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522B1 - 다점마킹 펀칭기 - Google Patents

다점마킹 펀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22B1
KR101536522B1 KR1020140054832A KR20140054832A KR101536522B1 KR 101536522 B1 KR101536522 B1 KR 101536522B1 KR 1020140054832 A KR1020140054832 A KR 1020140054832A KR 20140054832 A KR20140054832 A KR 20140054832A KR 101536522 B1 KR101536522 B1 KR 10153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unit
coupled
hole
inser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5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는 피표시체에 결합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왕복 동작하게 연계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피표시체의 일면을 가압하여 마킹홈을 형성하는 마킹부재를 상기 지지유닛에 복수 개 결합시켜 제공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점마킹 펀칭기{Punching apparatus for multiple marking}
본 발명은 다점마킹 펀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롤러 등의 피표시체에 나사홀 등의 성형을 위한 마킹홈 복수 개를 간격 등을 조정하여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기는 일반적으로 용강을 연속 주조하여 슬라브를 제작하는 장치로써, 고로에서 녹여진 용강이 레들에 담겨서 이동된 후 턴디쉬에 부어지면, 턴디쉬에서 주형 내로 이동되어 냉각되면서 슬라브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브는 세그먼트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세그먼트에는 다수의 롤러(Segment Roller)가 구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세그먼트의 롤러들은 마모 또는 변형 등의 이유로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하며, 이때에는 상기 세그먼트의 롤러의 분리가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세그먼트 롤러의 분리 및 결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세그먼트 롤러를 고정하는 나사홀이 파손되어 새로운 나사홀의 형성이 필요하게 된다.
즉, 제철소 연속주조기에 사용되고 있는 세그먼트 롤러의 수리작업시 교체 취부되고 있는 세그먼트 롤러의 나사홀의 가공 작업이 필요한 것이다.
종래에는 세그먼트 롤러의 나사홀 파손 또는 확장 등으로 나사홀을 수리할 때, 새로운 나사홀의 가공 위치에 나사홀 형성 작업(Drilling)을 위해, 새로운 나사홀이 형성될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 작업(Marking)을 개별로 일일이 수작업으로 실시하였다.
즉, 파손된 나사홀을 대체하기 위해서 새로운 나사홀을 형성하려면, 세그먼트의 프레임과 결합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나사홀의 형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복수 개의 나사홀의 성형될 위치 각각에 개별적으로 일일이 수작업으로 마킹 작업을 실시한 것이다.
이러한 마킹 작업은 펀칭기에 의한 펀칭(Punching)으로 실시되며, 복수 개의 나사홀을 개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나사홀 간의 간격 등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마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부정확한 마킹에 의해서 세그먼트 롤러의 조립시 부품 체결에 문제가 발생되어 재작업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나사홀 가공 위치 불량으로 인한 재작업은 물론, 롤러의 억지 조립 등으로 인해 온라인(On-Line)으로 사용중인 연속주조기의 비정상 운행으로 생산성 저하 및 정비비용 증가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점마킹 펀칭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그먼트 롤러 등의 피표시체에 나사홀 등의 형성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홈 복수 개를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은 물론,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다점마킹 펀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는 피표시체에 결합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왕복 동작하게 연계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피표시체의 일면을 가압하여 마킹홈을 형성하는 마킹부재를 상기 지지유닛에 복수 개 결합시켜 제공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의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마킹유닛이 결합되는 지지판, 돌출되어 제공되는 상기 고정유닛의 삽입봉이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부재, 상기 삽입봉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관통홀 내측에 형성된 정지탭의 일단부에 걸리게 제공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삽입봉에 끼워져 상기 관통홀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정지탭의 타단부에 걸리게 제공되는 펀칭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삽입봉이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표시체가 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회전각도를 확인하도록, 일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측을 지시하게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에서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지시부재에 인접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각도별로 체커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의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피표시체와 