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455B1 -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455B1
KR100808455B1 KR1020070012372A KR20070012372A KR100808455B1 KR 100808455 B1 KR100808455 B1 KR 100808455B1 KR 1020070012372 A KR1020070012372 A KR 1020070012372A KR 20070012372 A KR20070012372 A KR 20070012372A KR 100808455 B1 KR100808455 B1 KR 10080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mold
cutting
lower mol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센
Priority to KR102007001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품들이 연결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제품유닛에서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들을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지며, 상기 연결부의 절단을 위한 커팅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제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을 구비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에 상기 커팅부와 협력하여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는 펀치를 구비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커팅부가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져서 그 제품유닛과 접촉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받침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하부금형, 상부금형, 받침부재

Description

프레스 금형{Press mo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프레스 금형에 제품유닛이 놓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따라 프레스 금형에 놓인 제품유닛으로부터 각각의 제품들을 분리해내는 일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유닛을 평면도.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 프레스 금형 10... 제품유닛
11... 제품 12... 연결부
20... 하부금형 21... 배출공
30... 프레임 31... 커팅부
32... 커팅날 30... 받침부재
41... 안착면 42... 돌출부
50... 상부금형 51... 펀치
52... 플레이트부재 53... 가이드부재
54... 스트리퍼 55... 펀치구멍
56... 지지봉 57... 스프링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유닛을 프레스 금형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제품유닛과 프레스금형과의 접촉에 의해 제품유닛의 표면에 긁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금형은 복수의 제품들이 연결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제품유닛에서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들을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레스 금형은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진다. 하부금형은 제품유닛이 놓여지는 것으로서, 상기 커팅부와 배출공을 포함한다. 상기 커팅부는 연결부의 절단을 위하여 하부금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상단에는 컷팅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은 상기 커팅부에 의하여 연결부가 커팅됨으로서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제품이 배출되도록 하부금형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제품은 원하는 장소로 옮겨져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프레스 금형에서, 제품유닛에서 제품들을 연결부들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품유닛을 하부금형의 정해진 위치(즉, 제품유닛의 연결부가 커팅부의 커팅날의 직상방에 놓이는 위치)에 놓아야 한다. 그러나, 정해진 위치에 제품유닛을 한번에 직접 올려놓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제품유닛을 하부금형의 적당한 위치에 올려둔 상태에서 하부금형 상에서 제품유닛을 이동시켜 정해진 위치를 찾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품유닛을 하부금형에 올려둔 상태에서 이동시키게 되면, 금속소재로 된 하부금형의 표면에 제품유닛이 접촉하면서 그 제품유닛의 접촉면에 긁힘 흔적이 남게 된다. 이러한 제품유닛의 긁힘은 추후 제품유닛으로부터 제품이 분리되었을 때, 그 제품의 표면에도 이러한 긁힘 흔적이 그대로 남아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긁힘 현상은 제품유닛이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보다 연질의 소재로 된 경우에 더욱 심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품 유닛이 하부금형의 정해진 위치에 놓이도록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품유닛이 프레스금형과의 접촉하면서 이동하여도 그 제품유닛의 표면에 긁힘 흔적이 남지 않게 하는 프레스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은 복수의 제품들이 연결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제품유닛에서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들을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지며, 상기 연결부의 절단을 위한 커팅부와, 상기 연결 부로부터 분리되는 제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을 구비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에 상기 커팅부와 협력하여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는 펀치를 구비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커팅부가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져서 그 제품유닛과 접촉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받침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지는 안착면과, 상기 제품유닛이 상기 안착면에 놓였을 때 상기 제품유닛의 제품들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받침부재의 안착면은 상기 커팅부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 아크릴(Acrylic), 피크(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펀치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측에 그 플레이트부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가 통과하는 펀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금형의 하강시에 상기 하부금형에 놓인 제품유닛에 접촉되는 