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449B1 -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449B1
KR100831449B1 KR1020067018302A KR20067018302A KR100831449B1 KR 100831449 B1 KR100831449 B1 KR 100831449B1 KR 1020067018302 A KR1020067018302 A KR 1020067018302A KR 20067018302 A KR20067018302 A KR 20067018302A KR 100831449 B1 KR100831449 B1 KR 10083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hot
high strength
dip galvanized
composite 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602A (ko
Inventor
히로까즈 다니구찌
도시끼 노나까
겐이찌로 마쯔무라
유우끼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heating
    • C23C2/0224Two or more thermal pre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4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cleaning or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4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f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 C23C28/322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 C23C28/322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pure metallic layer only coatings of metal elements only with at least one zinc-bas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C23C28/34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with at least one oxide layer
    • C23C28/345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with at least one oxide layer with a refractory ceramic layer, e.g. refractory metal oxide, ZrO2, rare earth oxides or a thermal barrier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refractory oxid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과 그 제조 방법이다. 강판은 C : 0.01 내지 0.3 %, Si : 0.005 내지 0.6 %, Mn : 0.1 내지 3.3 %, P : 0.001 내지 0.06 %, S : 0.001 내지 0.01 %, Al : 0.01 내지 1.8 %, N : 0.0005 내지 0.01 %를 포함하고, 금속 조직이 페라이트와 면적률 5 % 이상 60 % 이하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로 이루어진다. 제조 방법은 상기 성분을 포함하는 슬래브를 열간 압연한 후 냉간 압연하고,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에서 Ac1 내지 Ac3 + 100 ℃로 가열하여 30초 내지 30분 유지한 후, 1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450 내지 600 ℃로 냉각하고, 이 온도에서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1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하고, 200 ℃ 이상 500 ℃ 이하에서 1초 내지 5분 유지한 후, 5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100 ℃ 이하까지 냉각한다.
성형성, 구멍 확장성,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슬래브

Description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ZINC HOT DIP GALVANIZED COMPOSITE HIGH STRENGTH STEEL PLATE EXCELLENT IN FORMABILITY AND BORE-EXPANDING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연비 향상, 차체 경량화가 한층 요구되고 있고, 경량화로 인해 고강도 강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 고강도 강판은 강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성형이 곤란해지고, 특히 강재의 연신률이 저하된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강도와 연신률의 양쪽이 높은 TRIP강(고잔류 오스테나이트강)이 자동차의 골격 부재에 사용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TRIP강은 1 %를 넘는 Si를 함유하므로 도금이 균일하게 부착되기 어려워, 적용할 수 있는 부재는 한정된다. 또한, 잔류 오스테나이트강에 있어서 고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C첨가가 필요하고, 너깃 균열 등의 용접상의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Si량 저감을 목적으로 한 용융 아연 도금 고강도 강판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5288호 공보에서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도금성과 연성의 향상은 요구할 수 있지만, 전술한 용접성의 개선은 요구할 수 없는데다가 TS ≥ 980 ㎫의 TRIP강에서는 매우 높은 항복 응력이 되므로, 프레스 시 등에서 형상 동결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DP강(복합 조직강)으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먼저 일본 특허 출원 제2003-239040호 공보에서 Si, Al, TS 밸런스를 특정한 범위로 하여 항복 응력이 낮은 DP강으로 지금까지 이상의 연신률을 확보할 수 있는 용융 아연 도금 고강도 강판을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는, 부재에 따라서는 가공 구멍부를 확장하여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버링 가공이 행해지는 부재도 적지 않고, 더불어 구멍 확장성도 중요한 특성으로서 갖는 강판이 요구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 요망에 대해 상술한 특허문헌 2에서 제안한 바와 같은 페라이트 + 마르텐사이트의 DP강에서는 마르텐사이트와 페라이트의 강도 차가 크기 때문에, 구멍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공업적 규모로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성형성, 도금 밀착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조직 고강도 강판과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DP강에 있어서, 강성분의 최적화, 즉 Si량의 저감, Al을 대체 원소로 함으로써 용융 아연 도금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게다가 Si와 Al의 관계식을 특정하는 동시에, C, Mn의 첨가량을 제한함으로써 강도와 연신률의 양쪽이 우수한 재질 특성을 갖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용융 아연 도금 공정 후에 필요한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구멍 확장성이나 취성이 안정된 재질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기술 사상에 의해 설계된 강판은 항복 응력이 낮은 DP강에 있어서, 종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강에 준하는 페라이트와 면적률 5 % 이상 60 % 이하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주체로 한 금속 조직으로 함으로써 지금까지 이상의 연신률을 확보할 수 있고,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에 적합한 DP 조직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연 파괴나 2차 가공 취성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5 %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허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 사상을 기초로 하는 것으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질량 %로, C : 0.01 내지 0.3 %, Si : 0.005 내지 0.6 %, Mn : 0.1 내지 3.3 %, P : 0.001 내지 0.06 %, S : 0.001 내지 0.01 %, Al : 0.25 내지 1.8 %, N : 0.0005 내지 0.01 %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금속 조직이 페라이트와 면적률 5 % 이상 60 % 이하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2)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이 질량 %로, Mo : 0.05 내지 0.5 %, V : 0.01 내지 0.1 %, Ti : 0.01 내지 0.2 %, Nb : 0.005 내지 0.05 %, Cu : 1.0 % 이하, Ni : 1.0 % 이하, Cr : 1.0 % 이하, Ca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B : 0.0003 내지 0.002 %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3)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은, Si, Al의 질량 %와 목표의 인장 강도(TS)가 하기 1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TS 목표치] :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 : Si 질량 %, Al : Al 질량 %
