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304B1 -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304B1
KR101361304B1 KR1020120108791A KR20120108791A KR101361304B1 KR 101361304 B1 KR101361304 B1 KR 101361304B1 KR 1020120108791 A KR1020120108791 A KR 1020120108791A KR 20120108791 A KR20120108791 A KR 20120108791A KR 101361304 B1 KR101361304 B1 KR 10136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knitting machine
flat knitting
thread
yarn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삼
김민재
김효수
이종협
Original Assignee
김희삼
이종협
김효수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삼, 이종협, 김효수, 김민재 filed Critical 김희삼
Priority to KR1020120108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8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breakage, misplacement, or malfunctioning of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 공급부의 위치를 움직여서 루프에 실이 걸리지 않게 하여서 한 번의 움직임으로 미스 동작과 니트(knitting)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횡편기의 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횡편기에 형성되는 얀가이드 레일에 조립되어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얀피더의 하부측에는 실 공급부와 회전드럼을 갖는 급사구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드럼은 전자석 커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실 공급부에 수용된 실의 방향을 바꾸어 루프에 자동 공급될 수 있고, 상기 회전드럼에 조립된 전자석 커버는 별도의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된 후,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YARN FEEDING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 공급부의 위치를 움직여서 루프에 실이 걸리지 않게 하면서 한 번의 움직임으로 미스(편성되지 않고 그냥 실 상태로 들어가는 것) 동작과 니트(knitting)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편기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recking) 가능하며 또한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코 이동(loop transfer)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스웨터 등의 니트웨어를 편성할 때에, 앞 몸통과 뒤 몸통의 양단에서 연속하는 통모양의 편성포로 하여 옷단으로부터 어깨 측을 향하여 앞몸통과 뒤몸통을 편성함과 아울러 몸통의 좌우에서 편성되는 소매를 각각 통모양으로 편성하고 이들 소매를 몸통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접합하고 또한 앞몸통과 뒤몸통을 어깨부분에서 접합함으로써 편성 완료한 후에 봉제 등의 후처리를 필요 없게 하거나 또는 경감시키는 무봉제 니트라고 불리는 편성 방법이 여러 가지로 고안되어 있다.
한편, 넥 라인을 형성하는 앞쪽 우측 몸통과 앞쪽 좌측 몸통으로 분기하여 편성하고 그 편성과정에 있어서 넥 라인의 가장자리를 따라 코늘임 스티치(widening stitch)를 함과 동시에 각 좌우의 앞쪽 몸통의 스티치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성을 반복하면서 앞쪽 몸통을 어깨까지 편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넥 라인을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넥 라인의 웨일 수(wale)가 늘어나고 그 결과 이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칼라는 칼라의 폭이 넓은 것으로 될 뿐만 아니라 넥 라인은 자연스럽게 앞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편성되는 앞쪽 몸통을 사용하여 스웨터를 제조하면 패션의 측면에서 우수하고 착용할 때에 머리가 용이하게 통화하므로 착용하기 편리한 니트 웨어가 된다.
그리고,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에 의한 시임리스 니트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홀수번째 바늘을 예를 들면 앞쪽 몸통이나 소매 앞부분 등의 앞쪽 부분 편성포용으로, 짝수 번째의 바늘을 뒤쪽부분 편성포용으로서 전후 니들베드의 바늘을 각각 1개씩 걸러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앞쪽부분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쪽부분의 편성포를 뒤쪽 니들베드에 결합(부속)시키고, 반대로 뒤쪽부분을 편성할 때에 앞측 편성포를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켜 각 편성포를 전후로 포갠 상태에서 편성함으로써 각각의 편성포는 코이동용의 빈 바늘(empty needle)을 대향 하는 니들베드 상에 항상 확보할 수 있고, 이 빈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링크스(links), 가아터(grrter), 리브(rib) 등의 안쪽 스티치(front stitch) 겉쪽 스티치(back stitch)가 혼재하는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을 편성하거나 소매나 몸통의 스티치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앞쪽부분의 편성포를 예를 들면 하부 앞쪽 