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591Y1 - 건설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591Y1
KR200410591Y1 KR2020050034381U KR20050034381U KR200410591Y1 KR 200410591 Y1 KR200410591 Y1 KR 200410591Y1 KR 2020050034381 U KR2020050034381 U KR 2020050034381U KR 20050034381 U KR20050034381 U KR 20050034381U KR 200410591 Y1 KR200410591 Y1 KR 200410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lide bar
lifting
constructio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득표
Original Assignee
홍득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득표 filed Critical 홍득표
Priority to KR2020050034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5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112)를 조립하고 수직으로 승, 하강레일(111)을 형성시킨 철탑(110)과; 상기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바(124)를 형성시킨 케이지(120), 및 상기 케이지(120)의 상측에 권취드럼(132)과 모터(133)가 설치된 지지프레임(131)을 설치하되 지지프레임(131)에 케이지(120)의 슬라이드바(124)에 중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바(134)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바(134)의 위치를 세팅하는 고정수단(136)을 구비한 권상부(130)로 구성하므로,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설치작업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케이지를 간편하게 최소화시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케이지의 내부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설용 리프트 장치 {LIFT APPARATUS FOR CONSTRUCTION}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 내부로 권상부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 상측으로 권상부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 상측으로 권상부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프트장치 110 : 철탑
111 : 승, 하강레일 112 : 지지대
120 : 케이지 121 : 지지프레임
122 : 하부플레이트 123 : 플레이트
124 : 슬라이드바 125 : 체결공
130 : 권상부 131 : 지지프레임
132 : 권취드럼 133 : 모터
134 : 슬라이드바 135 : 체결공
136 : 고정수단
본 고안은 고층 건물 등을 시공할 때 건설자재나 인원을 실어 나르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cage)에 권상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케이지 내부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며 나아가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케이지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용 리프트 장치는 조립형 철탑 부재를 이용하여 건축할 건물의 예상 높이 이상으로 쌓아 올리고 여기에 케이지를 결합하여 다양한 권상장치로 케이지를 승, 하강시킴으로서 건설자재나 작업인원을 실어 나르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는 권상장치를 케이지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케이지의 내부 공간효율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건설업무의 특성상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발생할 우려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는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작업기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하여 설치작업이 장시간 걸릴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 운반이나 보관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에 권상장치를 설치하되 상하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설치작업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를 간편하게 최소화시켜 운반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게이지 내부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 케이지의 운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건설용 리프트 장치는 지지대를 조립하여 입설하되 수직으로 승, 하강레일을 형성시킨 철탑과; 상기 철탑의 승, 하강레일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바를 형성시킨 케이지; 및 상기 케이지의 상측에 권취드럼과 모터가 설치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되 지지프레임에 케이지의 슬라이드바에 중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바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위치를 세팅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권상부로 구성하여 권상부가 케이지의 상부에 슬라이딩시켜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케이지의 내부측으로 슬라 이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 내부로 권상부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 상측으로 권상부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 상측으로 권상부를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장치의 케이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용 리프트 장치(100)는 지지대(112)를 조립하고 수직으로 승, 하강레일(111)을 형성시킨 철탑(110)과; 상기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바(124)를 형성시킨 케이지(120); 및 상기 케이지(120)의 상측에 권취드럼(132)과 모터(133)가 설치된 지지프레임(131)을 설치하되 지지프레임(131)에 케이지(120)의 슬라이드바(124)에 중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바(134)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바(134)의 위치를 세팅하는 고정수단(136)을 구비한 권상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철탑(110)은 지지대(111)와 승, 하강레일(112)을 조립하여 건축할 건물 의 예상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게 입설한다.
상기 케이지(1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으로 형성하되 전, 후, 좌, 우에 타공 또는 그물망 형태의 플레이트(123)를 결합하고, 저면에는 하부플레이트(122)를 결합한다.
여기서 전면의 플레이트(123)는 개폐가 가능한 통상의 구조로 형성하여야 한다.
나아가, 케이지(120)의 배면 측(철탑방향)에는 좌우에 수직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바(124)를 결합하고 슬라이드바(124)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25)를 형성한다.
한편 케이지(120)의 배면에는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결합되어 케이지(120)의 승, 하강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부재(126)를 형성한다.
상기 권상부(130)는 지지프레임(131)이 케이지(120)의 상측에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되 가능한 내부에 일치되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31)에는 권취드럼(132)과 모터(133) 등이 설치되며 수직으로 케이지(120)의 슬라이드바(124)와 대응되어 밀착되는 슬라이드바(134)를 좌우에 결합한다.
나아가 권상부(130)의 슬라이드바(134)에는 수직으로 체결공(135)을 다수개 형성하여 케이지(120)의 슬라이드바(124)의 체결공(125)과 일치시켜 지지프레임(131)을 케이지(120)의 상측 또는 내부에 권상부(13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6)을 구비한다.
