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833B1 -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833B1
KR100815833B1 KR1020020065734A KR20020065734A KR100815833B1 KR 100815833 B1 KR100815833 B1 KR 100815833B1 KR 1020020065734 A KR1020020065734 A KR 1020020065734A KR 20020065734 A KR20020065734 A KR 20020065734A KR 100815833 B1 KR100815833 B1 KR 100815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fiber
biodegradable synthetic
acid
weight
average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973A (ko
Inventor
야마기타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ydrocarbon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afterhalogenated or sulfochlorin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7/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of other substances with subsequent freeing of the treated goods from the treating medium, e.g. swelling, e.g.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우수한 평활성 및 집속성 등을 부여하여, 이로써 이러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방사에서 가공에 이르는 각 공정, 특히 가연가공 공정에서 보풀(毛羽)이나 단사(斷絲)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권축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섬유사조를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油劑)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서, 특정의 기능부여제를 0.1∼30 중량% 함유하고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합계로 70 중량% 이상 함유하며, 유성 지수가 0.04∼0.35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Agents for and methods of treating biodegradable synthetic yarns}
본 발명은,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油劑)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업용, 농업용 혹은 토목용 등의 산업자재용 섬유로는 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주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폴리올레핀 등으로부터 제조된 합성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합성섬유는 자기분해성이 없어 사용 후 야산이나 바다에 방치되면 경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새나 해양생물, 다이버 등을 휘감아 살상시키거나 배의 스크루에 달라붙어 선박사고를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한 합성섬유를 소각, 매립 혹은 회수 재생에 의해 처리하면 해결되지만, 이러한 처리에는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야산이나 바다에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생분해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고찰되어, 각종 생분해성 합성섬유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락트산 중합체는 비교적 값이 싸고 실용적인 기계적 물성과 내연성을 갖는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중합체이어서 이를 섬유화하는 것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은,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서, 1) 물,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오일 등을 사용하는 예(일본국 특허공개 평10-110332호, 일본국 특허공개 2000-154425호), 2) 윤활제로서 석유계 윤활유를 사용하는 예(일본국 특허공개 2000-192370호), 3) 라우릴포스페이트 칼륨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사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족 고급알콜이나 고급지방산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블록 공중합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디메틸시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 오일류를 사용하는 예(일본국 특허공개 평7-118922호, 일본국 특허공개 평7-126970호)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 제안되어 있는 유제는,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충분한 윤활성 및 집속성 등을 부여할 수 없고, 그 때문에 이러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방사에서 가공에 이르는 각 공정, 특히 가연가공 공정에서 보풀이나 단사가 많이 발생하고 신축성이 나쁘며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기계적 물성이 양호한 섬유사조를 안정하게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우수한 평활성 및 집속성 등을 부여하고, 이로써 이러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방사에서 가공에 이르는 각 공정, 특히 가연가공 공정에서 보풀이나 단사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권축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섬유사조를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는 특정의 기능부여제를 소정 비율로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소정 범위내에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즉, 본 발명은,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를 0.1∼30 중량% 함유하고,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합계로 70 중량% 이상 함유하며, 하기 유성 지수가 0.04∼0.35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관한 것이다:
·기능부여제 : 평균분자량 3000∼20000의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평균분자량 3000∼50000의 하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평균분자량 1000∼10000의 폴리올레핀 왁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A-B)nT
상기 식에서,
A : 수소, 1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아실기
B :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로부터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뺀 잔기
T : 1∼4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n : T가 1∼4가의 탄화수소기인 경우는 1∼4의 정수, T가 수소인 경우는 1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 하기 성분 D와 하기 성분 E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하기 성분 D, 하기 성분 E 및 하기 성분 F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D : 탄소수 4∼22의 지방족디카복실산, 탄소수 4∼22의 지방족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E : 모두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올, 폴리옥시알킬렌 디올 및 폴리옥시알킬렌 트리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F : 탄소수 2∼6의 알킬렌 디올
·유성 지수 : 진자형 유성 마찰 시험기를 사용하여 25 ℃에서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 하중 40 g/80 g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값.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를 수성액으로 만들고, 이 수성액을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 하여 0.1∼3 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사용되는 기능부여제로는, 1) 평균분자량 3000∼20000의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2) 성분 D와 성분 E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3000∼50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3) 성분 D, 성분 E 및 성분 F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3000∼50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4) 평균분자량 1000∼10000의 폴리올레핀 왁스가 포함된다.
기능부여제로서 사용되는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 화합물로는, 1) 화학식 1에서 A 모두가 수소인 경우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하, 폴리에테르 화합물 a로 한다), 2) 화학식 1에서 A의 일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1가 탄화수소기인 경우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하, 폴리에테르 화합물 b로 한다), 3) 화학식 1에서 A 모두가 1 가 탄화수소기인 경우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하, 폴리에테르 화합물 c로 한다), 4) 화학식 1에서 A의 일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아실기인 경우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하, 폴리에테르 화합물 d로 한다), 5) 화학식 1에서 A 모두가 아실기인 경우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하, 폴리에테르 화합물 e로 한다), 6) 화학식 1에서 A의 일부가 수소이고 나머지가 탄화수소기와 아실기인 경우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하, 폴리에테르 화합물 f로 한다), 7) 화학식 1에서 A의 일부가 탄화수소기이고 나머지가 아실기인 경우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하, 폴리에테르 화합물 g로 한다)이 포함된다.
