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569B1 - 컨테이너 연동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연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569B1
KR102123569B1 KR1020200036546A KR20200036546A KR102123569B1 KR 102123569 B1 KR102123569 B1 KR 102123569B1 KR 1020200036546 A KR1020200036546 A KR 1020200036546A KR 20200036546 A KR20200036546 A KR 20200036546A KR 102123569 B1 KR102123569 B1 KR 10212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ear
fixed
shape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구연
Original Assignee
김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구연 filed Critical 김구연
Priority to KR102020003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008Coupling device between containers
    • B65D2590/0016Lashings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3Small buildings of the ISO container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면체의 형태로 내부가 비어있는 본체부 및 본체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직육면체의 각각의 꼭지점의 위치에 천공면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연동 장치{DEVICE INTERLOCKING CONTAINERS}
본 발명은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의 연동을 위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대량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이나, 높은 이동성과 넓은 내부 공간의 특징을 살려서 거주용으로 개조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거주용으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기존에는 하나의 컨테이너의 내부에 단열 처리와 입구 처리만 하여 사용하는 것이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컨테이너의 단순한 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결합을 함에 있어서 최초 시공시 용접을 통해 연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나, 용접 시공의 경우 시공 후에는 구조 변경이 불가능하고, 작업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9235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4275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컨테이너 연동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자유롭게 배치한 상태에서 컨테이너들을 고정시킬 수 있고, 용접 시공 하지 않고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사이의 간격의 변화가 있는 경우 간단한 조작을 통해 고정되는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사후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컨테이너 연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동 장치는 직면체의 형태로 내부가 비어있는 본체부 및 본체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직육면체의 각각의 꼭지점의 위치에 천공면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는, 본체부의 상부면 모서리 부분 상측에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동형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와 동일한 형태의 제1 컨테이너, 컨테이너와 동일한 형태의 제2 컨테이너, 제1 컨테이너의 연결부에 조립 고정되는 고리 장치, 제2 컨테이너의 연결부에 조립 고정되는 걸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리 장치는, 하부면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제1 컨테이너의 연결부와 조립 연결되는 고리 본체부, 고리 본체부의 일측 상부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사용자의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부, 원형 봉이 ‘ㄷ’ 형태로 형성되며, ‘ㄷ’ 형태의 끝부분이 손잡이부의 중단부 측면에 흰지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이 장치는, 제2 컨테이너의 연결부와 조립하여 연결되는 하판부, 하판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판부 및 상판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판부는, 하부면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제2 컨테이너의 연결부와 조립 연결되는 하판 본체부, 하판 본체부의 좌측의 일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안쪽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 좌측 렉 기어부 및 하판 본체부의 우측의 일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안쪽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 우측 렉 기어부를 구비하는 수평 렉 기어부 및 수평 렉 기어부의 상측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판부는, 슬라이딩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판 본체부, 상판 본체부의 양 옆에 슬라이딩 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날개부, 상판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서 상판 본체부 방향으로 휘어져서 결합 설치되는 걸이부 및 상판 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인 조절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단부는, 상하로 움직이며, 시계 방향 및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정부, 조정부의 하부에서 상판부를 하판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이동부의 하부에서 상판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판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부는, 상부면에 다각형의 형태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파여진 렌치 삽입부,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물림 기어부 및 하부면에서 사각기둥이 돌출되고, 사각 기둥의 하부면에서 끝이 좁아지는 형태로 돌출되는 고정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는, 물림 기어부의 하부에서 물림 기어부가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의 천공면인 물림 홈부를 구비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으로 이동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로 이동하는 주 피니언 기어부 및 주 피니언 기어부와 좌측 렉 기어부의 사이에 각각 맞물리면서 배치되고, 주 피니언 기어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앞으로 이동하고, 주 피니언 기어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뒤로 이동하는 부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는, 수평 렉 기어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는 판형 기어인 고정 기어부, 중앙에 직사각형의 형태로 뚫려 있는 천공면인 중앙 천공부, 중앙 천공부의 천공면과 고정 기어부의 반대쪽 외측면과 사이에서 고정부를 수평 렉 기어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 및 중앙 천공부의 내부 일측 상부면에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고정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중앙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리 장치는, ‘T’자 형태이고, ‘T’자 형태의 아래 부분이 손잡이부 힌지 반대 측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 고정부는 손잡이부가 제1 컨테이너 