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820B1 -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1820B1 KR101651820B1 KR1020150098859A KR20150098859A KR101651820B1 KR 101651820 B1 KR101651820 B1 KR 101651820B1 KR 1020150098859 A KR1020150098859 A KR 1020150098859A KR 20150098859 A KR20150098859 A KR 20150098859A KR 101651820 B1 KR101651820 B1 KR 101651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aterial
- molding part
- mold
- forming
- dischar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6—Shoulder or burr prevention, e.g. fine-blan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06—Making more than one part out of the same blank; Scrapless wor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는, 부품의 형성전에 모재로부터 배출되는 제1배출물과 제2배출물은 하부금형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고, 부품의 형성전에 모재로부터 배출되는 제3배출물은 상부금형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며, 부품 및 부품의 형성과 동시에 배출되는 제4배출물은 수거부재에 의하여 수거되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부품의 형성후에 잔존하는 모재인 제5배출물은 소정 크기로 절단되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부품 및 모재에서 발생되는 배출물들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부품 및 배출물들이 수거되어 배출되므로, 부품 및 배출물들이 본체의 내부에 분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청결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판 형태의 모재를 전단(剪斷)하여 모재로부터 소정 형상의 부품을 제조 분리하였을 때, 부품 및 부품을 제외한 모재의 나머지 부분들인 배출물들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 공작은 재료가 가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재료를 원하는 형상이나 치수로 가공하는 기술이며, 이는 금속재료가 가지는 가용성(Fusibility), 전성(Malleability : 가단성), 절삭성(Mechianability) 등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전성은 금속이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성질로써, 전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모재를 가공하는 공법을 소성가공이라고 한다. 소성가공에는 단조, 압연 또는 프레스가공(Press Working) 등이 있으며, 프레스가공은 주로 판 형태의 금속 재료를 절단(Cutting)하거나, 굽히(Bending)거나, 오무리거나, 압축하는 기술이다.
프레스장치는 레버, 나사, 수압 등을 이용하여 금형에 지지 설치된 재료를 강압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장치로서, 블랭킹가공, 펀칭가공, 드로잉가공 또는 절단작업 등에 사용된다.
파인 블랭킹 프레스(Fine Blanking Press)란, 원기둥, 각기둥 또는 링 형태의 돌기를 이용하여 금속재의 판에 압축응력을 가하여 부품을 형성하는 것이다. 파인 블랭킹 프레스는 제조하고자 하는 부품의 전면(全面)에 걸쳐서 깨끗한 전단면(全斷面)을 얻을 수 있으므로, 파인 블랭킹 프레스로 판 형태의 금속재를 전단(剪斷)하여 부품을 형성하면, 형성하고자 하는 부품의 전면에 걸쳐서 전체 두께가 깨끗하게 전단된다. 이로인해, 파인 블랭킹 프레스는 한번의 공정으로 정밀을 요하는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종래의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는 금속재의 판 형태의 모재를 전단하여 부품을 제조 분리하였을 때, 부품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 및 부품을 제외한 모재의 나머지 부분들인 배출물들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이로인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부품을 수거하고, 배출물들을 수거하여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배출물들이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의 내부 곳곳에 분포하여 존재하므로 청결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3115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재에서 배출되는 부품 및 부품을 제외한 배출물들을 자동으로 수거함으로써,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청결한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을 통하여 판 형태의 모재가 투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링형상의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성형부가 형성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하측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상부성형부와 대응되게 하부성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측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금형과 자신 사이로 유입된 상기 모재를 전단(剪斷)하여 상기 부품을 형성하는 하부금형;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형성된 후 상기 하부금형에 탑재된 상기 부품을 수거하는 수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의 형성시 상기 모재에서 발생되는 일부의 배출물은 상기 하부금형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의 배출물은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되며, 또 다른 일부의 배출물은 상기 수거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되고, 또 다른 일부의 배출물은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는, 부품의 형성전에 모재로부터 배출되는 제1배출물과 제2배출물은 하부금형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고, 부품의 형성전에 모재로부터 배출되는 제3배출물은 상부금형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며, 부품 및 부품의 형성과 동시에 배출되는 제4배출물은 수거부재에 의하여 수거되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부품의 형성후에 잔존하는 모재인 제5배출물은 소정 크기로 절단되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부품 및 모재에서 발생되는 배출물들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부품 및 배출물들이 수거되어 배출되므로, 부품 및 배출물들이 본체의 내부에 분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청결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형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수거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의 