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521B1 -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521B1
KR100812521B1 KR1020060031246A KR20060031246A KR100812521B1 KR 100812521 B1 KR100812521 B1 KR 100812521B1 KR 1020060031246 A KR1020060031246 A KR 1020060031246A KR 20060031246 A KR20060031246 A KR 20060031246A KR 100812521 B1 KR100812521 B1 KR 10081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inding member
opening
corner portion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898A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신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섭 filed Critical 신기섭
Priority to KR102006003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521B1/ko
Priority to JP2007016223A priority patent/JP4256428B2/ja
Publication of KR2007009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26Corner fittings characterised by shape, configuration or number of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는, "ㄱ"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ㄱ"자의 수평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ㄱ"자의 수직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일방이 개구된 일정깊이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의 적어도 한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상하측 각 4개소의 코너부와; 이 각 코너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코너부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제조단가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정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편리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호 긴밀하게 인접해 있는 컨테이너들을 상하 방향으로 편리하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컨테이너, 결속부재, 코너부

Description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COUPLING MEMBER FOR CONTAINER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코너 캐스팅이 제거된 컨테이너의 코너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컨테이너용 결속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호 고정된 두 컨테이너의 코너부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속부재가 컨테이너의 한 코너부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결속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결속부재를 각 코너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한 컨테이너의 개략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결속부재를 각 코너부에 폭방향으로 구비한 컨테이너의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결속부재 10a, 12b: 개구부
10b: 관통홀 11: 컨테이너
12a: 오목부 12: 코너부
13: 볼트부재 14: 너트부재
15: 와셔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를 일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운반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적치장, 화물차량, 선박 등에 긴밀하게 적재되는 다수 개의 컨테이너를 인접한 컨테이너와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한 적재 또는 보관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임시 사무실, 현장숙소, 주거수단, 버스 정류장의 간이 판매대 등으로 사용된다.
통상의 컨테이너(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각 4개소 코너부(2)에 3개의 측면이 외부로 개방된 일정깊이의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오목부의 주위에는 3개의 개구부(4a)를 갖는 코너 캐스 팅(4)(Corner Casting)이 용접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코너 캐스팅(4)은 컨테이너(1)를 소정 위치로 운반할 목적으로 컨테이너를 승하강시키는 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인접하게 배치된 컨테이너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데도 이용된다.
컨테이너 운반의 경우, 상기 코너 캐스팅(4)의 개구부(4a)는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1)를 승하강시키는데 주로 이용된다. 그 밖에도, 상기 코너 캐스팅(4)의 개구부(4a)는 오목부(3)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로도 이용되고 있다.
컨테이너 고정의 경우, 인접한 컨테이너들은 각 코너부(2) 주위에 부착된 코너 캐스팅(4), 관통홀(5a)을 갖는 매개 플레이트(5), 볼트(6)와 너트(7) 및 링(8)으로 구성되는 결속장치(9)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개 플레이트(5)는 해당 코너 캐스팅(4)의 개구부(4a)를 통해 일측 내벽에 각각 배치된 후, 볼트(6)와 너트(7)를 매개로 하여 해당 코너 캐스팅(4)에 밀착되게 고정되며, 그에 따라 인접한 컨테이너들은 상기 결속장치(9)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용 결속장치는 적어도 코너 캐스팅, 매개 플레이트 및 볼트와 너트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각 부품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 매개 플레이트가 코너 캐스팅의 개구부를 통해 그 코너 캐스팅의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고, 볼트와 너트를 해당 코너 캐스팅의 개구부 안으로 끼워 각 매개 플레이트를 통해 해당 컨테이너를 인접한 컨테이너와 고정시키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제조단가도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용 결속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정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편리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호 긴밀하게 인접해 있는 컨테이너들을 상하 방향으로 편리하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를 합한 전체 돌출거리가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간의 간격 등을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규격의 범위 내에 들도록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는 "ㄱ"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ㄱ"자의 수평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ㄱ"자의 수직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일방이 개구된 일정깊이의 오목부가 형성 되고 그 오목부의 적어도 한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상하측 각 4개소의 코너부와; 이 각 코너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코너부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속부재가 컨테이너의 한 