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164Y1 - 짐올리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짐올리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164Y1
KR200177164Y1 KR2019990022224U KR19990022224U KR200177164Y1 KR 200177164 Y1 KR200177164 Y1 KR 200177164Y1 KR 2019990022224 U KR2019990022224 U KR 2019990022224U KR 19990022224 U KR19990022224 U KR 19990022224U KR 200177164 Y1 KR200177164 Y1 KR 200177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support
support member
lift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수
Original Assignee
명화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화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2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짐올리기 지지장치.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요지
본 고안은, 인력으로 취급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지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고, 철골조 및 철근콘크리트조등의 보위에 데크플레이트를 그대로 안치시킬 수 있도록 들어올리므로써 철골조 및 철근콘크리트조등의 보위에 적치후 데크플레이트를 90°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샤클의 폭간 거리를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길게 함으로써 들어올릴 때 와이어 로프와 데크플레이트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한 짐올리기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주근 하부를 받쳐 지지하며, 양측중 적어도 일측 하부에 걸림수단이 구비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걸림수단에 설치되며 그 일측이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샤클을 제공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건축자재의 승강시 지지장치로 이용됨.

Description

짐올리기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LOADS WHILE LIFTING AND DESCENDING THEM}
본 고안은, 데크플레이트와 같은 건축자재를 들어올리기 위한 짐올리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양중시 로프에 의해 데크플레이트가 찌그러지는 것과 같은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지지하여 한 묶음 단위로 차량에 싣거나,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들보 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짐올리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바닥 및 천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층의 건물을 신축 및 개축하는 건축현장에서는 다수의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를 적재하여 들어올리기 때문에 상기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짐올리기 지지장치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실용등록 제 99-01560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짐올리기용슬리퍼(sleeper)가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 및 제2 각재 파이프(11a, 11b)를 나란히 놓고 고정시킨 받침부재(1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재(11)의 길이는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받침부재(11a, 11b)의 서로 반대편측 중공부에는 연장부재(12a, 12b)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각재 파이프(11a, 11b)는 보강밴드(19)에 의해 묶여져 고정된다.
상기 받침부재(11)의 양측부에는 1쌍의 제1 고정홀(1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홀(13)의 위치선상에 해당하는 상기 연장부재(12a, 12b)에는 다수의 제2 고정홀(14)을 관통하는 핀 또는 볼트(15)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재(12a, 12b)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받침부재(11)의 상단 양부에는 원호형상의 매달리기용 고리장착부(16)가 구비되어 크레인 등의 고리에 걸도록 함으로써 한 묶음 단위의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12a, 12b) 각각의 일단면에는 걸림편(17)이 구비되어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지지장치가 상기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짐올리기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받침부재상에 적층되어 지지되는 데크플레이트를 들어올릴 때, 상기 최상단의 데크플레이트가 로프에 의해 찌그러지는 손상을 초래하며, 또 슬리퍼 자체가 중량이 많이 나가는 철제로 제작되어 인력으로 취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받침부재에 끼워져 장착된 연장부재가 장시간 사용 후에는 녹이 슬기도 하고, 또 상기 슬리퍼의 관리소홀로 인하여 받침부재가 외부충격에 의해 찌그러졌을 경우 연장부재가 빠지지 않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셋째, 데크플레이트가 적층되어 들어올려진 슬리퍼를 철골상부에 그대로 안치시키기 때문에 데크플레이트를 철골 위에 설치할 때 90°회전시켜 설치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작업인원의 안전 및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철골구조가 장스팬일 경우, 상기 슬리퍼가 적층된 데크플레이트의 하중을 견디지 못할 우려가 따른다.
넷째, 복잡한 구성요소로 인하여 제작가격이 비싸고, 짐올리기 지지장치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작업후 회수에 따른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인력으로 취급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지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짐올리기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철골조 및 철근콘크리트조등의 보 위에 데크플레이트를 그대로 안치시킬 수 있도록 들어올리므로써 철골조 및 철근콘크리트조등의 보 위에 적치후 데크플레이트를 90°회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짐올리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샤클의 폭간 거리를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길게 함으로써 들어올릴 때 와이어 로프와 데크플레이트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데크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한 짐올리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4는 도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5a는 도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5b는 본 고안의 요부인 샤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6은 본 고안의 짐올리기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를 적재한 상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8은 도6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9는 도6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받침부재 302 : 매달기용 고리장착부
304 : 트러스 고정부재 400 : 샤클
410 : 와이어 로프 (wire rope) 412 : 상단주근
604 : 매달기용 관통홀 800 : 레티스(latt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주근 하부를 받쳐 지지하며, 양측중 적어도 일측 하부에 걸림수단이 구비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걸림수단에 설치되며 그 일측이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샤클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짐올리기 지지장치는 개별적이 아닌 한 묶음 단위로 적층된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며, 내민 철근형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와 철근콘크리트조 및 철골조 표준형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승강시 사용된다.