절단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로 모재를 전단하여 부품을 형성할 때, 모재로부터 배출되는 부품 및 배출물들을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g는 모재로부터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형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수거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의 절단유닛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로 모재를 전단하여 부품을 형성할 때, 모재로부터 배출되는 부품 및 배출물들을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g는 모재로부터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요부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前面) 일측에 설치되어 모재(50)(도 7 참조)를 전단(剪斷)하여 링형상의 부품(60)(도 7 참조)을 형성하는 제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10)의 좌측면에는 금속재로 형성된 판 형태의 모재(50)가 투입되는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모재(50)는 롤 형태로 감겨서 모재공급장치(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모재공급장치에서 풀리면서 본체(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모재(50)를 전단하여 부품(6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형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30)과 하부금형(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금형(130)은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하부금형(150)은 상부금형(130) 하측의 본체(1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금형(130) 및 하부금형(15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형장치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로 모재를 전단하여 부품을 형성할 때, 모재로부터 배출되는 부품 및 배출물들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30)은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럭(131)과 고정블럭(131)의 하면에 형성된 상부성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금형(150)은 본체(1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승강블럭(151)과 승강블럭(151)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성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럭(131)과 승강블럭(151)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성형부(133)와 하부성형부(153)는 형성하고자 하는 부품(6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대응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부금형(130)과 하부금형(150) 사이로 모재(50)가 유입 이송되면, 상부성형부(133)와 하부성형부(153)에 의하여 부품(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성형부(133)는 제1상부성형부(133a) 내지 제6상부성형부(133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상부성형부(133a)는 모재(50)(도 7 참조)에 지지공(51)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이고, 제2상부성형부(133b)는 지지공(51) 외측의 모재(50) 부위에 복수의 관통공(53)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이며, 제3상부성형부(133c)는 관통공(53)의 일단부측에 접시형 홈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이고, 제4상부성형부(133d)는 관통공(53) 및 상기 접시형 홈을 가공하여 접시형 구멍(55)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이며, 제5상부성형부(133e)는 모재(50)에 부품(60)의 내주면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부이며, 제6상부성형부(133f)는 모재(50)에 부품(60)의 외주면을 형성하여 모재(50)로부터 부품(60)을 분리하기 위한 성형부일 수 있다.
제1상부성형부(133a)와 제2상부성형부(133b)는 돌기로 마련될 수 있고, 제3상부성형부(133c) 내지 제6상부성형부(133f)는 삽입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성형부(153)는 제1하부성형부(153a) 내지 제6하부성형부(153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하부성형부(153a)는 제1상부성형부(133a)와 작용하여 지지공(51)을 형성할 수 있고, 제2하부성형부(153b) 제2상부성형부(133b)와 작용하여 관통공(5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3하부성형부(153c)는 제3상부성형부(133c)와 작용하여 상기 접시형 홈을 형성할 수 있고, 제4하부성형부(153d)는 제4상부성형부(133d)와 작용하여 접시형 구멍(55)을 형성할 수 있고, 제5하부성형부(153e)는 제5상부성형부(133e)와 작용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6하부성형부(153f)는 제6상부성형부(133f)와 작용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외주면을 형성하여 모재(50)로부터 부품(6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부성형부(153a)와 제2하부성형부(153b)는 돌기로 형성된 제1상부성형부(133a)와 제2상부성형부(133b)가 삽입되는 삽입공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3하부성형부(153c) 내지 제6하부성형부(153f)는 삽입공으로 형성된 제3상부성형부(133c) 내지 제6상부성형부(133f)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4하부성형부(153d)와 제5하부성형부(153e)와 제6하부성형부(153f)는 승강블럭(151)에 대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인 제1상부성형부(133a)와 삽입공인 제1하부성형부(153a)에 의하여 모재(50)가 전단되어 모재(50)에 지지공(51)이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인 제2상부성형부(133b)와 삽입공인 제2하부성형부(153b)에 의하여 모재(50)가 전단되어 모재(50)에 관통공(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공인 제3상부성형부(133c)와 돌기인 제3하부성형부(153c)에 의하여 관통공(53)에 상기 접시형 홈이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공인 제4상부성형부(133d)와 돌기인 제4하부성형부(153d)에 의하여 접시형 구멍(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공인 제5상부성형부(133e)와 돌기인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내주면이 형성되고, 상호 대응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돌기인 제6상부성형부(133f)와 돌기인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부품(60)이 형성되어 모재(50)로부터 분리된다.