(4) 질량 %로, C : 0.01 내지 0.3 %, Si : 0.005 내지 0.6 % , Mn : 0.1 내지 3.3 %, P : 0.001 내지 0.06 %, S : 0.001 내지 0.01 %, Al : 0.25 내지 1.8 %, N : 0.0005 내지 0.01 %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열간 압연한 후 냉간 압연하고,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에서 Ac1 내지 Ac3 + 100 ℃의 온도로 가열하여 30초 내지 30분 유지한 후, 1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450 내지 600 ℃의 온도로 냉각하고, 계속해서 이 온도에서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1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한 후, 200 ℃ 이상 500 ℃ 이하의 온도로 1초 내지 5분 유지한 후, 5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100 ℃ 이하까지 냉각함으로써 페라이트와 면적률 5 % 이상 60 % 이하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로 이루어지는 금속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5) 상기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에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6) 상기 아연 도금층 또는 합금화아연 도금층 상에 크로메이트 처리, 무기 피막 처리, 화성 처리, 수지 피막 처리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후처리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7)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이 질량 %로, Mo : 0.05 내지 0.5 %, V : 0.01 내지 0.1 %, Ti : 0.01 내지 0.2 %, Nb : 0.005 내지 0.05 %, Cu : 1.0 % 이하, Ni : 1.0 % 이하, Cr : 1.0 % 이하, Ca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B : 0.0003 내지 0.002 % 중 1종 또는 2정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8)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은, Si, Al의 질량 %와 목표의 인장 강도(TS)가 하기 1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TS 목표치] :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 : Si 질량 %, Al : Al 질량 %
(9) 상기 냉간 압연으로부터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 사이에 Ni, Fe, Co, Sn, Cu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예비 도금을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10) 상기 예비 도금 전에 강판에 산세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에 기재된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우선, 본 발명에 규정하는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성분 및 금속 조직의 한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C는 강도 확보와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안정화의 기본 원소로서 필수의 성분이다. C가 0.01 % 미만에서는 강도를 확보할 수 없고, 또한 마르텐사이트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0.3 %를 넘으면, 강도가 지나치게 올라가 연성이 부족해지는 동시에 용접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C의 범위는 0.01 내지 0.3 %, 바람직하게 는 0.03 내지 0.15 %이다.
Si는 강도와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되는 원소이지만, 0.6 %를 넘는 첨가에 의해 용융 아연 도금성이 열화된다. 이로 인해, Si의 범위는 0.005 내지 0.6 %로 하고, 또한 용융 아연 도금성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0.1 % 이하가 바람직하다.
Mn은 강도 확보의 관점으로부터 첨가가 필요한 것인 데다가 탄화물의 생성을 지연시키는 원소이고, 오스테나이트의 생성에 필요한 원소이다. Mn이 0.1 % 미만에서는 강도가 만족되지 않는다. 또한, Mn이 3.3 %를 넘는 첨가에서는 마르텐사이트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강도 상승을 초래하는 동시에 강도에 변동이 커지는 것 외에, 연성이 부족하여 공업 재료로서 사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Mn의 범위는 0.1 내지 3.3 %로 하였다.
P는 강판의 강도를 높이는 원소로서 필요한 강도 레벨에 따라서 첨가하지만, 첨가량이 많으면 입계에 편석하므로 국부 연성을 열화시키고, 동시에 용접성도 열화시키므로, P의 상한치는 0.06 %로 하였다. 한편, P의 하한은 정련의 비용 상승을 회피하기 위해 0.001 %로 하였다.
또한, S는 MnS를 생성함으로써 국부 연성, 용접성을 열화시키는 원소이고, 강 중에 존재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한 원소이므로 상한을 0.01 %로 하였지만, 하한은 정련의 비용 상승을 회피하기 위해 0.001 %로 하였다.
Al은 페라이트 생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원소이고, 연성 향상에 유효하고, 또한 다량의 첨가라도 용융 아연 도금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게다가 탈산 원소로서도 작용한다. 따라서, 연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Al은 0.25 %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지만, Al을 과도하게 첨가해도 상기 효과는 포화되고, 오히려 강을 취화시키는 동시에 용융 아연 도금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그 상한 1.8 %로 하였다.
N은 불가피하게 포함되어 있는 원소이지만, 다량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시효성을 열화시킬 뿐만 아니라, AlN 석출량이 많아져 Al 첨가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0.01 % 이하의 함유가 바람직하다. 또한, 불필요하게 N을 저감시키는 것은 제강 공정에서의 비용이 증대되므로, 0.0005 %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 도금 밀착성 개선으로 인해 Si의 대체로서 다량으로 Al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특히 0.25 %, ≤ Al ≤ 1.8 %인 경우에 Al, Si와 TS 밸런스를 다음의 1식의 범위로 함으로써 충분한 페라이트를 확보할 수 있고, 용융 아연 도금성과 연성의 양쪽을 한층 확보할 수 있다.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단, 상기 1식에서 [TS 목표치]는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는 Si 질량 %, Al은 Al 질량 %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에 부가하여, Mo : 0.05 내지 0.5 %, V : 0.01 내지 0.1 %, Ti : 0.01 내지 0.2 %, Nb : 0.005 내지 0.05 %, Cu : 1 % 이하, Ni : 1 % 이하, Cr : 1 % 이하, Ca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B : 0.0003 내지 0.002 %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첨가할 수 있다.
