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698A -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698A
KR20090109698A KR1020080035066A KR20080035066A KR20090109698A KR 20090109698 A KR20090109698 A KR 20090109698A KR 1020080035066 A KR1020080035066 A KR 1020080035066A KR 20080035066 A KR20080035066 A KR 20080035066A KR 20090109698 A KR20090109698 A KR 2009010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inding member
vertical post
corner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신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188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10969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섭 filed Critical 신기섭
Priority to KR102008003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698A/ko
Priority to JP2009095051A priority patent/JP2009255985A/ja
Priority to CN200910138781XA priority patent/CN101559862B/zh
Publication of KR2009010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8Castors, rolls, or the like; e.g. detachable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개시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각 4개소 코너부에 배치되며,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각각 일정깊이의 부분에 외부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과 뒤틀림을 차단하도록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각 상단부와 하단부의 적어도 한 외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4개의 수직포스트; 이 각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8개 대응부분에 배치되며,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되며, 외부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해당 두 수직포스트의 단부의 대응측면에 고정된 8개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각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 주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해당 수직포스트의 단부와 마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컨테이너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층으로의 적층에 따른 부가하중, 지진, 선박의 급경사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 구조적으로 적절히 견딜 수 있게 한다.
결속부재, 컨테이너, 코너부

Description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Container having Coupling members}
본 발명은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의 승하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경질의 바닥면에 해당 컨테이너를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적치장, 화물차량, 선박 등에 두 개 이상의 층으로 적재될 경우 인접한 컨테이너끼리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위한 적재 또는 보관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임시 사무실, 현장숙소, 창고, 주거수단, 버스 정류장의 간이 판매대 등으로 사용된다.
통상의 컨테이너(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각 4개소 코너부(2)의 단부에 3개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된 일정깊이의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오목부의 주위에는 3개의 개구부(4a)를 갖는 코너 캐스팅(4)(Corner Casting)이 용접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코너 캐스팅(4)은 컨테이너(1)를 소정 위치로 운반할 목적으로 컨테이너를 승하강시키는 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인접하게 배치된 컨테이너들 을 상호 고정시키는 데도 이용된다.
컨테이너 운반의 경우, 상기 코너 캐스팅(4)의 개구부(4a)는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1)를 승하강시키는데 주로 이용된다. 그 밖에도, 상기 코너 캐스팅(4)의 개구부(4a)는 오목부(3)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로도 이용되고 있다.
컨테이너 고정의 경우, 인접한 컨테이너들은 각 코너부(2) 주위에 부착된 코너 캐스팅(4), 관통홀(5a)을 갖는 매개 플레이트(5), 볼트(6)와 너트(7) 및 링(8)으로 구성되는 결속장치(9)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용 결속장치는 적어도 코너 캐스팅(4), 매개 플레이트(5) 및 볼트(6)와 너트(7)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각 부품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각 매개 플레이트(5)가 코너 캐스팅(4)의 개구부(4a)를 통해 그 코너 캐스팅의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고, 볼트(6)와 너트(7)를 해당 코너 캐스팅(4)의 개구부(4a) 안으로 끼워 매개 플레이트(5)를 통해 해당 컨테이너를 인접한 컨테이너와 고정시키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통상의 컨테이너(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각 4개소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8개의 수평프레임(10) 및 상기 상부와 하부의 해당 수평프레임(10)의 4개소 코너부(2)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포스트(11)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1)의 상기 각 수평프레임(10)과 수직포스트(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로 금속플레이트가 절곡된 후, 이차로 그 금속플레이트의 양측 모서리가 컨테이너(1)의 해당 측면의 대응부분과 용접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순히 컨테이너(1)의 해당부분을 외부로부터 덮거나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각 수평프레임(10)과 수직포스트(11)의 단면구조가 도 1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형태(closed loop type)가 아닌 개방된 형태(opened loop type)로 이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1)는 여러 층으로 적층되거나 외부로부터 큰 하중이 가해질 때 그 컨테이너의 본체가 쉽게 변형될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결속장치(9)를 통해 소정 컨테이너(1)와 인접한 컨테이너를 고정시킨 경우에도, 지진, 선박의 급경사 등에 의한 외력을 받을 때 상기 컨테이너(1)의 본체가 변형됨에 따라 그 본체의 코너부(2)에 고정된 상기 결속장치(9)가 뒤틀리거나 그 결속장치의 결속상태가 느슨해져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높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 층으로의 적층에 따른 부가하중, 지진, 선박의 급경사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 구조적으로 적절히 견딜 수 있게 하면서, 그와 동시에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정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편리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거나,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경질의 바닥면에 해당 컨테이너를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상호 긴밀하게 인접해 있는 컨테이너들을 상하 방향으로 편리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결속부 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를 합한 전체 돌출거리가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간의 간격 등을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규격의 범위 내에 들도록 하는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 4개소 코너부에 배치되며,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각각 일정깊이의 부분에 외부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과 