바늘k에 훅시키고, 이 빈 바늘k를 많이 후퇴시킨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FU의 바늘k로부터 급사구10으로 연장되는 편사11은, 니들베드BD측의 바늘이 가상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더라도 훅되기 어렵다.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FD의 바늘K로부터 급사구10으로 편사가 연장되어 있으면, 니들베드BD로부터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는 바늘에 의하여 삽입되기 쉽다. 이 차이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드레드 재밍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의 코스1∼6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통 모양 편성포에 인타샤 패턴 편성포를 형성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의 편성에서는, 3코스에서 캐리지를 우측으로 되돌려서 L측의 캠에 의하여 캐리어를 바늘K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인타샤 패턴의 좌단의 바늘K로부터 캐리어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니들베드FU의 빈 바늘k에 훅시키고, 캐리지의 6코스 이동에서 T측의 캠에 의하여 캐리어를 바늘k의 좌측으로 되돌려 니들베드FU의 바늘k를 진퇴시켜서 이 훅한 편사 를 바늘에서 빼내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것을 이하의 편성에 대신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캐리지 이동의 2코스에서, 캐리지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앞쪽 몸통을 L측의 캠을 사용하여 니들베드FD의 바늘Q, P, … L, K의 인타샤 패턴부분을 편성하고 또한 니들베드FU의 빈 바늘j에 편사를 훅시킨다. 이 편사를 훅시키는 니들베드FU의 바늘은 다음의 인타샤 패턴부분이 편성되는 7코스에 있어서 턱 연결되는 니들베드FD의 바늘J의 적어도 바로 상측 또는 그보다 외측에서 바늘J에 근접하는 바늘에서 한다. 그리고 T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J, I, … B, A의 그라운드 좌측부분을 편성한다. 또 이 코스에서의 인타샤 패턴부분과 그라운드 부분을 연결하는 턱은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바늘R, 바늘L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계속되는 3∼5코스는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의 편성이 이루어진 후, 캐리지 이동의 6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측으로부터 좌단으로 이동시키고, L측의 캠을 사용하여 바늘Z, Y, … B, A의 뒤쪽 몸통의 그라운드를 편성하면서, T측의 캠에 의하여 니들베드FU의 바늘j를 진퇴시켜서 편사를 바늘j에서 빼낸다. 그리고 7코스를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의 편성에 의하여 한다. 이 방법에서는 상기의 예와 마찬가지로 인타샤 패턴부분을 편성하는 캐리어를 좌우측으로 이동시켜서 니들베드FU의 빈 바늘에 편사를 훅시키고, 그 후에 제거하면 캐리어의 되돌림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 2코스에서 이루어지는 니들베드FU의 바늘에서의 편사의 훅과 7코스에서 이루어지는 니 들베드FD의 바늘에서의 턱 연결이, 다른 위상의 바늘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바늘i와 바늘J, 그 경우에는 6코스에서는 제거를 하지 않고 7코스에서의 L측의 캠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부분을 편성할 때에 제거와 턱을 동시에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인타샤 패턴,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패턴(diamond pattern)이 가로방향으로 나란한 경우에 복수의 캐리어가 접근하여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캐리어 사이가 조금 떨어지도록 훅하는 빈 바늘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 모양 편성포란, 상기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편성 폭(編成 幅)의 양단(兩端)에서 연결되는 완전한 통 모양 편성포 뿐만 아니라 카디건(cardigan) 등 일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분리형(分離型)의 통 모양 편성포이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인타샤 패턴을 넣어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도5(a)에 나타나 있는 다이아몬드 패턴의 인타샤 패턴 편성포3 등과 같이 인타샤의 패턴 폭(pattern 幅)이 서서히 증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우에서도 인타샤 패턴을 편성할 수 있다. 편성폭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인타샤 패턴을 앞쪽 몸통에 편성하는 경우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우선 편성을 끝낸 후, 이 상태에서 뒤쪽 몸통을 편성하고, 다음 코스의 직전에서 코스의 시작점까지 먼저 턱하면서 편성하면 좋다.
