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882B1 -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882B1
KR100828882B1 KR1020027016506A KR20027016506A KR100828882B1 KR 100828882 B1 KR100828882 B1 KR 100828882B1 KR 1020027016506 A KR1020027016506 A KR 1020027016506A KR 20027016506 A KR20027016506 A KR 20027016506A KR 100828882 B1 KR100828882 B1 KR 100828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objective lens
image
camera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685A (ko
Inventor
야마모또마사오
Original Assignee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77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13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770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81277B2/ja
Application filed by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6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in conjunction with image converters or intensifiers, or for use with projectors, e.g. objectives for projection TV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2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reproducing or copying at short object di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Air Bag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축소계 화상 및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할 수 있는 데 적합한 카메라를 제공한다.
카메라는 CCD(15)를 내장한 케이스 본체(11)와 경통(12)을 구비한다. 경통(12)의 내측에는 대물 렌즈(40)가 내장된 접촉 부재(20)가, 외측에는 회전 가능해진 조작 부재(30)가 끼워지게 된다. 조작 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접촉 부재(20)는 광축(K) 방향으로 전후 이동한다. 사용자는 조작 부재(30)를 조작하여 접촉 부재(20) 내지 대물 렌즈(40)를 전후 이동시킨다. 조작 부재(30)가 전진했을 때에 확대계 화상을, 조작 부재(30)가 후퇴했을 때에 최소계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확대계 화상 촬상시의 접촉 부재(20)의 선단부 중심에 대물 렌즈(40)의 촛점이 맞추게 되고, 접촉 부재(20)의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확대계 화상은 촬상된다.
대물 렌즈, 조작 부재, 접촉 부재, 경통, 케이스 본체, CCD

Description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CAMERA AND UNIT FOR CAMERA}
본 발명은,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메라는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을, 대물 렌즈를 거쳐서, 예를 들어 필름이나 CCD 등의 촬상 수단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촬상 수단으로 그 상광에 의한 어떠한 반응을 생기게 함으로써, 촬상 대상물의 상을 포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촬상되는 화상의 종류 및 방식에는 다양한 것이 있고, 그 분류의 방법도 다양하다. 촬상되는 화상 분류 중 하나로,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즉,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이다.
축소계 화상이라 함은, 촬상 수단(예를 들어 CCD)의 촬상면보다도 큰 것을 그 촬상 수단 중에 축소하여 찍히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화상을 말하고, 예를 들어 인물이나 경치를 촬상하여 얻을 수 있는 통상의 화상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확대계 화상이라 함은, 촬상 수단(예를 들어 CCD)의 촬상면보다도 작은 것을 그 촬상 수단 중에 확대하여 찍히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화상을 말하고, 예를 들어 가는 섬유나 사람 피부의 미소 부분 등을 확대하여 촬상함으로써 얻게 된 화 상이 이에 해당된다.
그런데, 종래의 카메라는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 중 한 쪽을 촬상하는 데 특화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론적으로는, 대물 렌즈로부터 촬상 수단의 거리와, 대물 렌즈로부터 촬상 대상물의 거리를 소정의 관계하에 변화시킴으로써,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실용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주로 이하와 같은 이유에 의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확대계 화상의 촬상에서는 당연히 촬상 범위가 좁아진다. 따라서, 확대계 화상의 촬상을 행하는 경우에는, 촬상 대상물을 그 좁은 촬상 범위 내에 담아 두는 것이 곤란하다. 그로 인해, 확대계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는 비디오 현미경 등으로 볼 수 있도록, 촬상 대상물과 촬상 수단과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축소계 화상의 촬상을 행할 경우에는 불필요하며, 그 뿐만 아니라, 축소계 화상의 촬상을 행할 때에는 오히려 방해가 될지도 모른다. 즉, 축소계 화상 촬상용 카메라와 확대계 화상 촬상용의 카메라는 요구되는 구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 양 화상 촬상을 위한 기능을 하나의 카메라에 갖게 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상의 이유에다가,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용도나 수요자층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정도 있다. 즉,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의 촬상을 하나의 카메라로 행하는 것에 대한 수요가, 적어도 지금까지는 많지 않았던 것이다.
이들의 사정에 의해,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 쌍방의 촬상을 행할 수 있는 카메라의 개발은 진행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람의 전신에 대한 축소계 화상과, 피부의 일부에 대한 확대계 화상을 1대의 카메라로 촬상 가능하면, 피부 위에 생긴 병변(病變)에 대한 확대계 화상과, 그 병변의 위치를 나타낸 전신상에 대한 축소계 화상과의 쌍방을 촬상하는 등으로, 병변의 모습과 신체에 있어서의 위치를 동시에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제품 속의 흠집을 촬상하여 흠집의 확대계 화상을 얻는 동시에, 그 제품의 전체를 촬상하여 상기 제품의 전체상을 얻는 등에 의해, 그 흠집의 상세와 제품 속 위치의 특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는 수요가 없었던 것은 아니며, 그 유용성의 어필이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그 만큼, 그 유용성이 인정되면, 상기 양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는 새로운 수요를 환기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존재하면, 지금까지의 카메라에서는 사용자에게 부여되지 않았던 오락성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가 존재하면, 새로운 오락성에 의한 신규 수요의 환기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하는 데 적합한 카메라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이 카메라는 대물 렌즈와, 상기 대물 렌즈를 거쳐서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이 유도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광에 의한 촬상을 행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를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그 대물 렌즈는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축소계 화상이 되는 제1 범위, 상기 촬상 수단으로 촬상되는 화상이 확대계 화상이 되는 제2 범위에 적어도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광이 유도되는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그 선단부를 상기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를 상기 대물 렌즈의 촛점이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맞는 범위 내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또한 상기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 밖에 위치하게 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카메라는 대물 렌즈와, 촬상 수단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 밖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스에 부착된다.
이들 카메라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축소계 화상이 되는 제1 범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확대계 화상이 되는 제2 범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광이 유도되는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카메라는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카메라는 또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켜 사용되는 것이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그 사용시에, 상기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를 대물 렌즈의 촛점이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맞는 범위 내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존재에 의해, 이 카메라에 의한 확대계 화상의 촬상은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 밖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의 촬상은 카메라가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손 떨림에 의해 촬상 대상물이 카메라의 촬상 범위 밖으로 벗어나 버리는 등의 결점이 생기기 어렵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또한 상기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를 상기 대물 렌즈의 촛점이 맞는 범위 내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즉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촬상 대상물에 촛점이 맞은 상태에서의 촬상을 쉽게 행한다는 기능도 아울러 갖는다. 소지 타입의 카메라에서는 촬상 대상물로부터 뜨게 한 상태에서 촬상을 행하면, 손 떨림이 생길 뿐만 아니라, 촛점 맞춤이 매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카메라이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촛점 맞춤의 곤란함을 경감시키게 된다.
또한, 이들의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는 소지 타입의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에, 그 진가를 발휘하기 쉬운 것이다.
