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376B1 -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376B1
KR100540376B1 KR1020037015398A KR20037015398A KR100540376B1 KR 100540376 B1 KR100540376 B1 KR 100540376B1 KR 1020037015398 A KR1020037015398 A KR 1020037015398A KR 20037015398 A KR20037015398 A KR 20037015398A KR 100540376 B1 KR100540376 B1 KR 10054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attern
needle
yarn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987A (ko
Inventor
오카모토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0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tubular portions of variable diameter or distinct axial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서도 드레드 재밍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분할편성을 불필요하게 하여 생산성도 양호하게 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를 제공한다.
2베드 횡편기에서 2조의 캠에 의하여 편성 가능한 캐리지와 인타샤 캐리어를 사용하고, 캐리지의 6코스 이동에 의하여 편성포를 2코스 편성한다. 앞쪽 니들베드FB에서 인타샤 패턴을 편성하여 경계부 부근에서 정지하고 있는 인타샤 캐리어와 편침F 사이의 편사를 캐리지의 3코스 이동에서 인타샤 캐리어의 되돌림을 하고 또한 뒤쪽 니들베드BB의 빈 편침F에 훅시키면서 뒤쪽 몸통을 편성한다. 캐리지의 6코스 이동에서는 뒤쪽 몸통을 편성하면서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F로부터 편사를 빼낸다.

Description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 생성장치{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스웨터(sweater) 등의 니트 의류(knit 衣類)를 무봉제(無縫製)의 통(筒)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하면서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을 넣은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 생성장치(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되는 대표적인 편성포로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패턴 편성포(intersia pattern knitting fabric)가 잘 알려져 있다. 도7(a)는, 스웨터1의 앞쪽 몸통2의 일부에 다이아몬드(diamond) 모양의 패턴인 인타샤 패턴 편성포3이 편성되고, 다른 부분은 그라운드 편성포(ground knitting fabric)4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또 이 스웨터1은 앞쪽 몸통2와 대향(對向)하는 뒤쪽 몸통도 앞쪽 몸통과 병행하여 편성되어 양단부(兩端部)에서 연결되는 통 모양의 편성포로서, 무봉 제로 제조할 수 있다. 앞쪽 몸통2 및 뒤쪽 몸통의 하부에는, 옷단 고무라고 불리는 고무 편성포5가 편성된다. 도7(b)는, 스웨터6의 앞쪽 몸통7의 일부에 세로 줄 무늬 모양의 인타샤 패턴 편성포8이 편성되고, 다른 부분은 그라운드 편성포9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8은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을 포함하는 통 모양의 편성포를,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FB 및 뒤쪽 니들베드(rear needle bed)BB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할 때의 편침(編針)의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과 그라운드 편성포4, 9는 다른 얀 캐리어(yarn carrier)의 선단(先端)으로부터 공급되는 편사(編絲)를 사용하여 각각 편성된다. 앞쪽 니들베드FB 및 뒤쪽 니들베드BB에서는, 앞쪽 몸통2, 7은 대문자로 나타나 있는 편침A, B, C … 를 사용하고, 뒤쪽 몸통은 소문자로 나타나 있는 편침a, b, c … 를 사용하여 각각 편성한다. 따라서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의 부분에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사를 사용하면, 그라운드 편성포4, 9의 편성에는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과는 다른 편사를 사용하게 된다.
도9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무봉제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2베드 횡편기10의 개략적인 단면(斷面)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베드 횡편기10에서는,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11을 사이에 두고 앞쪽 니들베드FB 및 뒤쪽 니들베드BB가 배치되고, 각각 니들베드 갭11을 향 하여 진퇴(進退) 가능한 편침12, 13을 다수 구비하고 있다. 편침12, 13은 지면(紙面)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피치(pitch)로 배열되어 있다. 니들베드 갭11의 상방에는, 복수의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14가 매달려서 설치되어 있어 복수의 얀 캐리어(yarn carrier)15가 주행할 수 있다. 캐리지(carriage)16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앞쪽 니들베드FB 및 뒤쪽 니들베드BB에서 편침12, 13을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캠 장치(cam 裝置)를 탑재(搭載)한다. 