제1상부성형부(133a)와 제1하부성형부(153a)에 의하여 모재(50)에 지지공(51)이 형성되면 원판형의 제1배출물(57a)이 배출되고, 제2상부성형부(133b)와 제2하부성형부(153b)에 의하여 모재(50)에 관통공(53)이 형성되면 원기둥형의 제2배출물(57b)이 배출된다. 그리고, 제3상부성형부(133c)와 제3하부성형부(153c)에 의하여 관통공(53)에 상기 접시형 홈이 형성되면 관통공(53)에 찌꺼기가 끼이게 되고, 제4상부성형부(133d)와 제4하부성형부(153d)에 의하여 접시형 구멍(55)이 형성되면 관통공(53)에 끼인 원통형의 제3배출물(57c)이 배출된다.
그리고,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내주면이 형성되면 링형상의 제4배출물(57d)이 배출되고,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해서는 부품(60)의 외주면이 형성되면서 모재(50)로부터 부품(60)이 형성 분리된다.
하부금형(150)이 상승하면, 제1상부성형부(133a)와 제1하부성형부(153a)에 의하여 형성된 제1배출물(57a)과 제2상부성형부(133b)와 제2하부성형부(153b)에 의하여 형성된 제2배출물(57b)은 모재(50)로부터 전단되어 하부금형(150)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로(150a)(도 9 참조)에 유입될 수 있다. 배출로(150a)에 유입된 제1배출물(57a)과 제2배출물(57b)은 하부금형(150)에 설치된 에어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하부금형(150)의 후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금형(150)이 상승하면, 제4상부성형부(133d)와 제4하부성형부(153d)에 의하여 형성된 제3배출물(57c)은 상부금형(130)의 내부에 형성된 배출로(130a)에 유입될 수 있다. 배출로(130a)에 유입된 제3배출물(57c)도 상부금형(130)에 설치된 에어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부금형(130)의 후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금형(150)이 상승하면,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하여 형성된 제4배출물(57d)은 제5하부성형부(153e)에 탑재 지지될 수 있고,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형성된 부품(60)은 제6하부성형부(153f)에 탑재 지지될 수 있다. 제5하부성형부(153e)에 탑재 지지된 제4배출물(57d)과 제6하부성형부(153f)에 탑재 지지된 부품(60)은 높이 차를 가지며, 수거부재(171)에 의하여 본체(110)의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 각각 수거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부성형부(133)는 본체(110)의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여 2렬로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상부성형부(133a)와 제3상부성형부(133c)와 제6상부성형부(133f)는 본체(110)의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평행을 이루면서 2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상부성형부(133b)는 제1상부성형부(133a)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4상부성형부(133d)는 제6상부성형부(133f)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5상부성형부(133e)는 제6상부성형부(133f)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성형부(153)도 상부성형부(133)와 동일하게 본체(110)의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여 2렬로 배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하부성형부(153a)와 제3하부성형부(153c)와 제6하부성형부(153f)는 본체(110)의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평행을 이루면서 2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하부성형부(153b)는 제1하부성형부(153a)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4하부성형부(153d)는 제6상부성형부(153f)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5하부성형부(153e)는 제6하부성형부(153f)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부품(60)의 외주면이 형성되면서 모재(50)로부터 부품(60)이 분리될 때, 모재(50)에 큰 전단력이 작용한다. 그런데,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부품(60)이 형성될 때,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부품(60)이 형성되면 부품(60)의 외측에 위치된 모재(50)의 부위(50a)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는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1상부성형부(133b)와 제3상부성형부(133c)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하부성형부(153f)는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1하부성형부(153b)와 제3하부성형부(153c)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러면,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부품(60)이 형성될 때,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해서는 부품(60)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부품(60) 외측의 모재(50)의 부위(50a)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부품(60) 및 제4배출물(57d)을 수거하는 수거부재(171)가 설치될 수 있다. 수거부재(171)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b,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수거부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하여 형성되어 제5하부성형부(153e)의 상면에 탑재 지지된 제4배출물(57d)과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형성되어 제6하부성형부(153f)의 상면에 탑재 지지된 부품(60)은 제5하부성형부(153e)의 하강 거리와 제6하부성형부(153f)의 하강 거리 차이에 의하여 높이 차를 가진다. 이때, 부품(60)은 승강블럭(151)의 상면 하측에 위치되고, 제4배출물(57d)은 승강블럭(151)의 상면 상측에 위치된다.