본 발명의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대상물과 대물 렌즈의 거리를 촬상 대상물에 대물 렌즈의 촛점이 맞는 범위 내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필요 조건으로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카메라의 케이스로부터 돌출시키는 등이 된 1개의 막대형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막대형 부재의 광축에 따른 길이를,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하면 촬상 대상물과 대물 렌즈의 거리가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대물 렌즈의 촛점이 맞는 범위 내로 해 두면 좋다. 이 예에서는, 위치 결정 보조 수단과 촬상 대상물은 점 접촉을 행한다. 점 접촉이기 때문에,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과 접촉시키고 있었다고 해도, 카메라는 상기 선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피봇 운동을 해 버린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카메라를 촬상 대상물로부터 완전히 뜨게 하여 촬상을 행하는 경우보다도, 그 촬상이 훨씬 용이해진다.
또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3개의 막대형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막대형 길이에도 따르지만,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인 3점에서의 점 접촉에 의한 3점 지지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평면의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경우, 그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가 일정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한 경우의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그 선단부를 평면의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경우에, 그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대물 렌즈를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거리에 대해 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이용하면,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키면,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자동적으로 대상 렌즈의 핀트가 맞 게 되므로, 축소계 화상의 촬상이 촬상시의 안정성이 높은 것도 포함하여 용이해진다. 또, 그 선단부를 평면의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경우에 그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가 일정해지는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예로서는 어떤 평면에 대해 3점 이상에서의 접촉을 행하든가, 어떤 평면에 대해 직선 +1점 이상에서의 접촉을 행하든가, 어떤 평면에 대해 곡선의 선 접촉을 행하든가, 혹은 어떤 평면에 대해 면접촉을 행할 수 있는 형상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제1 범위에 대물 렌즈가 있는 경우에, 그 시야 밖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카메라로서의 촬상인 축소계 화상의 촬상을 행하는 경우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촬상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대물 렌즈가 제2 범위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위치는 대물 렌즈의 시야 내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아도 좋다. 제2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에 걸리지 않고, 또한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경우의 상기 접촉 위치가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 밖이 되도록 되어 있으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축소계 화상의 촬상을 행하는 경우에도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2 범위에 대물 렌즈가 있을 경우에, 그 대물 렌즈의 시야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걸리는 경우에는, 이것이 촬상의 방해가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경우의 상기 접촉 위치가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는 한층 더 하다. 그러나, 그 접촉 위치가 촬상 범위 내에 극일부로서, 실질적으로 촬상의 방해가 되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도 이용 가치가 있는 경우가 있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촬상 대상물로의 접촉 위치가, 예를 들어 촬상 범위의 외주 부근의 극히 일부로 되어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또한, 대물 렌즈가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키는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 위치가 촬상 범위 내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에, 촬상 대상물과 비교함으로써 촬상 대상물의 크기를 알기 위한 기준이 되는 대비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로서, 촬상 대상물에 대해 그 선단부를 접촉시킨 경우에 촬상 범위에 들어가는 부분에 눈금 그 밖의 비교 수단을 마련해 둠으로써, 카메라 사용자는 촬상 대상물 중에 있는 것의 크기를 아는 기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또한 카메라의 케이스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반대로, 이동을 행하도록, 예를 들어 대물 렌즈가 제1 범위에 있는 경우와 제2 범위에 있는 경우가, 그 위치가 변화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대물 렌즈가 제1 범위에 있는 경우 쪽이, 이 카메라의 시야는 넓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대물 렌즈가 제1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대물 렌즈가 제2 범위에 있는 경우보다도,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대물 렌즈의 시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등의 연구를 해 두면,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걸리는 것을 피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대물 렌즈가 제1 범위에 있는 경우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케이스에 수납되도록 해 두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대물 렌즈가 제1 범위에 있는 경우라도,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촬상의 방해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 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이동의 방법은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케이스에 대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도 있고, 케이스에 대해 평행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확대계 화상을 촬상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가 촬상 대상물에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촬상 대상물이 피부이며, 그 피부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가 접촉되어 있을 때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회전하는 경우가 있으면, 피부의 촬상을 행하고 있는 사람에게 위화감을 줄 경우가 있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평행 이동하는 것이면, 그와 같은 위화감을 사용자에게 주지 않게 된다.
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광축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면, 그 이동 방향은 피부에 대해 수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피부 촬상의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대략 없어진다.
대물 렌즈는 촬상 대상물을 향하는 렌즈이다. 대물 렌즈는 1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매의 렌즈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목, 볼록, 오목의 순서로 늘어 세워진 3매의 렌즈에 의해, 수차가 작은 대물 렌즈를 구성할 수 있다.
대물 렌즈는, 또한 제2 범위 내에서,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촛점이 맞은 상태에서의 확대계 화상의 촬상을 쉽게 행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촬상 대상물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는 촛점 맞춤에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제2 범위 내에서 대물 렌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해 둠으로써, 촬상 대상물에 요철이 있는 경우의 촛점 맞춤에 대한 미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대물 렌즈는 제1 범위 내에서도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대물 렌즈는, 또한 제1 범위 내와 제2 범위 내의 쌍방에서 광축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대물 렌즈의 이동은, 어떻게 행해도 좋다. 기계적인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인력을 동력으로서 행해도 좋고, 모터 및 액튜에이터 그 밖의 구동 수단을 동력으로서 행해도 좋다.
대물 렌즈의 이동은, 이하와 같은 조작 부재를 마련하고, 그 조작 부재를 사람이 조작함으로써 행하도록 해도 좋다. 조작 부재는, 예를 들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가 그 이동을 행하면, 대물 렌즈가 제1 범위로부터 제2 범위로 이동하도록 해 둘 수 있다.
조작 부재를 일정량 이동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의 이동량은, 조작 부재의 이동량에 대응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작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생기는 대물 렌즈의 이동량을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조작 부재는, 또한 그것을 일정량 이동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의 이동량이 대물 렌즈가 제1 범위 및 제2 범위 밖에 있을 때보다도,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 있을 때가 작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범위 및 제2 범위는 제1 범위, 제1 범위 및 제2 범위 이외의 범위, 제2 범위의 순서로 늘어 세우는 것이 통상이다. 여기서,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서 필요해지는 대물 렌즈의 이동량은 그 이동이 촛점 맞춤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미소하다. 이에 대해, 제1 범위 및 제2 범위 이외의 범위에 대물 렌즈가 있을 때는, 통상 촬상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의 이동은 가능한 한 고속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부재와, 대물 렌즈의 이동량의 관계를 상술한 바와 같은 것으로 함으로써, 가능한 한 단시간에 이동시키고 싶은 제1 범위 및 제2 범위 이외의 범위에서의 대물 렌즈의 이동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가능한 한 정밀하게 이동시키고 싶은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서의 대물 렌즈의 이동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대물 렌즈는 어떠한 수법으로 카메라에 부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대물 렌즈는 위치 결정 보조 수단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의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광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형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있다.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예를 들어 통형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대물 렌즈는 그 통형이 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수납해 둘 수 있다. 이 때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그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메라 케이스는 그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 케이스는,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경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것은 일반적인 카메라의 외관이다.
또, 경통을 구비하는 것이면, 상술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경통의 축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경통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그 부착 위치는 경통의 내부 및 외부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경통 내부에 부착되는 경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경통의 내측에 끼움 삽입된다.