캐리지16은 브리지부(bridge 部)17에 의하여 전후의 니들베드를 연결한다. 브리지부17에는 전환 핀(轉換 pin)18이 출몰(出沒)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환 핀18은 돌출상태에서 얀 캐리어15와 결합하여 캐리지16의 이동에 연동(連動)되어 얀 캐리어15를 얀 가이드 레일14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을 편성할 때에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용과 그라운드 편성포4, 9용에 대하여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사 공급용으로 얀 캐리어15 등의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복수 사용한다. 각 편성코스(knitting course)에서 인타샤 패턴 부분3, 8의 편성에 사용한 얀 캐리어15 등의 급사부재는, 다음 코스에서의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을 편성할 때에 다시 사용하기 위하여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과 그라운드 편성포4, 9와의 경계부(境界部) 부근에 정지시킨다. 즉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편성포의 편성에는 다른 급사부재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과 그라운드 편성포4, 9와의 경계부 부근에서는 복수의 얀 캐리어15가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얀 캐리어15 상호간이 서로 간섭하거나, 정지상태의 얀 캐리어15에 편성동작에 제공되는 편침의 선단(先端)이 충돌하거나,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의 최종 스티치로부터 정지상태의 얀 캐리어로 연장되는 편사를 인타샤 패턴 편성포3, 8에 인접하는 그라운드 편성포4, 9를 편성할 때에 편침12, 13의 선단으로 삽입하는 드레드 재밍(thread jamming)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타샤 패턴을 편성할 때에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를 주행 방향의 전후로 회전변위(回轉變位)시킬 수 있는 인타샤 패턴 편성용의 급사부재가 생각된다.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은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51061호 공보에서, 급사부재 선단의 편사 공급부를 회전변위시키고, 정지상태에서는 최종 스티치로부터 대략 바로 상방 방향으로 편사가 연장되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급사부재인 얀 가이드 장치(yarn guide 裝置)의 구성과 인타샤 패턴의 편성방법을 개시하였다. 편사 공급부의 위치가 변하는 급사부재를 사용하면, 각 니들베드마다 복수 세트(set)의 캠을 구비하는 캐리지에 의하여 1코스를 편성할 때에 복수의 인타샤 패턴을 넣을 수 있다. 또한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23300호 공보에는, 편사를 안내하는 구멍을 구비하는 하단부(下端部)를 편침 사이의 틈 내에 삽입시키는 상하 방향의 변위(變位)에 의하여 급사부재인 얀 가이드 장치 사이의 간섭을 피하는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10은 인타샤 패턴20을 3개의 구간(區間)20a, 20b, 20c로 편성할 때에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26a, 26b, 26c가 변위되지 않는 노멀 캐리어(normal carrier)21a, 21b, 21c를 사용하는 경우를 (a)에,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27a, 27b, 27c가 변위되는 인타샤 캐리어22a, 22b, 22c를 사용하는 경우를 (b)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멀 캐리어21a, 21b, 21c를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20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편성할 때에는, 캐리지에 설치되는 편성용 캠이 각 니들베드마다 1세트이면 우측의 노멀 캐리어21c를 사용하여 구간20c로부터 편성을 시작하고, 다음에 중간의 노멀 캐리어21b에 의하여 구간20b를 편성하고, 최후에 좌측의 노멀 캐리어21a에 의하여 구간20a를 편성한다. 캐리지는 여러 번의 반전(反轉) 이동을 포함하는 이동을 하여야 한다. 노멀 캐리어21b, 21c의 스타트(start) 위치가 좌측의 구간20a, 20b측에 삽입되어 있고, 좌측의 구간20a, 20b를 먼저 편성하면 스타트 위치의 노멀 캐리어21b, 21c로부터 구간20b, 20c의 최초 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28이 구간20a, 20b를 편성할 때에 삽입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10(b)에 나타나 있는 인타샤 캐리어22a, 22b, 22c에서는, 스타트 위치에서는 좌측의 구간20a, 20b에 삽입되어 있는 인타샤 캐리어22b, 22c로부터 구간20b, 20c의 최초 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29는 편사 공급부27b, 27c의 회전변위에 의하여 대략 바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편사29는 좌측의 구간20a, 20b에는 거의 튀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좌측의 구간20a, 20b를 먼저 편성하더라도 삽입되는 경우는 없다. 좌측의 구간20a, 20b를 편성할 때에는, 인타샤 캐리어22b, 22c의 위치가 구간20a, 20b측에 삽입되어 있더라도 편사 공급부27b, 27c가 회전변위하여 편사29는 대략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타샤 캐리어22a, 22b, 22c를 사용하면 캐리지의 1회의 이동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20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편성할 수 있다.
