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46U - 연성 패널 타발장치 - Google Patents

연성 패널 타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46U
KR20160001346U KR2020150002446U KR20150002446U KR20160001346U KR 20160001346 U KR20160001346 U KR 20160001346U KR 2020150002446 U KR2020150002446 U KR 2020150002446U KR 20150002446 U KR20150002446 U KR 20150002446U KR 20160001346 U KR20160001346 U KR 201600013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mold
scrap removing
unit
p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영
김천희
방재웅
김훈
Original Assignee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1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sh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간에 관통 홀이 형성된 연성 패널을 모재 시트로부터 타발할 때 생성되는 스크랩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연성 패널 타발장치는, 연성 패널이 형성된 모재 시트가 상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시트 고정 지그와, 피너클 금형과, 피너클 금형과 결합되는 금형 홀더와, 스크랩 제거유닛과, 금형 홀더와 스크랩 제거유닛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과,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피너클 금형은 모재 시트에 대해 가압하여 연성 패널을 분리하도록 형성된 외곽 칼날과, 외곽 칼날에 의해 분리되는 연성 패널에 기능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외곽 칼날의 안쪽에 배치되는 기능 홀 칼날과, 기능 홀 칼날과 통하도록 형성된 스크랩 제거 홀을 구비한다. 금형 홀더는 스크랩 제거 홀과 연결되는 스크랩 제거통로를 구비한다. 스크랩 제거유닛은 스크랩 제거 홀과 스크랩 제거통로를 연결하는 경로에 위치하는 스크랩을 스크랩 제거 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스크랩 가압돌기를 구비한다. 제어유닛은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과 금형 홀더의 스크랩 제거통로에 누적될 수 있는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피너클 금형이 스크랩 제거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동유닛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연성 패널 타발장치{Apparatus for Blanking Flexible Panel}
본 고안은 연성 패널 타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재 시트로부터 일정한 크기 및 모양의 연성 패널을 타발할 수 있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또는 터치 스크린용 패널 등의 연성 패널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 등의 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모재 시트에 일정한 형태로 일정한 간격과 방향으로 다수가 배열되어 제작된다. 이와 같이 대면적의 모재 시트에 형성되는 연성 패널은 타발 장치에 의해 모재 시트로부터 분리된 후 후속 제품 제조 공정에 투입된다.
연성 패널 중에는 이를 중간재로 하여 제조되는 제품에 따라 그 중간에 관통 홀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중간에 관통 홀이 형성되는 연성 패널은 모재 시트로부터 연성 패널을 그 외곽 형상에 맞춰 타발함과 동시에 관통 홀도 함께 타발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성 패널을 모재 시트에서 타발하는 데에는 중간의 관통 홀도 함께 타발할 수 있는 칼날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은 버튼 홀, 이어 홀, 카메라 홀 등의 기능 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복수의 터치 패널이 형성되어 있는 모재 시트로부터 터치 패널을 타발하는 공정에는 터치 패널 중간의 기능 홀도 함께 타발할 수 있는 목형 칼이나 피너클 등의 칼날이 이용된다. 특히,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는 터치 패널의 타발 공정에는 피너클 칼날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타발 공정에 이용되는 장치는 등록특허공보 제1225458호(2013. 01. 22.)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타발 장치는 모재 시트로부터 터치 패널의 외곽부를 절단하기 위한 외곽 칼날과 터치 패널의 기능 홀을 타발하기 위한 기능 홀 칼날이 상부 금형의 하면에 함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기능 홀 칼날의 내부에는 기능 홀 칼날에 의해 절단 분리되는 스크랩을 배출하기 위한 스크랩 제거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타발 장치는 상부 금형을 상하로 이동시켜 모재 시트로부터 터치 패널과 기능 홀을 동시에 타발하며, 기능 홀 타발 시에 생성되는 스크랩은 기능 홀 칼날 안쪽의 스크랩 제거 홀을 통해 배출한다.