뒤틀림을 차단하도록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각 상단부와 하단부의 적어도 한 외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4개의 수직포스트; 이 각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8개 대응부분에 배치되며,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되며, 외부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해당 두 수직포스트의 단부의 대응측면에 고정된 8개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각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 주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해당 수직포스트의 단부와 마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컨테이너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 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포스트와 수평프레임은 각각 중공형태의 사각관 또는 원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포스트는 상기 결속부재의 관통홀을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더 멀리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수직포스트 간의 고정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인접한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부재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해당 수직포스트의 단부면과 인접한 수평프레임의 대응부분을 따라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컨테이너의 상부에 다른 컨테이너가 적재되었을 경우, 두 인접한 컨테이너의 각 코너부의 결속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속부재는 두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그 결속부재의 관통홀의 배열선이 컨테이너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너부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결속부재의 돌출거리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사이의 간격에 대해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의 헤드부와 대응 결속부재 사이 및 상기 너트와 대응 결속부재 사이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와셔가 배치되고, 이 와셔는 상기 볼트의 축부를 통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 층으로의 적층에 따른 부가하중, 지진, 선박의 급경사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 구조적으로 적절히 견딜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동시에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일정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편리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게 하거나,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면과 같은 경질의 바닥면에 해당 컨테이너를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상호 긴밀하게 인접해 있는 컨테이너들을 상하 방향으로 편리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발명은 일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 컨테이너의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결속부재의 돌출거리를 합한 전체 돌출거리가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간의 간격 등을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규격의 범위 내에 들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하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 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4개의 수직포스트(20), 8개의 수평프레임(21) 및 결속부재(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수직포스트(20)는 컨테이너(1)의 4개소 해당 코너부(2)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각 수직포스트(20)는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수직포스트(20)는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각각 일정깊이의 부분에 외부로부터 컨테이너(1)의 내부로 물의 유입과 뒤틀림을 차단하도록 보강플레이트(23)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보강플레이트(23)의 둘레 모서리와 해당 수직포스트(20)의 내벽 대응부분은 용접에 의해 밀봉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 수직포스트(20)의 각 상단부와 하단부의 적어도 한 외측면에는 개구부(20a)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0a)는 컨테이너(1)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해당 단부의 두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포스트(20)의 해당 단부와 보강플레이트(23)에 의해 이루어진 오목부(3)는 위와 같이 컨테이너(1)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의 입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구부(20a)는 크레인의 후크,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의 입출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오목부(3) 안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수평프레임(21)은 각 수직포스트(2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8개소 해당 부분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각 수평프레임(21)은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수평프레임(21)은 외부로부터 컨테이너(1)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해당 두 수직포스트(20)의 단부의 대응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결속부재(22)는 각 수직포스트(20)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 주위에 부착된다. 상기 결속부재(22)는 일측에 해당 수직포스트(20)의 단부와 마주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컨테이너(1)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2b)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포스트(20)와 수평프레임(21)은 각각 중공형태의 사각관(또는 다각관), 원형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포스트(20) 또는 수평프레임(21)은 금속플레이트를 사각 또는 원형으로 절곡시킨 다음, 양측 모서리를 용접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수직포스트(20)는 상기 결속부재(22)의 관통홀(22b)을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더 멀리 위치시키고, 그와 동시에 상기 결속부재(22)와 상기 수직포스트(20) 간의 고정영역(예컨대, 용접면 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인접한 수평프레임(2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결속부재(22)는 제작의 편의 또는 설치공간의 제한을 고려하여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부재(22)는 다양한 형태의 부착 대상물(예컨대, 인접한 컨테이너의 코너부)에 적용될 경우를 고려하여 일부분이 주변에 대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22)는 해당 수직포스 트(20)의 단부면과 용접됨과 아울러, 인접한 수평프레임(21)의 대응부분을 따라 더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정 컨테이너의 상부에 다른 컨테이너가 적재되었을 경우, 두 인접한 컨테이너의 각 코너부의 결속부재(22)는 볼트(6)와 너트(7)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결속부재(22)는 일측에 해당 수직포스트(20)의 단부와 마주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컨테이너(1)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두 개의 관통홀(22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부재(22)는 두 관통홀(22b)의 배열선이 컨테이너(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해당 코너부(2)에 고정된다(도 7과 도 8 참조).