폴리에테르 화합물 a∼g는 모두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화합물 a는 화학식 1중 T에 상당하는 탄화수소기를 갖는 1∼4가의 하이드록시 화합물에 탄소수 2∼4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순차적으로 부가반응시킴으 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 화합물 b 및 c는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말단 하이드록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에테르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탄화수소기로 봉쇄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 d 및 e는,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말단 하이드록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아실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아실기로 봉쇄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 화합물 f 및 g는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말단 하이드록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에테르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탄화수소기로 봉쇄함과 동시에 아실화반응에 의해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아실기로 봉쇄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합성에 공급되는 1∼4가의 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1) 메탄올, 부탄올, 옥탄올, 라우릴알콜, 스테아릴알콜, 세릴알콜, 이소부탄올, 2-에틸헥산올, 이소도데실알콜, 이소헥사데실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이소테트라콕사닐알콜, 2-프로판올, 2-헥산올, 12-에이코사놀, 비닐알콜, 부테닐알콜, 헥사데세닐알콜, 올레일알콜, 에이코세닐알콜, 2-메틸-2-프로필렌-1-올, 6-에틸-2-운데센-1-올, 2-옥텐-5-올, 15-헥사데센-2-올 등의 탄소수 1∼40의 1가 지방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2) 페놀, 프로페놀, 옥틸페놀, 트리데실페놀 등의 방향환을 갖는 1가 하이드록시 화합물, 3)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펜타에리트리트 등의 2∼4가의 지방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탄소소 1∼6의 1가 지방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탄소수 2∼4의 2가 지방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프로필알콜, 부틸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롤프로판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합성에 공급되는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사이드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1,2-부틸렌옥사이드, 1,4-부틸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킬렌옥사이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하이드록시화합물에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형태로는 랜덤 부가, 블록 부가, 블록·랜덤 부가를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 b 및 c에 있어서,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1가 탄화수소기로는, 1)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옥틸기, 비닐기, 부테닐기, 헥사데세닐기 등의 탄소수 1∼8의 1가 지방족 탄화수소기, 3) 페녹시기, 프로필페녹시기, 옥틸페녹시기, 벤질기 등의 방향환을 갖는 1가의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고,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화합물 b 및 c의 합성에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금속착염에 알킬할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 d 및 e에 있어서,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아실기로는, 1) 아세틸기, 프로파노일기, 부타노일기, 헥사노일기, 헵타노일기, 옥타노일기, 노나노일기, 데카노일기, 헥사데카노일기, 옥타데카노일기, 헥사데세노일기, 에이코세노일기, 옥타데세노일기 등의 탄소수 2∼22의 지방족 아실기, 3) 벤조일기, 톨루오일기, 나프토일기 등의 방향환을 갖는 아실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데카노일기, 옥타데세노일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화합물 d 및 e의 합성에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금속 착염에 아실할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 f 및 g에 있어서,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탄화수소기는 폴리에테르 화합물 b 및 c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동일하며, 또한 화학식 1중 A에 상당하는 아실기는 폴리에테르 화합물 d 및 e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화합물 f 및 g의 합성에는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화합물 a의 금속착염에 알킬할라이드를 반응시키고, 추가로 아실할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은, 모두 평균분자량 3000∼20000인 것으로 하지만, 3500∼18000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부여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에는, 1) 성분 D와 성분 E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2) 성분 D, 성분 E 및 성분 F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이 포함된다.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의 합성에 공급되는 성분 D로는, 1) 숙신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α,ω-도데칸디카복실산, 도데세닐숙신산, 옥타데세닐디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등의 탄소수 4∼22의 지방족디카복실산, 2)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5-설포이소프탈산염,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2,3-나프탈렌디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복실산, 3) 숙신산디메틸, 아디핀산디메틸, 아젤라인산디메틸, 세바신산디메틸 등의 상기 1)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4) 프탈산디메틸, 이소프탈산디메틸, 테레프탈산디메틸, 5-설포이소프탈산디메틸염,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디메틸,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디에틸, 1,4-나프탈렌디카복실산디메틸 등의 상기 2)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등의 탄소수 6∼12의 지방족디카복실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5-설포이소프탈산염 등의 방향족 디카복실산, 이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 디카복실산 및 유기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축중합반응에 공급하는 경우, 한 종류를 사용할 수도 두 종류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공급하는 성분 E는, 모두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모노올, 폴리옥시알킬렌디올, 폴리옥시알킬렌트리올,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올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폴리옥시알킬렌 디올의 한쪽 말단을 1가의 탄화수소기로 봉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1가의 탄화수소기로는, 1)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n-옥틸기, 라우릴기, 스테아릴기, 이소프로필기, 2-에틸헥실기 등의 탄소수 1∼22의 지방족탄화수소기, 2) 페닐기, 모노부틸페닐기, 옥틸페닐기, 노닐페닐기 등의 방향환을 갖는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탄소수 2∼6의 알킬렌디올에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반응시킨 것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평균 분자량 500∼5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평균분자량인 것 중에서, 옥시알킬렌 단위가 옥시에틸렌 단위 또는 옥시에틸렌 단위와 옥시프로필렌 단위로 구성되며 옥시에틸렌 단위/옥시프로필렌 단위=100/0∼5/50(몰%)의 비율로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트리올로는,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등의 탄소수 2∼6의 알킬렌디올에 탄소수 2∼4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반응시킨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평균분자량 500∼5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평균분자량인 것 중에서, 옥시알킬렌 단위가 옥시에틸렌 단위 또는 옥시에틸렌 단위와 옥시프로필렌 단위로 구성되며 옥시에틸렌 단위/옥시프로필렌 단위=100/0∼5/50(몰%)의 비율로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 공급되는 성분 F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탄소수 2∼6의 알킬렌디올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이 바람직하다.