최근,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횡편기를 사용하여 스웨터 등의 니트 의류를 통 모양으로 편성하여 무봉제로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본건 출원인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3-75656호 공보에서, 2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각 니들베드의 편침을 전후의 편성포에 교대로 할당함으로써 리브 편조직(rib stitch) 등의 전후 니들베드를 사용하는 편성포를 통 모양으로 편성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852호 공보에서는, 인타샤부(intersia 部)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개시하였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852호 공보에서는,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사 공급부가 변위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인타샤 전용(專用)의 급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사 공급부가 고정된 급사부재를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을 앞측 편성포에 디자인(design)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2개의 방법을 개시하였다. 동(同) 공보의 도2에 나타나 있는 제1실시예에서는, 뒤쪽 니들베 드에서의 뒤쪽 몸통에는 인타샤 패턴이 없더라도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 앞쪽 몸통의 인타샤 패턴의 경계부를 따라 분할편성(分割編成)하고, 편성 도중에 급사부재를 반전(反轉) 이동시켜 급사부재 사이의 간섭이나 드레드 재밍을 방지하는 되돌림 편성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인타샤 패턴과 대향(對向)하는 그라운드 부분의 코스를 편성할 때에, ① 인타샤 패턴용의 얀 캐리어를 인타샤 패턴의 범위 내로 이동시키는 되돌림을 한 후에 그라운드 부분을 인타샤 패턴의 전방까지 편성하고, ② 인타샤 패턴용 및 그라운드 부분용의 얀 캐리어를 인타샤 패턴의 범위 외로 이동시키는 되돌림을 한 후에 나머지 그라운드 부분을 편성하였다. 또한 동 공보의 도3에 나타나 있는 제2실시예에서는, 앞쪽 몸통의 인타샤 패턴의 편성에 사용한 급사부재를,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는 편성포 전체의 폭(幅)보다 외부로 대피시킴으로써 간섭이나 드레드 재밍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8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제1실시예에서는,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 되돌림 편성을 한다. 동 공보의 제[0011]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되돌림 편성에서는 급사부재가 반전이동하는 부분에서 스티치가 막혀서 편성포의 미관을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반전이동 부분의 스티치를 루즈(loose)하게 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지만 이렇게 조정하는 것은 어렵고 번거롭다. 또한 뒤쪽 몸통을 한 번에 편성하는 것이 아니라 분할하여 편성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생산성은 낮아지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되돌림을 할 필요 는 없지만 동 공보의 제[0012]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사를 직접 상방에서 급사부재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실(絲)을 공급하는 방법이 한정되어 색(色)의 수를 많게 할 수 없다.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5106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편성용의 급사부재를 사용하면, 색의 수나 실의 공급 방법에 관한 제한이 없어 되돌림에 따른 스티치를 조정할 필요도 없다. 다만 드레드 재밍의 문제는 반드시 해소되는 것은 아니라고 판명되었다. 편사 공급부가 변위하는 급사부재이더라도 인타샤 패턴의 경계부에서 정지하는 위치의 정밀도(精密度)는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다.
도11은,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FB에서 편침F에 인타샤 패턴의 최후 스티치를 형성하여 인타샤 캐리어의 편사 공급부22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편침F, G에서는, 편사23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의 신 루프(新 loop)가 형성되고, 구 루프(舊 loop)24가 녹 오버(knock over)되어 있다. 인타샤 캐리어의 편사 공급부22의 정지위치가 예를 들면 A의 범위이면,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F로부터 편사 공급부22로 연장되는 편사25를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e가 삽입하는 드레드 재밍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편사 공급부22와 편침F와의 사이에는 고저(高低) 차이가 있어 A의 범위는 편침e의 바로 상방을 약간 넘는 위치까지 넓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지 정밀도의 관계에 의하여 편사 공급부22를 A의 범위 내에 정지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 갭11의 상 부에 매달아서 설치되는 얀 가이드 레일14를 따라 캐리지16에 연동되어 주행하는 형식의 얀 캐리어15는, 캐리지16의 브리지부17로부터 출몰하는 전환 핀18에 결합되어 주행상태와 정지상태가 절환(切換)된다. 전환 핀18과의 결합이 풀어지면 얀 캐리어15는 얀 가이드 레일14의 도중에 정지한다. 얀 캐리어15와 얀 가이드 레일14와의 사이에는, 캐리지16에 연동되는 때에는 이동하기 쉽도록 슬라이딩 저항(sliding 抵抗)이 작아지게 되고, 캐리지16에 연동되지 않을 때에는 이동하기 어렵게 되어 양쪽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한 특성이 요구된다.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윤활유(潤滑油) 등을 도포(塗布)하고, 제동성(制動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마그넷(magnet)에 의한 흡착력(吸着力) 등이 이용되지만, 얀 캐리어의 정지 정밀도를 매우 높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인타샤 캐리어22a, 22b, 22c를 이용하더라도 편사 공급부22는 드레드 재밍이 발생하기 어려운 범위A 내에 정지할 수 없고 범위A 외부 등에서 정지하여 드레드 재밍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筒)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서도 드레드 재밍(thread jamming) 등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분할편성(分割編成)을 불필요하게 하여 생산성도 양호하게 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intersia pattern knitting fabric)의 편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 사이에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이 형성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양측단(兩側端)에서 연결된 통(筒) 모양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니들베드 갭에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복수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을 넣어서 편성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횡편기에는, 인타샤 편성의 전후에서 급사부재로부터 니들베드 갭에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인타샤 편성용 기능을 구비하고,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編針)으로부터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編絲 供給部)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있는 빈 편침에 훅(hook)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筒) 모양 편성포의 편성은, 니들베드 갭의 전후에 1개씩 니들베드가 배치되는 2베드 횡편기(two bed 橫編機)에서 각 니들베드의 편침을 교대로 앞측 편성포 편성용과 뒤측 편성포 편성용에 할당(割當)함으로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어 있는 편침으로서, 상기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속하고, 그 편침에 근접하는 편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니들베드의 편침에 대하여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캠(cam)을 복수 조씩 구비하는 캐리지(carriage)를 사용하여, 상기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으로부터 급사부재(給絲部材)의 편사 공급부로 연장되는 편사의 비어 있는 편침으로의 훅(hook)과 훅되어 있는 편사의 해제를 교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 갭을 구비하고,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니들베드 갭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인타샤 패턴 편성의 전후에서 급사부재로부터 니들베드 갭에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 횡편기(自動 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양측단에서 연결된 통 모양 편성포를, 미리 정해진 제어코드(制御 code)의 입력에 의거하여 인타샤 패턴을 넣어서 편성하기 위한 편성 프로그램(編成 program)을 생성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 프로그램 생성장치로서,
입력되는 제어코드에 인타샤 패턴 편성을 명령하는 제어코드가 있는가 없는가를 검출하는 인타샤 편성 검출수단(intersia 編成 檢出手段)과,
인타샤 편성 검출수단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 편성을 명령하는 제어코드가 검출될 때에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의 편성을, 그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으로부터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서 비어 있는 편침에 훅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제어동작을 삽입하는 제어삽입수단(制御揷入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 프로그램 생성장치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로서,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편성도이다.