결합하도록, 상기 피표시체의 나사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의 상기 삽입봉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이얼홈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탄성에 의해 상기 다이얼홈에 밀착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다이얼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의 상기 다이얼볼부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노출홀의 일단부에 일측이 돌출되게 안착되는 볼부재, 상기 볼부재에 밀착하여 탄성력을 공급하며, 상기 노출홀에 삽입되는 볼가압스프링 및 상기 노출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일단부에 상기 볼가압스프링이 안착되는 단부홈이 형성된 세트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의 상기 피표시체는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롤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는 복수 개의 마킹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피표시체에 나사홀 등의 형성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홈 복수 개를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홈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마킹부재 사이의 간격 등의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킹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킹홈 사이의 간격 등도 미리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서, 마킹홈 위치의 하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나사홀 등의 위치 설정 하자를 방지함으로써, 연속주조기 등의 장치에서의 비정상 운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복수 개의 마킹홈을 한번에 형성함으로써, 마킹홈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속주조기 등의 장치에 대하여 수리시간이 과도하게 발생하거나, 운행에서의 생산성 저하 및 정비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와 피표시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와 피표시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에서 다이얼볼부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의 지지유닛과 고정유닛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는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롤러 등의 피표시체(2)에 나사홀(2b) 등의 성형을 위한 마킹홈(2a) 복수 개를 간격 등을 조정하여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는 복수 개의 마킹부재(310)를 제공함으로써, 피표시체(2)에 나사홀(2b) 등의 형성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홈(2a)을 복수 개를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킹홈(2a)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마킹부재(310) 사이의 간격 등의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마킹부재(310)에 의해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마킹홈(2a) 사이의 간격 등도 미리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마킹홈(2a) 위치의 하자로 인하여 발생하는 나사홀(2b) 등의 위치 설정 하자를 방지함으로써, 연속주조기 등의 장치에서의 비정상 운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마킹홈(2a)을 한번에 형성함으로써, 마킹홈(2a)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상기 연속주조기 등의 장치에 대한 수리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연속주조기 등의 장치 운행에서의 생산성 저하 및 정비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와 피표시체(2)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를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써, 도 4a는 마킹홈(2a)의 형성 전의 준비단계, 도 4b는 마킹유닛(300)이 피표시체(2)에 가압되어 마킹홈(2a)을 형성한 단계, 도 4c는 상기 마킹유닛(300)이 원래자리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는 피표시체(2)에 결합되는 고정유닛(100), 상기 고정유닛(100)에 왕복 동작하게 연계되는 지지유닛(200) 및 상기 피표시체(2)의 일면을 가압하여 마킹홈(2a)을 형성하는 마킹부재(310)를 상기 지지유닛(200)에 복수 개 결합시켜 제공하는 마킹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의 상기 피표시체(2)는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롤러일 수 있다.
즉,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롤러 등의 피표시체(2)에서 나사홀(2b)의 파손 또는 확장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나사홀(2b)의 형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나사홀(2b)을 복수 개를 정해진 위치에 형성하기 위한 마킹홈(2a)을 한번에 형성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은 고정유닛(100), 지지유닛(200), 마킹유닛(300)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상기 세그먼트 롤러 등의 피표시체(2)에 고정되어, 상기 마킹홈(2a) 등을 형성할 위치의 기준을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유닛(100)은 삽입봉(110), 베이스부재(120), 지시부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봉(110)은 후술할 지지유닛(200)의 실린더부재(22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유닛(200)이 