기능부여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에 있어서, 이것이 성분 D와 성분 F의 축중합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것인 경우, 성분 D로부터 형성되는 구성단위를 40∼60 몰%, 바람직하게는 48∼52 몰%, 성분 E로부터 형성되는 구성단위를 40∼60 몰%, 바람직하게는 48∼52 몰%의 비율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D, 성분 E 및 성분 F의 축중합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것인 경우, 성분 D로부터 형성되는 구성단위를 20∼40 몰%, 바람직하게는 20∼25 몰%, 성분 E로부터 형 성되는 구성단위를 5∼30 몰%, 바람직하게는 15∼20 몰%, 성분 F로부터 형성되는 구성단위를 40∼70 몰%, 바람직하게는 50∼60 몰%의 비율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부여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의 합성에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성분 D인 유기디카복실산, 성분 E인 폴리옥시알킬렌디올 및 성분 F인 알킬렌디올을 공지의 음이온 중합 촉매, 양이온 중합 촉매, 배위 음이온 중합 촉매 등의 존재하에 고온고진공하에서 저분자량 화합물을 증류제거하면서 축중합반응시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 만드는 직접 중합반응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성분 D와 성분 E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성분 D, 성분 E 및 성분 F로부터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모두 평균분자량 3000∼50000인 것으로 하지만, 3500∼40000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부여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왁스로는,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α-올레핀과 불포화 지방산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합성에 사용되는 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 1,2-프로필렌, 1,2-부텐, 1,2-데센, 1,2-도데센, 1,2-옥타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4-펜테노익산, 5-헥세노익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왁스로는,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에틸렌 및/또는 1,2-프로필렌과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모두 평균분자량 1000∼10000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는, 기능부여제로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폴리에테르 화합물,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폴리옥레핀 왁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평균분자량 3500 ∼18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평균분자량 3500∼40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는, 이상 설명한 기능부여제 이외에,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윤활제로는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화합물, 광물유,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등, 그 자체는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지방족 에스테르로는, 지방족 알콜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것으로서, 지방족 알콜 부분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와 지방산 부분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의 합이 17∼60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36이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족 에스테르의 합성에 사용되는 지방족 알콜로는, 1)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2-에틸헥산올, 라우릴알콜, 팔미틸알콜, 팔미토레일알콜, 스테아릴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베헤닐알콜 등의 지방족 1가 알콜, 2)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트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콜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산으로는, 1) 아세테산, 부티르산, 카프론산, 카프릴산, 카프린산, 운데칸산, 라우린산, 트리데칸산, 미리스틴산, 펜타데칸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노나데칸산, 아라키딘산, 베헤닌산, 세로틴산, 몬탄산, 멜리신산 등의 포화 지방족 모노카복실산, 2) 린데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박센산 등의 지방족 모노엔 모노카복실산, 3)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등의 지방족 비공역 폴리엔 모노카복실산, 4) 숙산신,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방족 1가 알콜과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으로부터 수득되는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라우릴올레에이트, 스테아릴올레에이트, 올레일올레에이트, 옥틸올레에이트, 트리데실올레에이트, 메틸올레에이트, 부틸올레에이트, 2-에틸헥실올레에이트, 옥틸스테아레이트, 올레일스테아레이트, 올레일팔미테이트, 올레일라우레이트, 올레일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일옥타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라우릴올레에이트, 옥틸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족 다가 알콜과 지방족 모노카복실산으로부터 수득되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디라우레이트, 프로필렌=디스테아레이트, 부탄=팔미테이트, 헥산=디라우레이트, 글리세린=트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트리올레에이트, 글리세린=팔미테이트=디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팔미테이트, 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펜타에리트리트=테트라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트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가 바람직하다. 지방족 1가 알콜과 지방족 디카복실산으로부터 수득되는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숙신산 디스테아릴, 글루타르산 디스테아릴, 아디핀산 디세틸, 피멜린산 디베헤닐, 수베린산 디베헤닐, 아젤라인산 디스테아릴, 세바신산 디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아디핀산 디세틸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화합물로는, 상기한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에서 평균분자량이 700∼2900의 범위내에 있는 폴리에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광물유로는, 30 ℃의 점도가 2×10-6∼2×10-4 ㎡/s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의 점도가 2 ×10-6∼2×10-5 ㎡/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더욱 바람직한 광물유로는 유동성 파라핀오일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 등, 그 자체는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1) 탄소수 6∼22 의 지방족 1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 2)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 3)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4)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 5)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민의 옥시알킬렌 부가물, 6)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미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에 있어서, 그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로는, 헥실알콜, 옥틸알콜, 노닐알콜, 데카닐알콜, 운데카닐알콜, 도데카닐알콜, 트리데카닐알콜, 테트라데카닐알콜, 펜타데카닐알콜, 헥사데카닐알콜, 헥사데 세닐알콜, 헵타데카닐알콜, 옥타데카닐알콜, 옥타데세닐알콜, 노나데카닐알콜, 에이코사닐알콜, 에이코세닐알콜, 도코사닐알콜, 2-에틸헥실알콜, 3,5,5-트리메틸헥실알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탄소수 8∼18의 지방족 1가 알콜이 바람직하며, 2-에틸헥실알콜, 도데카닐알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로는, 옥시에틸렌 부가물, 옥시프로필렌 부가물,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부가물의 임의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 1 몰당 옥시알킬렌을 3∼30 몰의 비율로 부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 그 일방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1가 알콜 1 몰당 옥시알킨렌을 1∼10 몰의 비율로 부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타방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지방산으로는, 1) 아세트산, 부티르산, 카프론산, 카프릴산, 카프린산, 운데칸산, 라우린산, 도데칸산, 미리스틴산, 펜타데칸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노나데칸산, 아라키돈산, 베헤닌산, 세로틴산, 몬탄산, 멜리신산 등의 탄소수 2∼22의 포화 지방산, 2) 린데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박센산 등의 지방족 모노엔산, 3)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등의 탄소수 18∼22의 지방족 비공역 폴리엔산, 4)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 그 일방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롤프로판,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트 등을 들 수 있다. 