또한, 카메라가 경통을 구비하는 경우, 상술한 조작 수단은 경통의 외측에 설치할 수 있다. 경통의 외측에 부착되는 조작 수단은,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통의 외주에 따르도록 하여, 경통과 동축인 상태로 경통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조작 수단은, 예를 들어 그것을 경통의 축주위로 회전시키면,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이 경통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카메라는,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는 경우에, 촬상 대상물의 적어도 촬상 범위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조명 수단에 의해, 확대계 화상에 대해 적절한 조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조명 수단은, 전구 및 LED의 자발적으로 발광하는 광원이나, 소정의 빛을 사출하기 위해 소정의 광원으로부터 빛을 유도해 온 광섬유의 단부면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조명 수단은 카메라의 어떤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카메라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경통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이면, 조명 수단을 경통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카메라가 조명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해도 좋다. 즉, 빛을 차폐하도록 되어 있고, 또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는 경우에, 그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키면,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외부로부터의 빛이 닿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이용하면, 촬상에 사용되는 빛은 조명 수단으로부터인 것으로만 이루어지므로, 항상 같은 조명 상태에서 촬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의료 목적으로 확대 화상을 사용할 때 등, 다른 시간에 촬상한 화상의 정확한 대비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카메라가 조명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 혹은 조명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동일 조명 상태에서의 확대계 화상의 촬상이 요구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투광성을 갖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카메라는 케이스에 수납된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에, 이하와 같은 카메라용 유닛을 부착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그 카메라용 유닛은,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이 그것을 거쳐서 상기 촬상 수단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촬상 수단에서 촬상되는 화상이 축소계 화상이 되는 제1 범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확대계 화상이 되는 제2 범위에 적어도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촬상이 유도되는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대물 렌즈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그 선단부를 상기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켜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와의 거리를 상기 대물 렌즈의 촛점이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맞는 범위 내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며, 또 상기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 밖에 위치하게 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구비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카메라용 유닛이다.
또한, 이 카메라용 유닛은 상술한 조명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에 있어서의 조명 수단의 전원은, 예를 들어 카메라측에서 취하도록 해도 좋다. 조명 수단이 광섬유일 때는, 광섬유 내로 유도되는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은 카메라 본체에 설치해 둘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의 투시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에서 도시한 카메라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에서 도시한 카메라의 경통, 접촉 부재 및 조작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1에서 도시한 카메라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에서 도시한 접촉 부재를 구비하는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는 도1의 측면도, 도2의 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여러 가지 부품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10)는 대략 직사각형의 케이스 본체(11)와, 케이스 본체(11)의 정면으로부터 볼록 설치된 원통형의 경통(1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 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 본체(11) 및 경통(12)은 모두, 빛을 투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혹은 불투명한 도료로 착색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는 하방(도1, 도2의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이러한 부분을 한 쪽 손으로 잡기 쉬운 손잡이부로 하기 위해서이다.
경통(12)의 내측에는 본 발명의 위치 결정 보조 수단에 상당하는 접촉 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경통(12)의 외측에는 본 발명의 조작 수단에 상당하는 조작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20) 및 조작 부재(30)는 모두,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촉 부재(20)는 그 외주의 직경이 경통(12)의 내주 직경과 대략 같아지도록 되어 있고, 대략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 경통(12)의 내측에 끼움 삽입되어 있다. 조작 부재(30)는 그 내주 직경이 경통(12)의 외주 직경과 대략 비슷해지도록 되어 있고, 대략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 경통(12)의 외측에 끼워져 있다. 이러한 관계에 있는 경통(12), 접촉 부재(20), 조작 부재(30)는 서로 동일축의 관계에 있다. 또한, 경통(12), 접촉 부재(20), 조작 부재(30)가 공통되는 상기 축은 이 카메라의 광축(K)도 겸하고 있다.
조작 부재(30)는 경통(12)의 외주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촉 부재(20)는 조작 부재(30)의 회전에 수반하여 광축(K)에 따르는 방향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조립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접촉 부재(20)의 내부에는 대물 렌즈(40)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대물 렌즈(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볼록 렌즈 1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대물 렌즈(40)는 접촉 부재(20)의 내부에 고정된 마운트(41)를 거쳐서, 접촉 부재(20)의 내주에 고정되어 있다. 마운트(41)는 그 외경이 접촉 부재(20)의 내경과 동일 직경이 되고, 또한 대물 렌즈(40)가 끼워지는 원형의 구멍이 그 중심에 뚫려 있는 원판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접촉 부재(20)는 빛을 투과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혹은 불투명한 도료에 의해 착색되어 있다.
마운트(41)의 전방면에는 6개의 광원(4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광원(42)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소형의 LE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광원(42)은 후술하는 제어 장치의 감시하에서, 그 전원의 온, 오프가 되도록 되어 있다. 광원(42)은, 구체적으로는 대물 렌즈(40)가 제2 범위(후술함)에 있을 때에 그 전원이 온이 되고, 대물 렌즈(40)가 그 이외의 범위에 있을 때에 그 전원이 오프가 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대물 렌즈(40)가 제2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이 광원(42)으로부터의 빛이 촬상 대상물의 적어도 촬상 범위가 조명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11)의 내부에는, CCD(15), 제어 장치(16) 및 기록 매체(17)가 내장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의 배면에는 출력 단자(18)가, 또한 케이스 본체(11)의 상면에는 조작 손잡이(1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CCD(1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촬상 수단에 상당하는 것이다. 촬상 대상물로부터 대물 렌즈(40)를 거쳐서 광축(K)에 따라서 유도된 상광은, 이 CCD(15)에 이 르도록 되어 있다. 상광을 받은 CCD(15)는 그에 의해 촬상 대상물의 촬상을 행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16)는 CCD(15)가 소정의 촬상을 행함으로서 생성된 화상 신호에 대해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의 제어 장치(16)는 컴퓨터, ROM, RAM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ROM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RAM 상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기능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16)가 행하는 화상 처리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경정하면 좋지만, 예를 들어 정지 화상과 동화상의 절환이나, 색, 밝기, 콘트라스트의 조정 등의 화질 조정 일반을, 이 제어 장치(16)가 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6)가 행하는 처리의 내용은 사용자가 상술한 조작 손잡이(19)를 조작함으로써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기록 매체(17)는 촬상한 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RAM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등에 의해 이를 구성할 수 있다. 기록 매체(17)는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 본체(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출력 단자(18)는 제어 장치(16)가 생성된 화상 신호의 외부 출력을 행하기 위한 잉크 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출력 단자(18)와, 소정의 디스플레이를 어떠한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하면, 그 디스플레이에 촬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로의 화상 신호의 출력은 무선에 의해, 예를 들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촬상한 화상에 대한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17)에 기록하든지, 출력 단자(18)를 거쳐서 외부로 출력하든지, 혹은 그 쌍방을 행하든지에 대한 제어는, 조작 손잡이(19)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 장치(16)가 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 부재(30)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촉 부재(20)가 광축(K)에 따른 방향에서 전후 이동하는 구조에 대해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경통(12)과 접촉 부재(20)와 조작 부재(30)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중 우측이, 케이스 본체(11)측으로 되어 있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부재(20)에는 대략 S자형이 된 제1 슬릿(21)과, 직선형으로 된 제2 슬릿(22)이 접촉 부재(20)를 관통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릿(21)은 주위에 따라서 진행했을 때의 축방향으로의 변이량이 적게 되어 있는 양단부 부분의 제1 경사부(21A) 및 제2 경사부(21B)와, 주위에 따라서 진행했을 때의 축방향으로의 변이량이 제1 경사부(21A) 및 제2 경사부(21B)의 경우보다도 커지게 되어 있는 중간 경사부(21C)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경통(12)에 대해 설명한다. 경통(12)에는 제3 슬릿(13)이 관통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 슬릿(13)은 접촉 부재(20)에 설치된 제1 슬릿(2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경통(12)의 내주면에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제1 캠(14)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캠(14)은 경통(12)의 내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 길이는 접촉 부재(20)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1 캠(14)의 직경은 접촉 부재(20)에 설치된 제2 슬릿(22)의 폭에 대응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 부재(30)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부재(30)의 내주면에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제2 캠(31)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캠(31)은 조작 부재(30)의 내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고, 그 길이는 경통(12)의 두께와, 접촉 부재(20)의 두께를 가한 것과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제2 캠(31)의 직경은 접촉 부재(20)에 설치된 제1 슬릿(21)의 폭 및 경통(12)에 설치된 제3 슬릿(13)의 폭에 대응하게 되어 있다.
