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588A -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588A
KR20190115588A KR1020180038465A KR20180038465A KR20190115588A KR 20190115588 A KR20190115588 A KR 20190115588A KR 1020180038465 A KR1020180038465 A KR 1020180038465A KR 20180038465 A KR20180038465 A KR 20180038465A KR 20190115588 A KR20190115588 A KR 20190115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e
air
mold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제이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제이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케이제이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8003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588A/ko
Publication of KR2019011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2Stabbing or piercing, e.g. for making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6Stripping-of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품을 연속적으로 타발하는 과정에서 제품에 부착된 부품이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타발할 수 있도록 하부금형의 다이에 제품을 뒤집어 안착하면 다이(DIE)에는 제품을 지지하는 브릿지와 간격 유지홀 위치에 가 위치하여 다이 바닥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의 표면에 형성된 에어 흡입홀을 통해 하부 금형 내부에 위치한 에어 벤트실로 에어를 흡입하여 제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테두리와 제품의 연결부위를 타발하여 분리하면 절단된 부위에 버(burr)가 발생하지 않고 깨끗하게 절단된 다음 이송 흡착기에 의해 제품을 트레이로 운반하여 공정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품을 연속적으로 타발하는 과정에서 테두리와 연결부위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타발할 수 있도록 하부금형의 다이에 제품을 뒤집어 안착하면 다이(DIE)에는 제품을 지지하는 브릿지와 SMT 간격 유지홀 위치에 SMT가 위치하여 다이 바닥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의 표면에 형성된 에어 흡입홀을 통해 하부 금형 내부에 위치한 에어 벤트실로 에어를 흡입하여 제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금형이 하강하여 테두리와 제품의 연결부위를 타발하여 분리하면 절단된 부위에 버(burr)가 발생하지 않고 깨끗하게 절단된 다음 이송 흡착기에 의해 제품을 트레이로 운반하여 공정이 완료되는 피어싱 금형에 의한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장치는 동일한 규격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재료의 가소성 및 유동성을 이용하여 완성도 높은 제품을 성형 및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성형용 기계장치이다.
이러한 금형장치는 금속합금이나 주철 등으로 제작되며, 금속의 프레스가공, 플라스틱의 사출성형, 분말야금성형 등 여러 종류의 제품 성형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프레스 금형이란 프레스라는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재료의 소성 및 전연성을 이용하여 동일규격의 제품을 다량으로 재단하여 생산하기 위하여 금속재료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기계이다.
녹아웃 장치는 프레스기계에서 타발(打拔, die cutting)ㆍ성형한 뒤 상형에 부착한 가공물을 때어내기 위한 장치이며, 녹아웃 핀(녹아웃 플런저 또는 로드라고도 한다)이 상형의 상승에 따라 녹아웃 레버에 부딪혀 밀어 올려져 부착한 가공물을 떨어트리는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프레스 금형의 녹아웃 장치는 제품을 성형 타발 후 패드에 끼인 제품을 패드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상부금형이 상사점에 도달했을 때 녹아웃 봉으로 녹아웃 패드를 타격하고, 상기 녹아웃 패드가 패드 푸쉬핀을 타격하여 패드 푸쉬핀에 가해진 충격을 패드에 전달함으로써 그 충격으로 패드(20)로부터 성형된 제품이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를 패드 고정볼트로 다이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패드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강철 금속으로 제작되는 패드의 중량에 의해 다이보다 아래로 밀려 내려와 있게 되므로 성형 타발 시 펀치가 펀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튕겨져 제품을 컷팅시에 펀치와 패드가 제품과 이물질을 동시에 누르게 되어 성형제품에 이물질의 자국이 찍히게 되어 불량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복적인 타발작업에 의해 패드의 주변부가 닳게 되어 타발되는 제품이 다이에 형성된 제품의 형상보다 작아지게 되어 타발 후 상형의 상승시에 타발된 제품이 다이에 끼워져 있지 않고 떨어져서 바닥에 놓이게 된다.