타방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지방산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다가 알콜의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모노스테아레이트, 부탄=모노팔미테이트, 헥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디(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디올레에이트, 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모노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디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펜타에리트리트=디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디(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에 있어서, 그 일방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로는, 옥시에틸렌 부가물, 옥시프로필렌 부가물,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부가물의 임의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 1 몰당 옥시알킬렌을 3∼40 몰의 비율로 부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타방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지방산에 대해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이러한 탄소수 2∼6의 지방족 다가 알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의 지방산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디라우레이트, 폴리옥시프로필렌=디스테아레이트, 1,4-디(폴리옥시에틸렌)부탄=팔미테이트, 1,6-디(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헥산=디라우레이트, 1,2,3-트리(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트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디라우레이트, 1,2,3-트리(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트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민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에 있어서, 그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민으로는, 헥실아민, 옥틸아민, 노닐아민, 라우릴아민, 미리스틸아민, 세틸아민, 스테아릴아민, 아라키닐아민 등의 포화 지방족 아민, 2) 2-테트라데세닐아민, 2-펜타데세닐아민, 2-옥타데세닐아민, 15-헥사데세닐아민, 올레일아민, 리놀레일아민, 엘레오스테아릴아민 등의 불포화 지방족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라우릴아민, 팔미틸아민, 스테아릴아민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민의 옥시알킬렌 부가물로는, 옥시에틸렌 부가물, 옥시프로필렌 부가물,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부가물의 임의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민 1 몰당 옥시알킬렌을 2∼20 몰의 비율로 부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미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에 있어서, 그의 합성원료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미드로는,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지방산의 아미드화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지방족 아미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아미드화반응에 있어서, 폴리알킬렌폴리아민에 대한 지 방산의 비율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의 말단 아미노기를 적어도 1 개 아미드화하는데 필요한 비율로 하지만,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의 양말단 아미노기가 아미드화되는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방족 아미드를 형성하게 되는 폴리알킬렌폴리아민으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디트리메틸렌트리아민, 트리트리메틸렌테트라민 등을 들 수 있고, 디에틸렌트리아민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산으로는, 카프론산, 카프릴산, 카프린산, 운데칸산, 라우린산, 도데칸산, 미리스틴산, 펜타데칸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노나데칸산, 아라키딘산, 베헤닌산, 세로틴산, 몬탄산, 멜리신산, 린데르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엘라이딘산, 박센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라우린산, 올레인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미드의 옥시알킬렌 부가물로는 옥시에틸렌 부가물, 옥시프로필렌 부가물,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부가물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 부가물의 임의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탄소수 6∼22의 지방족 아미드 1 몰당 옥시알킬렌을 1∼15 몰의 비율로 부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염, 유기설폰산염, 유기황산염, 유기인산 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지방산염으로는, 1) 탄소수 6∼22의 지방산 알칼리금속염, 2) 탄소수 6∼22의 지방산 아민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소수 6∼22의 지방산으로는, 카프릴산,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올레인산, 에르신산, 리놀산, 도데세닐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탄소수 6∼22의 지방산 알칼리금속염을 구성하게 되는 알칼리금속으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을 들 수 있고, 아민염을 구성하게 되는 아민으로는, 1)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부틸아민, 디부틸아민, 트리부틸아민, 옥틸아민 등의 지방족 아민류, 2) 아닐린, 피리딘, 모르폴린, 피페라딘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의 방향족 아민류 또는 복소환 아민류, 3)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부틸디에탄올아민, 옥틸디에탄올아민, 라우릴디에탄올아민 등의 알카노일아민류, 4)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지방산염 가운데에서 특히 도데세닐숙신산 칼륨염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유기설폰산염으로는, 1) 데실설폰산 나트륨, 도데실설폰산 나트륨, 테트라데실설폰산 리튬, 헥사데실설폰산 칼륨 등의 알킬설폰산 알칼리금속염, 2) 부틸벤젠설폰산 나트륨, 도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옥타데실벤젠설폰산 칼륨, 디부틸나프탈렌설폰산 나트륨 등의 알킬아릴설폰산 알칼리금속염, 3) 1,2-비스(디옥틸옥시카보닐)-에탄설폰산 나트륨, 1,2-비스(디부틸옥시카보닐)-에탄설폰산 리튬, 도데실설포아세트산에스테르 나트륨, 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설포아세트산에스테르 칼륨 등의 에스테르설폰산 알칼리금속염을 들 수 있고, 이들 가운데에서 알킬설폰산 알칼리금속염, 알킬아릴설폰산 알칼리금속염이 바람직하며, 특히 탄소수 12∼18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유기황산염으로는, 1) 황산데실=나트륨, 황산도데실=나트륨, 황산테트라데실=리튬, 황산헥사데실=칼륨 등과 같은 황산알킬=알칼리금속염, 2) 우지황산화유(牛脂硫酸化油), 피마자유 황산화유 등과 같은 천연 유지 황산화물의 알칼리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황산도데실=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유기인산 에스테르염으로는, 1) 알킬기의 탄소수가 4∼22인 알킬인산에스테르염, 2) 알킬기의 탄소수가 4∼22이고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구성하는 옥시알킬렌 단위의 탄소수가 1∼5 개인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4∼22인 알킬인산 에스테르염으로는, 부틸인산 에스테르염, 펜틸인산 에스테르염, 헥실인산 에스테르염, 옥틸인산 에스테르염, 이소옥틸인산 에스테르염, 2-에틸헥실인산 에스테르염, 데실포스페이트 알칼리금속염, 라우릴포스페이트 알칼리금속염, 도데실인산 에스테르염, 미리스틸인산 에스테르염, 세틸인산 에스테르염, 스테아릴인산 에스테르염, 에이코실인산 에스테르염, 베헤닐인산 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킬인산 에스테르염에는, 모노에스테르화물 단독, 디에스테르화물 단독, 모노에스테르화물과 디에스테르화물의 혼합물이 포함되고, 디에스테르화물에는 동일한 알킬기를 갖는 디에스테르화물(대칭형 디에스테르)과 서로 다른 알킬기를 갖는 디에스테르화물(비대칭형 디에스테르)이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알킬인산에스테르염은 산성 알킬인산에스테르와 염기로부터 형성되는데, 이러한 염기로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유기아민 화합물, 암모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4∼22이고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구성하는 옥시알킬렌 단위의 수가 1∼5 개인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으로는, 폴리옥시 알킬렌부틸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헥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옥틸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이소옥틸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데실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트리데실에테르포스페이트 알칼리금속염, 폴리옥시알킬렌미리스틸에테르포스페이트 알칼리금속염, 폴리옥시알킬렌세틸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스테아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베헤닐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기로는 (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프로필렌기,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에는 모노에스테르화물 단독, 디에스테르화물 단독, 모노에스테르화물과 디에스테르화물의 혼합물이 포함되고, 디에스테르화물에는 동일한 알킬기를 갖는 디에스테르화물(대칭형 디에스테르)과 서로 다른 알킬기를 갖는 디에스테르화물(비대칭형 디에스테르)이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은 산성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와 염기로부터 형성되는데, 이러한 염기로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유기아민 화합물, 암모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제4급 암모늄염, 유기아민 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제4급 암모늄염으로는, 테트라메틸 암모늄염, 트리에틸메틸 암모늄염, 트리프로필에틸 암모늄염, 트리부틸메틸 암모늄염, 테트라부틸 암모늄염, 트리이소옥틸에틸 암모늄염, 트리메틸옥틸 암모늄염, 디라우릴디메 틸 암모늄염, 트리메틸스테아릴 암모늄염, 디부테닐디에틸 암모늄염, 디메틸디올레일 암모늄염, 트리메틸옥레일 암모늄염, 트리부틸하이드록시에틸 암모늄염, 디(하이드록시에틸)디프로필 암모늄염, 트리(하이드록시에틸)옥틸 암모늄염, 트리(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유기아민 옥사이드에는, 헥실아민 옥사이드, 옥틸아민 옥사이드, 노닐아민 옥사이드, 라우릴아민 옥사이드, 미리스틸아민 옥사이드, 세틸아민 옥사이드, 스테아릴아민 옥사이드, 아라키닐아민 옥사이드, 디헥실아민 옥사이드, 디옥틸아민 옥사이드, 디노닐아민 옥사이드, 디라우릴아민 옥사이드, 디미리스틸아민 옥사이드, 디세틸아민 옥사이드, 디스테아릴아민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도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벤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이들에는 옥틸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데실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도데실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헥사데실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옥타데실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노나데실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옥타데세닐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서는, 계면활성제로서 이상 설명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지방산염 및/또는 유기설폰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는, 기능부여제를 0.