도2는 도1에서의 캐리지 이동의 3코스에서 편사를 뒤쪽 니들베드측에 훅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우측면도이다.
도4는 도1에서의 편성방법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패턴 편성포를 편성할 때의 경계부에서의 연결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편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편성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인타샤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도7에서의 통 모양 편성포를 2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편성하는 경우의 편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2베드 횡편기의 측단면도이다.
도10은 노멀 캐리어와 인타샤 캐리어를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을 편성하는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인타샤 캐리어를 사용하여 드레드 재밍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로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무봉제(無縫製)의 통(筒) 모양 편성포의 앞쪽 몸통2, 7에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3, 8을 구비하도록 2베드(two bed)의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하는 경우의 상세한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간략화(簡略化)를 하기 위하여 각 부분의 편성에 사용되는 편침(編針)의 개수는 적게 한 상태에서 설명한다. 앞쪽 몸통 등의 앞측 편성포의 편성에는, 편침을 1개씩 걸러 대문자로 나타나 있는 편침A, B, C, D … 를 사용한다. 뒤쪽 몸통 등의 뒤측 편성포의 편성에는, 편침을 1개씩 걸러 소문자로 나타나 있는 편침a, b, c, d … 를 사용한다. 각 니들베드(needle bed)에 있어서, 대문 자의 편침A, B, C, D … 는 예를 들면 좌측으로부터 홀수번째, 소문자의 편침a, b, c, d … 는 짝수번째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캐리지(carriage)로서는, 각 니들베드에 대하여 2조의 캠(cam)을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캐리지의 일방(一方)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선행 시스템(先行 system)측의 캠을 L측, 후행 시스템(後行 system)측의 캠을 T측이라고 한다. 캐리지가 타방(他方)으로 이동할 때에는 선행 시스템과 후행 시스템이 교체된다. 얀 캐리어(yarn carrier)는,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인타샤 캐리어(intersia carrier)를 사용한다.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1-5106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캐리지에는, 인타샤 캐리어와 결합하는 전환 핀(轉換 pin) 이외에 편사 공급부(編絲 供給部)의 변위(變位)를 절환(切換)시키는 핀도 설치된다. 전환 핀에 의하여 편사 공급부의 회전변위(回轉變位)를 할 수도 있다. 각 핀은 각 캠의 위치에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①∼⑥으로서 나타나 있는 6코스의 캐리지 이동을 1사이클(1 cycle)로 하여 1사이클에서 2코스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캐리지 이동의 1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좌단(左端)으로부터 우측의 도중까지 이동시키고, 앞쪽 몸통을 L측 캠을 사용하여 편침F, G, H, I에 의한 인타샤 패턴 부분과 T측 캠을 사용하여 편침A, B, C, D, E에 의한 그라운드(ground)의 좌측 부분으로 나누어서 각각 편성한다.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타샤 패턴 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좌단은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그라운드 좌측 부분의 우단(右端) 편침E에 턱(tuck)하여 연결 한다. 이렇게 하여 인타샤 패턴과 그라운드 좌측 부분의 1코스가 편성된다.
캐리지 이동의 2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측의 도중으로부터 좌단으로 이동시키고, 앞쪽 몸통을 L측 캠을 사용하여 편침I, H, G, F에 의한 인타샤 패턴 부분과 T측 캠을 사용하여 편침E, D, C, B, A에 의한 그라운드의 좌측 부분으로 나누어서 편성한다. 인타샤 패턴 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우단은 그라운드 우측 부분의 좌단의 편침J에 턱하여 연결한다. 그라운드의 좌측 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우단은 인타샤 패턴 부분의 좌단의 편침F에 턱하여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인타샤 패턴과 그라운드 좌측 부분의 2코스가 편성된다.