Mo는 강판의 강도와 켄칭성에 효과가 있고, 0.05 % 미만에서는 Mo 특유의 켄칭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고, 충분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않아 강도가 부족해진다. 한편, 0.5 % 이상의 첨가는 페라이트 생성을 억제하여 연성을 열화하고, 동시에 도금성도 열화시키기 때문에 0.5 %를 상한으로 하였다.
V, Ti, Nb는 강도 향상의 목적으로, V : 0.01 내지 0.1%, Ti : 0.01 내지 0.2 %, Nb : 0.005 내지 0.05 %의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Cr, Ni, Cu도 강화 원소로서 첨가할 수 있지만 1 % 이상에서는 연성 및 화성 처리성이 열화된다. 또한, Ca, REM은 개재물 제어와 구멍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각각 Ca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의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B는 켄칭성과 BN 석출에 의한 유효 Al을 증가시키는 관점으로부터 B : 0.0003 내지 0.002 %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판의 조직을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복합 조직으로 하는 이유는 강도 및 연성 밸런스가 우수한 강판을 얻기 위해서이다. 페라이트라 함은, 폴리고날 페라이트,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어닐링 후의 냉각에 의해 일부 베이나이트가 생성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가 잔존하면 2차 가공 취화나 지연 파괴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잔존하는 퇴적률 5 % 이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허용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 함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최대의 특징은 강 중에 면적률 5 % 이상 60 % 이하인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를 갖는 것이다. 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는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의 냉각 과정에서 생성한 마르텐사이트가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이하의 냉각 후, 200 내지 500 ℃의 가열 처리에 의해 템퍼링되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된다. 여기서, 템퍼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이 5 % 미만에서는 조직간의 경도차가 지나치게 커져 구멍 확장률의 향상이 보이지 않고, 한편, 60 % 초과에서는 강판 강도가 지나치게 저하되므로 템퍼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률은 5 % 이상 60 % 이하로 하였다. 또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5 % 이하로 하여 지연 파괴나 2차 가공 취화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실질적으로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와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주상이 되어 강판 중에 밸런스 좋게 존재함으로써 가공성과 구멍 확장률이 개선되는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에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온도 이하까지 냉각한 후, 가열 및 템퍼링 처리하는 것은 도금 전에는 도금 공정에 의해 더 템퍼링되어 원하는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량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소재는 상술한 강 성분 조성을 포함하는 슬래브를 일반적인 열간 압연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된 열간 압연 강판을 산세정하여 냉간 압연한 후, 연속 용융 아연 도금 라인의 가열 공 정에서 Ac1 내지 Ac3 + 100 ℃의 온도 범위에서 어닐링된다. 이 경우, 어닐링 온도가 Ac1 미만인 온도에서는 강판 조직이 불균일해지고, 한편 Ac3 + 100 ℃를 넘는 온도에서는 오스테나이트가 조대화되고, 페라이트 생성이 억제되어 연성이 저하된다. 경제적 관점으로부터는, 상한의 온도는 9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닐링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은 층상 조직을 괴리하므로 30초 이상 30분 이하가 바람직하다. 30분 초과의 유지 시간은 상기 효과가 포화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닐링된 강판은 계속해서 냉각되지만, 이 냉각 시에는 1 ℃/s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450 내지 600 ℃까지 냉각된다. 냉각 온도가 600 ℃ 초과에서는 강판 중에 오스테나이트가 잔류되기 쉬워지는 동시에 2차 가공성, 지연 파과성이 열화된다. 한편, 450 ℃ 미만에서는 이 후의 용융 아연 도금 처리에 대해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도금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냉각 속도는 1 ℃/s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s 이상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닐링이 실시되어 냉각된 강판은 용융 아연 도금 처리 동안에 300 내지 500 ℃의 온도에서 60초 내지 20분 유지하는 과시효 처리를 실시해도 지장이 없다. 이 과시효 처리는 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지만, 전술한 조건 정도의 과시효 처리이면 재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처리된 강판은 계속해서 용융 아연 도금 처리가 실시되지만, 이 도금 처리는 통상 행해지고 있는 도금 조건에 지장이 없다. 용융 아연 도금욕의 온도는 종래부터 적용되고 있는 조건이 좋고, 예를 들어 440 내지 500 ℃라는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용해 금속으로서는, 아연이 주체이면 불가피하게 Pb, Cd, Ni, Fe, Al, Ti, Nb, Mn 등을 함유해도 좋다. 또한, 도금층의 품질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금층이 Mg, Ti, Mn, Fe, Ni, Co, Al을 소정량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용융 아연 도금량으로서는 강판 한쪽 면당 3O 내지 200 g/㎡로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에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여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으로 해도 지장이 없다. 