경통(12)과 접촉 부재(20)와 조작 부재(30)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경통(12)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1 캠(14)은 접촉 부재(20)에 설치된 제2 슬릿(22)과 끼워 맞춘다. 또한, 조작 부재(3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2 캠(31)은 경통(12)에 설치된 제3 슬릿(13)을 관통하여 접촉 부재(20)에 설치된 제1 슬릿(21)과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1 캠(14), 제2 캠(31) 모두, 그 선단부가 접촉 부재(20)의 내주면에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슬릿(22)과 끼워 맞추는 제1 캠(14)이 제2 슬릿(22)의 도면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할 때, 제1 슬릿(21)과 끼워 맞추는 제2 캠(31)은 제1 슬릿(21)의 도면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 부재(30)를 회전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접촉 부재(20)가 광축(K)에 따르는 방향에서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30)를 도면 중 X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부재(30)에 설치된 제2 캠(31)도 도면 중 X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캠(31)과 끼워 맞추는 제1 슬릿(21)을 갖는 접촉 부재(20)는 제2 캠(31)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려고 하지만, 이 회전은 접촉 부재(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슬릿(22)과 끼워 맞추어져 있는 제1 캠(14)에 의해 방해가 된다. 그래서, 접촉 부재(20)는 도면 중 좌측 방향으로 평행 이동해 가는 것이다.
조작 부재(30)를 Y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이와는 전혀 반대인 것이 생긴다. 즉, 조작 부재(30)를 도면 중 Y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접촉 부재(20)는 도면 중 우측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조작 부재(30)를 회전시키면, 접촉 부재(20)는 광축(K)에 따르는 방향에서 평행 이동을 행한다. 접촉 부재(20)가 광축(K)에 따라서 이동하면, 접촉 부재(20) 내부에 설치된 대물 렌즈(40)도 광축(K)에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1 슬릿(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부(21A), 제2 경사부(21B) 및 중간 경사부(21C)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30)를 도면 중 Y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든지, 또는 대략 완전히 회전한 상태로 한 경우, 제2 캠(31)은 상술한 제1 경사부(21A)에 위치한다. 이 때, 대물 렌즈(40)는 CCD(15)에 근접한 상태가 되며, 그 상태에 있어서의 CCD(15)에서 얻을 수 있는 화상은 축소계 화상이 된다.
한편, 조작 부재(30)를 도면 중 X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든지, 또는 대략 완전히 회전한 상태로 한 경우, 제2 캠(31)은 상술한 제2 경사부(21B)에 위치한다. 이 때, 대물 렌즈(40)는 제2 캠(31)이 제1 경사부(21A)에 있을 때보다도, CCD(15)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된다. 이 때 CCD(15)에서 얻을 수 있는 화상은 확대계 화상 이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캠(31)이 제1 경사부(21A)에 있을 때, 축소계 화상을 촬상하는 데 적합한 위치로 대물 렌즈(40)가 이동하고, 제2 캠(31)이 제2 경사부(21B)에 있을 때에, 확대계 화상을 촬상하는 데 적합한 위치로, 대물 렌즈(40)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에서는 제2 캠(31)이 제1 경사부(21A)에 있을 때의 대물 렌즈(40)의 위치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범위, 제2 캠(31)이 제2 경사부(21B)에 있을 때의 대물 렌즈(40)의 위치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범위가 된다.
또한, 제1 경사부(21A), 제2 경사부(21B) 및 중간 경사부(21C)의 각각에 있어서, 접촉 부재(20)의 주위에 따라서 진행했을 때의 축방향으로의 변이량은 중간 경사부(21C) 쪽이 제1 경사부(21A) 및 제2 경사부(21B)의 경우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한 각도만큼 조작 부재(30)를 회전시켰을 때의 접촉 부재(20)의 이동량은 제2 캠(31)이 중간 경사부(21C)에 있을 때 쪽이 제2 캠(31)이 제1 경사부(21A) 또는 제2 경사부(21B)에 있을 때보다도 커지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가, 조작 부재(30)를 일정량 이동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40)의 이동량은 대물 렌즈(40)가 제1 범위 및 상기 제2 범위 밖에 있을 때보다도, 제1 범위 및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 쪽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 카메라에서는, 이에 의해 촬상을 행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제1 범위 및 제2 범위에서의 대물 렌즈의 위치 조정(이 위치 조정은, 주로 핀트 조정을 위해 행해짐)을 정밀하게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에서는, 제2 캠(31)이 제1 슬릿(21)의 제1 경사부(21A)에 위치할 때, 즉, 대물 렌즈(40)가 축소계 화상을 촬상하는 데 적합한 제1 범위에 있을 때에는, 접촉 부재(20)가 경통(12) 내에 수납될 때까지, 도3 중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카메라에서는, 제2 캠(31)이 제1 슬릿(21)의 제2 경사부(21B)에 위치할 때, 즉 대물 렌즈(40)가 확대계 화상을 촬상하는 데 적합한 제2 범위에 있을 때에는 접촉 부재(20)가 경통(12)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의 접촉 부재(20)의 돌출량은 접촉 부재(20)의 선단부가 만드는 원형의 중심이, 제2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40)의 촛점이 맞는 범위 내로 억제되는 위치에 있게 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즉, 본 예의 카메라에서는 확대계 화상의 촬상시에 접촉 부재(20)의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키면, 접촉 부재(20)의 선단부가 만드는 원의 중심에, 대물 렌즈(40)의 촛점이 맞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촛점 맞춤에 대한 정확성을 엄격하게 요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물 렌즈(40)의 대물측의 촛점 심도를 깊게 해 두면 좋다. 그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대물 렌즈(40)와 CCD(15) 사이에, 조리개를 형성해 두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의 접촉 부재(20)는, 대물 렌즈(40)가 제1 범위 및 제2 범위 중 어느 한 위치에 있을 때에도, 대물 렌즈(40)의 시야에 들어가지 않을 만큼의 내경을 갖고 있다.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CCD(15)측으로 후퇴하고 있다. 따라서, 그 전방에 위치하는 접촉 부재(20)가 시야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물 렌즈(40)가 제2 범위에 있 을 때, 접촉 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통(12) 내에 수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촉 부재(20)는 대물 렌즈(40)의 시야로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접촉 부재(20)의 내경을 불필요하게 크게 하지 않아도 좋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카메라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우선 이 카메라로 축소계 화상을 촬상하든지 혹은 확대계 화상을 촬상하든지를 결정한다.