그러면,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수거부재(171)가 본체(110)의 전면측으로 이동하면서, 제4배출물(57d)을 본체(110)의 전면측으로 밀고, 제4배출물(57d)은 수거부재(171)의 전면측에 의하여 밀려서 하부금형(150)의 전면에 설치된 수거함(175)에 수거된다. 그리고, 수거함(175)에 수거된 제4배출물(57d)은 하부금형(150)의 우측면측에 설치된 컨베이어(177)로 이송되어,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수거부재(171)가 본체(110)의 전면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 제4배출물(57d)이 수거함(175)에 수거되면 순간적으로 수거부재(171)는 정지하고, 제6하부성형부(153f)는 상승한다. 그러면, 부품(60)이 수거부재(171)의 내부에 수용되며, 부품(60)이 수거부재(171)의 내부에 수용되면, 수거부재(171)가 본체(110)의 후면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부품(60)의 수거부재(171)에 의하여 하부금형(150)의 후면측으로 수거된 후,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수거부재(171)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거부재(171)의 전면측에는 제4배출물(57d)이 안치되는 안치홈(171a)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부품(60)이 수용되는 수용공(171b)이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하부성형부(153)의 제3하부성형부(153c)가 형성된 승강블럭(151)의 상면 및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하부성형부(153)의 제3하부성형부(153c)가 형성된 승강블럭(151)의 상면에는 제1지지돌기(155)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지지돌기(155)는 하부금형(150)이 상승하면 지지공(51)에 삽입되어 모재(5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돌기(155)와 지지공(51)에 의하여 모재(50)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1하부성형부(153b)와 제3하부성형부(153c) 사이의 승강블럭(151)의 상면에는 제2지지돌기(1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돌기(157)는 지지공(51)에 삽입되어 모재(50)를 지지하며,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4상부성형부(133d)와 제4하부성형부(153d)에 의해서 모재(50)가 전단될 때,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해서 모재(50)가 전단될 때 및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해서 모재(50)가 전단될 때,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4상부성형부(133d)와 제4하부성형부(153d)에 의해서는 모재(50)가 전단되지 않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해서는 모재(50)가 전단되지 않도록 하며,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해서는 모재(50)가 전단되지 않도록 한다.
상부금형(130)의 고정블럭(131)의 하면 일측 테두리부측 및 타측 테두리부측에는 모재(50)의 일측면 및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5)가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135)에는 모재(50)의 측면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35)는 돌기 또는 레일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품(60)과 제1배출물(57a) 내지 제4배출물(57d)이 제거된 후 잔존하는 모재(50)인 제5배출물(57e)(도 6 참조)은 소정 크기로 절단되어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5배출물(57e)을 절단하는 절단유닛(19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의 절단유닛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30) 및 하부금형(150)의 우측면 외측에는 절단유닛(19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절단유닛(190)은 지지롤러(191) 및 절단부재(19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191)는 상하로 대향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부품(60)과 제1배출물(57a) 내지 제4배출물(57d)이 제거된 후 잔존하는 모재(50)인 제5배출물(57e)은 지지롤러(191) 사이로 유입되어 지지되며, 지지롤러(191)에 의하여 본체(110)의 우측면 외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지지롤러(191)를 통과한 제5배출물(57e)은 절단부재(193)에 의하여 소정 크기로 절단되어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4의 미설명 부호 139 및 159는 상호 삽입되어 하부금형(15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포스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g는 모재로부터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하부금형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 도 8a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재공급장치에 의하여 모재(50)가 본체(110)의 좌측면으로 투입되어 상부금형(130)에 형성된 지지부재(135)(도 4 참조)의 상기 지지홈에 삽입 지지된다. 이때,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상부성형부(133)의 제1상부성형부(133a)에 위치된다. 즉,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하부성형부(153)의 제1하부성형부(153a)에 위치된다.