이 경우, 합금화 처리 조건으로서는 470 내지 600 ℃로 함으로써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층 내의 Fe 농도가 적정화되어, 예를 들어 Fe를 mass %로, 7 내지 15 %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혹은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 강판은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온도 이하까지 냉각하여 강판 내에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생성시킨다. 마르텐사이트 변태점(Ms)은 Ms(℃) = 561 - 471 × C(%) - 33 × Mn(%) - 17 × Ni(%) - 17 × Cr(%) - 21 × Mo(%)에서 구해지지만, Ms(℃) 이상에서는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냉각에 있어서의 냉각 속도는 1 ℃/s 이상이 바람직하다. 확실하게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3 ℃/s 이상의 냉각 속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처리된 강판은 계속해서 200 ℃ 이상 500 ℃ 이하의 온도에서 1초 내지 5분간 유지된 후, 5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100 ℃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된다. 이 가열 처리에 있어서, 200 ℃ 미만의 온도에서는 템퍼링이 일어나지 않고, 조직간의 경도차가 커져 구멍 확장률의 향상이 인정되지 않고, 한편 500 ℃ 초과에 서는 지나치게 템퍼링되어 강도가 저하된다. 이 가열 공정은 연속 용융 아연 도금 라인에 연속 설치된 것으로, 다른 라인이라도 상관없지만, 연속 용융 아연 도금 라인에 연속 설치된 라인의 쪽이 생산성의 관점으로부터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지 시간이 1초 미만에서는 템퍼링이 거의 진전되지 않거나, 불완전한 상태가 되어 구멍 확장률의 향상이 인정되지 않는다. 또한, 5분을 넘으면 템퍼링은 거의 종료되어 있으므로, 이 이상의 시간에서는 효과는 포화된다. 또한, 가열 후의 냉각은 소정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량을 유지하기 위해 5 ℃/s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서 제조된 용융 아연 도금 강판, 혹은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의 표층에 크로메이트 처리, 무기 피막 처리, 화성 처리, 수지 피막 처리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후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간 압연 후로부터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 사이에서 Ni, Fe, Co, Sn, Cu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g/㎡의 예비 도금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도금의 방법은 전기 도금, 침지 도금, 스프레이에 의한 도금 중 어떠한 방법으로도 채용할 수 있다. 도금 부착량은 0.01 g/㎡ 미만에서는 도금에 의한 밀착성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g/㎡ 초과에서는 비용이 들기 때문에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로 하였다. 또한, 상기 예비 도금 전에 산세정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이 산세정 처리에서 강판 표면을 활성화하여 예비 도금의 도금 밀착 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연속 어닐링 공정에서 산세정 처리하여 강판 표면에 생성한 Si, Mn 등의 산화물을 제거함으로써 도금 밀착성을 개선하는 수단도 효과적이다. 산세정은 염산, 황산 등 종래부터 적용되고 있는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어 2 내지 20 %의 산세정액 농도 20 내지 90 ℃의 온도에서의 산세정 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침지, 전해, 스프레이 등 설비에 따른 산세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산세정 시간은 산농도에도 의존하지만 1 내지 20초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금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금 전의 강판 표층 근방에 내부 산화층이나 입계 산화물을 생성시켜 Mn, Si의 표면 농화를 방지하거나,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의 입구측의 청정 설비로 연삭 브러시에 의한 표면 연삭을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
표1에 나타낸 성분 조성을 갖는 강을 진공 용해로에서 용해 및 주조한 강슬래브를 1200 ℃로 재가열한 후, 열간 압연에 있어서 880 ℃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으로 한 후, 냉각하여 600 ℃의 온도로 1시간 유지함으로써 열간 압연의 권취 열처리를 재현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게 된 열간 압연 강판을 연삭에 의해 스케일 제거하고, 70 %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연속 어닐링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800 ℃의 온도로 가열한 후, 그 온도로 100초간 유지하는 연속 어닐링을 행하고, 계속해서 5 ℃/s에서 650 ℃까지 냉각한 후, 460 ℃에서 용융 아연 도금을 실시하고, 520 ℃의 온도에서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이하에 서술하는 2종류의 제조 방법, 즉 종래의 방법과 본 발명 방법에서 아연 도금 강판을 제조하였다.
(1) 비교예 : 그 후, 10 ℃/s에서 상온까지 냉각.
(2) 본 발명예 : 그 후, 10 ℃/s에서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이하까지 냉각한 후, 300 ℃의 온도에서 60초의 가열을 행하고, 계속해서 20 ℃/s의 냉각 속도로 100 ℃ 이하까지 냉각.
그 결과를 표2, 표3에 나타냈다.
또한, 표2, 표3에 있어서 나타내는 인장 강도(TS), 구멍 확장률, 금속 조직, 도금 밀착성, 도금 외관, 합격 판정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다.
ㆍ 인장 강도 : JIS5호 인장 시험 부재의 L방향 인장으로 평가하였다.
ㆍ구멍 확장률 : 일본 철강 연맹 규격, JFS T1001-1996 구멍 확장 시험 방법을 채용. 10 ㎜ø의 펀칭 구멍(다이 내경 10.3 ㎜, 클리어런스 12.5 %)에 꼭지각 60°의 원추 펀치를 펀칭 구멍의 버어가 외측이 되는 방향으로 20 ㎜/분으로 압박 확장하여 성형한다.
구멍 확장률 : λ(%) = {(D - D0)/D0} × 100
D : 균열이 판 두께를 관통하였을 때의 구멍 직경(㎜)
D0 : 초기 구멍 직경(㎜)
ㆍ금속 조직 : 광학 현미경에서의 관찰 및 페라이트는 나이탈 에칭, 마르텐사이트는 리펠러 에칭으로 관찰.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면적률의 정량화는 레펠러 에칭으로 시료를 연마(알루미나 처리)하고, 부식액[순수(純水), 피로아황산나트륨, 에틸 알코올, 피크린산의 혼합액]에 10초간 침지한 후, 다시 연마하여 물 세정한 후 이 시료를 냉풍으로 건조시키고, 그 후, 시료의 조직을 1000배이고 100 ㎛ × 100 ㎛인 영역을 루젝스 장치에 의해 면적 측정하여 템퍼링 마르텐사이트의 면적 %를 결정하였다. 표2, 표3에서는 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면적률을 템퍼링 마르텐사이트 면적 %로 하였다.
ㆍ도금 밀착성 : 60 °V 구부림 시험에서 구부림부의 도금 박리 상황으로부터 평가.