또한, 제품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패드의 형상 또한 커져서 패드 자체의 무게로 인해 상사점 이전에 패드가 내려와 제품을 밀게 됨으로 제품이 바닥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손바닥으로 받지 못하고 손가락을 사용하여 바닥에 떨어진 제품을 집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제품이 금속박판을 포함하여 구겨져서 제품으로서 가치가 없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68869호 "샤프트 방식을 이용한 고속 타발금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품을 타발하는 방법으로 종래와 같이 녹아웃장치 및 컴파운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피어싱 방법을 사용하여 제품에 부착된 SMT을 포함하여 찍힘 또는 눌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타발에 의한 절단부위에 버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하여 불량발생비율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타발금형장치(100)에 있어서,
버튼 홀더(290)와,
상기 버튼 홀더(290)의 상면에 적층된 다이 플레이트(280)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280)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다이(250)에 형성된 에어 흡입홀(140)과 에어 로드(260)에 의해 통공되어 에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벤트실(150)이 형성된 에어블록(270)과,
상기 에어블록(270)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면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안착되는 제품(190)이 간섭되지 않도록 천공된 간격 유지홀(200)과, 상기 간격 유지홀(200) 사이에는 제품(190)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브릿지(130)와, 상기 브릿지(130)와 간격 유지홀(200) 사이에는 에어를 흡입하여 브릿지(130) 상부에 밀착된 제품(190)을 고정하는 에어 흡입홀(140)이 형성된 다이(250)로 이루어져 조립된 하부금형(120); 과
상기 하부금형(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레스 타발시 제품(190)을 타발할 수 있도록 제품(190)의 형상과 대응하게 펀치(300)가 형성된 상부금형(1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는 제품을 뒤집어 상면이 다이를 향하도록 브릿지에 안착하면 간격 유지홀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이의 상면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에어 벤트실에서 다이와 제품 사이에 있는 에어를 흡입하여 브릿지에 고정한 다음 상부금형의 하강으로 제품과 프레스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위를 프레스에 의해 타발하여 절단한 다음 제품은 이송 흡착기에 의해 트레이로 운반하고, 다이 표면으로 낙하된 테두리와 연결부위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제품의 찍힘 또는 눌림을 방지함으로 인해 제품 불량율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금형을 상부금형으로 가압하는 프레스 방식으로 진행하여도 제품을 뒤집어 다이의 브릿지에 안착을 하기 때문에 비숙련작업자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의 하부금형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의 하부금형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100)는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부금형(110)은 버튼 홀더(290)와 상기 버튼 홀더(290)의 상면에 적층된 다이 플레이트(280)로 구성된다.
상기 다이 플레이트(280)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다이(250)에 형성된 에어 흡입홀(140)과 에어 로드(260)에 의해 통공되어 에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벤트실(150)이 형성된 에어블록(2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블록(270)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면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안착되는 제품(190)에 부착된 부품이 간섭되지 않도록 천공된 간격 유지홀(200)과, 상기 간격 유지홀(200) 사이에는 제품(190)을 지지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브릿지(130)와, 상기 브릿지(130)와 간격 유지홀(200) 사이에는 에어를 흡입하여 브릿지(130) 상부에 밀착된 제품(190)을 고정하는 에어 흡입홀(140)이 형성된 다이(250)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금형(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레스 타발시 제품(190)을 타발할 수 있도록 제품(190)의 형상과 대응하게 펀치(300)가 형성된 상부금형(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110)은 하부금형의 다이에 밀착되는 스트리퍼(240)와 상기 스트리퍼(240)의 상부에 펀치홀더(230)와 상기 펀치홀더(230)의 상부에는 펀치 플레이트와 상기 펀치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탑 홀더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음 볼트에 의해 조임 체결한다.
상기 상부금형의 스트리퍼와 펀치 홀더에는 펀치가 형성되어 연성회로기판을 가압한다.
상기 다이(250)에는 가이드 홀(330)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블록(270)의 표면에는 가이드 핀(31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다이(250)의 브릿지(130)에 안착되는 제품(190)을 끼움 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제품을 타발하기 위해서는 테두리(160) 내부에 위치하여 연결부위(170)에 의해 테두리(160)와 연결된 제품(190)을 준비한다.
상기 제품(190)의 상면을 뒤집은 다음 하부금형(120)의 다이(DIE)(250)에 위치하면, 상기 다이(250)의 표면에는 제품(190)을 지지하도록 배열된 다수개의 브릿지(130)와 상기 브릿지(130) 사이에는 제품의 부품이 다이(250) 표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대응하게 배열되어 천공된 간격 유지홀(200)과 상기 브릿지(130)와 간격 유지홀(200) 사이에 형성된 에어 흡입홀(140)이 형성되어 있어 제품(190)의 브릿지(130)에 밀착되어 다이(250) 표면과 간격을 유지하고, 간격 유지홀(200)의 상면에 위치하여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안착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하부금형(120)의 다이(250)에 안착된 제품(19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부금형(120) 내부에 형성된 에어벤트실(150)을 통해 다이(250) 상면에 위치한 에어를 에어 흡입홀(140)을 통해 흡입하여 제품(190)을 브릿지에 밀착되게 당겨 고정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하부금형(12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금형(110)이 하강하여 제품(190)의 표면을 프레스 타발하여 테두리(160)와 제품(190)을 연결하는 연결부위(170)를 타발하여 연결부위(170)와 테두리(250)는 다이(250) 상면으로 낙하되고 브릿지(130) 상면에는 제품(190)이 고정된 상태로 타발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다이(250)의 브릿지에 위치한 제품(190)의 상부에 이송 흡착기가 위치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이송 흡착기가 제품(190)의 상면을 흡착한 다음 에어벤트실(150)에서 에어의 흡입을 중지한 다음 제품(190)을 견인하여 트레이로 운반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다이(250) 상면에 남아 있는 테두리(160)와 연결부위(170)를 제거하는 단계로 진행한다.