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20 중량%,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합계로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범위내에서 윤활제를 20∼80 중량%, 계면활성제를 10∼7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기능부여제를 1∼18 중량%, 윤활제를 34∼75 중량%, 계면활성제를 15∼65 중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는, 이상 설명한 기능부여제,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 이외에, 합목적적으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항산화제, 방부제, 방청제 등을 함유할 수 있는데, 그 함유량은 가급적 소량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는, 그의 유성 지수가 0.04 내지 0.35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6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여기서, 유성 지수란, 진자형 유성 마찰 시험기를 사용하여 25 ℃에서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 하중 40 g/80 g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은,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를 수성액으로 만들고, 이 수성액을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 하여 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부착방법으로는, 롤러 급유법, 계량 펌프를 이용한 가이드 급유법, 침지급유법, 스프레이 급유법 등의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착공정으로는,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방사공정, 방사와 연신을 동시에 행하는 공정 등을 들 수 있는데, 어느 쪽이든 가연가공에 공급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적용하는 경우에 효과가 크게 발현된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로는, 1) 락트산 단독 중합체인 폴리락트산, 2) 락트산과 ε-카프로락톤,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의 환상 락톤으로부터 수득되는 락트산 공중합체, 3) 락트산과 하이드록시부티르산, 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하이드록시발레르산 등의 하이드록시산으로부터 수득되는 락트산 공중합체, 4)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의 글리콜로부터 수득되는 락트산 공중합체, 5) 락트산과 숙신산, 세바신산, 아디핀산 등의 디카복실산으로부터 수득되는 락트산 공중합체, 6) 상기 1) 내지 5) 중 둘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실시형태로는 다음의 1) 내지 8)을 들 수 있다.
1)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K-1)를 10 중량%, 하기 윤활제(L-1)를 75 중량%, 하기 계면 활성제(S-1)를 15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09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기능부여제(K-1): 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50/5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10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윤활제(L-1): 부틸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60/4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11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부틸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75/25(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분자량 24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1/1(중량비)의 혼합물
계면활성제(S-1): 폴리옥시에틸렌(옥시에틸렌 단위의 반복수 5, 이하 n=5로 한다) 라우릴에테르/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도데실설폰산 나트륨=67/27/6(중량비)의 혼합물
2)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K-2)를 16 중량%, 하기 윤활제(L-2)를 62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S-1)를 21 중량%, 하기 기타 성분(E-1)을 1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07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기능부여제(K-2): 트리메틸롤프로판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70/3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하여 수득 되는 폴리에테르트리올의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메틸기로 치환한 평균분자량 6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윤활제(L-2): 도데실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60/4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25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80/2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분자량 1000의 폴리에테르디올=1/2(중량비)의 혼합물
기타 성분(E-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3)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K-3)를 11 중량%, 상기 윤활제(L-1)를 74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S-1)를 15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10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기능부여제(K-3): 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부틸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부틸렌옥사이드=70/3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하여 수득되는 폴리에테르디올의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데카노일로 치환한 평균분자량 35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4)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여제(K-3)를 5 중량%, 상기 윤활제(L-1)를 40 중량%, 하기 계면 활성제(S-2)를 55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11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계면활성제(S-2): 폴리옥시에틸렌(n=5) 라우릴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n=4) 라우릴에테르의 데칸산에스테르/도데세닐숙신산 디칼륨=14/85/2(중량비)의 혼합물
5)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K-6)를 1 중량%, 상기 윤활제(L-1)를 42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S-2)를 57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08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기능부여제(K-6): 테레프탈산디메틸/평균분자량 1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1/1(몰비)로부터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20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6)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여제(K-6)를 3 중량%, 상기 윤활제(L-2)를 66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S-1)를 30 중량%, 상기 기타 성분(E-1)을 1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06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7)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K-7)를 5 중량%, 상기 윤활제(L-1)를 74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S-1)를 19 중량%, 하기 기타 성분(E-2)을 2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08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기능부여제(K-7): 테레프탈산디메틸/5-설포이소프탈산디메틸/평균분자량 6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0.95/0.05/0.9/0.1(몰비)로부터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8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기타 성분(E-2): 에틸렌글리콜
8)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여제(K-7)를 5 중량%, 하기 윤활제(L-3)를 40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S-2)를 55 중량% 함유하고, 유성 지수가 0.10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윤활제(L-3): 옥틸스테아레이트
또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의 실시형태로는 다음 9)를 들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중 어느 하나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를 10 중량% 수성액으로 만들고, 이 수성액을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방사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 하여 0.8 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킨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실시예 등을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 실시예 등 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를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 시험구분 1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조제)
· 실시예 1
하기 기능부여제(K-1) 10 중량부, 하기 윤활제(L-1) 75 중량부 및 하기 계면활성제(S-1) 1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하기 유성 지수 0.09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P-1)를 조제하였다.