니들베드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편성하고 뒤쪽부분의 편성포를 하부 뒤쪽 니들베드와 상부 앞쪽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 앞쪽 부분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쪽부분의 편성포를 하부 뒤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키고 반대로 뒤쪽부분을 편성할 때에 앞쪽부분의 편성포를 하부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켜 편성할 수 있기 때문에 2-베드 횡편기와 같이 바늘을 1개씩 걸러 사용하여야 하는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2-베드 횡편기의 전후 니들베드의 일방 또는 양방의 상위에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을 나란하게 설치하는 트랜스퍼 잭 베드(transfer jack bed)를 구비하는 타입의 횡편기를 사용하여 시임리스 니트를 편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티치 루프 홀딩(stitch loop holding) 방법, 소위 홀딩기술(holding technique)을 시임리스 니트에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홀딩(holding)이란,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slider)로 이루어지고, 술라이더는 2장의 얇은 판자를 포갠 것으로, 그 선단측에 텅(tongue)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니들(slider needle)이라고 불리우는 일종의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티치 홀딩 기술로서, 바늘 본체의 훅(hook)에 원래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더의 텅 상에서 별도의 스티치를 받아 동일한 하나의 바늘 상에는 다른 2개의 스티치를 서로 분리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 홀딩의 상세한 것에 관하여는 상기 공보를 참조하지만 이를 사용함으로써 스티치를 이동한 측의 바늘을 빈 바늘로 할 수 있고, 이를 사용하여 적당한 편성을 한 후에 홀딩 스티치(holding stitch)를 이 빈 바늘에 원래대로 이동하여 되돌리면 2-베드 횡편기의 경우에도 코 이동용의 빈 바늘을 미리 확보하지 않고 모든 바늘을 사용하여 니트 웨어를 시임리스로 편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임리스 니트가 듸는 니트 웨어에 대하여 칼라의 폭을 넓히고 동시에 넥 라인을 앞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하고 싶은 경우에, 예를 들면 니트 웨어로서 조끼(vest)를 편성하는 경우에서는 앞쪽 몸통 뿐만 아니라 이에 대치되어 병행하여 일체로 편성되는 뒤쪽 몸통과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편성하여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방법은 미스를 넣을 때 미스가 들어가는 위치에 바늘이 움직이지 않아서 미스(miss) 동작을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 공급부의 위치를 움직여서 루프에 실이 걸리지 않게 하여서 한 번의 움직임으로 미스 동작과 니트(knitting)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횡편기에 형성되는 얀가이드 레일에 조립되어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얀피더의 하부측에는 실 공급부와 회전드럼을 갖는 급사구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드럼은 전자석 커버의 작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실 공급부에 수용된 실의 방향을 바꾸어 루프에 자동 공급될 수 있고, 상기 회전드럼에 조립된 전자석 커버는 별도의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된 후,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 공급부의 위치를 움직여서 루프에 실이 걸리지 않게 하여서 한 번의 움직임으로 미스 동작과 니트(knitting)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스(편성되지 않고 그냥 실 상태로 들어가는 것)로 인한 색상을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형성되어 조립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실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도 3과 같이 횡편기에 형성되는 얀가이드 레일(10)에 조립되어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얀피더(20)의 하부측에는 복수의 급사구(22)를 갖는 작동바(21)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바(21) 부분은 상기 얀가이드 레일(10)을 타고 이동하는 얀피더(20)와 일체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21)의 하측에는 실(27) 공급 회전드럼(24)을 갖는 급사구(22)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24)의 내부에는 복수의 구멍(26)을 갖는 실 공급부(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24)은 전자석 커버(23)의 작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급사구(22)에 수용된 실 공급부(25)의 방향을 바꾸게 되는 구성이다.
이때, 실 공급부(25)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실(27)은 루프(28)가 걸어 편침에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전자석 커버(23)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드럼(24)의 방향이 바꾸어지면 최초에 실은 짜여지지 않고 회전되어진 실이 짜여지게 된다.