◎ : 도금 박리 작음(박리 폭 3 ㎜ 미만)
○ : 실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의 경미한 박리(박리 폭 3 ㎜ 이상 7 ㎜ 미만)
△ : 상당량의 박리가 보이는 것(박리 폭 7 ㎜ 이상 10 ㎜ 미만)
× : 박리가 현저한 것(박리 폭 10 ㎜ 이상)
도금 밀착성은 ◎, ○를 합격으로 하였다.
ㆍ도금 외관 : 눈으로 확인하여 관찰
◎ : 비도금이나 불균일이 없고 균일 외관
○ : 비도금이 없고 실용상 지장이 없을 정도의 외관 불균일
△ : 외관 불균일이 현저한 것
× : 비도금이 발생, 또한 외관 불균일이 현저한 것
도금 외관은 ◎, ○를 합격으로 하였다.
ㆍ합격 : TS ≥ 540 ㎫, TS × El ≥ 18,000
구멍 확장률 : TS < 980 ㎫ … 50 % 이상을 합격
TS ≥ 980 ㎫ … 40 % 이상을 합격
[표1] 성분
Figure 112006064987093-pct00008
[표1] (이어서)
Figure 112006064987093-pct00009
[표2] 제법 ①
Figure 112006064987093-pct00010
[표2] (이어서)
Figure 112006064987093-pct00011
[표3] 제법 ②
Figure 112006064987093-pct00012
[표3] (이어서)
Figure 112006064987093-pct00013
제1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3에 기재한 본 발명예는 표2에 기재한 동일한 실험 번호의 비교예에 반해,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량이 증가한 것에 의해 구 멍 확장성이 향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식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합격 조건은 만족되어 있지만, 그 밖의 동일 정도의 TS의 강종에 비해, 연신률이 나쁘고, 그 결과 TS × El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표1에 기재된 본 발명 성분 범위의 L, AA, AJ의 강을 진공 용해로에서 용해ㆍ주조한 강슬래브를 1200 ℃로 재가열한 후, 열간 압연에 있어서 880 ℃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을 행하여 열간 압연 강판으로 한 후, 냉각하여 600 ℃의 온도로 1시간 유지하는 권취 열처리를 재현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게 된 열간 압연 강판을 연삭에 의해 스케일 제거하고, 70 %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한 후, 하기의 실험 1) 내지 5)의 조건의 예비 도금, 산세정을 실시하고,
실험 1) : (본 발명예) 5 % 염산으로 산세정하고, Ni 예비 도금을 0.5 g/㎡ 실시.
실험 2) : (본 발명예) 산세정 없고, Ni 예비 도금을 0.5 g/㎡ 실시.
실험 3) : (비교예) 5 % 염산으로 산세정하고, Ni 예비 도금을 0.005 g/㎡ 실시.
실험 4) : (비교예) 5 % 염산으로 산세정하고, 예비 도금 없음.
실험 5) : (본 발명예) 산세정 없음, 예비 도금 없음.
그 후, 연속 어닐링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800 ℃의 온도에서 100 초간의 어닐링을 행하고, 계속해서 5 ℃/s의 냉각 속도로 650 ℃까지 냉각하고, 그 후, 460 ℃에서 용융 아연 도금을 실시하고, 520 ℃의 온도에서 합금화 처리를 행하고, 그 후, 10 ℃/s의 냉각 속도로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이하까지 냉각한 후, 300 ℃의 온도에서 60초의 가열을 행하고, 그 후, 20 ℃/s의 냉각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압하율 1 %로 스킨 패스 압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냈다.
[표4] 산세정, 예비 도금 조건 차
Figure 112006064856076-pct00007
제2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산세정, 예비 도금 조건 차에서는 실험 1), 실험 2)로부터 예비 도금에 의해 도금 밀착성, 도금 외관이 크게 향상되고, 또한 예비 도금 전에 산세정이 있던 쪽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 3)에 의해 예비 도금의 양이 적으면 효과가 없고, 또한 실험 4)에 의해 산세정만으로는 반대로 악화되고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산세정만인 경우, 오히려 도금 밀착성, 도금 외관이 악화되는 것은, 표면이 지나치게 활성화된 상태에서 연속 용융 아연 도금의 가열 공정에서 가열되므로, 다시 강판의 Si, Mn 등의 산화물이 강판 표면에 발생하여 도금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질량 %로, C : 0.01 내지 0.3 %, Si : 0.005 내지 0.6 %, Mn : 0.1 내지 3.3 %, P : 0.001 내지 0.06 %, S : 0.001 내지 0.01 %, Al : 0.25 내지 1.8 %, N : 0.0005 내지 0.01 %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금속 조직이 페라이트와 면적률 5 % 이상 60 % 이하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이 질량 %로, Mo : 0.05 내지 0.5 %, V : 0.01 내지 0.1 %, Ti : 0.01 내지 0.2 %, Nb : 0.005 내지 0.05 %, Cu : 1.0 % 이하, Ni : 1.0 % 이하, Cr : 1.0 % 이하, Ca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B : 0.0003 내지 0.002 %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은, Si, Al의 질량 %와, 목표의 인장 강도(TS)가 하기 1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TS 목표치] :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 : Si 질량 %, Al : Al 질량 %
  4. 질량 %로, C : 0.01 내지 0.3 %, Si : 0.005 내지 0.6 %, Mn : 0.1 내지 3.3 %, P : 0.001 내지 0.06 %, S : 0.001 내지 0.01 %, Al : 0.25 내지 1.8 %, N : 0.0005 내지 0.01 %를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래브를 열간 압연 후 냉간 압연하고,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에서 Ac1 내지 Ac3 + 100 ℃의 온도로 가열하여 30초 내지 30분 유지한 후, 1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450 내지 600 ℃의 온도로 냉각하고, 계속해서 이 온도에서 용융 아연 도금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1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마르텐사이트 변태점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한 후, 200 ℃ 이상 500 ℃ 이하의 온도로 1초 내지 5분 유지한 후, 5 ℃/s 이상의 냉각 속도로 100 ℃ 이하까지 냉각함으로써 페라이트와 면적률 5 % 이상 60 % 이하의 템퍼링 마르텐사이트로 이루어지는 금속 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처리 후에 합금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도금층 또는 합금화아연 도금층 상에 크로메이트 처리, 무기 피막 처리, 화성 처리, 수지 피막 처리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후처리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이 질량 %로, Mo : 0.05 내지 0.5 %, V : 0.01 내지 0.1 %, Ti : 0.01 내지 0.2 %, Nb : 0.005 내지 0.05 %, Cu : 1.0 % 이하, Ni : 1.0 % 이하, Cr : 1.0 % 이하, Ca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B : 0.0003 내지 0.002 %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은, Si, Al의 질량 %와, 목표의 인장 강도(TS)가 하기 1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TS 목표치] :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 : Si 질량 %, Al : Al 질량 %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으로부터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 사이에 Ni, Fe, Co, Sn, Cu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예비 도금을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도금 전에 강판에 산세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이 질량 %로, Mo : 0.05 내지 0.5 %, V : 0.01 내지 0.1 %, Ti : 0.01 내지 0.2 %, Nb : 0.005 내지 0.05 %, Cu : 1.0 % 이하, Ni : 1.0 % 이하, Cr : 1.0 % 이하, Ca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B : 0.0003 내지 0.002 %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은, Si, Al의 질량 %와, 목표의 인장 강도(TS)가 하기 1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TS 목표치] :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 : Si 질량 %, Al : Al 질량 %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은, Si, Al의 질량 %와, 목표의 인장 강도(TS)가 하기 1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TS 목표치] :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 : Si 질량 %, Al : Al 질량 %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은, Si, Al의 질량 %와, 목표의 인장 강도(TS)가 하기 1식을 더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0.0012 × [TS 목표치] - 0.29 - [Si])/1.45 < Al < 1.5 - 3 × [Si] … 1식