또 도5(b)에서의 인타샤 패턴8의 띠 모양 영역은 카디건의 버튼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편성포로서, 다른 편성포보다 강화시키기 위하여 편사 등을 바꾸어서 편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성포 영역은, 다른 편성포와는 다른 캐리어를 사용하여 편성하기 때문에, 경계부(境界部)에서 캐리어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대향(對向)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드레드 재밍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의 변형으로서 포켓(pocket) 등에서 부분적으로 편성포가 대향하는 경우에도 그 부분에 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 되는 인타샤 패턴이란, 장식으로서의 편성포 영역 뿐만 아니라 편사를 바꾸어서 편성하는 영역의 경계에서 캐리어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하여야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에서 뒤측 편성포에 인타샤 패턴이 있어 앞측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 또는 양측의 편성포에 인타샤 패턴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인타샤 편성용의 기능으로서, 캐리어의 급사구의 위치를 회전변위(回轉變位)시키는 스윙식(swing 式)의 캐리어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상하이동이나 좌우이동을 캐리어의 급사구에 부여하는 기능이 있다면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903152호 공보(= 미국 특허 제6047570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에 캐리어 되돌림용 강대(鋼帶)를 가설(架設)하고, 모터(motor)에 의하여 좌우 이동시키는 횡편기에 상하이동이 가 능한 캐리어를 조합시키는 경우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는 등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3)

  1. 전후 한 쌍으로 설치되는 하부 니들베드(下部 needle bed)와 그 하부 니들베드의 각각의 상위에 설치되는 상부 니들베드(上部 needle bed)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4 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측 편성포를 뒤측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에 부속시키고, 반대로 뒤측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앞측 편성포를 앞측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에 부속시켜서 전후로 포갠 상태에서 양측단(兩側端)에서 연결되는 통(筒) 모양의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급사구(給絲口)로부터 편사를 토출(吐出)하여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복수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을 넣어서 편성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횡편기에는 인타샤 편성의 전후에서 급사부재로부터 바늘로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인타샤 편성용 기능을 구비하고,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最終 stitch)를 지지하는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급사부재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바늘이 속하는 니들베드측의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에서 훅(hook)하여, 그 편사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멀리한 상태에서,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사를 훅하는 상부 니들베드의 바늘은,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하부 니들베드의 바늘의 바로 상측이거나 근접하는 바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의 바늘에 대하여 편성동작을 하는 캠(cam)을 복수 조씩 구비하는 캐리지(carriage)를 사용하여 상기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에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바늘로부터 급사부재의 급사구로 연장되는 편사의 빈 바늘(empty needle)로의 훅과, 훅되어 있는 편사의 해제를 교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047006915A 2001-11-26 2002-11-22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833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9741 2001-11-26
JPJP-P-2001-00359741 2001-11-26
PCT/JP2002/012247 WO2003046267A1 (fr) 2001-11-26 2002-11-22 Procede de tricotage de motif inters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806A KR20040066806A (ko) 2004-07-27
KR100833520B1 true KR100833520B1 (ko) 2008-05-29

Family

ID=1917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915A KR100833520B1 (ko) 2001-11-26 2002-11-22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66202B2 (ko)
EP (1) EP1462555B1 (ko)
JP (1) JP3968081B2 (ko)
KR (1) KR100833520B1 (ko)
CN (1) CN100443647C (ko)
AU (1) AU2002354061A1 (ko)
DE (1) DE60228494D1 (ko)
WO (1) WO2003046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870B2 (ja) * 2003-08-08 2007-11-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ストライプ柄を具える筒状編地
JP4163130B2 (ja) * 2004-02-17 200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インターシャ柄の編成方法と編地、ニットデザイン装置、及び編成プログラム
EP1724385B1 (de) * 2005-05-21 2016-05-18 H. Stoll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tricken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DE202006005898U1 (de) * 2006-04-05 2007-08-16 Strickmanufaktur Zella Gmbh Oberbekleidungsstück, nämlich Schießjacke für Sportschützen
CN101448987B (zh) * 2006-05-17 2011-04-20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嵌花花纹针织物的编织方法及横机
JP4891833B2 (ja) * 2007-04-27 2012-03-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5757751B2 (ja) * 2011-02-28 2015-07-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装置
DE102011113538B3 (de) * 2011-09-15 2012-08-16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mit Intarsiamuster und Zierstichen
CN102747520A (zh) * 2012-07-24 2012-10-24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编机挑孔的编织方法
CN102776687B (zh) * 2012-07-27 2013-10-23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四平针的5×5绞花编织方法