그러면, 하부금형(150)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1상부성형부(133a)와 제1하부성형부(153a)에 의하여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모재(50)가 전단(剪斷)되어 모재(50)에 지지공(5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2상부성형부(133b)와 제2하부성형부(153b)에 의하여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모재(50)가 전단(剪斷)되어 모재(50)에 관통공(53)이 형성된다.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모재(50)에 지지공(51) 및 관통공(53)이 형성되면, 모재(50)의 지지공(51) 및 관통공(53)에 해당하는 부위인 원판형의 제1배출물(57a) 및 원기둥형의 제2배출물(57b)은 제1하부성형부(153a) 및 제2하부성형부(153b)을 따라 하강한 다음, 하부금형(15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배출로(150a)에 유입된다. 그리고, 배출로(150a)에 유입된 제1배출물(57a) 및 제2배출물(57b)은 상기 에어공급수단에 의하여 하부금형(150)의 후면측으로 이송된 후, 하부금형(15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모재(50)에 지지공(51) 및 관통공(53)이 형성되면, 하부금형(150)은 하강하고, 상기 모재공급장치에 의하여 모재(50)가 본체(110)의 우측으로 조금 더 이송된다.
그러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상부성형부(133)(도 4 참조)의 제1상부성형부(133a)(도 4 참조)에 위치된다. 즉,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하부성형부(153)의 제1하부성형부(153a)에 위치된다.
그러면, 하부금형(150)이 상승하고, 도 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동에 의하여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모재(50)가 전단(剪斷)되어 모재(50)에 지지공(51) 및 관통공(53)이 형성되며, 제1배출물(57a) 및 제2배출물(57b)은 하부금형(150)의 내부를 통하여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모재(50)에 지지공(51) 및 관통공(53)이 형성되면, 하부금형(150)은 하강하고, 상기 모재공급장치에 의하여 모재(50)가 본체(110)의 우측으로 조금 더 이송된다.
그러면, 도 7, 도 8c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상부성형부(133)의 제3상부성형부(133c)에 위치된다. 즉,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3하부성형부(153c)에 위치된다.
그러면, 하부금형(150)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본체(110) 후면측에 위치된 제3하부성형부(153c)에 형성된 제1지지돌기(155)가 지지공(51)에 삽입하여 모재(50)를 지지한다. 그리고,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3상부성형부(133c)와 제3하부성형부(153c)에 의하여 모재(50)의 관통공(53)에 상기 접시형 홈이 형성된다.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모재(50)에 상기 접시형 홈이 형성되면, 하부금형(150)은 하강하고, 상기 모재공급장치에 의하여 모재(50)가 본체(110)의 우측으로 조금 더 이송된다.
그러면, 도 7, 도 8d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에 위치된다. 즉,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6하부성형부(153f)에 위치된다.
그러면, 하부금형(150)이 상승한다.
하부금형(150)이 상승하면,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4상부성형부(133d)와 제4하부성형부(153d)에 의하여 모재(50)에 접시형 구멍(55)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내주면이 형성되며,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외주면이 형성되면서, 부품(60)이 모재(50)로부터 분리된다.
모재(50)에 접시형 구멍(55)이 형성되면, 모재(50)의 접시형 구멍(55)에 해당하는 부위인 제3배출물(57c)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4하부성형부(153d)에 의하여 제4상부성형부(133d)를 따라 상승하여, 상부금형(13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배출로(130a)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로(130a)에 유입된 제3배출물(57c)은 상기 에어공급수단에 의하여 상부금형(130)의 후면측으로 이송된 후, 하부금형(15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제4하부성형부(153d)는 탄성부재(미도시)에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제4하부성형부(153d)를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3배출물(57c)이 제4상부성형부(133d)를 따라 상승하여, 배출로(130a)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에 의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내주면이 형성되면 제4배출물(57c)이 모재(50)로부터 배출되어, 제5하부성형부(153e)와 함께 하강하고,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모재(50)에 부품(60)의 외주면이 형성되면, 모재(50)로부터 부품(60)이 분리되고, 부품(60)은 제6하부성형부(153f)과 함께 하강한다.