코너부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ㄱ"자의 수평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그 "ㄱ"자의 수직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10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관통홀(10b)의 배열선은 그 개구부(10a)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직각 또는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10)는 부착 대상물(예컨대, 컨테이너의 코너부)에 고정될 경우를 고려하여 일부분이 주변에 대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이 개구된 일정깊이의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의 적어도 한 측면에 개구 부(12b)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오목부(12a)를 통해 컨테이너(11)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상하측 각 4개소의 코너부(12)와; 이 각 코너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코너부(13)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10b)이 형성된 결속부재(1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오목부(12a)는 외부로부터 컨테이너(11)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의 입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각 오목부(12a)는 수직 포스트(20)와 수평 포스트(22)의 인접한 단부, 또는 해당 수직 포스트(20)의 단부를 통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오목부(12a)의 바닥은 컨테이너(11)의 내부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상기 각 오목부(12a)의 바닥은 제조과정에서 미리 주변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보강 플레이트 부재(21)를 매개로 하여 용접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 코너부(12)의 개구부(12b)는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통해 가해지는 인장력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수직 포스트(20)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12b)는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의 입출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오목부(12a)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코너부(12)는 컨테이너(11)를 지지하는 수직 포스트(20)의 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수직 포스트(20)는 중공형태의 사각관, 원형관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직 포스트(20)의 내부에 보강 플레이트부재(21)가 배치되어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상기 결속부재(10)는 코너부(12)의 대응부분에 리벳팅,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 결속부재(10)가 코너부(12)의 대응부분에 대해 간단하게, 그리고 일정 부착강도(예컨대, 코너부에 대해 요구되는 내구강도 등)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면 어느 방식으로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코너부(12)에 결속부재(10)가 구비된 컨테이너(11)는 평평한 기부(基部)에 그대로 배치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선단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다수 개의 지지봉(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기부에 배치시켜 그 각 지지봉에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부는 콘크리트 구조물, 철제 구조물 등일 수 있으며, 컨테이너(11)를 충분히 지탱해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다른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컨테이너(11)의 상부에 다른 컨테이너(도시되지 않음)가 적재되었을 경우, 두 인접한 컨테이너의 각 코너부의 결속부재(10)는 볼트부재(13)와 너트부재(14)를 매개로 하여 고정될 수 있다(도 7 참조).
여기에서, 상기 각 결속부재(10)는 그 결속부재의 관통홀(10b)의 배열선이 컨테이너(1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해당 코너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 코너부(12)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결속부재(10)의 돌출거리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사이의 간격 등을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 규격을 만족시킨다.
상기 볼트부재(13)의 헤드부와 대응 결속부재(10) 사이 및 상기 너트부재(14)와 대응 결속부재(10') 사이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와셔(15)가 배치된다. 상기 와셔(15)는 상기 볼트부재(13)의 헤드부 내측에 일체로 또는 별도로 마련되어 축부를 통해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적재 및 고정 과정을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레인의 후크(또는,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를 컨테이너(11)의 4개소 코너부(12)에 각각 마련된 오목부(12a)와 개구부(12b)를 통해 그 각 코너부(12)를 건 후, 해당 컨테이너를 일정높이로 들어올려 원하는 소정의 장소(예컨대, 적치장, 화물차량, 선박 등)로 옮긴다.
그런 다음, 상기 컨테이너(11)의 각 코너부(12)로부터 크레인의 후크를 해제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앞서 옮겨진 컨테이너(11)의 상부에 정렬시켜 적재한다.
그러면, 상기 두 컨테이너(11)의 각 코너부(12)에 구비된 결속부재(10)가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접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각 결속부재(10)의 관통홀(10b)도 서로 마주하게 된다.
그런 다음, 볼트부재(13)와 너트부재(14)를 매개로 하여 차례대로 각 코너부(12)의 결속부재(10)를 상호 고정시키면 두 컨테이너(11)는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층으로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대상물(예컨대, 적치장, 화물차량, 선박)의 적재 공간이 허용되는 한, 앞서 적재된 컨테이너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른 열의 컨테이너를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일측 열의 컨테이너 중의 최상부의 것과 인접한 다른 열의 컨테이너 중의 최상부의 것의 각 코너부(12)는 외부로부터 물리적 충격을 받더라도 각 열의 컨테이너 층이 옆으로 쓰러지지 않게 하고 컨테이너들 간의 분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탈이 용이한 형태의 패스너(도시되지 않음)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제조단가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정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편리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호 긴밀하게 인접해 있는 컨테이너들을 상하 방향으로 편리하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일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를 합한 전체 돌출거리가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간의 간격 등을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규격의 범위 내에 들게 한다.