또한, 이 카메라는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의 촬상을 모두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동화상을 촬상하든지 정지 화상을 촬상하든지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질 조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는 촬상을 행하면서, 혹은 촬상을 행하는 데 앞서 조작 손잡이(19)의 조작에 의해 입력한다.
축소계 화상을 촬상하고 싶은 것이면, 사용자는 조작 부재(30)를 도3 중 Y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대물 렌즈(40)는 CCD(15)로부터의 제1 범위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행해지는 촬상은 축소계 화상의 촬상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통(12) 내에 수납되어 있다.
촬상은, 사용자가 경통(12)을 촬상 대상물의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행한다. 그렇게 하면, 그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이 대물 렌즈(40)를 거쳐서 CCD(15)로 유도된다. CCD(15)는 이에 의해, 축소계 화상의 촬상을 행한다.
또한, 필요하면, 사용자는 대물 렌즈(40)가 제1 범위에 있는 범위를 유지하면서 조작 부재(30)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대물 렌즈(40)가 CCD(15)에 대해 전후하고, 축소계 화상의 촬상에 있어서의 핀트 조정이 행해진다.
CCD(15)가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이룬 조작 손잡이(19)의 조작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16)에 의해 적절한 처리가 실시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사용가 이룬 조작 손잡이(19)의 조작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기록 매체(17)에 기록되고, 혹은 출력 단자(18)로부터 외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축소계 화상의 촬상이 행해진다.
한편, 확대계 화상을 촬상하고 싶은 것이면, 사용자는 조작 부재(30)를 도3의 X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대물 렌즈(40)는 CCD(15)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제2 범위로 이동하고, 확대계 화상의 촬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촉 부재(20)는 경통(12)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한, 광원(42)은 그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접촉 부재(20)의 선단부가 만드는 원형면의 중심에 촬상 대상물 중의 촬상을 행하고 싶은 부위가 오도록 하면서, 접촉 부재(20)의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다. 이 때의 접촉 부재(20)의 선단부가 만드는 원의 중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40)의 촛점이 맞는 범위 내로 억제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접촉 부재(20)의 선단부가 만드는 원형의 중심에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를 위치시키면, 핀트가 맞은 상태에서의 촬상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의 촬상은, 촬상 대상 범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면서 접촉 부재(20)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손 떨림이 없는 안정된 상태에서, 그 촬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촬상을 행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의 광원(42)으로부터의 조명광이 적어도 촬상 대상 범위에 공급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조명 기구가 없어도, 촬상에 충분한 밝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촬상 대상 범위의 촬상을 행하고 있지 않다고 느낀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재(20)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카메라를 이동시키면 좋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하면, 대물 렌즈(40)가 제2 범위에 있는 범위에서 조작 부재(30)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확대계 화상의 촬상에 있어서의 핀트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을 대물 렌즈(40)를 거쳐서 CCD(15)로 유도하면, CCD(15)는 확대계 화상의 촬상을 행한다.
CCD(15)가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행한 조작 손잡이(19)의 조작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16)에 의해 필요한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행한 조작 손잡이(19)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기록 매체(17)에 기록되고, 혹은 출력 단자(18)로부터 외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확대계 화상의 촬상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카메라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이상 설명한 카메라에서는, 접촉 부재(20)와 대물 렌즈(40)가 마운트(41)를 거쳐서 고정되어 있고, 접촉 부재(20)와 대물 렌즈(40)가 선형의 관계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접촉 부재(20)와 대물 렌즈(40)는 선형의 관계에서 이동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예를 들어 접촉 부재(20)와 대물 렌즈(40)의 적어도 한 쪽을, 모터의 동력 등에 의해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이 양자를 독자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카메라에서는 광축계 중에서 이동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대물 렌즈(40)뿐이다. 이 대물 렌즈(40)는 촬상 대상물과 CCD(15) 사이에서 (1/a) + (1/b) = (1/f)의 관계를 충족시키면서 이동하면 좋다[a는 촬상 대상물과 대물 렌즈(40)의 거리, b는 대물 렌즈(40)와 CCD(15)의 거리, f는 대물 렌즈의 촛점 거리를 각각 의미함]. 따라서, 이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면, 또는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CCD(15)를 이동시킨 쪽이 합리적인 것이면, 대물 렌즈(40)뿐만 아니라, CCD(15)도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CCD(15)의 이동은 기계적인 기구에 의해 인력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소정의 동력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카메라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20)는 원통형이지만, 접촉 부재(20)의 형상을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끝이 좁아진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접촉 부재(20)의 선단부를 교축시킨 경우, 그 선단부에 개방된 구멍의 직경은 대물 렌즈(40)가 제2 범위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 대상 범위의 외연에, 상기 접촉 부재(20)의 내주 모서리 부분이 겹치는 정도로 해 둘 수 있다. 이 때, 접촉 부재(20)의 선단부 내측에, 소정 간격으로, 도시하지 않은 눈금을 마련해 둘 수 있다. 이 눈금은 촬상 범위 내에 있는 촬상 대상물과 비교함으로써, 촬상 대상물의 크기를 알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비 수단에 상당하는 것이다. 본 예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20)를 구비한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의 예를 도5에 도시한다. 도5 중 그물망으로 나타낸 부분이 접촉 부재(20)의 내측이며, 도5의 그물망 부분의 좌측에 그려져 있는 것이 눈금이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40), 접촉 부재(20), 조작 부재(30), 광원(42), 마운트(41)는 케이스 본체(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에 경통(12)을 첨가한 것이 케이스 본체(1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은, 전체적으로 일체가 되어 있어도 좋다. 대물 렌즈(40), 접촉 부재(20), 조작 부재(30), 광원(42) 및 마운트(41)[경우에 따라서는, 이들과 경통(12)]를 일체로 하여 이루어지는 유닛이면, 경통에 렌즈를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확대 렌즈 유닛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감각으로, 이 유닛을 카메라 본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통상 카메라에 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해진다는 이점을 구비한 것이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축소계 화상과 확대계 화상의 쌍방을 촬상하는 데 적합한 카메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9)