이때, 제5하부성형부(153e)의 상단부와 제6하부성형부(153f)의 상단부는 높이 차를 가지며, 이로 인해, 제4배출물(57c)은 하부금형(150)의 상면 상측에 위치되고, 부품(60)은 하부금형(15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수거부재(171)에 의하여 제4배출물(57d)은 하부금형(150)의 전면 외측으로 배출되고, 부품(60)의 하부금형(150)의 후면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4상부성형부(133d)와 제4하부성형부(153d), 제5상부성형부(133e)와 제5하부성형부(153e) 및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모재(50)가 전단될 때,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모재(50)의 부위는 제2지지돌기(157)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후, 상기 모재공급장치에 의하여 모재(50)가 본체(110)의 우측으로 더 이송된다.
그러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상부성형부(133)(도 4 참조)의 제3상부성형부(133c)(도 4 참조)에 위치된다. 즉,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하부성형부(153)의 제3하부성형부(153c)에 위치된다.
그러면, 도 8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동에 의하여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모재(50)가 전단(剪斷)되어 모재(50)에 상기 접시형 홈이 형성된다.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모재(50)에 상기 접시형 홈이 형성되면, 하부금형(150)은 하강하고, 상기 모재공급장치에 의하여 모재(50)가 본체(110)의 우측으로 조금 더 이송된다.
그러면,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상부성형부(133)(도 4 참조)의 제6상부성형부(133f)(도 4 참조)에 위치된다. 즉,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하부성형부(153)의 제6하부성형부(153f)에 위치된다.
그러면, 도 8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동에 의하여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모재(50)가 전단(剪斷)되어 제3배출물(57c) 및 제4배출물(57d)이 모재(50)로부터 배출되고, 부품(60)이 모재(5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본체(110)의 전면측 모재(50)의 부위에 형성된 지지공(51)에는 제1지지돌기(155) 및 제2지지돌기(157)가 삽입되어 모재(50)를 지지한다.
그후, 상기 모재공급장치에 의하여 모재(50)가 본체(110)의 우측으로 조금 더 이송된다. 그러면, 도 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50)의 우측 단부는 부품(60)과 제1배출물(57a) 내지 제4배출물(57d)이 제거된 제5배출물(57e)이 되어 상부금형(130)과 하부금형(150)의 우측면 외측에 위치되며, 전술한 절단유닛(190)에 의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므로 인하여, 모재(50)로부터 부품(60)이 형성되어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10)의 후면측에 위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부품(60)이 형성될 때는, 본체(110)의 전면측에 위치된 제6상부성형부(133f)와 제6하부성형부(153f)에 의하여 부품(60)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부품(60)의 외측에 위치된 모재(50)의 부위(50a)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는 부품(60)의 형성전에 모재(50)로부터 배출되는 제1배출물(57a)과 제2배출물(57b)은 하부금형(15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금형(15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고, 부품(60)의 형성전에 모재(50)로부터 배출되는 제3배출물(57c)은 상부금형(1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부금형(130)의 외부로 배출된 후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며, 부품(60) 및 부품(60)의 형성과 동시에 배출되는 제4배출물(57d)은 수거부재(171)에 의하여 수거되어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부품(60)의 형성후에 잔존하는 모재(50)인 제5배출물(57e)은 소정 크기로 절단되어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는 부품(60) 및 모재(50)에서 발생되는 제1배출물(57a) 내지 제4배출물(57d)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제1배출물(57a) 내지 제4배출물(57d)이 본체(110)의 내부에 분포하지 않으므로, 청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30: 상부금형
131: 고정블럭
133: 상부성형부
150: 하부금형
151: 승강블럭
153: 하부성형부
130: 상부금형
131: 고정블럭
133: 상부성형부
150: 하부금형
151: 승강블럭
153: 하부성형부
Claims (12)
-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을 통하여 판 형태의 모재가 투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면에는 링형상의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성형부가 형성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하측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상부성형부와 대응되게 하부성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금형측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금형과 자신 사이로 유입된 상기 모재를 전단(剪斷)하여 상기 부품을 형성하는 하부금형;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의하여 형성된 후 상기 하부금형에 탑재된 상기 부품을 수거하는 수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품의 형성시 상기 모재에서 발생되는 일부의 배출물은 상기 하부금형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의 배출물은 상기 상부금형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되며, 또 다른 일부의 배출물은 상기 수거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외부로 배출되고, 또 다른 일부의 배출물은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물은,