기능부여제(K-1): 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50/5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10000의 폴리에테르디올
윤활제(L-1): 부틸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60/4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11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부틸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75/25(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분자량 24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1/1(중량비)의 혼합물
계면활성제(D-1): 옥시에틸렌 단위의 반복수가 5인 폴리옥시에틸렌기 및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라우릴설폰산 나트륨=10/4/1(중량비)의 혼합물
유성 지수: 진자형 유성 마찰 시험기(신꼬조끼 가부시키가이샤(神鑛造機株式 會社)제)를 사용하여 25 ℃에서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 하중 40 g/80 g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
· 실시예 2∼19 및 비교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15 및 비교예 1∼3 각각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P-2∼P-19 및 R-1∼R-3)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과 함께 각 예에서 조제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내용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112002035336444-pat00001

표 1 에서,
사용량: 부
K-1: 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50/5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10000의 폴리에테르디올
K-2: 트리메틸롤프로판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70/3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하여 수득된 폴리에테르트리올의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메틸기로 치환한 평균분자량 6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K-3: 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부틸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부틸렌옥사이드=70/3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하여 수득된 폴리에테르디올의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데카노일로 치환한 평균분자량 35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K-4: 부틸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부틸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부틸렌옥사이드=70/3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하여 수득된 평균분자량 33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K-5: 트리메틸롤프로판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75/25(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하여 수득된 폴리에테르트리올의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옥타데카노일기로 치환한 평균분자량 19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K-6: 테레프탈산디메틸/평균분자량 1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1/1(몰비)로부터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20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K-7: 테레프탈산디메틸/5-설포이소프탈산디메틸/평균분자량 6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에틸렌글리콜=0.95/0.05/0.9/0.1(몰비)로부터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8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K-8: 테레프탈산/아디핀산/평균분자량 1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분자량 1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1/1/2/1(몰비)로부터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15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K-9: 테레프탈산디메틸/평균분자량 6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글리세린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500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트리올=3/3/1(몰비)로부터 수득되는 평균분자량 45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K-10: 평균분자량 2400의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L-1: 부틸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60/4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11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부틸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75/25(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분자량 24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1/1(중량비)의 혼합물
L-2: 도데실알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40/6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평균분자량 2500의 폴리에테르모노올/에틸렌글리콜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80/20(몰비)의 비율로 랜덤상으로 부가한 수평균분자량 1000의 폴리에테르디올=1/2(중량비)의 혼합물
L-3: 옥틸스테아레이트
L-4: 글리세린=트리(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5×10-6 ㎡/s 광물유=60/40(중량비)의 혼합물
S-1: 폴리옥시에틸렌(옥시에틸렌 단위의 반복수 5, 이하 n=5로 한다) 라우릴에테르/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도데실설폰산 나트륨=67/27/6(중량비)의 혼합물
S-2: 폴리옥시에틸렌(n=5) 라우릴에테르/폴리옥시에틸렌(n=4) 라우릴에테르의 데칸산에스테르/도데세닐숙신산 디칼륨=14/85/2(중량비)의 혼합물
S-3: 폴리옥시에틸렌(n=4) 라우릴아미노에테르/라우릴디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라우릴린산에스테르·옥틸트리메틸암모늄=70/10/20(중량비)의 혼합물
S-4: 폴리옥시에틸렌(n=5) 라우릴에테르/폴리옥시알킬렌(n=20) 경화 피마자유/폴리옥시에틸렌(n=3) 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칼륨=27/67/6(중량비)의 혼합물
S-5: 폴리옥시에틸렌(n=5) 라우릴에테르/폴리옥시알킬렌(n=4) 디에틸렌트리아민이소스테아릴아미드/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40/40/20(중량비)의 혼합물
E-1: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E-2: 에틸렌글리콜
· 시험구분 2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각각의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부착 및 평가)
·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각각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부착
평균분자량 100000, 멜트플로트(210 ℃) 25 g/10분, 유리전이점 64 ℃, 비중 1.26의 락트산 중합체 칩을 익스트루더(extruder)형 용융 방사기에 공급하여 210 ℃에서 용융시키고, 구금(口金)으로부터 토출시켜 냉각고화시킨 후의 주행사조에, 시험구분 1에서 조제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를 물로 희석한 10% 수성액을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 하여 부착량이 표 2에 기재된 부착량이 되도록 계량 펌프를 사용한 가이드 급유법으로 부착시킨 후, 가이드로 집속시키고 기계적인 연신을 수행하지 않고 2800 m/분의 속도로 권취하여 154 디텍스(dtex) 36 필라멘트의 부분연신사를 10 ㎏ 권취 케이크로서 여러 개 수득하였다. 수득된 부분연신사는 강도=2.8 g/dtx, 연신도=78%이었다.