캐리지 이동의 3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좌단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시키고, 편침a, b, c, d, e, f, g, h, i, j, k, l, m의 뒤쪽 몸통을 T측의 캠에 의하여 편성하면서 L측의 핀에 의하여 인타샤 캐리어를 편침F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되돌림을 하고, L측의 캠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의 좌단의 편침F로부터 인타샤 캐리어의 편사 공급부로 연장되는 편사를 뒤쪽 니들베드에 있어서 비어 있는 편침F에 훅(hook)시킨다. 편사의 훅을 선행하는 L측의 캠에 의하여 하기 때문에 뒤쪽 몸통을 T측의 캠에 의하여 편성할 때에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FB에서 인타샤 패턴의 좌단이 되는 편침F로부터의 편사는 뒤쪽 니들베드(rear needle bed)BB의 편침F를 경유하여 인타샤 캐리어의 편사 공급부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편사 공급부의 정지위치의 정밀도(精密度)가 도11에서의 범위A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가 있더라도 드레드 재밍(thread jamming)이 발생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뒤쪽 몸통의 그라운드 1코스가 편성된다.
캐리지 이동의 4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단으로부터 좌측의 도중으로 이동시키고, T측의 캠을 사용하여 편침M, L, K, J의 앞쪽 몸통의 그라운드 우측 부분을 편성한다. 캐리지 이동의 5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좌측의 도중으로부터 우단으로 이동시키고, T측의 캠을 사용하여 편침J, K, L, M의 앞쪽 몸통의 우측 부분을 편성한다. 앞쪽 몸통의 그라운드 우측 부분을 편성하는 편사의 좌단은 인타샤 패턴의 우단의 편침I에 턱하여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앞쪽 몸통의 그라운드 우측 부분의 1코스와 2코스가 편성된다.
캐리지 이동의 6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우단으로부터 좌단으로 이동시키고, L측의 캠을 사용하여 편침m, l, k, j, i, h, g, f, e, d, c, b, a의 뒤쪽 몸통의 그라운드를 편성하면서 T측의 핀에 의하여 인타샤 캐리어를 편침F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되돌림을 하고, T측의 캠에 의하여 뒤쪽 니들베드의 편침F를 진퇴(進退)시켜서 훅되어 있는 편사를 빼낸다. 이렇게 하여 뒤쪽 몸통의 그라운드 2코스가 편성되고, 뒤쪽 니들베드의 편침F에 훅되어 있는 편사가 빠진다.
도2 및 도3은, 본 실시예와 같이 편성 도중에 편사를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에 훅시키면 드레드 재밍을 방지할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1에서의 캐리지 이동의 3코스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에서 편성되는 인타샤 패 턴의 좌단의 편침F로부터 편사 공급부30으로 연장되는 편사31을 편사 공급부30의 되돌리는 것과 연동(連動)시켜서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F에 훅시킨다. 여기에서 훅(hook)이란, 편사31을 편침에 삽입하는 것만의 동작으로서,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F, G와 같이 구 루프(舊 loop)32의 녹 오버(knock over)를 동반하지 않는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F로부터 편사 공급부30으로 연장되는 편사31은, 뒤쪽 니들베드BB측의 다른 편침이 가상선(假想線)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41 내로 돌출하더라도 삽입되기 어렵다.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니들베드FB측의 편침F로부터 동일한 편사 공급부30으로 편사31이 연장되어 있으면, 뒤쪽 니들베드BB로부터 니들베드 갭41 내로 돌출하는 편침에 의하여 삽입되기 쉽다. 이 차이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드레드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F와 대향하는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F가 비어 있지 않은 때에는, 뒤쪽 니들베드BB에서 비어 있는 다른 편침에 훅시키면 좋다. 또한 인타샤 패턴,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diamond) 모양의 패턴이 가로 방향으로 나란한 경우에 복수의 인타샤 캐리어가 접근하여 정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타샤 캐리어 사이가 조금이라도 떨어지도록 훅하는 빈 편침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F와 뒤쪽 니들베드의 비어 있는 편침과의 사이에 연장되는 편사는,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다른 편침에 의하여 삽입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스티치 캠(stitch cam)에 의하여 편사31을 훅하고 있는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F의 삽입량(揷入量)을 크게 설정하면, 그 편침F로부터 편사 공급부30으로 연장되는 편사31은 훅으로부터 멀어져서 더 확실하게 드레드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도4는 자동 횡편기(自動 橫編機)에 의하여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성을 하기 위한 편성 프로그램(編成 program)의 생성을,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에 색 번호(色 番號)를 대응시킨 패턴 데이터(pattern data)를 이용하여 명령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편성 프로그램은, CAD장치에 오퍼레이터(operator)가 편성하는 편성포의 코스(course)를 단위로 하여 색 번호에 의하여 스티치(stitch)를 지정하는 제어코드(制御 code)를 입력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색 번호51은 프론트 니트(프론트 플레인(front plain), 평편성(平編成)의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나타내고, 색 번호52는 백 니트(백 플레인(back plain), 평편성의 백 스티치(back stitch))를 나타내고, 색 번호11은 프론트 턱(front tuck)을 나타내고, 색 번호12는 백 턱(back tuck)을 나타낸다. 색 번호13은 오토 얀 피더 포인트(auto yarn feeder point)로서, 전환 핀에 의하여 연동되는 인타샤 캐리어의 이동범위를 나타낸다. 우측에는 도1에서의 캐리지 이동의 코스①∼⑥을 대응시켜서 나타내었다. 또 인타샤 패턴은 앞쪽 몸통이나 뒤쪽 몸통에 2개의 장소 이상에 넣을 수도 있다. 5코스와 10코스는 앞쪽 니들베드에서의 인타샤 패턴 편성을 검출하여 자동으로 삽입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인타샤 패턴의 경계부(境界部)에서의 편성포의 연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서의 상세 편성에서 설명한 것은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양측 턱(兩側 tuck)61, 62에 의한 연결이다.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측 턱(片側 tuck)61에 의한 연결도 이용할 수 있다. 