왕복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유닛(200)은 후술할 펀칭스프링부재(240) 등과 연계되어 왕복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데, 상기 지지유닛(200)의 상기 실린더부재(220)에 상기 삽입봉(110)이 삽입되어 이동됨으로써, 가이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삽입봉(110)은 상기 실린더부재(2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관통홀(2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상기 지지유닛(200)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피표시체(2)에 고정되는 베이스부재(120)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상기 피표시체(2)에 결합되어 후술할 마킹유닛(300)에 의한 마킹홈(2a) 형성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상기 피표시체(2)에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나사홀(2b) 등에 삽입되어 제공되는 결합봉(121)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20)에는 상기 삽입봉(110) 및 지시부재(130)가 일면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시부재(130)는 상기 지지유닛(200)의 실린더부재(220)에 형성된 체커눈금(223) 등에 의하여, 상기 지지유닛(200)을 회전시켜, 후술할 마킹유닛(300)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시부재(1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지지유닛(200)은 후술할 마킹유닛(300)이 결합되어 제공되고, 상기 마킹유닛(300)을 상기 피표시체(2)로 가압하는 왕복 동작을 실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유닛(200)은 지지판(210), 실린더부재(220), 스토퍼부재(230), 펀칭스프링부재(240), 다이얼볼부(250)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도 5, 도 6 등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마킹유닛(300)은 상기 지지유닛(200)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유닛(200)의 왕복 동작에 의해서, 상기 피표시체(2)에 마킹홈(2a)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유닛(200)은 왕복 동작에 의해서 상기 피표시체(2)로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마킹유닛(300)이 가압하는 상기 피표시체(2)에 마킹홈(2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마킹유닛(300)은 상기 지지유닛(20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마킹부재(310)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표시체(2)에 복수 개의 마킹홈(2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피표시체(2)에 형성되는 마킹홈(2a)들 사이의 간격 등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마킹부재(310)가 상기 지지유닛(200)에 결합되는 간격 등의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피표시체(2)에 형성되는 마킹홈(2a)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지지유닛(200)은 회전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피표시체(2)에 형성될 마킹홈(2a)을 일정각도로 회전되게 설정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지지유닛(200)의 실린더부재(220)가 상기 고정유닛(100)의 삽입봉(110)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축 방향 외부 이탈은 방지하면서 축 방향 이동 자유도 및 회전 자유도는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마킹유닛(300)을 포함한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에 의한, 상기 피표시체(2)에 마킹홈(2a)을 형성하는 작동상태롤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준비단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킹홈(2a) 형성단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상회복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피표시체(2)에 상기 고정유닛(100)이 결합되어 제공된 상태로써, 아직 마킹유닛(300)에 의한 마킹홈(2a)이 형성되기 전의 준비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100)은 결합봉(121)을 기존의 나사홀(2b)에 삽입결합시켜 제공하므로, 상기 지지유닛(200)을 회전 등으로 기존의 나사홀(2b)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제공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마킹홈(2a) 형성단계는 상기 지지유닛(200)의 지지판(210)이 작업자 또는 가압체에 의해서 눌려지면 복수 개의 상기 마킹부재(310)가 상기 피표시체(2)로 가압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지지판(210)이 가압되면, 상기 지지유닛(200)의 실린더부재(220)는 상기 고정유닛(100)의 삽입봉(110)을 따라서 가이드되며 압착되고, 상기 지지판(210)에 결합된 상기 마킹유닛(300)의 상기 마킹부재(310)는 상기 피표시체(2)를 가압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피표시체(2)에는 복수 개의 마킹홈(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에 새로운 나사홀(2b) 등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킹홈(2a)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지지유닛(200)을 회전시켜 기존의 나사홈과 일정 각도 회전되게 제공하는 위치 설정의 작업을 우선 실시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원상회복단계는 상기 피표시체(2)에 마킹홈(2a)이 형성된 후에, 상기 지지유닛(200)의 펀칭스프링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킹유닛(30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단계이다.