스트리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스트리퍼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금형에서, 상기 스트리퍼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 아크릴(Acrylic), 피크(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프레스 금형에 제품유닛이 놓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따라 프레스 금형에 놓인 제품유닛으로부터 각각의 제품들을 분리해내는 일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유닛을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1)은 복수의 연결부(12)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제품유닛(10)으로부터 각각의 제품(11)들을 상기 연결부(12)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스 금형(1)은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금형(20)은 제품유닛(10)이 놓여지는 것으로, 하부금형(20)에는 연결부(12)로부터 분리되는 제품(11)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21)이 마련되며, 제품유닛(10)으로부터 분리된 각각의 제품(11)들은 상기 배출공(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하부금형(20)은 프레임(31)과, 받침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31)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연결부(12)의 절단을 위한 커팅부(31)가 마련된다. 상기 커팅부(31)는 상단에 커팅날(32)이 마련되며, 상기 커팅날(32)에 의하여 상기 제품유닛(10)의 연결부(12)를 절단한다. 상기 커팅부(31)는 프레임(31)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마모된 커팅날(32)을 손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상기 하부금형(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40)는 상기 프레임(31)에 결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금형(20)의 상단부에는 받침부재(40)가 마련되고 그 하부금형(20)의 하단부에는 프레임(31)이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재(40)의 상단에는 제품유닛(10)이 놓여진다. 제품유닛(10)이 받침부재(40)에 놓여졌을 때 받침부재(40)와 제품유닛(10)은 서로 접촉한다. 이러한 받침부재(40)는 프레임(31)보다 연질의 소재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받침부재(40)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 아크릴(Acrylic), 피크(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가격이 저렴하면서 다른 합성수지보다 연질인 베이클라이트가 더욱 바람직하 다.
상기 받침부재(40)에는 안착면(41)과, 돌출부(42)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면(41)은 받침부재(40)에서 제품유닛(10)이 놓여지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품유닛(10)의 연결부(12)가 커팅부(31)의 커팅날(32)의 직상방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품유닛(10)이 놓이는 부분이다. 이러한 받침부재(40)의 안착면(41)은 상기 커팅부(31)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안착면(41)이 커팅부(31)의 상단과 동일 높이는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출부(42)는 안착면(41)보다 상부금형(5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42)는 제품유닛(10)이 상기 안착면(41)에 놓였을 때 상기 제품유닛(10)의 제품(11)들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상부금형(50)은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상부금형(50)은 펀치(51), 플레이트부재(52) 및 스트리퍼(54)를 구비한다.
상기 펀치(51)는 하강시에 상기 커팅부(31)와 협력하여 상기 연결부(12)를 절단하는 것으로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부재(52)에는 상기 펀치(51)가 결합된다. 그 플레이트부재(52)는 하부금형(20)의 상단에서 승강가능하게 마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재(52)의 양측에는 가이드부재(53)가 결합된다. 상부금형(50)이 하강할 때 가이드부재(53)가 상기 하부금형(20) 내에 삽입되어 원하는 상하방향으로 상부금형(5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트리퍼(54)는 상기 플레이트부재(52)의 하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는 상기 플레이트부재(52)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스트리퍼(54)에는 상기 펀치(51)가 통과하는 펀치구멍(55)이 형성된다. 스트리퍼(54)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 아크릴(Acrylic), 피크(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리퍼(54)는 지지봉(56)과 스프링(57)에 의하여 플레이트부재(52)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상기 지지봉(56)은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부재(52)에 대해 상부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은 스트리퍼(54)에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57)은 상기 지지봉(56)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부재(52)와 스트리퍼(54)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진다.
먼저, 하부금형(20) 상에 제품유닛(10)을 올려놓는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유닛(10)은 받침부재(40)의 돌출부(42)에 놓여진 상태에서 하부금형(20)의 일측으로부터 정해진 위치(즉, 제품유닛의 연결부가 커팅부의 커팅날의 직상방에 놓이는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품유닛(10)은 상기 받침부재(40)의 돌출부(42)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제품유닛이 정해진 위치에 놓였을 때, 그 제품유닛(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떨어져서 안착면(41)에 놓이게 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리퍼(54)가 제품유닛(10)에 접촉할 때 까지 스트리퍼(54) 및 플레이트부재(52)가 하강한다. 이와함께, 가이드부재(53)는 하부금형(20)에 끼워지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재(52)가 더욱 하강하면, 스트리퍼(54)는 하부금형(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품유닛(10)을 하부금형(2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지지봉(56)은 플레이트부재(52)로부터 돌출되며, 플레이트부재(52)와 스트리퍼(54)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57)은 압축된다.