    [TS 목표치] : 강판의 인장 강도 설계치(㎫), [Si] : Si 질량 %, Al : Al 질량 %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으로부터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 사이에 Ni, Fe, Co, Sn, Cu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예비 도금을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으로부터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 사이에 Ni, Fe, Co, Sn, Cu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예비 도금을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으로부터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 사이에 Ni, Fe, Co, Sn, Cu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예비 도금을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으로부터 용융 아연 도금 가열 공정 사이에 Ni, Fe, Co, Sn, Cu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예비 도금을 강판 한쪽 면당 0.01 내지 2.0 g/㎡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 고강도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067018302A 2004-03-11 2005-02-28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1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9368A JP4510488B2 (ja) 2004-03-11 2004-03-11 成形性および穴拡げ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複合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4-00069368 2004-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02A KR20060118602A (ko) 2006-11-23
KR100831449B1 true KR100831449B1 (ko) 2008-05-21

Family

ID=3497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302A KR100831449B1 (ko) 2004-03-11 2005-02-28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70190353A1 (ko)
EP (1) EP1724371B1 (ko)
JP (1) JP4510488B2 (ko)
KR (1) KR100831449B1 (ko)
CN (1) CN100557056C (ko)
CA (1) CA2559587C (ko)
ES (1) ES2663866T3 (ko)
PL (1) PL1724371T3 (ko)
TW (1) TWI305234B (ko)
WO (1) WO2005087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104B1 (ko) * 2004-01-14 2009-02-19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도금 밀착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고강도 강판과 그 제조 방법
JP4171454B2 (ja) * 2004-11-19 2008-10-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伸びおよび穴拡げ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または溶融亜鉛めっき高強度鋼板の製造設備
JP5250939B2 (ja) * 2005-03-31 2013-07-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250938B2 (ja) * 2005-03-31 2013-07-3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に優れる低降伏比型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605488C (en) * 2005-04-20 2010-11-09 Nippon Steel Corporation A method of production of high strength hot dip galvannealed steel sheet
JP4804996B2 (ja) * 2006-04-07 2011-11-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加工性、パウダリング性、摺動性の良好な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
JP4964494B2 (ja) * 2006-05-09 2012-06-2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穴拡げ性と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1918406B1 (de) * 2006-10-30 2009-05-27 ThyssenKrupp Stee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tahl-Flachprodukten aus einem mit Bor mikrolegierten Mehrphasenstahl
ATE432374T1 (de) * 2006-10-30 2009-06-15 Thyssenkrupp Stee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tahl-flachprodukten aus einem mit aluminium legierten mehrphasenstahl
ATE432373T1 (de) * 2006-10-30 2009-06-15 Thyssenkrupp Stee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tahl-flachprodukten aus einem ein martensitisches gefüge bildenden stahl
JP5223360B2 (ja) 2007-03-22 2013-06-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39416B1 (ko) * 2007-04-18 2013-03-05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피삭성과 충격 값이 우수한 열간 가공 강재
JP4901617B2 (ja) * 2007-07-13 2012-03-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引張強度が700MPa以上で耐食性、穴拡げ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ATE535631T1 (de) * 2007-10-02 2011-12-15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ahlbauteils durch warmformen und durch warmformen hergestelltes stahlbauteil
JP5189959B2 (ja) * 2007-11-22 2013-04-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5080215B2 (ja) * 2007-11-22 2012-11-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等方性と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EP2216422B1 (en) * 2007-11-22 2012-09-1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TWI341332B (en) * 2008-01-07 2011-05-01 Nippon Steel Corp Wear-resistant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ear resistnace at high temperatures and excellent bending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365217B2 (ja) * 2008-01-31 2013-12-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69663B2 (ja) * 2008-01-31 2013-12-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78734B1 (ko) * 2008-03-07 2010-08-30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복합조직강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110256420A1 (en) * 2008-07-30 2011-10-20 Pangang Group Steel Vanadium & Titanium Co., Ltd. Hot-dip galvanized steel pl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00034118A (ko) * 2008-09-23 2010-04-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가진 초고강도 용융아연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9953B1 (ko) * 2008-09-29 2012-02-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신율과 신장플랜지성이 우수한 고장력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418168B2 (ja) * 2008-11-28 2014-0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709151B2 (ja) * 2009-03-10 2015-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63867B2 (ja) * 2009-04-24 2013-12-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および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5304522B2 (ja) * 2009-08-03 2013-10-0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MX338319B (es) * 2009-12-21 2016-04-12 Tata Steel Ijmuiden Bv Tira de acero galvanizado por inmersion en caliente de alta resistencia.