즉, 작업자 또는 가압체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210)이 가압된 후에,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펀칭스프링부재(240)의 탄성력이 상기 지지판(210)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210)에 결합된 상기 마킹유닛(300)도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의 상기 지지유닛(200)은 상기 마킹유닛(300)이 결합되는 지지판(210), 돌출되어 제공되는 상기 고정유닛(100)의 삽입봉(110)이 삽입되도록, 관통홀(2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10)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부재(220), 상기 삽입봉(110)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관통홀(221) 내측에 형성된 정지탭(222)의 일단부에 걸리게 제공되는 스토퍼부재(230) 및 상기 삽입봉(110)에 끼워져 상기 관통홀(221)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정지탭(222)의 타단부에 걸리게 제공되는 펀칭스프링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유닛(200)은 상기 마킹유닛(300)을 상기 피표시체(2)로 가압하는 왕복 동작을 실시하는 구체적 구성으로써, 지지판(210), 실린더부재(220), 스토퍼부재(230), 펀칭스프링부재(240)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210)은 상기 마킹유닛(300)이 결합되어 제공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마킹유닛(300)의 마킹부재(310) 복수 개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에서는 마킹부재(310)를 복수 개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표시체(2)에 복수 개의 마킹홈(2a)을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10)은 작업자 또는 가압체 등에 의해 가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표시체(2)로 상기 마킹부재(310)가 가압되는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부재(220)는 상기 고정유닛(100)의 삽입봉(110)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부재(220)는 상기 지지판(210)이 중앙부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기둥형상의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21)은 상기 삽입봉(110)이 일단부로 삽입되고, 타단부로는 상기 스토퍼부재(230)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봉(110)의 일단부와 결합됩되도록 양단부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내주면에는 정지탭(22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봉(110)과 결합된 스토퍼부재(230)가 걸리게 제공되어 상기 실린더부재(220)가 상기 삽입봉(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정지탭(222)의 일단부에 상기 스토퍼부재(230)가 걸리게 제공하고, 상기 정지탭(222)의 타단부에서 삽입되는 상기 삽입봉(110)과 결합된 상기 스토퍼부재(230)가 걸리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지탭(222)의 타단부에는 상기 펀칭스프링부재(240)가 걸리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펀칭스프링부재(240)가 상기 실린더부재(220)와 상기 고정유닛(100) 사이에 위치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펀칭스프링부재(240)는 상기 지지판(210)이 가압되어 상기 마킹부재(310)에 의해서 상기 피표시체(2)에 마킹홈(2a)이 형성된 후에 상기 지지판(210) 및 마킹부재(31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펀칭스프링부재(240)는 상기 지지판(210)과 결합된 상기 실린더부재(220)와 상기 고정유닛(100)의 삽입봉(1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펀칭스프링부재(240)는 상기 삽입봉(110)에 삽입되어 제공된 후에, 상기 삽입봉(110)과 함께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일단부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봉(110)의 일단부와 상기 스토퍼부재(23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220)와 상기 삽입봉(1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와 피표시체(2)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에서 다이얼볼부(250)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의 상기 삽입봉(110)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이얼홈(111)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유닛(200)은 탄성에 의해 상기 다이얼홈(111)에 밀착되며, 상기 관통홀(221)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다이얼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의 상기 다이얼볼부(250)는 상기 관통홀(221)의 내측면에 형성된 노출홀(224)의 일단부에 일측이 돌출되게 안착되는 볼부재(251), 상기 볼부재(251)에 밀착하여 탄성력을 공급하며, 상기 노출홀(224)에 삽입되는 볼가압스프링(252) 및 상기 노출홀(224)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일단부에 상기 볼가압스프링(252)이 안착되는 단부홈(253a)이 형성된 세트볼트(2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유닛(200)은 상기 지지유닛(200)이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다이얼홈(111) 및 다이얼볼부(250)를 더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홈(111)은 상기 삽입봉(110)에 복수 개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다이얼볼부(250)가 상기 다이얼홈(111)에 밀착되어 제공되어 상기 다이얼볼부(250)가 결합된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회전 위치를 움직이지 않게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재(220)를 포함한 지지유닛(200)이 왕복 동작을 실시하면서도 회전된 각도를 유지해야되기 때문에, 상기 다이얼홈(111)은 상기 삽입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삽입봉(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이얼홈(111)이 상기 삽입봉(11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볼부(250)는 상기 다이얼홈(111)에 밀착되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220)가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게 제공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다이얼볼부(250)는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내주면인 관통홀(221)의 내측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다이얼볼부(250)는 볼부재(251), 볼가압스프링(252), 세트볼트(2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부재(251)는 상기 다이얼홈(111)과 직접 밀착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볼가압스프링(252)에 의해서 상기 다이얼홈(111)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다이얼홈(111)으로 밀착되는 