조립부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위쪽으로 회동하여 손잡이부의 힌지 반대 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 연동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자유롭게 배치한 상태에서 컨테이너들을 고정시킬 수 있고, 용접 시공 하지 않고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연동 장치는 컨테이너 사이의 간격의 변화가 있는 경우 간단한 조작을 통해 고정되는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사후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의 구성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컨테이너 연동 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고리 장치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고리 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상판부가 앞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상판부가 뒤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하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상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중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중단부에서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중단부에서 조작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이동부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이동부의 주 피니언 기어부 및 부 피니언 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고정부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고정부의 평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고정부의 수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의 구성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동 장치(10)는 본체부(110) 및 체결부(130)를 구비하는 컨테이너(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직면체의 형태로 내부가 비어있다. 본체부(110)는 일반적으로는 화물을 적재하지만, 본체부(110)의 표면에 창문 및 출입문을 설치하여 거주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30)는 본체부(110)를 고정시키기 위해 직육면체의 각각의 꼭지점의 위치에 천공면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컨테이너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며 체결시 별도의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컨테이너 연동 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컨테이너(100)는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연동형 컨테이너(100)는 제1 컨테이너(100a), 제2 컨테이너(100b), 고리 장치(300) 및 걸이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면 모서리 부분 상측에 체결부(130) 사이에 형성되며, 직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부(150)는 컨테이너(100)의 강성을 위해 설치되나, 본 발명의 경우 연결부(15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두께을 두껍게 하거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제1 컨테이너(100a) 및 제2 컨테이너(100b)는 컨테이너(100)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고리 장치(300)는 제1 컨테이너(100a)의 연결부(150a)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
고리 장치(300)는 제1 컨테이너(100a)의 연결부(150a)에 조립 고정되는 것에 대하여는 도 5 및 도 6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걸이 장치(500)는 제2 컨테이너(100b)의 연결부(150b)에 조립 고정될 수 있다.
걸이 장치(500)는 제2 컨테이너(100b)의 연결부(150b)에 조립 고정되는 것에 대하여는 도 8 및 도 9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고리 장치(300)는 제1 컨테이너(100a)의 연결부(150a)에 조립되고, 걸이 장치(500)는 제2 컨테이너(100b)의 연결부(150b)에 조립되며, 고리 장치(300)와 걸이 장치(500)가 결합 고정되어 제1 컨테이너(100a) 및 제2 컨테이너(100b)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고리 장치가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고리 장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리 장치(300)는 고리 본체부(310), 손잡이부(330) 및 고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 본체부(310)는 하부면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제1 컨테이너(100a)의 연결부(150a)와 조립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330)는 고리 본체부(310)의 일측 상부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사용자의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고리부(350)는 원형 봉이 ‘ㄷ’ 형태로 형성되며, ‘ㄷ’ 형태의 끝부분이 손잡이부(330)의 중단부 측면에 흰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330)를 위로 들면 수직 상태가 되고, 고리부(350)는 고리 장치(300)에서 손잡이부(330)의 흰지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손잡이부(330)를 아래로 내리면 수평 상태가 되고, 고리부(350)는 고리 장치(300)에서 손잡이부(330)의 흰지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고리 장치(300)는 손잡이 고정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370)는 ‘T’자 형태이고, ‘T’자 형태의 아래 부분이 손잡이부(330) 힌지 반대 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370)는 손잡이부(330)가 수평방향을 뉘어진 상태에서 위쪽으로 회동하여 손잡이부(330)의 힌지 반대 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할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37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330)를 인위적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아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손잡이부(330)가 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손잡이 고정부(370)의 ‘T’자 형태의 윗 부분이 원통의 형태이나, 손잡이부(330)와 맞닿는 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미끄러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원통의 겉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상판부가 앞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상판부가 뒤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걸이 장치(500)는 하판부(510), 상판부(530) 및 중단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부(510)는 제2 컨테이너(100b)의 연결부(150)와 조립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판부(530)는 하판부(5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중단부(600)는 상판부(530)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하판부(510)는 제2 컨테이너(100b)의 연결부(150b)에 끼워지는 조립에 의해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상판부(530)는 하판부(510)와 별개의 구성으로 하판부(510)를 따라 앞 또는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걸이 장치(500)와 관련하여 앞은 하판부(510)의 하단의 홈이 뚫린 방향을 의미하고, 뒤는 하판부(510)의 하단의 홈이 막힌 방향을 의미하고, 우측은 도 7 및 도 8에서 왼쪽 아래 방향을 의미하고, 좌측은 오른쪽 위 방향을 의미한다.