상술한 종래 타발 장치는 버튼 홀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기능 홀을 타발할 때 생성되는 스크랩은 스크랩 제거 홀을 통해 어렵지 않게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어 홀이나 카메라 홀 등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복수의 기능 홀을 동시에 타발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크기가 작은 스크랩들은 쉽게 배출하기가 어렵다. 이것은 크기가 작은 스크랩들이 스크랩 제거 홀이 형성된 기능 홀 칼날의 내측면에 달라붙기 쉽기 때문이다.
터치 패널은 복수의 ITO 필름이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등의 투명 접착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을 모재 시트에서 타발할 때 터치 패널의 절단면에 접착제가 미세하게 나오게 되며, 이 접착제가 스크랩 제거 홀이 형성된 기능 홀 칼날의 내측면에 달라붙는다. 이렇게 접착제에 의해 기능 홀 칼날의 내측면에 달라붙는 크기가 작은 스크랩들은 모재 시트로부터 분리되는 또 다른 스크랩의 가압력만으로는 스크랩 제거 홀에서 밀어내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기능 홀 칼날에서 스크랩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타발 작업을 수행하면, 스크랩이 기능 홀 칼날의 외부로 삐져나와 스크랩도 함께 절단되기 쉽다. 이 경우, 타발 불량이 발생하거나, 스크랩의 절단된 부분이 타발된 터치 패널의 상부에 이물질로 달라붙어 불량 터치 패널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배출되지 않은 스크랩을 칼날에서 제거하기 위해 타발 작업을 중지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간에 관통 홀이 형성된 연성 패널을 모재 시트로부터 타발할 때 생성되는 스크랩을 안정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양호한 타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연성 패널 타발장치는, 연성 패널이 형성된 모재 시트가 상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시트 고정 지그; 상기 시트 고정 지그에 고정된 상기 모재 시트에 대해 가압하여 상기 연성 패널을 분리하도록 형성된 외곽 칼날과, 상기 외곽 칼날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연성 패널에 기능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칼날의 안쪽에 배치되는 기능 홀 칼날과, 상기 기능 홀 칼날에 의해 상기 연성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스크랩이 상기 기능 홀 칼날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기능 홀 칼날과 통하도록 형성된 스크랩 제거 홀을 구비하는 피너클 금형; 상기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에 유입된 상기 스크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랩 제거 홀과 연결되는 스크랩 제거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피너클 금형과 결합되는 금형 홀더; 상기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과 상기 금형 홀더의 스크랩 제거통로로 연결되는 경로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랩을 상기 스크랩 제거 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스크랩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스크랩 제거유닛; 및 상기 피너클 금형에 의해 상기 연성 패널을 타발하는 작업과 상기 스크랩을 제거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피너클 금형과 결합된 상기 금형 홀더와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는 피너클 금형으로 연성 패널을 타발할 때 피너클 금형의 기능 홀 칼날 안쪽에서 금형 홀더의 스크랩 제거통로까지의 경로 중에 끼이는 스크랩을 스크랩 제거유닛의 스크랩 가압돌기로 밀어내어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피너클 금형에 의한 타발 작업 시 스크랩이 피너클 금형으로부터 제거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타발 불량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는 타발 작업 중에 피너클 금형과 스크랩 제거유닛을 상대 이동시켜 스크랩 제거유닛의 스크랩 가압돌기를 피너클 금형 속으로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피너클 금형으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피너클 금형에 끼이는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을 중지할 필요가 없고, 장치의 비가동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연성 패널 타발장치의 피너클 금형유닛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연성 패널 타발장치의 피너클 금형유닛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를 이용하여 연성 패널을 타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연성 패널 타발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연성 패널 타발장치의 피너클 금형유닛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연성 패널 타발장치의 피너클 금형유닛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Ⅰ-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100)는 시트 고정 지그(110)와, 피너클 금형유닛(120)과, 스크랩 제거유닛(17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100)는 합성수지 등 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모재 시트(10)에서 다양한 기능 홀(21, 22, 23, 24)이 형성된 연성 패널(20)을 타발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성 패널(20)이 터치 패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시트 고정 지그(110)는 하나 이상의 연성 패널(20)이 형성된 모재 시트(1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모재 시트(10)가 놓이는 상면을 구비한다. 