이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부재(52)에 결합된 펀치(51)는 스트리퍼(54)의 펀치구멍(55)을 통하여 하강하면서 하부금형(20)의 배출공(21)을 통하여 삽입된다. 이와 함께, 상기 펀치(51)는 커팅부(31)와 협력하여 연결부(12)들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커팅될 부위는 도 6에서 도면부호 "X"로 표시하였으며, 커팅날(32)은 상기 커팅될 연결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었다.
상기 연결부(12)들로부터 분리된 각각의 제품(11)들은 하부금형(20)의 배출공(2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품(11)의 분리작업이 완료되면, 상술한 작동방법과 반대의 순서로 프레스 금형(1)이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부재(52)가 상승하면서, 배출공(21)에 삽입된 펀치(51)가 배출공(21)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때, 스트리퍼(54)는 압축된 스프링(57)에 의하여 플레이트부재(52)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므로 지지봉(56)이 플레이트부재(52)의 상단에 걸릴때까지, 하부금형(20)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봉(56)이 플레이트부재(52)의 상단에 걸리게 되면, 스트리퍼(54)가 하부 금형(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하부금형(20)에 마련된 제품유닛(10)을 제거한 후, 새로운 제품유닛(10)을 하부금형(20)에 올려두고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제품유닛(10)의 분리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프레스 금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기술에서는 제품유닛을 하부금형에 올려놓은 후 그 제품유닛의 연결부가 커팅부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장소까지 이동할 때, 제품유닛이 그 하부금형에 긁혀서 긁힌 흔적이 남게 된다. 이는 주로 제품유닛과 접촉하는 하부금형의 표면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품의 표면에 발생하는 긁힘 흔적은 추후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재가공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별도의 재가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긁힘흔적이 형성된 상태로 제품을 출시하여야 하므로,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은 상기 제품유닛과 접촉하는 부분이 모두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비교적 연한 재질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부금형의 표면에서 접촉하면서 제품유닛이 이동하여도 긁힘 흔적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재를 안착면과 돌출부로 구분하였다. 즉, 제품유닛은 처음 받침부재의 돌출부에 올려놓은 후에, 소정거리만큼 이동하여 제품유닛의 연결부가 커팅부의 커팅날의 직상방에 위치하였을 때, 안착면으로 떨어져서 커팅될 정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하였다. 이 경우, 제품유닛이 돌출부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는 커팅부의 커팅날과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제품유닛이 커팅날에 의하여 손상을 입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받침부재의 안착면이 커팅부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였으므로, 상기 돌출부로부터 안착면까지 제품유닛이 떨어질 때, 제품유닛의 표면에 불필요한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금형에 스트리퍼를 구비하였으므로, 펀치가공이 완료되어 제품이 제품유닛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연결부들이 펀치와 함께 상부측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였다. 즉, 펀치를 하부금형의 배출공으로부터 삽입한 이후, 상기 펀치를 배출공으로부터 분리할 때 연결부들이 상기 펀치와 함께 상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스트리퍼는 펀치가 상부측으로 상승하더라도 상기 연결부재를 계속 하부금형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펀치와 함께 상승하지 못하게 하였다. 상기 스트리퍼는 펀치가 상기 하부금형의 배출공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므로, 제품이 분리된 제품유닛이 상승하는 경우는 없게 된다.