Claims (11)

  1. "ㄱ" 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ㄱ"자의 수평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ㄱ"자의 수직선 획에 해당하는 부분에 일렬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배열선은 그 개구부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직각 또는 평행을 이루는 것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인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4. 일방이 개구된 일정깊이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의 적어도 한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통해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는 상하측 각 4개소의 코너부와;
    이 각 코너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그 코너부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소정 컨테이너의 상부에 다른 컨테이너가 적재되었을 경우 두 인접한 컨테이너의 각 코너부의 결속부재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것인 컨테이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해당 코너부의 대응부분을 따라 용접된 것인 컨테이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속부재는 그 결속부재의 관통홀의 배열선이 컨테이너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해당 코너부에 고정 가능한 것인 컨테이너.
  8. 제4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너부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결속부재의 돌출거리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사이의 간격에 대해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인 컨테이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부와 대응 결속부재 사이 및 상기 너트부재와 대응 결속부재 사이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와셔가 배치되고, 이 와셔는 상기 볼트부재의 축부를 통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인 컨테이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너부는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수직 포스트의 단부인 것인 컨테이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포스트는 중공형태의 사각관 또는 원형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직 포스트의 내부에 보강 플레이트부재가 구비된 것인 컨테이너.
KR1020060031246A 2006-04-06 2006-04-06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081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46A KR100812521B1 (ko) 2006-04-06 2006-04-06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JP2007016223A JP4256428B2 (ja) 2006-04-06 2007-01-26 コンテナ用の結束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コンテ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246A KR100812521B1 (ko) 2006-04-06 2006-04-06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898A KR20070099898A (ko) 2007-10-10
KR100812521B1 true KR100812521B1 (ko) 2008-03-12

Family

ID=3867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246A KR100812521B1 (ko) 2006-04-06 2006-04-06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56428B2 (ko)
KR (1) KR100812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698A (ko) * 2008-04-16 2009-10-21 신기섭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20110041781A (ko) * 2009-10-16 2011-04-22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적재 장치
JP2013144554A (ja) * 2012-01-13 2013-07-25 Nitto Denko Corp コンテナ装置
SE542417C2 (en) * 2017-03-31 2020-04-28 Elme Spreader Ab Side lift spreader for lifting intermodal containers, and method of operating a side lift spreader
FR3091270B1 (fr) * 2018-12-27 2021-07-02 Renault Sas Pied de support et fixation d’un système embarqué de transport de marchandises et système embarqué équipé d’un tel pied
JP6931499B1 (ja) * 2021-01-26 2021-09-08 株式会社ヒーローライフカンパニー トレーラハウ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8093U (ja) 1983-10-14 1985-05-14 丸永梱包株式会社 段積みコンテナの接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8093U (ja) 1983-10-14 1985-05-14 丸永梱包株式会社 段積みコンテナの接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56428B2 (ja) 2009-04-22
KR20070099898A (ko) 2007-10-10
JP2007276877A (ja)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9698A (ko)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100812521B1 (ko)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JP6592449B2 (ja) フレームワーク要素のためのコンテナ
CN112585320B (zh) 格架设备及其使用和制造方法
KR1010420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CN214422186U (zh) 一种用于混凝土构件运输的电动叉车
JP3251905B2 (ja) 先組柱筋用吊り治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外殻PCa柱部材製造における塞ぎ型枠の設置方法
EP2601116B1 (en) Transport container
CN213416047U (zh) 一种门式集装箱起重机驾驶室清洗平台
JPH0732469Y2 (ja) ポータブルボックス
RU177894U1 (ru) Шахта грузового подъёмника
JP5603805B2 (ja) 吊り治具および吊り治具の取付構造、バルコニーユニットの吊り上げ方法
CN112573344A (zh) 超大混凝土预制看台板吊装、翻身装置及其使用方法
JPH0514308U (ja) ユニツトボツクス
JP2001316073A (ja) クレーンのコンテナ専用吊具
KR200410591Y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CN214935543U (zh) 一种船用垃圾吊运装置
JP3081827U (ja) 型枠荷あげ用止め具
CN218088544U (zh) 一种便捷式砌体材料吊笼
KR200388466Y1 (ko) 강도가 보강된 컨테이너의 코너 케스팅
CN201793295U (zh) 一体式框架电梯结构
US20230399203A1 (en) Point-loaded lifting fork for lifting standing formwork
KR0169888B1 (ko) 입체 자동창고용 랙 구조건축물의 랙 연결방법과 그 방법으로 구성한 구조물
JP2001018705A (ja) 建物ユニットの輸送用固定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建物ユニットの輸送方法
JP2001055835A (ja) Pc版揚重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