CN103668734B (zh) * 2012-08-31 2016-06-01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嵌花编织方法及系统
US20160165970A1 (en) * 2013-07-25 2016-06-16 Drexel University Knitted electrochemical capacitors and heated fabrics
US20150315728A1 (en) * 2015-07-13 2015-11-05 Sung-Yun Yang Process of manufacturing fabrics having jacquard and terry patterns
WO2018193135A1 (de) * 2017-04-21 2018-10-25 Pilz Gmbh & Co. Kg Formgestrick und verwendung eines formgestricks
WO2020065464A1 (en) * 2018-09-26 2020-04-02 Santoni S.P.A.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ubular intarsia knitted item by means of a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
CN114990777A (zh) * 2022-05-24 2022-09-02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隐形嵌花工艺的针织鞋面
CN115287816A (zh) * 2022-09-21 2022-11-04 福建屹立智能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三针床经编机及其编织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5483A (en) 1987-09-04 1990-03-06 Shima Seiki Mfg. Ltd. Flat knitting machine
US5379615A (en) 1990-10-12 1995-01-10 Shima Seiki Mfg. Ltd. Tubular knit fabric having vent portion
US5819558A (en) 1995-07-17 1998-10-13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lowering the yarn height for knitting single knit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139A (en) * 1980-04-01 1981-11-02 Shima Idea Center Knitting of intercia pattern and yarn introducing apparatus
JPS5771463A (en) 1980-10-22 1982-05-04 Kouseishiya Kk Yarn guide apparatus in traverse type knitting machine
DE3424052A1 (de) * 1984-06-29 1986-01-0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ignalumformer
DE3813504A1 (de) * 1988-04-22 1989-11-02 Stoll & Co 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intarsien-gestrickstuecken und flachstrickmaschin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905453A (en) * 1988-07-21 1990-03-06 Siebring Barton G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ested polyethylene bags
JP3498270B2 (ja) * 1994-04-28 2004-0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JPH09217254A (ja) * 1996-02-13 1997-08-19 Tsudakoma Corp 渡り糸止め部の形成方法
JPH101852A (ja) * 1996-06-12 1998-01-06 Shima Seiki Mfg Ltd インターシャ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903152B2 (ja) * 1997-04-15 1999-06-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供給機構
CN1323205C (zh) 2001-05-25 2007-06-27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嵌花图案针织物的针织方法及其针织程序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5483A (en) 1987-09-04 1990-03-06 Shima Seiki Mfg. Ltd. Flat knitting machine
US5379615A (en) 1990-10-12 1995-01-10 Shima Seiki Mfg. Ltd. Tubular knit fabric having vent portion
US5819558A (en) 1995-07-17 1998-10-13 Tsudakoma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lowering the yarn height for knitting single knit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68081B2 (ja) 2007-08-29
CN1592802A (zh) 2005-03-09
WO2003046267A1 (fr) 2003-06-05
AU2002354061A1 (en) 2003-06-10
US6966202B2 (en) 2005-11-22
EP1462555A4 (en) 2006-05-24
US20050016220A1 (en) 2005-01-27
EP1462555B1 (en) 2008-08-20
EP1462555A1 (en) 2004-09-29
DE60228494D1 (ko) 2008-10-02
JPWO2003046267A1 (ja) 2005-04-07
CN100443647C (zh) 2008-12-17
KR20040066806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520B1 (ko)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540376B1 (ko)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US4019350A (en) Method of producing double-knit fabric having additional fleece threads incorporated into one face or both faces thereof
KR101022353B1 (ko)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및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
EP2565308B1 (en) Joining method of neighboring knitted fabric pieces, and knitted fabric
KR960013902B1 (ko) 횡편기
KR20020072307A (ko) 통 모양 편성포의 스트라이프 패턴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KR20200007693A (ko) 횡편기
KR10101335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US5016450A (en) Knit fabric with inlay pile yarn and method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CN109082761B (zh) 一种横机编织双鱼鳞织物的方法
KR101182483B1 (ko) 스페이서 직물의 제조를 위한 원형 편직기
KR20000076627A (ko)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EP2653596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US20050183465A1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having front neck and knit-wear having front neck
CN103306029B (zh) 针织纱的防脱散方法
JP3126272B2 (ja) 天竺ジャカードの筒状編地編成方法
US3093989A (en) Pleated knit fabric
CS274451B2 (en) The double-cylinder round knitting machinery
US1929075A (en) Control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100684474B1 (ko) 양말 목부분의 편직방법
JPH07324260A (ja) 進入防止片を備えた横編機
GB2293181A (en) Knitting wrap yarn on flat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