시트 고정 지그(110)가 그 상면에 놓이는 모재 시트(1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진공압을 통한 흡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피너클 금형유닛(120)은 시트 고정 지그(110) 위에 상하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피너클 금형유닛(120)은 모재 시트(10)를 타발하기 위한 피너클 금형(130)과, 피너클 금형(130)과 결합되어 피너클 금형(130)을 고정하는 금형 홀더(150)를 포함한다. 금형 홀더(150)는 구동유닛(165)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구동유닛(165)에 의해 금형 홀더(150)는 상하 이동뿐만 아니라 수평 이동도 가능하다. 구동유닛(165)은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시트 고정 지그(110)와 스크랩 제거유닛(170)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유닛(165)의 동작은 제어유닛(190)에 의해 제어된다. 물론, 금형 홀더(150)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으로 상하 구동력만 제공하는 프레스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피너클 금형(130)은 외곽 칼날(131)과 복수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 및 이들 외곽 칼날(131)과 기능 홀 칼날들(132, 133, 134, 135)을 지지하는 판형의 칼날 베이스(136)를 구비한다. 외곽 칼날(131)과 복수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은 칼날 베이스(136)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칼날 베이스(136)는 볼트 혹은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금형 홀더(150)의 하면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피너클 금형(130)이 탈착식 구조를 취하면 금형 홀더(150)는 그대로 두고 다양한 구조의 피너클 금형(13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외곽 칼날(131)은 모재 시트(10)를 타발하여 모재 시트(10)로부터 연성 패널(20)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연성 패널(20)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은 외곽 칼날(131)의 안쪽에 배치된다. 이들 복수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은 연성 패널(20)을 타발하여 연성 패널(20)의 중간에 버튼 홀, 이어 홀, 카메라 홀 등 복수의 기능 홀(21, 22, 23, 24)을 형성한다. 복수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 각각은 이에 대응하는 기능 홀(21, 22, 23, 24)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곽 칼날(131)과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의 높이, 즉, 외곽 칼날(131)과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의 칼날 베이스(136)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타발 대상 모재 시트(10)의 두께보다 크다. 그리고 모재 시트(10) 및 연성 패널(20)을 원활하게 타발할 수 있도록 외곽 칼날(131)과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은 각각의 칼날 두께가 칼날 베이스(136) 쪽에서 각각의 끝단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 각각의 안쪽에는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이 형성된다. 이들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은 각각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에 의해 타발되는 스크랩(30)을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이 모재 시트(10)에 압착되었다가 떨어질 때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에 의해 타발되는 스크랩(30)이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 안쪽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에 삽입되어 연성 패널(20)로부터 분리된다. 복수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각각의 깊이는 모재 시트(10)의 두께보다 크므로, 각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에는 복수의 스크랩(30)이 차례로 적층되어 위치할 수 있다.
금형 홀더(150)는 피너클 금형(130)과 결합된다. 금형 홀더(150)는 피너클 금형(130)이 결합되는 평평한 하면을 갖는 금형 고정부(151)와, 금형 고정부(151)의 상면에 결합되는 펜스부(152)와, 펜스부(152)를 덮는 덮개부(153)를 포함한다. 덮개부(153)는 구동유닛(165)에 결합된다. 펜스부(152)의 안쪽에는 스크랩(30)을 저장하기 위한 스크랩 저장실(154)이 구비되고, 덮개부(153)와 금형 고정부(151)가 스크랩 저장실(154)의 상하부를 덮는다.