하판부(510)에 대하여는 도 9와 함께 후술하고, 상판부(530)에 대하여는 도 10과 함께 후술하며, 중단부(600)에 대하여는 도 11 내지 도 18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하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걸이 장치(500)의 하판부(510)는 하판 본체부(511), 수평 렉 기어부(513) 및 슬라이딩 홈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 본체부(511)는 하부면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제2 컨테이너(100b)의 연결부(150)와 조립 연결될 수 있다.
수평 렉 기어부(513)는 하판 본체부(511)의 좌측의 일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안쪽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 좌측 렉 기어부(5131) 및 하판 본체부(511)의 우측의 일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안쪽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 우측 렉 기어부(5133)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홈부(515)는 수평 렉 기어부(513)의 상측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판 본체부(511)의 홈의 방향과 슬라이딩 홈부(515)의 홈의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상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걸이 장치(500)의 상판부(530)는 상판 본체부(531), 슬라이딩 날개부(533), 조절 홈부(535) 및 걸이부(5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 본체부(531)는 슬라이딩 홈부(515)에 끼워질 수 있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슬라이딩 날개부(533)는 상판 본체부(531)의 양 옆에 슬라이딩 홈부(515)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 본체부(531)는 강성을 위해 슬라이딩 날개부(53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조절 홈부(535)는 상판 본체부(531)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일 수 있다.
조절 홈부(535)에는 후술하는 중단부(600)의 조정부(610)가 삽입 배치되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걸이부(537)는 상판 본체부(531)의 상부 일측에서 상판 본체부(531) 방향으로 휘어져서 결합 설치될 수 있다.
걸이부(537)는 고리 장치(300)의 고리부(350)가 걸리고, 고리 장치(300)의 손잡이부(330)가 수평 상태로 고정되면, 고리부(350)가 걸이부(53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이부(537)의 윗부분이 휘어져서 제작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걸이 장치의 중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중단부에서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중단부에서 조작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중단부(600)는 조정부(610), 이동부(630) 및 고정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610)는 상하로 움직이며, 시계 방향 및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조정부(610)는 상판부(530)의 조절 홈부(535)에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위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동부(630)는 조정부(610)의 하부에서 상판부(530)를 하판부(51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630)에 대하여는 도 14 및 도 15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부(650)는 이동부(630)의 하부에서 상판부(5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판부(5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660)에 대하여는 도 16 내지 도 18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조정부(610)는 렌치 삽입부(611), 물림 기어부(613) 및 고정 삽입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치 삽입부(611)는 상부면에 다각형의 형태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파여질 수 있다.
렌치 삽입부(611)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파여진 홈으로 맞물리는 형태의 도구(R)를 삽입하여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맞물리는 형태의 도구(R)는 6각 렌치를 포함하는 다각형의 렌치일 수 있고, 드라이버일 수 있다.
물림 기어부(613)는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될 수 있다.
물림 기어부(613)는 조정부(610)의 중간쯤에서 돌출되며, 후술하는 이동부(6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만큼 돌출될 수 있다.
고정 삽입부(615)는 하부면에서 사각기둥이 돌출되고, 사각 기둥의 하부면에서 끝이 좁아지는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고정부(650)의 중앙 경사부(657)와 관련된 것으로 도 16 내지 도 18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이동부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이동부의 주 피니언 기어부 및 부 피니언 기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부(630)는 주 피니언 기어부(631) 및 부 피니언 기어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주 피니언 기어부(631)는 물림 기어부(613)의 하부에서 물림 기어부(613)가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의 천공면인 물림 홈부(6311)를 구비하고, 우측 렉 기어부와 맞물리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앞으로 이동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6각 렌치와 같은 도구(R)를 렌치 삽입부(611)에 삽입 시키고,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물림 기어부(613)가 주 피니언 기어부(631)의 물림 홈부(6311)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6각 렌치와 같은 도구(R)를 회전시키면, 조정부(610)와 함께 주 피니언 기어부(631)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을 종료하게 되면, 사용자가 6각 렌치와 같은 도구(R)를 렌치 삽입부(611)에서 이탈시키면, 후술하는 고정 삽입부(615)와 중앙 경사부(657)의 작용에 의해 조정부(610) 전체가 위로 올라오게 되고, 물림 기어부(613)는 물림 홈부(6311)에서 이탈되고, 이탈된 이후에는 조정부(610)의 회전하더라도 주 피니언 기어부(631)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부 피니언 기어부(633)는 주 피니언 기어부(631)와 좌측 렉 기어부(5131)의 사이에 맞물리면서 배치되고, 주 피니언 기어부(6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따라 앞으로 이동하고, 주 피니언 기어부(63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따라 뒤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서 고정부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고정부의 평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고정부의 수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고정부(650)는 고정 기어부(651), 중앙 천공부(653), 탄성부(655) 및 중앙 경사부(65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기어부(651)는 수평 렉 기어부(513)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는 판형 기어일 수 있다.
