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828B1 -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828B1
KR100666828B1 KR1020050115181A KR20050115181A KR100666828B1 KR 100666828 B1 KR100666828 B1 KR 100666828B1 KR 1020050115181 A KR1020050115181 A KR 1020050115181A KR 20050115181 A KR20050115181 A KR 20050115181A KR 100666828 B1 KR100666828 B1 KR 100666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mold
pinnacle
hole processing
pinnac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Priority to KR102005011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828B1/ko
Priority to PCT/KR2006/002580 priority patent/WO2007064067A1/en
Priority to CNB2006800004491A priority patent/CN100534658C/zh
Priority to US11/572,552 priority patent/US20090019983A1/en
Priority to JP2008543168A priority patent/JP200951723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42With means to clean work or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54Reciproc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pinnacle) 금형(100)에 있어서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의 내부에 스크랩배출구(32)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스크랩(202)을 수집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 상부에 스크랩 수집공간부(40)를 장착한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크랩 수집공간부, 피나클금형, 커터날, 홀가공핀, 스크랩배출구

Description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structure of dieboard for attaching part of space collecting scrape}
도 1은 본 발명의 피나클금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금형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금형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금형의 구조에서 원지의 스크랩이 배출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금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금형의 구조에서 원지의 스크랩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금형의 구조에서 스크랩 수집공간부가 다수개 장착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판 20: 커터날
30: 홀가공핀 32: 스크랩배출구
40, 40-1, 40-2: 스크랩 수집공간부 42, 42': 핀지지대
50: 합성수지필름 60: 철판
70: 목판 80, 80': 고정핀
100: 피나클금형 200: 원지
202: 스크랩 300: 프레스
본 발명은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pinnacle) 금형(100)에 있어서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의 내부에 스크랩배출구(32)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스크랩(202)을 수집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 상부에 스크랩 수집공간부(40)를 장착한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금형(dieboard)은 목형, 톰슨(Thomson)목형 또는 칼금형으로 불리어지며 판 상태의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조합되는 다수의 칼과 펀치들로 이루 어져 있다. 이 지지대는 철판이나 나무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밑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레이저 또는 스카시로 커팅 가공된다. 그리고 커터날은 커팅머신 및 벤딩머신 등으로 커팅 및 벤딩 형성되어 커팅 가공된 지지대의 밑그림 공간에 다양한 형태로 펀치와 함께 억지 끼움 된다.
목금형은 종이박스나 인쇄물과 같은 단순한 제품의 가공 분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정밀한 제품의 가공 분야에까지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으며, 기존의 금형으로는 가공되지 않는 하프 커팅(half cutting) 및 특수원단 커팅 분야에서는 오히려 기존의 금형보다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기존의 금형에 비하여 하측 다이를 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짧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저비용으로 샘플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품목 소량생산 및 대량생산에 모두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LCD필름, 실링, 전자명판, 가스켓, 인쇄물, 진공성형물, 고무, 스폰지 등을 컷팅하기 위해 사용하는 목금형은 판형으로 되는 다양한 소재의 지지대에 다수개의 커터날을 원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억지 끼워서 제작하며, 이렇게 제작된 목금형을 상부의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커팅하고자 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커팅하게 된다. 이때, 커터날에 의해 커팅된 제품이 커터날의 내측 사이에 끼어 이탈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위해 커터날의 내측 지지대 및 외측 지지대에 탄성이 있는 패드 등의 탄성부재를 접합하게 된다. 목금형의 커터날이 제품을 가압하여 커팅할 때, 탄성부재는 가압되어 압착되며 커팅을 마치고 목금형이 상승하는 경우 탄성부재는 팽창하면서 커팅된 제품을 밀어 커터날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여 준다.