첨부된 도3 내지 도5a는 내민 철근형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승강시 사용되는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실시예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의 내민 철근 하부에 위치되어 그를 지지하기 위한 환봉 또는 각재형상의 받침부재(300)와, 상기 받침부재(300)의 하측 양단부에 구비된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와, 상기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에 설치되며 크레인에서 인출된 와이어 로프와 결합되기 위한 샤클(400)과, 상기 받침부재(300)에 끼워지며 적층된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가 유동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300) 바로 위에 적층된 데크플레이트를 받침부재(300)에 팽팽히 연결시키기 위한 트러스 고정부재(3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300) 양단에 설치된 상기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의 거리는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소정길이만큼 긴 폭간 거리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양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간의 거리는 상기 샤클(400)을 와이어 로프에 연결하여 데크플레이트를 들어올릴 때 상기 와이어 로프가 최상단 데크플레이트에 닿지 않을 만큼의 폭간 거리를 갖는다. 상기 샤클(400)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와이어 로프에 걸쳐지며, 타측은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에 위치되는 링부재(402)와, 상기 링부재(402)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조이기 위한 납작머리 볼트(406)로 구성된다. 상기 링부재(402)는 그 일부가 개구되어 연장된 두개의 연장부재(403)를 가지며, 상기 두개의 연장부재(403)에 관통홀(404,405)이 형성되며, 일측 관통홀(404)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타측 관통홀(405)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납작머리 볼트(406)는 상기 링부재(402)의 연장부재(403)에 형성된 관통홀(404)을 관통하여 타측 관통홀(405)의 암나사와 체결된다.
그러면, 첨부된 도4 및 도5a를 참조하여 상기 도3의 사용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4는 상기 도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받침부재(300)는 데크플레이트의 양단부끝에 돌출된 상단주근(412)의 하측에서 받치는 형상으로 위치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300)의 하측 양단부에 형성된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에는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wire rope)(410)에 미리 연결된 샤클(400)이 끼워진 상태에서 벌어진 샤클(400)의 링부재(402)의 양단이 상기 납작머리 볼트(406)에 의해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로프(410)를 들어올릴 때, 상기 받침부재(300)가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상단주근(412)의 하측에 크레인의 힘을 전달하여 상기 받침부재(300)에 위에 묶음 단위로 적층된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도5a는 상기 도3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받침부재(300)는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주근(412)의 내민 철근 하측에 위치하고, 크레인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 로프(410)와 연결된 샤클(400)은 상기 받침부재(300)의 하측 양단부에 형성된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에 체결된 것을 보여준다.
첨부된 도6은 본 고안의 짐올리기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를 적재한 상태도로서, 상기 받침부재(300)는 상단주근(412)의 내민 철근 하측에서 받치는 형상으로 위치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300)의 하측 양단부에 형성된 매달기용 고리장착부(302)에는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wire rope)(410)와 연결된 샤클(400)이 끼워진다. 크레인이 그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로프(410)를 들어올릴 때, 상기 받침부재(300)가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상단주근(412)의 하측에 크레인의 힘을 전달하여 상기 받침부재(300) 위에 적재된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300) 위에 적재된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는 승강시 상기 받침부재(300)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트러스 고정부재(304)를 통하여 받침부재(300)와 상기 받침부재(300)의 인접 상부에 위치한 데크플레이트를 팽팽히 잡아줌으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410)를 통하여 들어올릴 때, 데크플레이트가 상기 받침부재(300)상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유동을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데크플레이트가 철골위 설치방향으로 들어올려지므로 종래와 같이 철골 위에 받침부재에서 연장된 연장부재를 걸친 후 데크플레이트를 90°회전시켜 철골 위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첨부된 도7 내지 도9는 철근콘크리트조 및 철골조 표준형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승강시 사용되는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실시예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단주근을 지지하기 위한 봉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부에 매달기용 관통홀(604)이 형성된 받침부재(600)와, 상기 받침부재(600)의 타단부 하측에 구비된 매달기용 고리장착부(602)와, 상기 받침부재(600)의 매달기용 관통홀(604)과 상기 매달기용 고리장착부(602)에 각각 설치된 샤클(400)과, 상기 받침부재(600)에 끼워지며 묶음 단위로 적층된 데크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트러스 고정부재(6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클(400)과 트러스 고정부재(606)는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형상 및 동일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매달기용 고리장착부(602)와 받침부재(600)의 매달기용 관통홀(604)간의 거리도 첫 번째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소정길이만큼 긴 거리를 갖는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철근콘크리트조 및 철골조 표준형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는 상단주근이 아연도 강판의 외부로 돌출 되는 내민철근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받침부재(600)는 상기 철근콘크리트조 및 철골조 표준형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레티스(lattice)(800)를 관통하여 상기 상단주근을 하측에서 받치는 형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600)가 상기 레티스(800)를 원활히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재(600)의 일단부를 매달기용 관통홀(604)로 형성한 것이다.(도8 참조)