·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부착량 측정
JIS-Ll073(합성 섬유 필라멘트사 시험 방법)에 준하고 추출 용제로서 노말 헥산/에탄올(50/50 용량비) 혼합 용제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부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권축성의 평가
수득된 부분연신사를 3축 마찰방식(경질 폴리우레탄 고무 디스크 사용)을 사용하여, 사조주행속도=400 m/분, 연신배율=1.5 배, 가연(加撚)측 히터=길이 2 m에서 표면온도 100 ℃ 및 140 ℃, 해연(解撚)측 히터=없음, 목표 연수(撚數)=2800 T/m으로 연신가연하였다. 수득된 100 dtex/36 필라멘트의 가연가공사를 귄취하기 전에, 연수(撚數)측정장치(토레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Toray Engineering Co. Ltd.)제)로 연수를 측정하여 권축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 목표연수, 2800 T/m
○ : 2700 T/m 이상 2800 T/m 미만
△ : 2500 T/m 이상 2700 T/m 미만
× : 2500 T/m 미만
· 보풀의 평가
수득된 100 dtex/36 필라멘트의 가연가공사를 권취하기 전에 보풀계수장치(토레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제 DT-105)로 시간당 보풀수를 측정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 발생하지 않음
○ : 5 개 이하 발생
△ : 5 이상 10 개 미만 발생
× : 10 이상 발생
· 단사의 평가
상기 조건에서 10 일간 연속적으로 연신가연 운전한 후 발생한 단사의 수를 시간당 수로 환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 발생하지 않음
○ : 1 회/시간 발생
△ : 3 회/시간 발생
× : 5 회/시간 발생
· 가연사의 강도측정
수득된 가연사의 강도평가를 JIS-L1013에 준하여 인장강신도(引張强伸度) 특성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 : 강도가 5.4 g/dtx 이상
○ : 강도가 5.0 g/dtx 이상 5.4 g/dtx 미만
△ : 강도가 4.0 g/dtx 이상 5.0 g/dtx 미만
× : 강도가 4.0 g/dtx 미만
Figure 112002035336444-pat00002

표 2에서,
유제 부착량: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의 부착량(%)
조건 1: 히터온도 100 ℃
조건 2: 히터온도 140 ℃
이미 명백한 바와 같이,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는 락트산으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우수한 평활성 및 집속성 등을 부여하고, 이로써 이러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방사에서 가공에 이르는 각 공정, 특히 가연가공 공정에서 보풀이나 단사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권축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섬유사조를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를 0.1∼30 중량% 함유하고,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합계로 70 중량% 이상 함유하며, 하기 유성 지수가 0.04∼0.35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기능부여제 : 평균분자량 3000∼20000의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평균분자량 3000∼50000의 하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평균분자량 1000∼10000의 폴리올레핀 왁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화학식 1]
    (A-B)nT
    상기 식에서,
    A : 수소, 1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아실기
    B :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로부터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뺀 잔기
    T : 1∼4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n : T가 1∼4가의 탄화수소기인 경우는 1∼4의 정수, T가 수소인 경우는 1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 하기 성분 D와 하기 성분 E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하기 성분 D, 하기 성분 E 및 하기 성분 F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D : 탄소수 4∼22의 지방족디카복실산, 탄소수 4∼22의 지방족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E : 모두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올, 폴리옥시알킬렌 디올 및 폴리옥시알킬렌 트리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F : 탄소수 2∼6의 알킬렌 디올
    ·유성 지수 : 진자형 유성 마찰 시험기를 사용하여 25 ℃에서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 하중 40 g/80 g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값.
  2.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부여제를 0.5∼20 중량% 함유하고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합계로 80 중량% 이상 함유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3. 제 2 항에 있어서, 기능부여제를 1∼18 중량%, 윤활제를 34∼75 중량%, 계면활성제를 15∼65 중량% 함유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유성 지수가 0.05∼0.16의 범위내에 있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5. 제 4 항에 있어서, 기능부여제가 평균분자량 3500∼18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평균분자량 3500∼40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탄소수 17∼60의 지방족 에스테르, 평균분자량 700∼29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30 ℃의 점도가 2× 10-6∼2×10-4 ㎡/s인 광물유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7. 제 4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유기설폰산염 및 지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9.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하기 기능부여제를 0.1∼30 중량% 함유하고,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합계로 70 중량% 이상 함유하며, 하기 유성 지수가 0.04∼0.35의 범위내에 있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를 수성액으로 만들고, 이 수성액을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 하여 0.1∼3 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기능부여제 : 평균분자량 3000∼20000의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평균분자량 3000∼50000의 하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평균분자량 1000∼10000의 폴리올레핀 왁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화학식 1]
    (A-B)nT
    상기 식에서,
    A : 수소, 1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아실기
    B :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로부터 모든 하이드록시기의 수소를 뺀 잔기
    T : 1∼4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n : T가 1∼4가의 탄화수소기인 경우는 1∼4의 정수, T가 수소인 경우는 1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 하기 성분 D와 하기 성분 E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및 하기 성분 D, 하기 성분 E 및 하기 성분 F를 축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D : 탄소수 4∼22의 지방족디카복실산, 탄소수 4∼22의 지방족디카복 실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E : 모두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단위를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는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올, 폴리옥시알킬렌 디올 및 폴리옥시알킬렌 트리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성분 F : 탄소수 2∼6의 알킬렌 디올
    ·유성 지수 : 진자형 유성 마찰 시험기를 사용하여 25 ℃에서 상대습도 65%의 분위기하에 하중 40 g/80 g의 조건으로 측정했을 때의 값.
  10. 제 9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가 기능부여제를 0.5∼20 중량% 함유하고, 윤활제 및 계면활성제를 합계로 8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가 기능부여제를 1∼18 중량%, 윤활제를 34∼75 중량%, 계면활성제를 15∼65 중량% 함유하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가 그의 유성 지수가 0.05∼0.16의 범위내에 있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가 기능부여제로서 평균분자량 3500∼18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평균분자량 3500∼40000의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가 윤활제로서 탄소수 17∼60의 지방족 에스테르, 평균분자량 700∼29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 및 30 ℃의 점도가 2×10-6∼2×10-4 ㎡/s인 광물유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가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가 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유기설폰산염 및 지방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를 수성액으로 만들 고, 이 수성액을 락트산 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에 대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로 하여 0.5∼1.5 중량%가 되도록 부착시키는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가 가연가공에 공급되는 것인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의 처리방법.