즉, 실 공급부(25)의 내부에 삽입되는 실(27)은 회전드럼(24)의 회전으로 인하여 루프(28)에 자동으로 걸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드림(24)에 조립된 전자석 커버(23)는 별도의 외부 컨트롤러(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제어부(미도시 됨)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실 공급부(25)를 고정시킨 회전드럼(24)과 전자석 커버(23)에 형성된 자석 방향(N/S)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24)은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24)에 삽입되는 실 공급부(25)는 도 3의 (a)(b)(c)와 같이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24)에 삽입되는 실 공급부(25)는 복수의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실을 각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색상이 다른 실(27)을 루프(28)에 공급하여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횡편기에 설치되는 얀피더(20)에 형성된 급사구(22) 내부에는 전자석 커버(23)와 조립되는 회전드럼(24)이 자력의 작용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24) 중앙에 수용되는 복수의 실 공급부(25)는 상기 회전 드럼(24)의 회전과 동일하게 작동하게 하면서 실(27)의 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 공급부(25)의 위치를 움직여서 루프(28)에 실(27)이 걸리지 않게 하여서 한 번의 움직임으로 미스 동작과 니트(knitting)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과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스(편성되지 않고 그냥 실 상태로 들어가는 것)로 인한 색상을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얀가이드 레일 20. 얀피더
21. 작동바 22. 급사구
23. 전자석 커버 24. 회전드럼
25. 실 공급부 26. 구멍
27. 실 28. 루프

Claims (3)

  1. 횡편기에 형성되는 얀가이드 레일(10)에 조립되어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얀피더(20)의 하부측에는 실 공급부(25)와 회전드럼(24)을 갖는 급사구(22)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드럼(24)은 전자석 커버(23)에 형성된 자석의 자력(N/S) 작용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실 공급부(25)에 수용된 실(27)의 방향을 바꾸어 루프(28)에 자동 공급될 수 있고, 상기 회전드럼(24)에 조립된 전자석 커버(23)는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된 후,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24)에 삽입되는 실 공급부(25)는 복수의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실을 각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커버(23)의 작동으로 회전하는 회전드럼(24)의 방향이 바꾸어지면 최초에 실은 짜여지지 않고 회전되어진 실이 짜여지게 됨과 함께 실 공급부(25)의 내부에 삽입되는 실(27)은 회전드럼(24)의 회전으로 인하여 루프(28)에 자동으로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KR1020120108791A 2012-09-27 2012-09-27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KR10136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91A KR101361304B1 (ko) 2012-09-27 2012-09-27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91A KR101361304B1 (ko) 2012-09-27 2012-09-27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304B1 true KR101361304B1 (ko) 2014-02-11

Family

ID=5027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791A KR101361304B1 (ko) 2012-09-27 2012-09-27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56B1 (ko) * 2019-12-17 2020-05-15 김래곤 환편기용 공급사 자동 매듭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590A (ko) * 1990-12-24 1992-07-27 유재풍 공기를 이용한 편물기의 원사공급 자동장치
KR980008185U (ko) * 1996-07-31 1998-04-30 장병인 환편기용 급사 장치
JPH1161606A (ja) * 1997-08-21 1999-03-05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糸供給装置
WO2010121803A1 (de) * 2009-04-23 2010-10-28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längs einer fadenführerschiene beweglichen fadenführ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590A (ko) * 1990-12-24 1992-07-27 유재풍 공기를 이용한 편물기의 원사공급 자동장치
KR980008185U (ko) * 1996-07-31 1998-04-30 장병인 환편기용 급사 장치
JPH1161606A (ja) * 1997-08-21 1999-03-05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糸供給装置
WO2010121803A1 (de) * 2009-04-23 2010-10-28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längs einer fadenführerschiene beweglichen fadenführ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56B1 (ko) * 2019-12-17 2020-05-15 김래곤 환편기용 공급사 자동 매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275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KR10114161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과 편성포 및 편성 프로그램
CN102859057B (zh) 相邻的针织物部的接合方法及针织物
EP1842948A4 (en) METHOD FOR PRODUCING A DOUBLE TUBE ON THE FLAT KNITTING MACHINE
JP2017014676A5 (ko)
KR100540376B1 (ko) 인타샤 패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 프로그램생성장치
KR20150106364A (ko)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JPWO2008139710A1 (ja) プレーティング編成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ならびにデザイン装置
KR100768346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웨어의 칼라 부분의 편성방법 및 그니트웨어
CN102086560A (zh) 针织物的编织方法和针织物
JP3968081B2 (ja) インターシャ柄編地の編成方法
JP5702576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CN101765684B (zh) 在周缘部的至少一部分上具有圆弧状针织物部分的针织物及其编织方法
KR101361304B1 (ko) 다양한 형태의 횡편기 실 공급장치
JP2014025159A (ja) 編地の編成方法
CN102140725B (zh) 添纱编织方法
CN103320954A (zh) 针织机起口、扎口机构
US6668594B2 (en) Tubular fabric plating method using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JP5543927B2 (ja) V首剣先部を有する衿付き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08007917A (ja) 靴下編機
KR101844739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US20180317575A1 (en) Multipurpose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63957A (ko)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JP2010133060A (ja) ダブル編用丸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