편측 턱에 의한 연결의 경우에는 보다 심플(simple)하게 인타샤 패턴을 편성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편성 가능한 통(筒) 모양 편성포의 단면(斷面) 형상을 나타낸다. 도6(a)는 도1에서의 상세 편성에서 설명한 스웨터 등의 완전한 통 모양 편성포70이다. 도6(b)는 카디건(cardigan) 등 일부가 분리되어 있는 통 모양 편성포71이다. 각 통 모양 편성포70, 71은 인타샤 패턴 부분72와 그라운드 부분73을 구비한다. 이러한 분리형(分離型)의 통 모양 편성포71이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인타샤 패턴을 넣은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도7(a)에 나타나 있는 다이아몬드 모양의 패턴의 인타샤 패턴 편성포3 등과 같이 인타샤의 패턴폭(pattern 幅)이 서서히 증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우에도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패턴폭이 일정한 인타샤 패턴 편성포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타샤 패턴을 편성할 수 있다. 편성폭(編成幅)이 계단(階段) 모양으로 급격하게 변화되는 인타샤 패턴을 앞쪽 몸통에 편성하는 경우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우선 편성을 끝낸 후, 이 상태에서 뒤쪽 몸통을 편성하고, 다음 코스의 바로 직전에서 코스의 시작점까지 프론트 턱하면서 편성하면 된다.
또한 도7(b)에 나타나 있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8과 같은 띠(帶) 모양의 영역은 카디건의 버튼(button) 구멍을 형성하는 편성포로서, 다른 편성포보다 강화(强化)하기 위하여 편사 등을 바꾸어 편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성포 영역은, 다른 편성포와는 다른 캐리어를 사용하여 편성하기 위하여 경계부에서 캐리어를 정지시켜야 하고,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드레드 재밍을 방지하여야 한다. 드레드 재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 뿐만 아니라 포켓(pocket) 등에서 부분적으로 편성포가 대향하는 경우에도 그 부분에 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인타샤 패턴」은, 장식(裝飾)으로서의 편성포 영역 뿐만 아니라 편사를 바꾸어 편성하는 영역의 경계에서 캐리어를 정지시키고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하여야 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에 있어서 뒤측 편성포에 「인타샤 패턴」이 있어 앞측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나 양측의 편성포에 「인타샤 패턴」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인타샤 편성용의 기능으로서, 편사 공급부30의 위치를 회전변위(回轉變位)시키는 스윙식(swing type)의 인타샤 캐리어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하 이동이나 좌우 이동을 급사부재(給絲部材)의 편사 공급부에 부여하는 기능이 있으면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본국 특허 제29031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에 캐리어 되돌림용의 강대(鋼帶)를 가설(架設)하고, 모터(motor)에 의하여 좌우 이동시키는 횡편기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캐리어를 조합시키는 경우 등에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는, 전후의 니들베드를 상하 2단씩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를 이용하면 편침을 1개 걸러 할당하지 않더라도 편성할 수 있다. 정지하고 있는 인타샤 캐리어와 편침과의 사이에 연장되는 편사는, 편성에 사용되는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측의 빈 편침에 훅시키면 드레드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고 명세서의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양쪽 측단(側端)에서 연결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사 공급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한다. 인타샤 패턴의 부분 편성에 사용되고 인타샤 패턴의 경계부 부근에서 정지하는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 로부터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으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서 비어 있는 편침에 훅시키기 때문에 드레드 재밍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인타샤 패턴의 경계 부근에서 분할편성(分割編成)을 위한 되돌림 편성을 할 필요가 없어 편성포의 품질을 향상시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베드 횡편기에서도 편침을 앞측 편성포 편성용과 뒤측 편성포 편성용으로 교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혼합된 리브 편조직(rib stitch)을 각각의 편성포에 형성할 수 있다. 일방(一方) 측에 있어서의 편성포 개개의 스티치는, 전후 니들베드의 어느 일방에 속하는 편침에 의하여 지지되고,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은 비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훅하는 빈 편침을 찾아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에 근접하고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있는 비어 있는 편침에 편사를 훅하기 때문에 편사가 연장되는 범위를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의 주위에 정지시켜 드레드 재밍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조의 캠을 구비하는 캐리지를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으로부터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 부로 연장되는 편사의 훅과 훅의 해제를,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해치지 않고 드레드 재밍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타샤 패턴 편성의 전후에서 편사 공급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양쪽 측단에서 연결된 통 모양 편성포를, 인타샤 패턴을 넣어서 편성하기 위한 편성 프로그램을 제어코드의 입력에 의거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어삽입수단은,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그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으로부터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로 연장되는 편사를, 대향하는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되는 니들베드에서 비어 있는 편침에 훅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하는 제어동작을 삽입하기 때문에 드레드 재밍의 발생을 방지하는 편성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드레드 재밍을 막기 위하여 되돌림 등의 편성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티치의 균일화(均一化)와 제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Claims (5)