더불어 권상부(130)의 지지프레임(131) 후측에도 케이지(120)의 배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부재(126)와 동일한 슬라이딩부재(126)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권상부(130)가 케이지(1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관 운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반된 케이지 및 권상부(130)를 철탑(110)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지(120)의 슬라이딩부재(126)를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조립한다.
케이지(1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부재(126)의 조립이 완료되면 케이지(120)와 권상부(130)의 중첩된 슬라이드바(124,134)의 고정상태를 해지한다.
즉, 슬라이드바(124,134)의 체결공(125,135)에 결합된 고정수단(136)을 풀고 권상부(130)를 케이지(120)의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중첩된 슬라이드바(124,134)가 상호 슬라이딩 되면서 권상부(130)의 지지프레임(131)이 상항으로 부드럽게 상승하게 된다.
권사부(130)가 완전하게 케이지(1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또 다른 체결공(125,135)을 일치시켜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136)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권상부(130)가 케이지(120)에 상측에 위치하여 완전하게 고정된다.
권상부(130)의 고정이 완료되면 권상부(130)의 슬라이딩부재(126)를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조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상의 시스템으로 모터(133)를 통해 권취드럼(132)을 제어하여 케이지(120)를 승, 하강시켜 건설자재나 작업인원을 운반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용 리프트 장치(100)는 지지대(112)를 조립하고 수직으로 승, 하강레일(111)을 형성시킨 철탑(110)과; 상기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바(124)를 형성시킨 케이지(120); 및 상기 케이지(120)의 상측에 권취드럼(132)과 모터(133)가 설치된 지지프레임(131)을 설치하되 지지프레임(131)에 케이지(120)의 슬라이드바(124)에 중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바(134)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바(134)의 위치를 세팅하는 고정수단(136)을 구비한 권상부(130)로 구성하므로,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신속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설치작업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케이지를 간편하게 최소화시켜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케이지의 내부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지대(112)를 조립하고 수직으로 승, 하강레일(111)을 형성시킨 철탑(110)과;
    상기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게 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바(124)를 형성시킨 케이지(120); 및
    상기 케이지(120)의 상측에 권취드럼(132)과 모터(133)가 설치된 지지프레임(131)을 설치하되 지지프레임(131)에 케이지(120)의 슬라이드바(124)에 중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바(134)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바(134)의 위치를 세팅하는 고정수단(136)을 구비한 권상부(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120)는 케이지(120)의 배면 내측에 좌우에 수직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바(124)를 결합하고 슬라이드바(124)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25)을 형성하되, 케이지(120)의 배면에는 철탑(110)의 승, 하강레일(111)에 결합되어 케이지(120)의 승, 하강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부재(12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부(130)의 지지프레임(131)에는 권취드럼(132)과 모터(133) 등이 설치되며 수직으로 케이지(120)의 슬라이드바(124)와 대응되어 밀착되는 슬라이드바(134)를 좌우에 결합하되 슬라이드바(134)에 수직으로 체결공(135)을 다수개 형성하여 고정수단(136)으로 지지프레임(131)을 케이지(120)의 상측 또는 내부에 권상부(130)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지지프레임(131) 후측에 케이지(120)의 배면에 슬라이딩부재(12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2020050034381U 2005-12-06 2005-12-06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200410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81U KR200410591Y1 (ko) 2005-12-06 2005-12-06 건설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81U KR200410591Y1 (ko) 2005-12-06 2005-12-06 건설용 리프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295A Division KR100678369B1 (ko) 2005-12-06 2005-12-06 건설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591Y1 true KR200410591Y1 (ko) 2006-03-13

Family

ID=4176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381U KR200410591Y1 (ko) 2005-12-06 2005-12-06 건설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5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07Y1 (ko) 2012-12-26 2014-02-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 고정자의 코일조립작업용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07Y1 (ko) 2012-12-26 2014-02-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 고정자의 코일조립작업용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65727A (ja) フロアクライミング型タワークレーンを用いた建物解体方法
JP2013014976A (ja) 吊上げ式パッケージハウス
KR200410591Y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100678369B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JP2014001561A (ja) 解体方法、解体補助装置
KR101062138B1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JP5940404B2 (ja) 梁部材の架設方法
KR20130114984A (ko)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JP5558757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盛り替え機構およびフロアクライミング工法
JP4071249B2 (ja) 索条吊下げ用治具
JP2017031676A (ja) 既存建屋の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装置
JP4605310B2 (ja) 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の取付構造
JP2010090633A (ja) 筒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組立式作業足場
JP6391135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KR101314170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RU177894U1 (ru) Шахта грузового подъёмника
JP5948828B2 (ja) 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の組立に用いられる吊上装置、建物解体工事用の貨物リフト、及びその組立方法
JP568461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架台
JP2008214932A (ja) 建物の構築方法
KR101113020B1 (ko)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
KR100925864B1 (ko) 고층작업용 기능성 곤도라 작업대
KR100814753B1 (ko) 거푸집 및 작업대 겸용 가시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측면개방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JP2014156731A (ja) 架台基礎部用型枠及び架台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