금형 홀더(150)의 금형 고정부(151)에는 피너클 금형(130)에 구비된 복수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가 구비된다. 이들 복수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는 피너클 금형(130)의 복수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과 상호 연결된다.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로 유입되는 스크랩(30)은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를 통과하여 스크랩 저장실(154)에 저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의 스크랩(30)이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스크랩 저장실(15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의 폭은 스크랩(30)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크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크랩 제거통로(156)의 폭(D2)는 스크랩 제거 홀(139)의 폭(D1)보다 크다. 그리고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는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에서 스크랩 저장실(154) 쪽으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일부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만 나타냈으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에 각각 대응하는 모든 스크랩 제거통로가 그러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의 구조는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을 통과한 스크랩(30)을 스크랩 저장실(154)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의 폭(D2)이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의 폭보다 크므로, 피너클 금형(130)이 모재 시트(10)를 타발한 후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속으로 삽입된 스크랩(30)이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를 쉽게 통과하여 스크랩 저장실(154)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의 폭(D2)과 스크랩 제거 홀(139)의 폭(D1)의 차이로 인해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에 삽입된 스크랩(30)은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로 다시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금형 홀더(150)의 펜스부(152)에는 스크랩 저장실(154)의 스크랩(30)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스크랩 배출부(157)가 구비된다. 스크랩 배출부(157)에는 진공압을 발생하는 흡입 배출기(160)가 연결된다. 흡입 배출기(160)가 작동하면 스크랩 저장실(154)에 저장된 스크랩(30)이 진공압에 의해 스크랩 배출부(157) 내부의 스크랩 배출통로(158)를 통해 스크랩 저장실(154)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는 두 개의 스크랩 배출부(157)가 금형 홀더(150)에 구비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크랩 배출부(157)는 한 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랩 제거유닛(170)은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이나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 안쪽에 끼인 스크랩(30)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와 이들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를 지지하는 판형의 돌기 베이스(175)를 포함한다. 돌기 베이스(175)는 구동유닛(180)에 결합되며, 스크랩 제거유닛(170)은 구동유닛(18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스크랩 제거유닛(170)은 구동유닛(180)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구동유닛(180)은 스크랩 제거유닛(170)을 시트 고정 지그(11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스크랩 제거유닛(170)을 수평 이동할 수도 있다. 복수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는 피너클 금형(130)의 복수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에 대응하도록 돌기 베이스(175) 위에 돌출 구비된다. 이들 스크랩 가압돌기들(171, 172, 173, 174)은 각각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에 삽입될 수 있는 횡단면 폭을 갖는다.
이러한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는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을 통과하여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 속으로 진입함으로써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과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로 연결되는 경로 중에 끼인 스크랩(30)을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위로 밀어내어 제거한다.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는 도시된 것 이외에 그 형상이나 길이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피너클 금형(130)으로 모재 시트(10)를 타발할 때 생성되는 스크랩(30)이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과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 안쪽에 층층이 적층되어 끼이게 된다. 이때, 스크랩(30)의 가장자리 절단면에서 접착제가 흘러나와 피너클 금형(130)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의 내측면에 달라붙거나, 복수의 스크랩(30)이 서로 접착제로 달라붙어 뭉치는 등의 이유로 스크랩(30)이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에서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저장실(154)로 자연적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과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를 연결하는 경로에 끼이는 스크랩(30)을 피너클 금형(130)으로 모재 시트(10)를 타발할 때 생성되는 새로운 스크랩(30)의 가압력만으로 스크랩 저장실(154)로 밀어내기 어려울 수 있다. 이렇게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과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를 연결하는 경로에 끼이는 스크랩(30)은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를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을 통해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로 진입시킴으로써 어렵지 않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100)를 이용한 연성 패널 타발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성 패널(20)이 형성된 모재 시트(10)를 시트 고정 지그(110) 위에 고정한다. 시트 고정 지그(110) 위에 모재 시트(1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진공압을 통한 흡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유닛(165)을 이용하여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시트 고정 지그(110) 위의 타발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시트 고정 지그(110) 쪽으로 하강시켰다가 상승시켜 피너클 금형(130)으로 모재 시트(10)를 타발한다. 피너클 금형유닛(120)이 시트 고정 지그(110) 쪽으로 하강할 때 피너클 금형(130)의 외곽 칼날(131)과 복수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이 모재 시트(10)를 찍어냄으로써 모재 시트(10)로부터 연성 패널(20)을 분리함과 동시에 연성 패널(20)의 중간에 복수의 기능 홀(21, 22, 23, 24)을 형성한다.
이때, 외곽 칼날(131)에 의해 모재 시트(10)로부터 타발된 연성 패널(20)은 시트 고정 지그(110)의 진공 흡착력에 의해 시트 고정 지그(110) 상면에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에 의해 연성 패널(20)로부터 분리되는 스크랩(30)은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 안쪽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속에 삽입되어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과 함께 연성 패널(20)에서 이격된다.