  1. 대물 렌즈와, 상기 대물 렌즈를 거쳐서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이 유도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광에 의한 촬상을 행하는 촬상 수단과, 이들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는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축소계 화상이 되는 제1 범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확대계 화상이 되는 제2 범위에, 적어도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광이 유도되는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는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상기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켜 사용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의 촛점이 상기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맞는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데 기여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 밖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평면의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킨 경우에, 그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와의 거리가 일정해지도록, 상기 대물 렌즈를 상기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거리에 대해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그 대물 렌즈의 시야 밖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가 상기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 밖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가 상기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 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에 촬상 대상물과 비교함으로써 촬상 대상물의 크기를 알기 위한 기준이 되는 대비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1 범위에 있을 경우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경우에, 그 위치가 변화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1 범위에 있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평행 이동 하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는 상기 제1 범위 및 상기 제2 범위 중 적어도 한 쪽 범위 내에서, 상기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물 렌즈를 상기 제1 범위로부터 상기 제2 범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를 일정량 이동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대물 렌즈의 이동량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1 범위 및 상기 제2 범위 밖에 있을 때보다도, 상기 제1 범위 및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는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에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광축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통형이 되고, 또한 그 통형이 된 형상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대물 렌즈는 통형이 된 그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카메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경통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경통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경통에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의 외측에는 그것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상기 경통의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통형이 된 조작 수단이 상기 경통과 동일축에서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는 경우에, 촬상 대상물의 적어도 촬상 범위를 조명하는 조명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빛을 차폐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는 경우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키면,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외부로부터의 빛이 닿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투광성을 갖도록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경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8. 대물 렌즈와, 상기 대물 렌즈를 거쳐서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이 유도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광에 의한 촬상을 행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는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축소계 화상이 되는 제1 범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확대계 화상이 되는 제2 범위에 적어도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광이 유도되는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카메라는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상기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켜 사용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의 촛점이 상기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맞는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데 기여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 밖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9. 케이스에 수납된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에 이용하는 카메라용 유닛이며,
    상기 카메라용 유닛은, 촬상 대상물로부터의 상광이 그것을 거쳐서 상기 촬상 수단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축소계 화상이 되는 제1 범위,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확대계 화상이 되는 제2 범위에 적어도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광이 유도되는 광축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대물 렌즈와,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가 상기 제2 범위에 있을 때에,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의 선단부를 상기 촬상 대상물에 접촉시켜 사용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대물 렌즈의 촛점이 상기 촬상 대상물의 촬상 범위에 맞는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촬상 대상물과 상기 대물 렌즈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데 기여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보조 수단은, 상기 제1 범위에 있는 대물 렌즈의 시야 밖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유닛.
KR1020027016506A 2001-04-05 2002-04-05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 KR100828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07770 2001-04-05
JPJP-P-2001-00107770 2001-04-05
JPJP-P-2002-00027708 2002-02-05
JP2002027709A JP4041317B2 (ja) 2001-04-05 2002-02-05 カメラ及びカメラ用ユニット
JP2002027708A JP3981277B2 (ja) 2002-02-05 2002-02-05 カメラ及びカメラ用ユニット
JPJP-P-2002-00027709 2002-02-05
PCT/JP2002/003433 WO2002082155A1 (fr) 2001-04-05 2002-04-05 Camera et unite pour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685A KR20030014685A (ko) 2003-02-19
KR100828882B1 true KR100828882B1 (ko) 2008-05-09

Family

ID=273464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507A KR100849752B1 (ko) 2001-04-05 2002-04-05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
KR1020027016506A KR100828882B1 (ko) 2001-04-05 2002-04-05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507A KR100849752B1 (ko) 2001-04-05 2002-04-05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352387B2 (ko)
EP (2) EP1288694B1 (ko)
KR (2) KR100849752B1 (ko)
CN (2) CN1284019C (ko)
AT (2) ATE513240T1 (ko)
WO (2) WO2002082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8694B1 (en) * 2001-04-05 2011-06-08 Scalar Corporation Camera and unit for camera
KR20040062247A (ko) * 2003-01-02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카메라의 구조 및 그 사용 방법
JP4175502B2 (ja) * 2003-03-14 2008-11-05 スカラ株式会社 拡大撮像用ユニット
US7307663B2 (en) * 2004-09-16 2007-12-11 Pelco Video surveillance camera
JP4999279B2 (ja) * 2005-03-09 2012-08-15 スカラ株式会社 拡大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80035689A (ko) * 2005-08-11 2008-04-23 글로벌 바이오닉 옵틱스 피티와이 엘티디 광학 렌즈 시스템
TWM288941U (en) * 2005-08-23 2006-03-21 Instr Technology Res Er Ct Near-photographing device having illumination
US7469100B2 (en) 2005-10-03 2008-12-23 Flextronics Ap Llc Micro camera module with discrete manual focal positions
EP1960763A4 (en) * 2005-11-16 2011-03-23 Ct Zoom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EMOTE VIDEO INSPECTION FROM THE TOP
US8773525B2 (en) 2005-11-17 2014-07-08 Alain Lorti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remote video inspection from above
US8525877B2 (en) 2005-11-17 2013-09-03 Infratech Sewer & Water Servic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remote video inspection from above
US7983556B2 (en) 2006-11-03 2011-07-19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US7655004B2 (en) 2007-02-15 2010-02-02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poration abl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1266142B (zh) * 2007-03-14 2010-09-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同心度检测设备及其方法
US8605208B2 (en) 2007-04-24 2013-12-10 Digitaloptics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modules using wafer level optics with bottom cavity and flip-chip assembly
US8075572B2 (en) 2007-04-26 2011-12-13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uturing apparatus