넷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리퍼가 베이클라이트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펀치 또는 가이드부재를 결합하고 있는 플레이트부재와 달리, 스트리퍼는 제품유닛이 상부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펀치가 배출공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스트리퍼가 금속소재가 아닌 합성수지로 이루어져도 상술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전체적인 프레스 금형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에 따르면, 제품 유닛을 하부금형에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제품유닛과 하부금형에 접촉되면서 상기 제품유닛이 이동하여도 그 제품유닛의 표면에 긁힘 흔적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복수의 제품들이 연결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제품유닛에서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여 상기 각각의 제품들을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프레스 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지며, 상기 연결부의 절단을 위한 커팅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제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을 구비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에 상기 커팅부와 협력하여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는 펀치를 구비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커팅부가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져서 그 제품유닛과 접촉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받침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제품유닛이 놓여지는 안착면과, 상기 제품유닛이 상기 안착면에 놓였을 때 상기 제품유닛의 제품들 사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안착면은 상기 커팅부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 아크릴(Acrylic), 피크(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펀치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하측에 그 플레이트부재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상기 펀치가 통과하는 펀치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금형의 하강시에 상기 하부금형에 놓인 제품유닛에 접촉되는 스트리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를 이루는 합성수지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 아크릴(Acrylic), 피크(Peek),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KR1020070012372A 2007-02-06 2007-02-06 프레스 금형 KR10080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72A KR100808455B1 (ko) 2007-02-06 2007-02-06 프레스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372A KR100808455B1 (ko) 2007-02-06 2007-02-06 프레스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455B1 true KR100808455B1 (ko) 2008-03-03

Family

ID=3939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372A KR100808455B1 (ko) 2007-02-06 2007-02-06 프레스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4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55B1 (ko) * 2010-02-22 2012-08-07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샤시 제조용 프레스 금형 장치
KR101536522B1 (ko) * 2014-05-08 2015-07-14 주식회사 포스코 다점마킹 펀칭기
WO2019164097A1 (ko) * 2018-02-26 2019-08-29 삼흥정공 주식회사 심 제작용 금형 장치
CN111715794A (zh) * 2020-07-06 2020-09-29 东莞市技师学院(东莞市高级技工学校) 一种机械式模具快速脱模辅助设备
KR20210038148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화신 블랭크 배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38A (ko) * 1997-06-16 1999-01-15 이대원 프레스 금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38A (ko) * 1997-06-16 1999-01-15 이대원 프레스 금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55B1 (ko) * 2010-02-22 2012-08-07 주식회사 인지디스플레이 샤시 제조용 프레스 금형 장치
KR101536522B1 (ko) * 2014-05-08 2015-07-14 주식회사 포스코 다점마킹 펀칭기
WO2019164097A1 (ko) * 2018-02-26 2019-08-29 삼흥정공 주식회사 심 제작용 금형 장치
KR20190102621A (ko) * 2018-02-26 2019-09-04 삼흥정공 주식회사 심 제작용 금형 장치
KR102047597B1 (ko) * 2018-02-26 2019-11-21 삼흥정공 주식회사 심 제작용 금형 장치
KR20210038148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화신 블랭크 배출장치
KR102251438B1 (ko) 2019-09-30 2021-05-13 (주)화신 블랭크 배출장치
CN111715794A (zh) * 2020-07-06 2020-09-29 东莞市技师学院(东莞市高级技工学校) 一种机械式模具快速脱模辅助设备
CN111715794B (zh) * 2020-07-06 2022-03-18 东莞市技师学院(东莞市高级技工学校) 一种机械式模具快速脱模辅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455B1 (ko) 프레스 금형
CN208681793U (zh) 一种泡棉冲压模具
WO2010082372A1 (ja) 打抜き屑受具およびストリッピング装置
CN107282806B (zh) 冲压废料导出装置
CN109622697B (zh) 一种冲筋模具
CN203991905U (zh) 防跳废料冲压模具
JP2006315092A (ja) トリミング装置
CN114273505A (zh) 一种冲压模具
KR20190115588A (ko)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CN211614031U (zh) 一种用以加工窗帘安装座的模具
KR10085872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크랩 절단장치
CN203817135U (zh) 一种冲压料带定位装置
KR101855592B1 (ko) 경사 작동형 프레스장치
JP2008012553A (ja) スクラップ処理方法、スクラップ処理装置、および打抜き金型
CN220178028U (zh) 一种预冲孔防跳屑的下模入子及模具结构
KR101263328B1 (ko) 플렉시블 피씨비 금형
KR102600326B1 (ko) 스크랩 푸셔모듈 및 이를 내장한 금형
CN217890082U (zh) 一种引脚保护弹片的连续冲压模具
CN216679775U (zh) 一种冲压模具
CN217912387U (zh) 一种便于清除废料的切边模具
CN213259890U (zh) 带有定位装置的冲切机
CN219401922U (zh) 一种用于汽车尾门外板下缘冲孔的模具
CN214977029U (zh) 冲废料模具
CN220406728U (zh) 折弯负角冲压模具
CN211330911U (zh) 一种高精度冲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