100: 프레스 타발용 금형 피어싱 장치 110: 상부금형
120: 하부금형 130: 브릿지
140: 에어 흡입홀 150: 에어벤트실
160: 테두리 170: 연결부위
190: 제품
200: 간격 유지홀 210: 탑 홀더(TOP HOLDER)
220: 펀치 플레이트(PUNCH PLATE) 230: 펀치 홀더(PUNCH HOLDER)
240: 스트리퍼(STIPPER) 250: 다이(DIE)
260: 에어 로드 270: 에어블록
280: 다이 플레이트
290: 버튼 홀더(BOTTOM HOLDER) 300: 펀치
310: 가이드 핀 320: 조립볼트
330: 가이드홀

Claims (2)

  1.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피어싱 금형장치(100)에 있어서,
    버튼 홀더(290)와,
    상기 버튼 홀더(290)의 상면에 적층된 다이 플레이트(280)와,
    상기 다이 플레이트(280)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다이(250)에 형성된 에어 흡입홀(140)과 에어 로드(260)에 의해 통공되어 에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벤트실(150)이 형성된 에어블록(270)과,
    상기 에어블록(270)의 상면에 제품(190)의 상면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안착되는 제품(190)에 부착된 부품이 위치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천공된 간격 유지홀(200)과, 상기 간격 유지홀(200) 사이에는 부품을 제외한 제품(190)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브릿지(130)와, 상기 브릿지(130)와 간격 유지홀(200) 사이에는 에어를 흡입하여 브릿지(130) 상부에 밀착된 제품(190)을 고정하는 에어 흡입홀(140)이 형성된 다이(250)로 이루어져 조립된 하부금형(120); 과,
    상기 하부금형(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프레스 타발시 제품(190)을 타발할 수 있도록 제품(190)의 형상과 대응하게 펀치(300)가 형성된 상부금형(1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250)에는 가이드 홀(330)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블록(270)의 표면에는 가이드 핀(31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다이(250)의 브릿지(130)에 안착되는 제품(190)을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KR1020180038465A 2018-04-03 2018-04-03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KR20190115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65A KR20190115588A (ko) 2018-04-03 2018-04-03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65A KR20190115588A (ko) 2018-04-03 2018-04-03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88A true KR20190115588A (ko) 2019-10-14

Family

ID=6817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465A KR20190115588A (ko) 2018-04-03 2018-04-03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5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5819A (zh) * 2020-12-23 2021-05-28 安徽微威胶件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汽车制造领域的打孔装置
CN114506004A (zh) * 2022-02-17 2022-05-17 陶蓉蓉 一种片材自动脱离式塑料片材热塑成型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869A (ko) 2008-12-15 2010-06-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지를 구비한 도킹카트 분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869A (ko) 2008-12-15 2010-06-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지를 구비한 도킹카트 분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5819A (zh) * 2020-12-23 2021-05-28 安徽微威胶件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汽车制造领域的打孔装置
CN114506004A (zh) * 2022-02-17 2022-05-17 陶蓉蓉 一种片材自动脱离式塑料片材热塑成型设备
CN114506004B (zh) * 2022-02-17 2024-05-17 中山市建成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片材自动脱离式塑料片材热塑成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12787D1 (de) Methode und Vorrichtung zum Trennen von Nutzen in einer Schneidmaschine für bogenförmiges Material
KR20190115588A (ko)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KR101336954B1 (ko) 찍힘을 방지하는 타발금형장치
KR20160139872A (ko)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상승 방지장치
KR101841162B1 (ko) 연성 회로기판용 부자재의 성형 금형 장치
CN106001239A (zh) 一种冲齿模具
KR102035929B1 (ko) 피어싱 금형에 의한 연성회로기판의 타발방법
KR100808455B1 (ko) 프레스 금형
JP2013128963A (ja) プレス加工方法およびプレス加工装置
KR100345043B1 (ko) 공압 흡착식을 이용한 소형 마이크의 진공판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KR101505451B1 (ko) 인쇄회로기판 절단 장치
JP2521497B2 (ja) 順送りコンパウンド型による打抜プレスに於ける製品取出し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60112798A1 (en) Method for releasing slug after punching, and punching machine
KR20160001346U (ko) 연성 패널 타발장치
CN216067843U (zh) 一种印刷膜压孔排废装置
JP4512086B2 (ja) 抜き型
CN214639479U (zh) 一种冲切设备
JPS5825530B2 (ja) パンチプレス機における切断片除去方法
JPH0417925A (ja) 打抜き金型
JP6569094B2 (ja) ストリッピングピン
KR101210243B1 (ko) 펀칭 가공 장치
JPH076985Y2 (ja) 金型装置
KR20130118545A (ko) 기판 블랭킹 장치
JPH087944Y2 (ja) プレス穴開型の抜きかす排出構造
CN203901383U (zh) 条形料切断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