  1. 복수의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 사이에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이 형성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양측단(兩側端)에서 연결된 통(筒) 모양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니들베드 갭에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복수 사용하여 인타샤 패턴(intersia pattern)을 넣어서 편성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횡편기에는, 인타샤 편성의 전후에서 급사부재로부터 니들베드 갭에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인타샤 편성용 기능을 구비하고,
    인타샤 패턴을 편성한 후에 편성에 사용된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부재를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 근방에 정지시키고,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編針)으로부터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編絲 供給部)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있는 빈 편침에 훅(hook)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하고,
    그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한 후에 훅되어 있는 편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筒) 모양 편성포의 편성은, 니들베드 갭의 전후에 1개씩 니들베드가 배치되는 2베드 횡편기(two bed 橫編機)에서 각 니들베드의 편침을 교대로 앞측 편성포 편성용과 뒤측 편성포 편성용에 할당(割當)함으로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 있는 편침으로서, 상기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속하고, 그 편침에 근접하는 편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의 편침에 대하여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캠(cam)을 복수 조씩 구비하는 캐리지(carriage)를 사용하여, 상기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으로부터 급사부재(給絲部材)의 편사 공급부로 연장되는 편사의 비어 있는 편침으로의 훅(hook)과 훅되어 있는 편사의 해제를 교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5. 복수의 대향하는 니들베드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베드 갭을 구비하고,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니들베드 갭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부재를 복수 구비하고, 인타샤 패턴 편성의 전후에서 급사부재로부터 니들베드 갭에 편사를 공급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 횡편기(自動 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측 편성포와 뒤측 편성포가 양측단에서 연결된 통 모양 편성포를, 미리 정해진 제어코드(制御 code)의 입력에 의거하여 인타샤 패턴의 편성코스마다 인타샤 패턴의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부재를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 근방에 정지시키면서 편성하기 위한 편성 프로그램(編成 program)을 생성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 프로그램 생성장치로서,
    입력되는 제어코드에 인타샤 패턴 편성을 명령하는 제어코드가 있는가 없는가를 검출하는 인타샤 편성 검출수단(intersia 編成 檢出手段)과,
    인타샤 편성 검출수단에 의하여 인타샤 패턴 편성을 명령하는 제어코드가 검출될 때에 그 인타샤 패턴이 편성되는 편성포와 대향하는 편성포의 편성을, 그 인타샤 패턴의 최종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으로부터 급사부재의 편사 공급부로 연장되는 편사를 그 편침이 속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서 비어 있는 편침에 훅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그 편성포의 편성 후에 훅되어 있는 편사를 해제시키는 제어동작을 삽입하는 제어삽입수단(制御揷入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 프로그램 생성장치.
KR1020037015398A 2001-05-25 2002-05-23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KR100540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6644 2001-05-25
JPJP-P-2001-00156644 2001-05-25
PCT/JP2002/004978 WO2002097178A1 (fr) 2001-05-25 2002-05-23 Procede de tricotage d'un motif intersia sur un tissu de tricotag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e programme de tricotage a cet eff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987A KR20040005987A (ko) 2004-01-16
KR100540376B1 true KR100540376B1 (ko) 2006-01-11

Family

ID=1900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398A KR100540376B1 (ko) 2001-05-25 2002-05-23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57294B2 (ko)
EP (1) EP1403409B1 (ko)
JP (1) JP3968074B2 (ko)
KR (1) KR100540376B1 (ko)
CN (1) CN1323205C (ko)
DE (1) DE60232972D1 (ko)
WO (1) WO20020971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4977A (zh) * 2010-12-16 2012-07-0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6267A1 (fr) * 2001-11-26 2003-06-05 Shima Seiki Mfg., Ltd. Procede de tricotage de motif intersia
US7096693B2 (en) * 2003-03-07 2006-08-29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fabric
JP4163130B2 (ja) 2004-02-17 200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インターシャ柄の編成方法と編地、ニットデザイン装置、及び編成プログラム
BE1016943A6 (nl) * 2006-01-13 2007-10-02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voor het vermijden van mengcontouren in poolweefsels.