JP4999763B2 (ja) * 2007-07-31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集積回路
JP5002709B2 (ja) * 2007-08-14 2012-08-15 株式会社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撮像装置
US20090046201A1 (en) * 2007-08-14 2009-02-19 Shoppertrak Rct Corporation Holding apparatus for a camera lens
US8579897B2 (en) 2007-11-21 2013-11-12 Ethicon Endo-Surgery, Inc. Bipolar forceps
US8262655B2 (en) 2007-11-21 2012-09-11 Ethicon Endo-Surgery, Inc. Bipolar forceps
US8568410B2 (en) 2007-08-31 2013-10-29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surgical instruments
US8480657B2 (en) 2007-10-31 2013-07-09 Ethicon Endo-Surgery, Inc. Detachable distal overtube section and methods for forming a sealable opening in the wall of an organ
US20090112059A1 (en) 2007-10-31 2009-04-30 Nobis Rudolph H Apparatus and methods for closing a gastrotomy
US8262680B2 (en) 2008-03-10 2012-09-11 Ethicon Endo-Surgery, Inc. Anastomotic device
US8070759B2 (en) 2008-05-30 2011-12-06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fastening device
US8317806B2 (en) 2008-05-30 2012-11-27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suturing tension controlling and indication devices
US8652150B2 (en) 2008-05-30 2014-02-18 Ethicon Endo-Surgery, Inc. Multifunction surgical device
US8679003B2 (en) 2008-05-30 2014-03-25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device and endoscope including same
US8771260B2 (en) 2008-05-30 2014-07-08 Ethicon Endo-Surgery, Inc. Actuating and articulating surgical device
US8114072B2 (en) 2008-05-30 2012-02-14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
US8906035B2 (en) 2008-06-04 2014-12-09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drop off bag
US8403926B2 (en) 2008-06-05 2013-03-26 Ethicon Endo-Surgery, Inc. Manually articulating devices
US8361112B2 (en) 2008-06-27 2013-01-2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suture arrangement
US8888792B2 (en) 2008-07-14 2014-11-18 Ethicon Endo-Surgery, Inc. Tissue apposition clip application devices and methods
US8262563B2 (en) * 2008-07-14 2012-09-11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translumenal articulatable steerable overtube
US8211125B2 (en) * 2008-08-15 2012-07-03 Ethicon Endo-Surgery, Inc. Sterile appliance delivery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US8529563B2 (en) 2008-08-25 2013-09-10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US8241204B2 (en) 2008-08-29 2012-08-14 Ethicon Endo-Surgery, Inc. Articulating end cap
US8480689B2 (en) 2008-09-02 2013-07-09 Ethicon Endo-Surgery, Inc. Suturing device
US8409200B2 (en) 2008-09-03 2013-04-0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grasping device
US8114119B2 (en) 2008-09-09 2012-02-1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grasping device
US8337394B2 (en) 2008-10-01 2012-12-25 Ethicon Endo-Surgery, Inc. Overtube with expandable tip
US8157834B2 (en) 2008-11-25 2012-04-17 Ethicon Endo-Surgery, Inc. Rotational coupling device for surgical instrument with flexible actuators
US8172772B2 (en) 2008-12-11 2012-05-08 Ethicon Endo-Surgery, Inc. Specimen retrieval device
US8828031B2 (en) 2009-01-12 2014-09-09 Ethicon Endo-Surgery, Inc. Apparatus for forming an anastomosis
US8361066B2 (en) 2009-01-12 2013-01-29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US8252057B2 (en) 2009-01-30 2012-08-28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US9226772B2 (en) 2009-01-30 2016-01-05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device
US20110098704A1 (en) 2009-10-28 2011-04-28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US8608652B2 (en) 2009-11-05 2013-12-17 Ethicon Endo-Surgery, Inc. Vaginal entry surgical devices, kit, system, and method
US8496574B2 (en) 2009-12-17 2013-07-30 Ethicon Endo-Surgery, Inc. Selectively positionable camera for surgical guide tube assembly
US8353487B2 (en) 2009-12-17 2013-01-15 Ethicon Endo-Surgery, Inc. User interface support devices for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s
US9028483B2 (en) 2009-12-18 2015-05-1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n electrode
US8506564B2 (en) 2009-12-18 2013-08-13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n electrode
TWM385006U (en) * 2010-01-22 2010-07-21 Lumos Technology Co Ltd Microscopic detection device for fluorescent testing
JP5534836B2 (ja) * 2010-01-26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9005198B2 (en) 2010-01-29 2015-04-14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comprising an electrode
CN102893195B (zh) 2010-09-17 2015-05-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透镜镜筒
CN102822715A (zh) * 2010-09-17 2012-12-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透镜镜筒
US10092291B2 (en) 2011-01-25 2018-10-09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selectively rigidizable features
US9314620B2 (en) 2011-02-28 2016-04-19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9233241B2 (en) 2011-02-28 2016-01-12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9254169B2 (en) 2011-02-28 2016-02-09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8545114B2 (en) 2011-03-11 2013-10-01 Digitaloptics Corporation Auto focus-zoom actuator or camera module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with integrated protective membrane
US9049987B2 (en) 2011-03-17 2015-06-09 Ethicon Endo-Surgery, Inc. Hand held surgical device for manipulating an internal magnet assembly within a patient
US8986199B2 (en) 2012-02-17 2015-03-24 Ethicon Endo-Surgery,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leaning the lens of an endoscope
KR101182768B1 (ko) * 2012-02-21 2012-09-13 주식회사 엠비젼 머신비전 시스템을 위한 검사 장치 및 방법
US9427255B2 (en) 2012-05-14 2016-08-30 Ethicon Endo-Surgery, Inc. Apparatus for introducing a steerable camera assembly into a patient
US9078662B2 (en) 2012-07-03 2015-07-14 Ethicon Endo-Surgery, Inc. Endoscopic cap electrod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545290B2 (en) 2012-07-30 2017-01-17 Ethicon Endo-Surgery, Inc. Needle probe guide
US10314649B2 (en) 2012-08-02 2019-06-11 Ethicon Endo-Surgery, Inc. Flexible expandable electrode and method of intraluminal delivery of pulsed power
US9572623B2 (en) 2012-08-02 2017-02-21 Ethicon Endo-Surgery, Inc. Reusable electrode and disposable sheath
US9277957B2 (en) 2012-08-15 2016-03-08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osurgical devices and methods
US9039210B2 (en) * 2013-01-04 2015-05-26 Raytheon Company Variable length light shield for an electro-optical sensor within a nose cone
US10098527B2 (en) 2013-02-27 2018-10-16 Ethidcon Endo-Surgery, Inc. System for performing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
US10617305B2 (en) * 2013-02-28 2020-04-14 Canfield Scientific, Incorporated Dermatoscope devices
TWI494596B (zh) * 2013-08-21 2015-08-01 Miruc Optical Co Ltd 顯微鏡用可攜式終端轉接器和使用可攜式終端轉接器的顯微鏡拍攝方法
CN107223209A (zh) * 2016-08-08 2017-09-2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雾滴测试仪及雾滴测试系统