상기 코너부(2)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결속부재(22)의 돌출거리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1) 사이의 간격에 대해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 규격을 만족시킨다.
상기 볼트(6)의 헤드부와 대응 결속부재(22) 사이 및 상기 너트(7)와 대응 결속부재(22) 사이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와셔(24)가 배치되고, 이 와셔는 상기 볼트(6)의 축부를 통해 관통되게 끼워진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의 각 측벽은 상호 일정간격을 갖도록 금속플레이트(1a,1b)로 이루어지며, 이 금속플레이트의 내부공간에는 단열을 위해 스티로폼 보드(styrofoam board)(1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1)의 천장벽과 바닥벽 또한 전술한 측벽들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적재 및 고정 과정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레인의 후크(또는, 트위스트 락, 강선 와이어 등)를 컨테이너(1)의 4개소 수직포스트(20)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 결속부재(22)의 개구부(22a) 및 수직포스트(20)의 오목부(3)와 개구부(20a)를 통해 컨테이너(1)의 코너부(2)를 건 후, 해당 컨테이너를 일정높이로 들어올려 원하는 소정의 장소(예컨대, 적치장, 화물차량, 선박 등)로 옮긴다.
그런 다음, 상기 컨테이너(1)의 각 코너부(2)로부터 크레인의 후크를 해제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앞서 옮겨진 컨테이너(1)의 상부에 정렬시켜 적재한다.
그러면, 상기 두 컨테이너의 수직포스트(20)의 각 코너부(2)에 구비된 결속부재(22)가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접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각 결속부재(22)의 관통홀(22b)도 서로 마주하게 된다.
그런 다음, 볼트(6)와 너트(7)를 매개로 하여 차례대로 상기 각 코너부(2)의 결속부재(22)를 상호 고정시키면, 두 컨테이너(1)는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장소 또는 대상물(예컨대, 적치장, 화물차량, 선박 등)의 적재 공간 또는 규정이 허용하는 한 여러 층으로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4개의 수직포스트(20)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 주위에 결속부재(22)가 구비된 컨테이너(1)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경질의 바 닥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경질의 바닥에는 상기 컨테이너(1)의 결속부재(22)의 해당 관통홀(22b)을 통해 끼워질 수 있도록 미리 일정깊이로 매립되어 고정된 다수 개의 지지봉(미도시)이 제공된다. 상기 각 지지봉의 선단부는 나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테이너(1)의 각 결속부재(22)와 해당 지지봉은 너트(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코너 캐스팅이 제거된 컨테이너의 코너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용 결속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컨테이너용 결속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호 고정된 두 컨테이너의 코너부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에 적용되는 결속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결속부재가 각 코너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결속부재가 각 코너부에 폭방향으로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컨테이너 2: 코너부
3: 오목부 6: 볼트
7: 너트 20: 수직포스트
20a,22a: 개구부 21: 수평프레임
22: 결속부재 22b: 관통홀
23: 보강플레이트

Claims (8)

  1. 각 4개소 코너부에 배치되며,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각각 일정깊이의 부분에 외부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과 뒤틀림을 차단하도록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각 상단부와 하단부의 적어도 한 외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4개의 수직포스트;
    이 각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8개 대응부분에 배치되며, 축선방향이 개방되고 둘레방향은 폐쇄되며, 외부로부터 컨테이너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해당 두 수직포스트의 단부의 대응측면에 고정된 8개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각 수직포스트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 주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해당 수직포스트의 단부와 마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컨테이너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결속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포스트와 수평프레임은 각각 중공형태의 사각관 또는 원형관으로 이루어진 것인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포스트는 상기 결속부재의 관통홀을 해당 외연부 로부터 외측으로 더 멀리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결속부재와 상기 수직포스트 간의 고정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인접한 수평프레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것인 컨테이너.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해당 수직포스트의 단부면과 인접한 수평프레임의 대응부분을 따라 용접된 것인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컨테이너의 상부에 다른 컨테이너가 적재되었을 경우, 두 인접한 컨테이너의 각 코너부의 결속부재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것인 컨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두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그 결속부재의 관통홀의 배열선이 컨테이너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것인 컨테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의 해당 외연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결속부재의 돌출거리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사이의 간격에 대해 규정하는 컨테이너 국제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인 컨테이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헤드부와 대응 결속부재 사이 및 상기 너트와 대응 결속부재 사이 중의 적어도 한 곳에는 와셔가 배치되고, 이 와셔는 상기 볼트의 축부를 통해 관통되게 끼워지는 것인 컨테이너.