상기 부품의 형성 전에 상기 모재에서 발생하여 상기 하부금형으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제1배출물과 제2배출물, 상기 부품의 형성 전에 상기 모재에서 발생하여 상기 상부금형으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금형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제3배출물, 상기 부품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서 발생하여 상기 하부금형에 탑재되며 상기 수거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제4배출물, 상기 부품의 형성후에 잔존하는 상기 모재이며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제5배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는 상기 제5배출물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하면에 상기 상부성형부가 형성된 고정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본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하부성형부가 형성된 승강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성형부는 상기 모재에 지지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1상부성형부, 상기 지지공 외측의 상기 모재 부위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제2상부성형부, 상기 관통공에 접시형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3상부성형부,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접시형 홈을 가공하여 접시형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제4상부성형부, 상기 모재에 상기 부품의 내주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5상부성형부 및 상기 모재에 상기 부품의 외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모재로부터 상기 부품을 분리하기 위한 제6상부성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성형부는 상기 제1상부성형부와 작용하여 상기 지지공을 형성하는 제1하부성형부, 상기 제2상부성형부와 작용하여 상기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하부성형부, 상기 제3상부성형부와 작용하여 상기 접시형 홈을 형성하는 제3하부성형부, 상기 제4상부성형부와 작용하여 상기 접시형 구멍을 형성하는 제4하부성형부, 상기 제5상부성형부와 작용하여 상기 모재에 상기 부품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제5하부성형부 및 상기 제6상부성형부와 작용하여 상기 모재에 상기 부품의 외주면을 형성하여 상기 모재로부터 상기 부품을 분리하는 제6하부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상부성형부는 상기 제1상부성형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상부성형부 및 제5상부성형부는 상기 제6상부성형부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상부성형부와 상기 제3상부성형부와 제6상부성형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평행을 이루면서 2렬로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상기 제6상부성형부는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상기 제1상부성형부와 상기 제3상부성형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하부성형부는 상기 제1하부성형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하부성형부 및 상기 제5하부성형부는 상기 제6하부성형부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하부성형부와 상기 제3하부성형부와 제6하부성형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평행을 이루면서 2렬로 배치되며,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상기 제6하부성형부는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상기 제1하부성형부와 상기 제3하부성형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성형부와 상기 제2상부성형부는 돌기, 상기 제3상부성형부 내지 제6상부성형부는 삽입공으로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하부성형부와 상기 제2하부성형부는 삽입공, 상기 제3하부성형부 내지 상기 제6하부성형부는 돌기로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4하부성형부와 상기 제5하부성형부와 상기 제6하부성형부는 상기 승강블럭에 대하여 각각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성형부와 상기 제1하부성형부 및 상기 제2상부성형부와 상기 제2하부성형부에 의하여 상기 지지공 및 상기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면, 상기 지지공 및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모재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1배출물 및 상기 제2배출물은 상기 제1하부성형부 및 상기 제2하부성형부를 따라 하강한 다음, 상기 하부금형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배출로에 유입되고,
상기 하부금형의 상기 배출로에 유입된 상기 제1배출물 및 상기 제2배출물은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공급수단에 의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상부성형부와 상기 제4하부성형부에 의하여 상기 접시형 구멍이 형성되면, 상기 접시형 구멍이 형성된 상기 모재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3배출물은 상기 제4상부성형부를 따라 상승한 다음, 상기 상부금형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배출로에 유입되고,