고정 기어부(651)는 수평 렉 기어부(513)와 맞물리기 때문에 동일한 기어비를 가지며, 각 기어의 길이는 고정부(650)가 좌우로 이동하는 길이에 맞춰서 조정될 수 있다.
중앙 천공부(653)는 중앙에 직사각형의 형태로 뚫려 있는 천공면일 수 있다.
고정부(65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이고, 중앙 천공부(653)는 내부에 다시 직사각형의 형태로 천공된 부분을 의미한다.
탄성부(655)는 중앙 천공부(653)의 천공면과 고정 기어부(651)의 반대쪽 외측면과 사이에서 고정부(650)를 수평 렉 기어부(513)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탄성부(655)는 각각의 고정부(650)를 수평 렉 기어부(513)가 있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고정 기어부(651)가 수평 렉 기어부(5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중앙 경사부(657)는 중앙 천공부(653)의 내부 일측 상부면에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고정 삽입부(615)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삽입부(615)의 돌출된 경사면과 중앙 경사부(657)의 경사면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고정 삽입부(615)가 아래로 내려오면 중앙 경사부(657)의 경사면 사이로 밀고 들어오게 되고, 중앙 경사부(657)는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중앙 경사부(657)가 양쪽으로 벌어지면, 각 고정부(650)는 수평 렉 기어부(5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렌치 삽입부(611)에 도구(R)를 삽입하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고정 삽입부(615)를 포함한 조정부(610)가 아래로 내려오고, 중앙 경사부(657)가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고정부(650)의 고정 상태는 해제가 된다.
고정 상태가 해제됨가 동시에 물림 기어부(613)는 주 피니언 기어부(631)의 물림 홈부(6311)에 삽입되고, 이 때, 렌치 삽입부(611)에 삽입된 도구(R)를 회전시키면, 주 피니언 기어부(631)와 부 피니언 기어부(633)가 회전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앞 또는 뒤로 이동하고, 이동에 따라 중단부(600) 및 상판부(530)가 앞 또는 뒤로 이동하게 된다.
컨테이너(100)의 배치나 바닥면의 상태, 컨테이너의 흔들림 등에 의해 거주용으로 배치한 컨테이너(100) 사이의 간격에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변화에 새로이 작업을 할 수 없으므로, 변화된 간격에 맞춰서 걸이 장치(500)의 중단부(600)를 조정하여 컨테이너(100)에 상판부(530)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켜서 다시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테이너 연동 장치
100: 컨테이너
300: 고리 장치
500: 걸이 장치

Claims (2)

  1. 직면체의 형태로 내부가 비어있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직육면체의 각각의 꼭지점의 위치에 천공면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연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모서리 부분 상측에 상기 체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연동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와 동일한 형태의 제1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와 동일한 형태의 제2 컨테이너;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연결부에 조립 고정되는 고리 장치;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연결부에 조립 고정되는 걸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 장치는,
    하부면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컨테이너의 연결부와 조립 연결되는 고리 본체부;
    상기 고리 본체부의 일측 상부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직사각형의 형태로 사용자의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손잡이부;
    원형 봉이 'ㄷ' 형태로 형성되며, 'ㄷ' 형태의 끝부분이 상기 손잡이부의 중단부 측면에 흰지 결합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 장치는,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연결부와 조립하여 연결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이동을 조절하는 중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는,
    하부면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연결부와 조립 연결되는 하판 본체부;
    상기 하판 본체부의 좌측의 일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안쪽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 좌측 렉 기어부 및 상기 하판 본체부의 우측의 일부분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안쪽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되는 우측 렉 기어부를 구비하는 수평 렉 기어부; 및
    상기 수평 렉 기어부의 상측에 'ㄷ'자 형태로 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부는,
    상기 슬라이딩 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상판 본체부;
    상기 상판 본체부의 양 옆에 상기 슬라이딩 홈부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날개부;
    상기 상판 본체부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상판 본체부 방향으로 휘어져서 결합 설치되는 걸이부; 및
    상기 상판 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멍인 조절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단부는,
    상하로 움직이며, 시계 방향 및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정부;
    상기 조정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부를 상기 하판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하판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부면에 다각형의 형태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파여진 렌치 삽입부;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물림 기어부; 및