이렇게 피너클 금형(130)으로 모재 시트(10)를 타발한 후,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크랩 제거유닛(170)을 이용하여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및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에 끼인 스크랩(30)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구동유닛(165)을 이용하여 시트 고정 지그(110)에서 스크랩 제거유닛(170)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스크랩 제거유닛(170) 쪽으로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킨다. 피너클 금형유닛(120)이 스크랩 제거유닛(170) 쪽으로 하강하면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가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을 통해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로 진입한다. 이때,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가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또는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 속의 스크랩(30)을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저장실(154)로 밀어 넣는다. 이렇게 스크랩 제거유닛(170)에 의해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또는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에서 스크랩(30)이 제거된 피너클 금형유닛(120)은 구동유닛(165)에 의해 스크랩 제거유닛(170)으로부터 이격된 후, 시트 고정 지그(110)로 이동하여 다음 타발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크랩 제거유닛(170)에 의한 스크랩 제거 작업은 피너클 금형유닛(120)의 타발 작업 중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유닛(190)이 구동유닛(165)의 동작을 제어하여 피너클 금형(130)과 결합된 금형 홀더(150)를 시트 고정 지그(110)와 스크랩 제거유닛(170) 사이에서 이동시켜 피너클 금형(130)이 연성 패널(20)을 타발하는 작업과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가 피너클 금형(130)에서 스크랩(30)을 제거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스크랩 제거 작업은 일정 횟수의 타발 작업 후 한번씩 수행될 수 있다. 타발 작업 후 매번 스크랩 제거 작업을 수행하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일정 횟수의 타발 작업 후 스크랩 제거 작업을 한번씩 수행하면 생산성과 타발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매 타발 작업마다 스크랩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작업자가 타발 작업 상황을 고려하여 구동유닛(165) 등을 제어하여 임의의 시점에 스크랩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를 이용하여 피너클 금형(130)에서 스크랩(30)을 제거할 때, 스크랩 제거유닛(170)과 연결된 구동유닛(180)을 이용하여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를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을 통해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구동유닛(180)으로 스크랩 제거유닛(170)을 피너클 금형(130)과 마주하도록 이동시킨 상태에서 스크랩 제거유닛(170)을 피너클 금형(130) 쪽으로 상승시키게 된다.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가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및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로 진입하여 스크랩(30)이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저장실(154)에 유입되면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배출통로(158)를 통해 스크랩(30)을 스크랩 저장실(154)로부터 배출한다. 즉,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배출부(157)에 연결된 흡입 배출기(160)를 작동시켜 스크랩 저장실(154)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여 스크랩 저장실(154)로 유입된 스크랩(30)을 스크랩 배출통로(158)를 통해 스크랩 저장실(154)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스크랩 배출 작업은 스크랩 제거 작업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스크랩 제거 작업과는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성 패널 타발장치(100)는 피너클 금형(130)을 시트 고정 지그(110)와 스크랩 제거유닛(170)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면서 연성 패널(20)을 타발하는 작업과 피너클 금형(130)에서 스크랩을 제거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생산성과 타발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피너클 금형(130)을 시트 고정 지그(110) 위로 이동시켜 타발 작업을 수행하고, 피너클 금형(130)을 스크랩 제거유닛(170) 위로 이동시켜 피너클 금형(130)의 기능 홀 칼날(132, 133, 134, 135) 안쪽에 끼이는 스크랩(30)을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를 이용하여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저장실(154)로 밀어 넣어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30)이 피너클 금형(130)으로부터 제거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타발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본 고안에 의한 연성 패널 타발장치(100)가 연성 패널(20)로서 터치 패널을 타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연성 패널 타발장치는 터치 패널 이외에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또는 터치 스크린용 패널 등 중간에 기능 홀 등의 관통 홀을 갖는 다양한 연성 패널의 타발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타발 대상 연성 패널의 종류에 따라 피너클 금형과 금형 홀더 및 스크랩 제거유닛의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트 고정 지그(110) 