JP5114760B2 (ja) * 2010-03-31 2013-01-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695332B2 (ja) * 2010-03-31 2015-04-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4962594B2 (ja) * 2010-04-22 2012-06-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9494B2 (ja) * 2010-09-29 2014-10-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41811B2 (ja) * 2010-11-12 2013-02-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均一伸びとめっき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535420T3 (es) * 2011-03-07 2015-05-11 Tata Steel Nederland Technology B.V. Proceso para producir acero conformable de alta resistencia y acero conformable de alta resistencia producido con el mismo
EP2772556B1 (en) * 2011-10-24 2018-12-19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superior workability
KR101377489B1 (ko) 2011-12-29 2014-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도금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980MPa급 초고강도 강판 제조 방법
MX2014008430A (es) 2012-01-13 2014-10-0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Articulo moldeado estampado en caliente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articulo moldeado estampado en caliente.
BR112014017020B1 (pt) 2012-01-13 2020-04-1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hapa de aço laminada a frio e método para produzir chapa de aço laminada a frio
JP5741456B2 (ja) * 2012-01-13 2015-07-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89208B2 (ja) * 2012-03-08 2015-10-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化成処理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505252B1 (ko) * 2012-12-26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자동차 외판재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01702A1 (en) 2014-07-03 2016-01-07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co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strength, ductility and formability
WO2016001710A1 (en) 2014-07-03 2016-01-07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coated steel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ductility and obtained sheet
WO2016001706A1 (en) 2014-07-03 2016-01-07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formability and obtained sheet
WO2016001700A1 (en) 2014-07-03 2016-01-07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strength, ductility and formability
CN104109814B (zh) * 2014-08-08 2016-05-04 鞍钢蒂森克虏伯汽车钢有限公司 一种具有翻边特性冷轧热镀锌双相钢板及制造方法
KR102596515B1 (ko) 2014-12-19 2023-11-01 누코 코포레이션 열연 경량 마르텐사이트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7224B1 (ko) * 2014-12-23 2016-08-1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 도금밀착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6032300B2 (ja) * 2015-02-03 2016-11-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高強度めっき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6032299B2 (ja) * 2015-02-03 2016-11-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高強度めっき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TWI606125B (zh) * 2015-04-22 2017-11-2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Plated steel
KR101725274B1 (ko) * 2015-10-16 2017-04-10 삼화스틸(주)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5925903B (zh) * 2016-04-27 2018-04-03 武汉钢铁有限公司 汽车用冷轧低合金高强度钢及其生产方法
JP6315044B2 (ja) 2016-08-31 2018-04-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642292B (zh) 2016-08-31 2021-11-12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CN106756555A (zh) * 2016-12-19 2017-05-31 武汉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为160MPa级的铁‑锌镀层钢板及生产方法
KR20190130131A (ko) * 2017-02-21 2019-11-21 더 나노스틸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금속 합금의 개선된 에지 성형성
KR102451383B1 (ko) * 2018-03-30 2022-10-11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KR102209575B1 (ko) 2018-12-18 2021-01-29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와 연성의 밸런스 및 가공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728B1 (ko) 2018-12-18 2020-11-13 주식회사 포스코 강도 및 연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09569B1 (ko) 2018-12-18 2021-01-28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731B1 (ko) 2018-12-18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76740B1 (ko) 2018-12-18 2021-07-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95B1 (ko) 2019-12-18 2021-11-0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88B1 (ko) 2019-12-18 2021-11-0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48529B1 (ko) 2019-12-18 2022-01-0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85B1 (ko) 2019-12-18 2021-11-0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53611B1 (ko) 2019-12-18 2022-01-20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92B1 (ko) 2019-12-18 2021-11-0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87B1 (ko) 2019-12-18 2021-11-0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97B1 (ko) 2019-12-18 2021-11-0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48527B1 (ko) 2019-12-18 2022-01-0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737108A (zh) * 2020-05-27 2021-12-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耐延迟开裂的电镀锌超强双相钢及其制造方法
KR102485012B1 (ko)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06B1 (ko)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13B1 (ko)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07B1 (ko)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09B1 (ko)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04B1 (ko)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957337A (zh) * 2021-09-24 2022-01-21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含钒热基镀锌板及其制备方法
CN114959491B (zh) * 2022-06-20 2023-05-02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采用短流程生产的350MPa级高耐蚀涂镀薄钢板及方法
CN115386798B (zh) * 2022-08-31 2024-01-3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硅Nb微合金化齿轮钢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152A (ja) * 1992-09-30 1994-04-19 Kobe Steel Ltd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3055751A (ja) * 2001-06-06 2003-02-26 Nippon Steel Corp 高加工時のめっき密着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Zn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31941A (ja) * 2002-02-08 2003-08-19 Nippon Steel Corp 溶接後の成形性に優れ、溶接熱影響部の軟化しにくい引張強さが780MPa以上の高強度熱延鋼板、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高強度表面処理鋼板