KR1020020065734A 2001-10-31 2002-10-28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처리방법 KR100815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3933 2001-10-31
JP2001333933A JP3725464B2 (ja) 2001-10-31 2001-10-31 生分解性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用油剤及び生分解性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の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973A KR20030035973A (ko) 2003-05-09
KR100815833B1 true KR100815833B1 (ko) 2008-03-21

Family

ID=1914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734A KR100815833B1 (ko) 2001-10-31 2002-10-28 생분해성 합성섬유 필라멘트용 유제 및 생분해성 합성섬유필라멘트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318842B2 (ko)
JP (1) JP3725464B2 (ko)
KR (1) KR100815833B1 (ko)
TW (1) TWI3194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036A (ja) * 2001-02-20 2002-08-28 Murata Mach Ltd 仮撚り加工方法
CN100429338C (zh) * 2002-08-30 2008-10-29 东丽株式会社 聚乳酸纤维、丝筒和纤维制品
JP4691396B2 (ja) * 2004-06-03 2011-06-01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TWI358481B (en) 2004-06-03 2012-02-21 Takemoto Oil & Fat Co Ltd Processing agents and methods for synthetic fibers
JP4456532B2 (ja) * 2004-08-03 2010-04-28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4691415B2 (ja) * 2004-11-02 2011-06-01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4681914B2 (ja) * 2005-03-09 2011-05-11 竹本油脂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合成繊維用処理剤、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合成繊維の処理方法及び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合成繊維
JP4691444B2 (ja) * 2005-12-27 2011-06-01 竹本油脂株式会社 生分解性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用処理剤及び生分解性合成繊維フィラメントの処理方法
WO2015069843A2 (en) * 2013-11-08 2015-05-14 Hollister Incorporated Oleophilic lubricated catheters
CN106521783A (zh) * 2017-01-20 2017-03-22 南通杰克拜尼服帽有限公司 一种针织帽的制作工艺
CN106835475A (zh) * 2017-01-20 2017-06-13 南通杰克拜尼服帽有限公司 一种针织汗带的制作工艺
JP6883264B2 (ja) * 2017-11-24 2021-06-09 日油株式会社 合成繊維平滑剤組成物
WO2019108225A1 (en) * 2017-12-01 2019-06-06 Xinova, LLC Copolymers and laminates including the copolymers
CN112513365B (zh) * 2018-07-30 2023-07-21 三洋化成工业株式会社 纤维用上浆剂组合物、纤维用上浆剂分散体、纤维用上浆剂溶液、纤维束、纤维产品和复合材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857A (ja) * 1997-07-22 1999-02-16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不織布
JP2000282369A (ja) * 1999-03-31 2000-10-10 Sanyo Chem Ind Ltd 合成繊維用紡糸油剤
JP2001040529A (ja) * 1999-05-21 2001-02-13 Shimadzu Corp 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43922A (ko) * 2000-08-01 2003-06-0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생분해성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5913B1 (en) * 1995-09-29 2002-08-28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actic acid-based polyester compositions
JP4052771B2 (ja) * 1999-11-24 2008-02-27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857A (ja) * 1997-07-22 1999-02-16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不織布
JP2000282369A (ja) * 1999-03-31 2000-10-10 Sanyo Chem Ind Ltd 合成繊維用紡糸油剤
JP2001040529A (ja) * 1999-05-21 2001-02-13 Shimadzu Corp 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43922A (ko) * 2000-08-01 2003-06-0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생분해성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57143A1 (en) 2011-03-10
US20070299237A1 (en) 2007-12-27
JP3725464B2 (ja) 2005-12-14
US20030079297A1 (en) 2003-05-01
JP2003138485A (ja) 2003-05-14
US8167957B2 (en) 2012-05-01
KR20030035973A (ko) 2003-05-09
TWI319452B (ko) 2010-01-11
US7318842B2 (en)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7957B2 (en) Agents and methods for treating biodegradable synthetic yarns which are to be subjected to false twisting process
KR102606861B1 (ko) 탄성 섬유용 처리제 및 탄성 섬유
CN112048915A (zh) 弹性纤维用处理剂以及弹性纤维
CN112543827A (zh) 合成纤维用处理剂及合成纤维
JPS6260510B2 (ko)
JPWO2009034692A1 (ja) 合成繊維の摩擦仮撚用油剤およびその利用
CN112501908B (zh) 合成纤维用处理剂及合成纤维
JP7126297B1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
CN116018437A (zh) 弹性纤维用处理剂和弹性纤维
EP0145150A2 (en) Lubricating agents for processing synthetic yarns and method of processing synthetic yarns therewith
KR100539727B1 (ko) 합성섬유 처리제 및 합성섬유 처리방법
JP4947796B2 (ja) 合成繊維用ストレート型処理剤、これを用いる合成繊維仮撚加工糸の処理方法及び合成繊維仮撚加工糸
JP2002030571A (ja) 合成繊維の高速紡績用油剤及び高速紡績方法
JP4052771B2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3904514B2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TWI824466B (zh) 合成纖維用處理劑及合成纖維
JP4471463B2 (ja) 合成繊維の高速紡績用油剤及び高速紡績方法
JP2006316375A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S6324119B2 (ko)
TWI277679B (en) Treating agent for synthetic fiber and method for treating synthetic fiber
JP4093931B2 (ja) 仮撚加工に供する合成繊維用の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JP3926050B2 (ja) 合成繊維用油剤
JP3420086B2 (ja) 合成繊維の延伸仮撚方法
JP4537078B2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繊維
JP3914095B2 (ja) 合成繊維用処理剤及び合成繊維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