것이므로, 상기 볼부재(251)에 작용하는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지지유닛(200)을 회전시키면, 상기 볼부재(251)는 상기 다이얼홈(111)에서 이탈하여 이웃하는 다른 다이얼홈(111)으로 이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부재(251)는 상기 실린더부재(220)에 형성된 노출홀(224)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관통홀(221)의 내측면으로 노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볼가압스프링(252)은 상기 볼부재(251)를 상기 다이얼홈(111)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가압스프링(252)은 상기 노출홀(224)에 안착된 상기 볼부재(251)에 일단부가 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노출홀(2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세트볼트(253)가 타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트볼트(253)는 상기 노출홀(224)에 나사결합으로 제공되어 상기 노출홀(224)에 삽입된 볼부재(251) 및 볼가압스프링(25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세트볼트(253)의 일단부에는 상기 볼가압스프링(252)을 지지하는 단부홈(25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홈(253a)에 상기 볼가압스프링(252)의 타단부가 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점마킹 펀칭기(1)의 지지유닛(200)과 고정유닛(100)만을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의 상기 고정유닛(100)은 상기 삽입봉(110)이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표시체(2)가 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20) 및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회전각도를 확인하도록, 일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일측을 지시하게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시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에서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외면에는 상기 지시부재(130)에 인접하며,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각도별로 체커눈금(223)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점마킹 펀칭기(1)의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상기 피표시체(2)와 결합하도록, 상기 피표시체(2)의 나사홀(2b)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봉(121)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피표시체(2)에 결합되어 상기 마킹유닛(300)에 의한 마킹홈(2a) 형성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결합봉(121)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마킹유닛(300)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정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지시부재(130) 및 체커눈금(223)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상기 피표시체(2)와 결합되기 위해서, 베이스부재(12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피표시체(2)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120)는 상기 마킹유닛(300)에 의한 마킹홈(2a)의 형성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점으로써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120)는 결합봉(121)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봉(121)은 상기 피표시체(2)에 형성되어 있던 기존의 나사홀(2b)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봉(121)이 기존의 나사홀(2b)에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서, 새롭게 형성될 나사홀(2b)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기준점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봉(121)은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나, 별도로 제작된 결합봉(121)이 상기 베이스부재(120)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100)은 상기 지지유닛(200)의 회전의 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지시부재(130)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시부재(130)는 상기 베이스부재(120)의 일면에 결합되어 제공되며, 일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후술할 체커눈금(223)과 협력하여 회전된 각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지시부재(130)는 작업자가 확인하기 쉬운 색상으로 도색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빨강색으로 도색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200)의 실린더부재(220)에는 회전된 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체커눈금(223)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체커눈금(223)은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의 각도별로 표시되어, 상기 지지유닛(200)이 회전된 각도를 상기 지시부재(130)와 협력하여 표시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서, 상기 체커눈금(223)은 상기 실린더부재(220)의 외주면에 36개가 표시되어 제공되면, 상기 체커눈금(223) 하나 사이의 간격은 10도의 회전 각도를 표시하는 것이 된다.
더하여, 상기 체커눈금(223)은 작업자가 확인하기 쉬운 색상으로 도색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검정색 또는 상기 실린더부재(220) 색상의 보색으로 도색되어 제공될 수 있다.
1 : 다점마킹 펀칭기 2 : 피표시체
100: 고정유닛 110: 삽입봉
111: 다이얼홈 120: 베이스부재
121: 결합봉 130: 지시부재
200: 지지유닛 210: 지지판
220: 실린더부재 221: 관통홀
222: 정지탭 223: 체커눈금
224: 노출홀 230: 스토퍼부재
240: 펀칭스프링부재 250: 다이얼볼부
251: 볼부재 252: 볼가압스프링
253: 세트볼트 300: 마킹유닛
310: 마킹부재

Claims (8)

  1. 피표시체에 결합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왕복 동작하게 연계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피표시체의 일면을 가압하여 마킹홈을 형성하는 마킹부재를 상기 지지유닛에 복수 개 결합시켜 제공하는 마킹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마킹유닛이 결합되는 지지판; 및
    돌출되어 제공되는 상기 고정유닛의 삽입봉이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삽입봉이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표시체가 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회전각도를 확인하도록, 일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측을 지시하게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에 결합되는 지시부재;
    를 더 포함하는 다점마킹 펀칭기.