CN110658622A (zh) * 2019-08-19 2020-01-07 深圳市矽赫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的微显示器光学目镜及其调整方法
CN116840997B (zh) * 2023-08-30 2023-11-03 北京妙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光源、镜头共同调节的光学成像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812U (ko) * 1998-10-28 2000-05-25 유무성 줌 렌즈 배럴 구동 시스템을 가지는 카메라
KR20040027424A (ko) * 2002-09-27 2004-04-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카메라 유닛 및 카메라 유닛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7704A (en) * 1928-04-19 1931-12-22 Harrie J De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US2112449A (en) * 1936-12-03 1938-03-29 Proudfit William Sayre Photographic copying stand
US2403892A (en) * 1944-10-27 1946-07-09 Eastman Kodak Co Photographing device
US2813456A (en) * 1956-09-28 1957-11-19 Camcopy Inc Foldable portable microfilming unit
US3195431A (en) * 1961-08-08 1965-07-20 Polaroid Corp Photographic accessory
CH391311A (de) * 1962-01-22 1965-04-30 Alos Ag Gerät zum Ausleuchten und Photographieren einer Gegenstandsfläche mit reflektierenden Flächenteilen
US3385188A (en) * 1965-10-04 1968-05-28 Irving A. Ellman Camera close-up attachment
JPS4633495B1 (ko) * 1967-07-14 1971-10-01
US3514206A (en) * 1967-07-14 1970-05-26 Eastman Kodak Co Apparatus for making close-up photographs with a photoflash camera
JPS4714770Y1 (ko) * 1968-06-03 1972-05-26
US3687030A (en) * 1968-12-13 1972-08-29 Lester A Dine Close-up camera attachment
JPS4714770U (ko) 1971-03-18 1972-10-20
US3709119A (en) * 1971-04-16 1973-01-09 Meer J V D Close-up photographic system
US3944341A (en) * 1972-09-25 1976-03-16 Retina Foundation Wide-angle ophthalmoscope and fundus camera
US3836927A (en) * 1972-12-22 1974-09-17 E Lemmey Close-up flash camera attachment
JPS5143815Y2 (ko) * 1973-02-09 1976-10-23
JPS55134809A (en) * 1979-04-06 1980-10-21 Canon Inc Lens barrel of closeup photographable zoom lens
DE3038378C2 (de) * 1979-10-11 1986-07-03 Canon K.K., Tokio/Tokyo Objektivfassung
JPS58145902A (ja) * 1982-02-25 1983-08-31 Yabe Kogaku Kiki Seisakusho:Kk マクロ機能付リアコンバ−タレンズ
JPS61193454A (ja) * 1985-02-20 1986-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US4701039A (en) * 1985-11-01 1987-10-20 Polaroid Corporation Copy accessory for instant camera
US4755838A (en) * 1987-04-09 1988-07-05 Lemmey Edgar S Close-up camera apparatus
US5077569A (en) * 1988-08-11 1991-12-31 Canon Kabushiki Kaisha Close-up photography device
JPH037843A (ja) 1989-06-05 1991-01-1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5028941A (en) * 1990-04-27 1991-07-02 Sohn Melvin J Video camera support structure
JPH0486721A (ja) * 1990-07-31 1992-03-19 Scala Kk 拡大観察用の対物具のピント合わせ治具
DE69132022T2 (de) * 1990-10-02 2000-08-03 Canon Kk Fotografiervorrichtung
DE9104808U1 (ko) * 1991-04-19 1992-08-20 Heine Optotechnik Gmbh & Co Kg, 8036 Herrsching, De
JP3278213B2 (ja) * 1992-10-30 2002-04-30 株式会社太平製作所 マイクロスコープにおける照明方法及び装置
US5416544A (en) * 1993-12-07 1995-05-16 Stapleton; Michael E. Camera lens attachment to aid focusing
US5576781A (en) * 1994-05-16 1996-11-19 Deleeuw; Paul Disposable camera
JP3007843U (ja) * 1994-08-12 1995-02-28 東京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拡大テレビカメラ装置
JPH0946567A (ja) * 1995-07-31 1997-02-14 Sharp Corp マイクロスコープのピント合わせ装置
US6072600A (en) * 1996-01-30 2000-06-06 Wertsberger; Shalom Facsimile camera device
US5833612A (en) * 1996-02-09 1998-11-10 Esc Medical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s skin lesions
US5781807A (en) * 1996-08-16 1998-07-14 Lester A. Dine, Inc. Close-up attachment for a digital camera
JPH10142684A (ja) * 1996-11-14 1998-05-29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
JPH10325972A (ja) * 1997-03-24 1998-12-08 Gokou Internatl Corp:Kk 全領域撮影用カメラ
JPH1164970A (ja) * 1997-08-22 1999-03-05 Gokou Internatl Corp:Kk 高倍率撮影専用カメラ
US5950017A (en) * 1997-10-21 1999-09-07 Reff; Albert A. Camera system including a camera mounting apparatus for obtaining close-up photographs
JPH11231384A (ja) * 1998-02-12 1999-08-27 Gokou International Corporation:Kk 接写撮影用視野枠
US6215586B1 (en) * 1999-05-25 2001-04-10 R.K.C. Technologies Inc. Active optical image enhancer for a microscope
JP2001281528A (ja) * 1999-11-11 2001-10-10 Goko International Corporation:Kk マクロ撮影可能なズームレンズ装置
EP1288694B1 (en) * 2001-04-05 2011-06-08 Scalar Corporation Camera and unit for camera
JP4216523B2 (ja) * 2002-04-25 2009-01-28 スカラ株式会社 ユニット
US6798985B2 (en) * 2002-04-30 2004-09-28 Albert A. Reff Camera system including a camera mounting apparatus for obtaining close-up photographs
JP4633495B2 (ja) * 2004-10-01 2011-02-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透明板積層体及び該透明板積層体を用いた建築物または車両の開口部の閉成方法
US7194200B1 (en) * 2005-01-25 2007-03-20 Behlow Charles L Camera attachment for compressing pliant objects during photography thereof
US20070003277A1 (en) * 2005-06-24 2007-01-04 Stapleton Michael E Camera lens attachment to aid macro photography of fingerpri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812U (ko) * 1998-10-28 2000-05-25 유무성 줌 렌즈 배럴 구동 시스템을 가지는 카메라
KR20040027424A (ko) * 2002-09-27 2004-04-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카메라 유닛 및 카메라 유닛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28284A1 (en) 2003-07-10
EP1288693A4 (en) 2009-01-21
EP1288693B1 (en) 2011-06-15
US20030107668A1 (en) 2003-06-12
KR100849752B1 (ko) 2008-07-31
US7330213B2 (en) 2008-02-12
US7352387B2 (en) 2008-04-01
ATE512381T1 (de) 2011-06-15
EP1288694B1 (en) 2011-06-08
US7564498B2 (en) 2009-07-21
CN1265225C (zh) 2006-07-19
KR20030014685A (ko) 2003-02-19
CN1460196A (zh) 2003-12-03
EP1288694A4 (en) 2009-01-21
KR20030015266A (ko) 2003-02-20
WO2002082155A1 (fr) 2002-10-17
EP1288693A1 (en) 2003-03-05
ATE513240T1 (de) 2011-07-15
US20070248343A1 (en) 2007-10-25
WO2002082154A1 (fr) 2002-10-17
EP1288694A1 (en) 2003-03-05
CN1460195A (zh) 2003-12-03
CN1284019C (zh)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882B1 (ko) 카메라 및 카메라용 유닛
JP5418998B2 (ja) 内視鏡の先端の撮像装置のための照明装置、その照明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その照明装置の製造方法
JPH1156754A (ja) 内視鏡の操作部
KR102259841B1 (ko) 고배율 이미지가 저배율 이미지에 의해 가이드되는 디지털 현미경 및 디지털 현미경 시스템
JP2006079054A (ja) フォーカス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9022375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
JP4041317B2 (ja) カメラ及びカメラ用ユニット
JP2007047686A (ja) 水中撮影用光学系及び防水カメラハウジング
JP5150388B2 (ja) 内視鏡
JP7422563B2 (ja) 医療用投影装置および医療用観察システム
JP2007241133A (ja) 内視鏡装置
JP3981277B2 (ja) カメラ及びカメラ用ユニット
JP4491316B2 (ja) 口腔内撮影装置
JP2007233130A (ja) 撮像光学系及びレンズ鏡胴並びに撮像装置
JP2009297410A (ja) 内視鏡
JP3981376B2 (ja) 拡大撮像アダプタ
JPH0511180A (ja) 簡易ズーム式の撮像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観察装置
JPH1123983A (ja) 内視鏡のテレビカメラ装置及びその合焦方法
JP2950946B2 (ja) 拡大観察装置
JPH07122690B2 (ja) 接写装置
JP3016579B2 (ja) 拡大観察装置
JP2015136468A (ja) 内視鏡用光源装置
KR200305053Y1 (ko) 영상촬영수단을 구비하는 의료기구
JP2005046233A (ja) 電子内視鏡装置
JP2008129487A (ja) 撮影装置、補助光発光装置、および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