위에 모재 시트(1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진공압을 통한 흡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흡착법 이외에 기구적 클램핑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모재 시트(10)를 시트 고정 지그(110) 위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금형 홀더(150)가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로부터 제거되는 스크랩(30)을 저장하기 위한 스크랩 저장실(154)을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금형 홀더(150)에서 스크랩 저장실(154)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홀더(150)의 내부에 흡입 배출기(160)가 연결되어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과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로 연결되는 경로 중에 위치하는 스크랩(30)을 흡입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와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과 같은 개수로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의 개수는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의 개수보다 적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스크랩 배출 홀에서는 스크랩이 비교적 쉽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스크랩 제거유닛에는 그러한 스크랩 배출 홀에 대응하는 스크랩 가압돌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크랩 제거유닛(170)이 구동유닛(180)에 의해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구동유닛(180)이 생략되어 스크랩 제거유닛(170)이 고정형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너클 금형유닛(120)만 구동유닛(165)에 의해 움직여 타발 작업과 스크랩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시트 고정 지그(110)가 위치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시트 고정 지그(110)도 이동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연성 패널 타발장치(200)는 시트 고정 지그(110)와 스크랩 제거유닛(170)이 하나의 지지 프레임(210)에 지지되어 함께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피너클 금형유닛(120)은 구동유닛(165)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 및 X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지지 프레임(210)은 프레임 구동유닛(220)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구동유닛(165)과 프레임 구동유닛(220)은 제어유닛(190)에 의해 제어된다.
모재 시트(10)의 타발 작업시 프레임 구동유닛(220)이 피너클 금형유닛(120)의 하측에 시트 고정 지그(110)가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210)을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피너클 금형유닛(120)이 구동유닛(165)에 의해 승강하면서 모재 시트(10)로부터 연성 패널(20)을 타발한다. 타발 작업 후, 피너클 금형유닛(120)의 피너클 금형(130)에서 스크랩(30; 도 6 참조)을 제거할 때는 프레임 구동유닛(220)이 피너클 금형유닛(120)의 하측에 스크랩 제거유닛(170)이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210)을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피너클 금형유닛(120)이 구동유닛(165)에 의해 스크랩 제거유닛(170) 쪽으로 하강하여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스크랩 가압돌기(171, 172, 173, 174)가 피너클 금형(130)의 스크랩 제거 홀(137, 138, 139, 140; 도 4 참조)과 금형 홀더(150)의 스크랩 제거통로(155, 156; 도 4 참조)로 연결되는 경로에 위치하는 스크랩(30)을 제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이동시키는 구동유닛(165)과 지지 프레임(210)을 이동시키는 피너클 금형유닛(12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는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상하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나,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등의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210)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유닛은 지지 프레임(210)을 상하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조나, 지지 프레임(210)을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등의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시트 고정 지그(11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스크랩 제거유닛(170)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들이 피너클 금형유닛(120)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함께 작용하여 타발 작업과 스크랩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랩 제거 작업시 피너클 금형유닛(120)이 스크랩 제거유닛(170)에 대해 이동하거나, 스크랩 제거유닛(170)이 피너클 금형유닛(120)에 대해 이동하여 피너클 금형(130)이 스크랩 제거유닛(17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10 : 모재 시트 20 : 연성 패널
21 ~ 24 : 기능 홀 30 : 스크랩
100, 200 : 연성 패널 타발장치 110 : 시트 고정 지그
120 : 피너클 금형유닛 130 : 피너클 금형
131 : 외곽 칼날 132 ~ 135 : 기능 홀 칼날
136 : 칼날 베이스 137 ~ 140 : 스크랩 제거 홀
150 : 금형 홀더 151 : 금형 고정부
152 : 펜스부 153 : 덮개부
154 : 스크랩 저장실 155, 156 : 스크랩 제거통로
157 : 스크랩 배출부 158 : 스크랩 배출통로
160 : 흡입 배출기 165, 180 : 구동유닛
170 : 스크랩 제거유닛 171 ~ 174 : 스크랩 가압돌기
175 : 돌기 베이스 190 : 제어유닛
210 : 지지 프레임 220 : 프레임 구동유닛

Claims (9)