  2. 피표시체에 결합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왕복 동작하게 연계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피표시체의 일면을 가압하여 마킹홈을 형성하는 마킹부재를 상기 지지유닛에 복수 개 결합시켜 제공하는 마킹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마킹유닛이 결합되는 지지판;
    돌출되어 제공되는 상기 고정유닛의 삽입봉이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삽입봉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상기 삽입봉에 형성된 다이얼홈에 탄성에 의해 밀착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제공되는 다이얼볼부;
    를 포함하는 다점마킹 펀칭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삽입봉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관통홀 내측에 형성된 정지탭의 일단부에 걸리게 제공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삽입봉에 끼워져 상기 관통홀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정지탭의 타단부에 걸리게 제공되는 펀칭스프링부재;
    를 더 포함하는 다점마킹 펀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지시부재에 인접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각도별로 체커눈금이 표시된 다점마킹 펀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피표시체와 결합하도록, 상기 피표시체의 나사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봉;
    을 제공하는 다점마킹 펀칭기.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볼부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형성된 노출홀의 일단부에 일측이 돌출되게 안착되는 볼부재;
    상기 볼부재에 밀착하여 탄성력을 공급하며, 상기 노출홀에 삽입되는 볼가압스프링; 및
    상기 노출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일단부에 상기 볼가압스프링이 안착되는 단부홈이 형성된 세트볼트;
    를 포함하는 다점마킹 펀칭기.
  8.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표시체는 연속주조기의 세그먼트 롤러인 다점마킹 펀칭기.
KR1020140054832A 2014-05-08 2014-05-08 다점마킹 펀칭기 KR10153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32A KR101536522B1 (ko) 2014-05-08 2014-05-08 다점마킹 펀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832A KR101536522B1 (ko) 2014-05-08 2014-05-08 다점마킹 펀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522B1 true KR101536522B1 (ko) 2015-07-14

Family

ID=5379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832A KR101536522B1 (ko) 2014-05-08 2014-05-08 다점마킹 펀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5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352Y1 (ko) * 1993-12-30 1996-02-1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빌레트(Billet) 추적관리용 스트랜드 마킹(Strand Marking)장치
KR100808455B1 (ko) * 2007-02-06 2008-03-03 주식회사 모센 프레스 금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352Y1 (ko) * 1993-12-30 1996-02-1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빌레트(Billet) 추적관리용 스트랜드 마킹(Strand Marking)장치
KR100808455B1 (ko) * 2007-02-06 2008-03-03 주식회사 모센 프레스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980A (ko) 건축부속용 써포트나사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건축부속용 써포트나사
US9744582B2 (en) Wear tolerance indicator for stamping dies
KR101536522B1 (ko) 다점마킹 펀칭기
US20150239282A1 (en) Laser marking system for springs
JP2010058353A (ja) 打刻装置,打刻方法及び刻印付き加工品
KR20160066797A (ko) 형강재 볼트 구멍 마킹장치
CN210140676U (zh) 一种用于校对机针与旋梭位置的装置
CN103612150A (zh) 活动定位销
CN201192766Y (zh) 用于拆卸过盈配合螺栓的装置
KR102333592B1 (ko) 직진도 측정장치
KR20140000334U (ko) 마모도 측정장치
CN112140058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紧固件自动拆卸系统及方法
KR100775489B1 (ko) 선재 압연기용 선재 가이드 장치
JP2010005694A (ja) 金型交換用位置決め装置
KR101942648B1 (ko) 펀칭 시스템
CN107642365B (zh) 一种滚刀刀座更换定位装置及盾构机
CN203712381U (zh) 活动定位销
CN220689963U (zh) 一种机加工件质检模具
CN207601479U (zh) 一种带防护装置的工业相机
CN201735596U (zh) 用于pc轧机交叉头零位测量的顶紧装置
CN215114492U (zh) 用于双半内圈接触角测量的辅助装置
CN210202204U (zh) 一种用于电路板焊接的定位装置
CN110465886B (zh) 一种精密研磨抛光夹具
CN209532183U (zh) 一种电气设备用猪鼻子螺栓定位钻孔设备
CN204893811U (zh) 一种细钢丝拉线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