그러면, 첨부된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상기 도7의 사용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8은 상기 도7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받침부재(600)는 데크플레이트에서 트러스 구조로 형성된 레티스(lattice)(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단주근(412)의 하측을 받치는 형상으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600)의 하측 일단부에 형성된 매달기용 고리장착부(602)와 상기 받침부재(600)의 타단부 일측에 형성된 매달기용 관통홀(604)에는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wire rope)(410)와연결하기 위한 샤클(400)이 끼워진다. 크레인이 와이어 로프(410)를 들어올릴 때, 상기 샤클(400)을 통하여 상기 받침부재(600)가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주근(412) 하측을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600)의 매달기용 관통홀(604)과 매달기용 고리장착부(602)에 설치된 샤클(400)간의 폭이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긴 폭간 거리를 가짐으로써 상기 와이어 로프(410)가 적층된 최상단 데크플레이트와의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9는 상기 도7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받침부재(600)는 상기 레티스(800)를 통과하여 철근콘크리트조 및 철골조 표준형 철근선 조립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주근(412)의 하측에 위치하고, 크레인의 상기 와이어 로프(410)와 연결된 샤클(400)은 상기 받침부재(600)의 하측 일단부에 형성된 매달기용 고리장착부(602)와 상기 받침부재(600)의 타단부 일측에 형성된 매달기용 관통홀(604)에 체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짐올리기 지지장치의 제작단가 및 자체 중량을 낮출 수 있으며, 일체의 환봉 또는 각재형상으로 구성하므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장시간 사용시 변형이 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철골조 및 철근콘크리트조등의 설치방향에 데크플레이트를 그대로 안치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트러스 고정부재에 의해 받침부재와 데크플레이트를 고정하므로 이탈의 염려 없이 안정성이 있게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데크플레이트의 상단주근 하부를 받쳐 지지하며, 양측중 적어도 일측 하부에 걸림수단이 구비된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걸림수단에 설치되며 그 일측이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와 연결되는 샤클
    을 포함하는 짐올리기 지지장치.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그 일측이 상기 받침부재에 끼워지며, 그 타측은 받침부재의 상부에 위치된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에 걸어 상기 받침부재와 데크플레이트를 잡아 고정하기 위한 트러스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짐올리기 지지장치.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걸림수단은, 받침부재의 양측하부에 구비된 고리로 이루어진 짐올리기 지지장치.
  4.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걸림수단은 그의 일측하부에 고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매달기용 관통홀이 형성된 짐올리기 지지장치.
  5. 상기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간의 폭간 거리 및 상기 고리와 매달기용 관통홀간의 폭간 거리가 데크플레이트의 폭보다 소정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짐올리기 지지장치.
  6.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은 그 일부가 개구되어 연장된 두개의 연장부재를 가지며, 상기 두개의 연장부재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그 중 하나의 관통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연장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지되 그 중 하나의 암나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짐올리기 지지장치.
  7. 상기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납작머리 볼트로 이루어진 짐올리기 지지장치.
KR2019990022224U 1999-10-15 1999-10-15 짐올리기 지지장치 KR200177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224U KR200177164Y1 (ko) 1999-10-15 1999-10-15 짐올리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224U KR200177164Y1 (ko) 1999-10-15 1999-10-15 짐올리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164Y1 true KR200177164Y1 (ko) 2000-04-15

Family

ID=1959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224U KR200177164Y1 (ko) 1999-10-15 1999-10-15 짐올리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6887A (zh) * 2024-03-28 2024-05-03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梁柱可调支架节点及安装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6887A (zh) * 2024-03-28 2024-05-03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梁柱可调支架节点及安装方法
CN117966887B (zh) * 2024-03-28 2024-06-18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梁柱可调支架节点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0886C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US9371647B1 (en) Concrete panel apparatus
KR100634465B1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KR100665718B1 (ko) 타워크레인 벽체지지용 보강장치
JP2004250188A (ja) 吊り上げ治具
JP4256428B2 (ja) コンテナ用の結束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コンテナ
US20090226282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roof trusses
US20030188495A1 (en) Suspended jig for roof construction
KR200177164Y1 (ko) 짐올리기 지지장치
CN205472479U (zh) 用于墙板的辅助转运装置
CN112573344B (zh) 超大混凝土预制看台板吊装、翻身装置的使用方法
JP7294170B2 (ja) サッシの施工方法及びサッシ支持具
AU2020102139A4 (en) Wall panel stabilisation apparatus and method
CN212076145U (zh) 一种叠合楼板起吊装置、起吊结构及存放起吊系统
KR200388764Y1 (ko) 타워크레인의 벽체고정용 연결대
CN211569855U (zh) 一种型钢叠合板吊具、吊装系统
US9102504B1 (en) Truss lifting apparatus and process
CN113979277B (en) Assembled building lifting device
CN218538992U (zh) 一种墙板辅助安装吊架装置
KR200247866Y1 (ko) 짐올리기용 슬리퍼
US3531149A (en) Lift hook and method for handling prefabricated materials
CN215828146U (zh) 一种叠合楼板吊具
JP6914813B2 (ja) 型枠吊上げ用金具
JPH082267Y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2023098374A (ja) 係止治具、荷受ステージ、および揚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