WO2004001084A1 (ja) * 2002-06-25 2003-12-31 Jfe Steel Corporation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107B2 (ja) * 1992-05-28 2000-12-04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食性および成形性にすぐ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US6517955B1 (en) * 1999-02-22 2003-02-11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galvanized steel plate excellent in adhesion of plated metal and formability in press working and high strength alloy galvaniz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6423426B1 (en) * 1999-04-21 2002-07-23 Kawasaki Steel Corporation High tensile hot-dip zinc-coated steel plate excellent in ductil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587126B2 (ja) * 1999-04-21 2004-11-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に優れる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31050A (ja) * 1999-05-14 2001-02-06 Fujii Yoki Kogyo Kk 収納容器
JP4272302B2 (ja) * 1999-06-10 2009-06-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性、溶接性の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504519B (en) * 1999-11-08 2002-10-01 Kawasaki Steel Co Hot dip galvanized steel plate excellent in balance of strength and ductility and in adhesiveness between steel and plating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587116B2 (ja) * 2000-01-25 2004-11-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116477T2 (de) * 2000-04-07 2006-07-13 Jfe Steel Corp. Warm-, kaltgewalzte und schmelz-galvanisierte stahlplatte mit exzellentem reckalterungsverhalten
US7090731B2 (en) * 2001-01-31 2006-08-1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608822B2 (ja) * 2001-07-03 2011-01-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プレス成形性と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高延性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69991C (zh) * 2001-10-19 2004-10-06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具有优异的可加工性和成型精度的薄钢板及其制造方法
JP3908964B2 (ja) * 2002-02-14 2007-04-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溶融亜鉛メッキ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333400D1 (de) * 2003-05-27 2010-08-26 Nippon Steel Corp Herstellungsverfahren für hochfestes dünnes stahlblech mit hervorragender beständigkeit gegenüber verzögertem bruch nach dem umformen
JP4214006B2 (ja) * 2003-06-19 2009-01-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12760B1 (en) * 2003-08-29 2011-09-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processi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84104B1 (ko) * 2004-01-14 2009-02-19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도금 밀착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고강도 강판과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8152A (ja) * 1992-09-30 1994-04-19 Kobe Steel Ltd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2003055751A (ja) * 2001-06-06 2003-02-26 Nippon Steel Corp 高加工時のめっき密着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Zn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31941A (ja) * 2002-02-08 2003-08-19 Nippon Steel Corp 溶接後の成形性に優れ、溶接熱影響部の軟化しにくい引張強さが780MPa以上の高強度熱延鋼板、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高強度表面処理鋼板
WO2004001084A1 (ja) * 2002-06-25 2003-12-31 Jfe Steel Corporation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4371B1 (en) 2018-02-07
JP2005256089A (ja) 2005-09-22
JP4510488B2 (ja) 2010-07-21
CN100557056C (zh) 2009-11-04
CA2559587A1 (en) 2005-09-22
CN1930316A (zh) 2007-03-14
TWI305234B (en) 2009-01-11
TW200600592A (en) 2006-01-01
EP1724371A1 (en) 2006-11-22
CA2559587C (en) 2010-11-09
WO2005087965A1 (ja) 2005-09-22
US20070190353A1 (en) 2007-08-16
EP1724371A4 (en) 2007-12-26
ES2663866T3 (es) 2018-04-17
KR20060118602A (ko) 2006-11-23
PL1724371T3 (pl)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449B1 (ko) 성형성 및 구멍 확장성이 우수한 용융 아연 도금 복합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8448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737319B2 (ja) 加工性および耐疲労特性に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32907B2 (ja) 熱間三次元曲げ加工用鋼材と熱間三次元曲げ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2515B2 (ja) 成形性と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並びに、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092507B2 (ja) 高張力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CN111433380A (zh) 高强度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90023093A (ko) 고강도 박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1386358A (zh) 高强度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10110367A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6119B1 (ko)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370140A1 (en) Hot-pressed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old-rolled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473588B2 (ja) めっき密着性および穴拡げ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4855442B2 (ja) 低降伏比型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2006283071A (ja) 加工性の良好な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4500197B2 (ja) 成形性と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256689B2 (ja)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88200B2 (ja) 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製造方法
JP4320913B2 (ja) 成形性に優れた高張力溶融亜鉛系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12181B2 (ja) 深絞り性と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複合組織型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64611B2 (ja) 成形性と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メッキ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06920A (ja)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複合組織型低降伏比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25064B2 (ja) プレス成形性と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02513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成形後の熱処理による著しい硬化性と高耐食性を有する鋼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鋼板を用いた鋼構造部材の製造方法
JP2005206919A (ja) 延性と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複合組織型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