EP1829994B1 (de) * 2006-03-01 2012-04-25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musterten Gestricks
KR101209645B1 (ko) * 2006-03-20 2012-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디자인 장치
JP5757751B2 (ja) * 2011-02-28 2015-07-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デザイン装置
DE102011108702B4 (de) * 2011-07-27 2014-05-15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mit Zierstichen sowie Gestrick
CN102747523B (zh) * 2012-07-24 2013-10-23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以三色袋加鹿子为基本组织的小图编织法
CN102776688B (zh) * 2012-07-27 2013-10-30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横编机中二色绞花的编织方法
CN102776687B (zh) * 2012-07-27 2013-10-23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四平针的5×5绞花编织方法
JP6071313B2 (ja) * 2012-08-07 2017-02-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物基材、および編物基材の編成方法
CN103668734B (zh) * 2012-08-31 2016-06-01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嵌花编织方法及系统
EP2835459B8 (de) * 2013-08-08 2021-07-14 KARL MAYER STOLL R&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tücks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wobei autark angetriebene Fadenführer bei ausgetriebenen Nadeln entgegen der Strickrichtung bewegt werden
EP2952616B1 (de) * 2014-06-02 2019-02-13 H. Stoll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ächigen oder räumlichen Gestricks
CN104389101B (zh) * 2014-11-12 2016-09-07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压纱杆和自动间圆机及嵌花织物的生产方法
CN107304495B (zh) * 2016-04-20 2019-10-18 艾尼特国际有限公司 嵌有连续线性材料并形成曲状的双面织物
US10609966B2 (en) 2017-09-29 2020-04-07 Lululemon Athletica Canada Inc. Pressure-distributing undergarment
IT201900009189A1 (it) * 2019-06-17 2020-12-17 Santoni & C Spa Manufatto tessile tubolare realizzato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ad intarsio e procedimento per realizzare un manufatto tessile tubolare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ad intarsi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139A (en) * 1980-04-01 1981-11-02 Shima Idea Center Knitting of intercia pattern and yarn introducing apparatus
JPS5771463A (en) * 1980-10-22 1982-05-04 Kouseishiya Kk Yarn guide apparatus in traverse type knitting machine
DE3424052A1 (de) 1984-06-29 1986-01-0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ignalumformer
JPS6151061A (ja) 1984-08-21 1986-03-13 Nippon Steel Chem Co Ltd 導電性樹脂成型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00831B2 (ja) 1989-08-17 1994-12-12 三田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CH686089A5 (fr) * 1991-08-02 1995-12-29 Steiger Sa Atelier Constr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DE4330071C2 (de) * 1993-09-06 1996-08-01 Schieber Universal Maschf Verfahren zum Stricken von Intarsia-Mustern auf Flachstrickmaschinen
JPH0931804A (ja) 1995-07-17 1997-02-04 Tsudakoma Corp シングル編地の編成方法
JPH09217254A (ja) * 1996-02-13 1997-08-19 Tsudakoma Corp 渡り糸止め部の形成方法
JPH101852A (ja) 1996-06-12 1998-01-06 Shima Seiki Mfg Ltd インターシャ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903152B2 (ja) * 1997-04-15 1999-06-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糸供給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4977A (zh) * 2010-12-16 2012-07-0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3409A1 (en) 2004-03-31
US20040172981A1 (en) 2004-09-09
EP1403409A4 (en) 2004-09-15
JPWO2002097178A1 (ja) 2004-09-16
DE60232972D1 (de) 2009-08-27
US6857294B2 (en) 2005-02-22
EP1403409B1 (en) 2009-07-15
JP3968074B2 (ja) 2007-08-29
CN1323205C (zh) 2007-06-27
KR20040005987A (ko) 2004-01-16
WO2002097178A1 (fr) 2002-12-05
CN1529776A (zh)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376B1 (ko)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EP1829996B1 (en) Method of knitting
EP1867768B1 (en) Method of knitting cylindrical fabric in weft knitting machine and weft knitting machine
EP1462555B1 (en) 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ed fabric
EP1264922B1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with a neck by a weft knitting machine and knit design system for producing the method
US6047569A (en) Method for holding a stitch loop
CN102859057B (zh) 相邻的针织物部的接合方法及针织物
KR20070087591A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GB2228750A (en) Knitting tubular fabric with fashion lines on a flat machine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KR10101335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US6397639B2 (en) Method of producing knitted articles with several knitting planes
US5016450A (en) Knit fabric with inlay pile yarn and method
EP2180093B1 (en) Cylindrical fabric knitting method
US71138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length of yarn of weft knitting machine
JP3406085B2 (ja) 筒状編地の編み幅側縁部に縄柄を編成する方法
JP2004332191A (ja) 丸編み機
JP3673107B2 (ja) 増目形成方法
JPH07238445A (ja) 天竺ジャカードの筒状編地編成方法
KR101361304B1 (ko)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JP3541097B2 (ja) 筒状編成における増し目形成方法
EP3956507A1 (en) Flat bed knitting machine
KR100684474B1 (ko) 양말 목부분의 편직방법
KR20220167232A (ko)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파일 편성포
KR20040074395A (ko) 의류용 환편기의 편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