    하부면에서 사각기둥이 돌출되고, 사각 기둥의 하부면에서 끝이 좁아지는 형태로 돌출되는 고정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물림 기어부의 하부에서 상기 물림 기어부가 삽입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태의 천공면인 물림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우측 렉 기어부와 맞물리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우측 렉 기어부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우측 렉 기어부를 따라 뒤로 이동하는 주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주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좌측 렉 기어부의 사이에서 맞물리며 배치되고, 상기 주 피니언 기어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앞으로 이동하고, 상기 주 피니언 기어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뒤로 이동하는 부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평 렉 기어부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는 판형 기어인 고정 기어부;
    중앙에 직사각형의 형태로 뚫려 있는 천공면인 중앙 천공부;
    상기 중앙 천공부의 천공면과 상기 고정 기어부의 반대쪽 외측면과 사이에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수평 렉 기어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 및
    상기 중앙 천공부의 내부 일측 상부면에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상기 고정 삽입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중앙 경사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연동 장치.
  2. 삭제
KR1020200036546A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연동 장치 KR10212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46A KR102123569B1 (ko)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연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46A KR102123569B1 (ko)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연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569B1 true KR102123569B1 (ko) 2020-06-16

Family

ID=7114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546A KR102123569B1 (ko) 2020-03-26 2020-03-26 컨테이너 연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56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356B1 (ko) 2001-06-07 2003-07-25 윤보현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KR20090109698A (ko) * 2008-04-16 2009-10-21 신기섭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20110032042A (ko) * 2009-09-22 2011-03-30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컨테이너 어셈블리
KR101345053B1 (ko) * 2012-07-10 2013-12-26 신주희 컨테이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5237A (ko) * 2014-08-27 2016-03-08 송수양 조립식 컨테이너
KR101642759B1 (ko) 2015-10-01 2016-07-2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록킹장치
KR20160146027A (ko) * 2015-06-11 2016-12-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356B1 (ko) 2001-06-07 2003-07-25 윤보현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KR20090109698A (ko) * 2008-04-16 2009-10-21 신기섭 결속부재를 구비한 컨테이너
KR20110032042A (ko) * 2009-09-22 2011-03-30 (주)에이스엔지니어링 컨테이너 어셈블리
KR101345053B1 (ko) * 2012-07-10 2013-12-26 신주희 컨테이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5237A (ko) * 2014-08-27 2016-03-08 송수양 조립식 컨테이너
KR20160146027A (ko) * 2015-06-11 2016-12-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컨테이너
KR101642759B1 (ko) 2015-10-01 2016-07-2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8006135A1 (de) Rast-Dreh-Verschluss
KR102123569B1 (ko) 컨테이너 연동 장치
DE2255196A1 (de) Behaelter fuer einen lippenstift oder dergleichen vom patronenhuelsentyp
KR102449168B1 (ko)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US840427A (en) Sash holder and fastener.
US20160145914A1 (en) Door stop block
US20080196206A1 (en) Apparatus for use in mounting a movable door leaf on an overhead track
JP7005011B2 (ja) 消火器ケース
KR102214744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JP2015078482A (ja) 免震クリアランス用床板垂直可動装置
US971717A (en) Portable lock for doors and windows.
JP5385644B2 (ja) 上げ下げ窓
EP1106756B1 (en) Flat key and cylindrical lock
DE202004005794U1 (de) Einbauleuchte zum Einbau in eine Öffnung einer Wand oder im Boden
KR101103307B1 (ko) 양문형 출입문용 고정장치
KR102241842B1 (ko) 가림판 일체형 가구 받침다리
DE202005011946U1 (de) Sicherheitsvorrichtung für Schränke
JP6360746B2 (ja) ブラインドの操作コード用止め具
EP1581713B1 (en) A hinge and use thereof
US778144A (en) Blind-hinge.
CN211818664U (zh) 窗紧固件
JP6995004B2 (ja) 辷り出し窓
JP6557578B2 (ja) スライド式施錠装置
KR200496139Y1 (ko)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JP6978374B2 (ja) フック棒の掛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