KR1020080035066A 2008-04-16 2008-04-16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20090109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66A KR20090109698A (ko) 2008-04-16 2008-04-16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JP2009095051A JP2009255985A (ja) 2008-04-16 2009-04-09 結束部材を備えたコンテナ
CN200910138781XA CN101559862B (zh) 2008-04-16 2009-04-15 具有连接件的集装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66A KR20090109698A (ko) 2008-04-16 2008-04-16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698A true KR20090109698A (ko) 2009-10-21

Family

ID=4121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066A KR20090109698A (ko) 2008-04-16 2008-04-16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255985A (ko)
KR (1) KR20090109698A (ko)
CN (1) CN10155986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783B1 (ko) 2010-07-26 2012-12-12 이숙자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KR102123569B1 (ko) * 2020-03-26 2020-06-16 김구연 컨테이너 연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04638D0 (en) * 2009-03-18 2009-04-29 Origin Ltd An enlarged freight container for carrying pallets
CN102808454B (zh) * 2011-05-30 2016-02-17 深圳市美尊轻钢房屋有限公司 一种用于箱式建筑的角件装置,箱式建筑物以及建筑方法
JP5545675B2 (ja) * 2011-07-12 2014-07-09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電子機器を納めた簡易形建造物の天井構造
CN102616498B (zh) * 2012-04-13 2014-01-22 上海索尔装饰成套制品有限公司 包装箱
CN103129984B (zh) * 2013-03-05 2015-04-08 中国海洋石油总公司 细长结构模块的叠加固定及运输工艺
CA2991022A1 (en) * 2015-06-30 2017-01-05 Michael T. Moore Portable lift apparatus for shipping containers
US10967973B2 (en) 2017-01-11 2021-04-06 Biosphere Aerospace, Llc Modular container transport systems
US11167682B2 (en) 2017-01-11 2021-11-09 Biosphere Aerospace, Llc Modular container transport systems
US10947036B2 (en) 2017-01-11 2021-03-16 Biosphere Aerospace, Llc Modular container transport systems
EP3573898A4 (en) * 2017-01-30 2020-10-07 Biosphere Aerospace LLC MODULAR CONTAINER TRANSPORT SYSTEMS
CN109612764B (zh) * 2019-01-25 2023-12-19 中船华海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集装箱绑扎用试验平台
CN115649386A (zh) * 2022-11-09 2023-01-3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集装箱绑扎试验的半宽型箱脚可调式绑扎模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235A1 (en) * 2005-05-10 2006-11-16 Jae-Wook Park Buckling strengthened shipping container
KR100812521B1 (ko) * 2006-04-06 2008-03-12 신기섭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783B1 (ko) 2010-07-26 2012-12-12 이숙자 수출용 철재 포장박스
KR102123569B1 (ko) * 2020-03-26 2020-06-16 김구연 컨테이너 연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9862B (zh) 2011-08-17
CN101559862A (zh) 2009-10-21
JP2009255985A (ja)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9698A (ko)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JP4282745B1 (ja) 仮設補強部材付き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並びにユニット建物の構築工法
KR100812521B1 (ko) 컨테이너용 결속부재 및 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KR20060105938A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US398110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oisted floors peripherally of supporting tower
KR100833970B1 (ko) 타워크레인용 선회장치
US5829362A (en) Stillage for storing drums
CN201834659U (zh) 一种船舶建造中用于吊运人员或物品的运输工具
JP5559409B1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200388466Y1 (ko) 강도가 보강된 컨테이너의 코너 케스팅
KR20110110496A (ko) 방호수단이 구성된 타워크레인
KR200394923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KR101345053B1 (ko) 컨테이너 및 그 제조방법
JP7431628B2 (ja) 地上設置型変圧器の運搬架台
JPH0732469Y2 (ja) ポータブルボックス
CN215665051U (zh) 一种角件结构及具有其的集装箱
JP651021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組立方法、及び解体組立装置
EP4317045A1 (en) Crane for confined spaces and base for installing such crane on corresponding target surfaces of building structures or similar supporting structures
CN217555568U (zh) 吊装装置
KR102599804B1 (ko) 부두용 회전형 차막이
KR200410591Y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CN216917265U (zh) 一种电机下置式提升机载货台
CN201793295U (zh) 一体式框架电梯结构
US20180257815A1 (en) Casted corner and casted bottom of multi-purposes carrier or the like for offshore containers
RU2393311C1 (ru) Многоярусна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открыт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