상기 상부금형의 상기 배출로에 유입된 상기 제3배출물은 상기 상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공급수단에 의하여 상기 상부금형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상부성형부와 상기 제5하부성형부 및 상기 제6상부성형부와 상기 제6하부성형부에 의하여 상기 부품의 내주면 및 상기 부품의 외주면이 각각 형성되면, 상기 모재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제4배출물 및 상기 부품은 상기 제5하부성형부 및 상기 제6하부성형부와 함께 하강하면서 높이 차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상기 제4배출물이 상기 수거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전방측으로 배출된 다음, 상기 부품이 상기 제6하부성형부에 의하여 상승하면 상기 수거부재는 상기 부품을 상기 하부금형의 후방측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재의 전면측에는 상기 제4배출물이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측에는 상기 제5배출물을 절단하는 절단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제5배출물을 지지하여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이송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의하여 지지 이송되는 상기 제5배출물을 절단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렬에 배치된 상기 제3하부성형부가 형성된 상기 승강블럭의 상면 및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상기 제3하부성형부가 형성된 상기 승강블럭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어 상기 모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렬에 배치된 상기 제2하부성형부와 상기 제3하부성형부 사이의 상기 승강블럭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어 상기 모재를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가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의 하면 일측 테두리부측 및 타측 테두리부측에는 상기 모재의 일측면 및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모재의 측면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859A KR101651820B1 (ko) | 2015-07-13 | 2015-07-13 |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859A KR101651820B1 (ko) | 2015-07-13 | 2015-07-13 |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1820B1 true KR101651820B1 (ko) | 2016-08-29 |
Family
ID=5688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8859A KR101651820B1 (ko) | 2015-07-13 | 2015-07-13 |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182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9299A (ko) | 2018-07-18 | 2020-01-30 | 주식회사다스 | 금형의 성형제품 취출 장치 |
CN111482504A (zh) * | 2019-01-28 | 2020-08-04 | 庆昌精工株式会社 | 精冲压力机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31534A (ko) * | 2008-06-18 | 2009-12-29 | 주식회사 신아정밀 | 프레스가공장치 |
-
2015
- 2015-07-13 KR KR1020150098859A patent/KR1016518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31534A (ko) * | 2008-06-18 | 2009-12-29 | 주식회사 신아정밀 | 프레스가공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9299A (ko) | 2018-07-18 | 2020-01-30 | 주식회사다스 | 금형의 성형제품 취출 장치 |
CN111482504A (zh) * | 2019-01-28 | 2020-08-04 | 庆昌精工株式会社 | 精冲压力机装置 |
KR20200093333A (ko) * | 2019-01-28 | 2020-08-05 | 경창정공 주식회사 |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KR102180066B1 (ko) * | 2019-01-28 | 2020-11-17 | 경창정공 주식회사 |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88285B2 (ja) | プレス型のスクラップ排出装置 | |
KR101737743B1 (ko) | 버 제거기능을 가지는 평와셔 제조장치 | |
JP2007313522A (ja) | プレス型およびプレス加工方法 | |
CN101176895A (zh) | 冲压加工装置及其方法 | |
KR20070036772A (ko) | 스탬핑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0977131B1 (ko) | 웨이브 와셔 제조 장치 | |
CN211191667U (zh) | 一种用于支架裁切和折弯的装置 | |
KR101651820B1 (ko) | 파인 블랭킹 프레스장치 | |
KR102045142B1 (ko) | 성형품의 측면취출이 가능한 프로그래시브금형 | |
KR100772170B1 (ko) | 아이렛 제작금형 및 이를 이용한 아이렛 제작방법 | |
KR20210019724A (ko) |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KR101857568B1 (ko) | 금속링 성형 장치 | |
CN111482504A (zh) | 精冲压力机装置 | |
KR100858728B1 (ko) |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크랩 절단장치 | |
KR101904032B1 (ko) | 파이프 절단방법 | |
KR101105418B1 (ko) | 환형띠 아이렛 프레스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형띠 아이렛 제작방법 | |
US2017008047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ging heterogeneous material | |
KR100496549B1 (ko) | 맨드릴 단조용 지그 | |
CN110265308B (zh) | 半导体器件的装管装置 | |
KR100571521B1 (ko) | 소형 스프링 핀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
JP2018086713A (ja) | ブランキング下型 | |
KR20130131569A (ko) | 실시간 인장 투과전자현미경 샘플 제조 금형 | |
KR20210041204A (ko) | 건축용 판재 성형용 프레스 장치 | |
KR100478244B1 (ko) | 건축용 판재 성형 프레스 장치 | |
KR20160001346U (ko) | 연성 패널 타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