  1. 연성 패널이 형성된 모재 시트가 상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시트 고정 지그;
    상기 시트 고정 지그에 고정된 상기 모재 시트에 대해 가압하여 상기 연성 패널을 분리하도록 형성된 외곽 칼날과, 상기 외곽 칼날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연성 패널에 기능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 칼날의 안쪽에 배치되는 기능 홀 칼날과, 상기 기능 홀 칼날에 의해 상기 연성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스크랩이 상기 기능 홀 칼날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기능 홀 칼날과 통하도록 형성된 스크랩 제거 홀을 구비하는 피너클 금형;
    상기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에 유입된 상기 스크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랩 제거 홀과 연결되는 스크랩 제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피너클 금형과 결합되는 금형 홀더;
    상기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과 상기 금형 홀더의 스크랩 제거통로로 연결되는 경로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랩을 상기 스크랩 제거 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스크랩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스크랩 제거유닛; 및
    상기 피너클 금형에 의해 상기 연성 패널을 타발하는 작업과 상기 스크랩을 제거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피너클 금형과 결합된 상기 금형 홀더와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과 상기 금형 홀더의 스크랩 제거통로에 누적될 수 있는 상기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피너클 금형이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홀더의 내부에 흡입력을 가하여 상기 금형 홀더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랩을 흡입 배출시키는 흡입 배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홀더의 스크랩 제거통로의 폭은 상기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홀더의 스크랩 제거통로는 상기 피너클 금형의 스크랩 제거 홀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금형 홀더를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금형 홀더를 상기 시트 고정 지그와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 사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을 상기 금형 홀더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고정 지그와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피너클 금형이 상기 시트 고정 지그와 상기 스크랩 제거유닛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프레임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패널 타발장치.
KR2020150002446U 2014-10-15 2015-04-16 연성 패널 타발장치 KR20160001346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487 2014-10-15
KR2020140007487 2014-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46U true KR20160001346U (ko) 2016-04-26

Family

ID=5591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46U KR20160001346U (ko) 2014-10-15 2015-04-16 연성 패널 타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4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8293A (zh) * 2018-10-29 2019-02-12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飞轮剥离机构
KR102253718B1 (ko) * 2020-06-30 2021-05-18 임규순 시트 타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8293A (zh) * 2018-10-29 2019-02-12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飞轮剥离机构
CN109318293B (zh) * 2018-10-29 2020-06-09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废料剥离机构
KR102253718B1 (ko) * 2020-06-30 2021-05-18 임규순 시트 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743B1 (ko) 버 제거기능을 가지는 평와셔 제조장치
CN101176895A (zh) 冲压加工装置及其方法
KR20070036772A (ko) 스탬핑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01346U (ko) 연성 패널 타발장치
KR100666828B1 (ko)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KR100811525B1 (ko) 목금형 및 피나클금형에 적용할 수 있는 스크랩수집카트리지 장착용 금형의 구조
KR101841162B1 (ko) 연성 회로기판용 부자재의 성형 금형 장치
KR101196809B1 (ko) 금형의 피가공물 클리닝 장치 및 방법
KR101424227B1 (ko) 피나클 금형 조립체
KR101382349B1 (ko) 프레스용 스크랩 취출장치
JP6267777B1 (ja) ブランキング下型
KR101530229B1 (ko) 상부 핀홀펀치를 구비한 절단금형장치
JP2010120027A (ja) プレス成形機及びその送風機構
KR101505451B1 (ko) 인쇄회로기판 절단 장치
KR20190115588A (ko) 에어벤트를 이용한 타발 금형장치
KR101421448B1 (ko) 넉아웃 기능이 구비된 푸쉬백 금형
CN211250331U (zh) 废料打孔模具
TW201822911A (zh) 穿孔加工裝置及角管的穿孔加工廢料的處理方法
KR101651820B1 (ko)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KR100831664B1 (ko) 자동 절단편 배출 장치
KR20110000249A (ko) 사출 성형물 가공용 금형장치
KR101866339B1 (ko) 버 발생 방지가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절단용 프레스 칼금형 및 그 제작방법
KR20120117179A (ko) 다이컷팅의 스크랩 제거기
KR20120028454A (ko) 포장박스 제작방법
KR200408000Y1 (ko) 홀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