종래의 피나클 금형(100)은 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종래의 피나클 금형(100) 작업공정은 플라스틱 원지(200)의 상부에 피나클 금형(100)을 올려놓고 피나클 금형(100)을 상부에서 프레스(300)로 압착하여 찍는 경우 피나클 금형(100)의 홀가공핀(30)에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끼어들어가기 때문에 홀가공핀(30)에 끼어있는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을 빼내기 위하여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을 거친 후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홀가공핀(30)에서 끼어있는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을 일일이 파내어 빼내거나 뜯어내야 하는 공정을 거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나클 금형(100) 작업공정은 플라스틱 원지(200)의 상부에 피나클 금형(100)을 올려놓고 피나클 금형(100)을 상부에서 프레스(300)로 압착하여 찍는 경우 플라스틱 원지(200)의 구멍난 홀부분이 원지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을 거친 후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구멍난 홀부분을 다른 지그에 올려놓고 송곳으로 구멍난 홀부분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송곳으로 구멍난 홀부분을 뚫는 경우 홀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작업공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작업인원이 증가하고 생산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pinnacle) 금형(100)에 있어서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의 내부에 스크랩배출구(32)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스크랩(202)을 수집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 상부에 스크랩 수집공간부(40)를 장착하여 종래의 피나클금형(100) 작업공정에서 플라스틱 원지(200)의 상부에 피나클 금형(100)을 올려놓고 피나클 금형(100)을 상부에서 프레스(300)로 압착하여 찍는 경우 피나클 금형(100)의 홀가공핀(30)에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끼어 들어가기 때문에 홀가공핀(30)에 끼어있는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을 빼내기 위하여 피나클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을 거친 후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홀가공핀(30)에서 끼어있는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을 일일이 파내어 빼내거나 뜯어내야 하는 공정을 거처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피나클 금형(100) 작업공정에서 플라스틱 원지(200)의 상부에 피나클 금형(100)을 올려놓고 피나클 금형(100)을 상부에서 프레스(300)로 압착하여 찍는 경우 플라스틱 원지(200)의 구멍난 홀부분이 원지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을 거친 후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구멍난 홀부분을 다른 지그에 올려놓고 송곳으로 구멍난 홀부분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피나클 금형(100) 작업공정에서 송곳으로 구멍난 홀부분을 뚫는 경우 홀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별도의 작업공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작업인원이 증가하고 생산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pinnacle) 금형(100)에 있어서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의 내부에 스크랩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스크랩(202)이 수집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에 스크랩 수집공간부(4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나클 금형 구조에 있어서 스크랩 수집공간부(40)는 홀가공핀(30)의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원지(200)의 스크랩(202)이 모아질 수 있도록 상부에 합성수지 필름(5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나클 금형 구조에 있어서 스크랩 수집공간부(40)는 홀가공핀(30)의 핀날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핀지지대(42, 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나클 금형 구조에 있어서 스크랩 수집공간부(40)는 2개 이상의 공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 구조는 커터날(20)과 홀가공핀(30)이 지지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 금형(100); 상기 피나클 금형(100)의 상부에 장착된 철판(60); 상기 철판(60)의 상부에 장착된 스크랩 수집목판(70); 상기 목판(70)의 상부에 부착된 합성수지 필름(50)이 적층된 상태로 다수개의 고정핀(80, 80')을 사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나클 금형은 철판 자체를 부식시켜 지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제작된 것이며 도 2 내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터날(20)과 홀가공핀(30)이 지지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 금형(100); 상기 피나클 금형(100)의 상부에 장착된 철판(60); 상기 철판(60)의 상부에 장착된 스크랩 수집목판(70); 상기 목판(70)의 상부에 부착된 합성수지 필름(50)이 적층된 상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나클 금형의 구조는 홀가공핀(30)의 내부에 스크랩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나클 금형(100)의 작업공정에서 플라스틱 원지(200)의 상부에 피나클 금형(100)을 올려놓고 피나클 금형(100)을 상부를 프레스(300)로 압착하여 찍는 경우 플라스틱 원지(200)의 구멍난 홀부분이 원지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스크랩배출구(32)의 내부로 밀려 올라가면서 차곡차곡 쌓인 후 배출되고 홀가공핀(30)의 상부에 스크랩 수집공간부(4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스크랩(202)이 스크랩 수집공간부(40)에 수집되고 스크랩 수집공간부(40) 상부에 합성수지 필름(50)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홀가공핀(30)의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원지(200)의 스크랩(202)이 스크랩 수집공간부(40) 내부공간에 모아진다. 스크랩 수집공간부(40) 상부에 부착하는 합성수지 필름(50)은 모든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피나클 금형(100)의 상부에 장착된 철판(60)은 피나클 금형(100)의 상부에서 압착하는 프레스로부터 받을 수 있는 힘을 골고루 분산되게 하고 피나클 금형(100)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나클 금형(100)의 상부에 장착하며 모든 철판을 장착할 수 있으며 서스(sus) 철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나클 금형의 구조는 수집공간부(40)의 홀가공핀(30) 핀날 가장자리가 접촉하는 부위에 홀가공핀(30) 핀날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핀지지대(42, 42')가 형성되어 있어 원지(200)에서 분리되어 배출되는 스크랩(scrape)(202)이 스크랩배출구(32)에서 잘 빠져나가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를 확보하고 프레스로 홀가공핀(30) 핀날을 내려치는 경우 홀가공핀(30) 핀날을 지지하는 지지돌기 역할을 하며 홀가공핀(30) 핀날이 처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나클 금형 구조에 있어서 스크랩 수집공간부(40)는 1개의 공간부를 갖는 스크랩 수집공간부(40)를 1개 또는 다수개 별도로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공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집공간부(40, 40-1, 40-2)를 장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 구조는 커터날(20)과 홀가공핀(30)이 지지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 금형(100); 상기 피나클 금형(100)의 상부에 장착된 서스(sus) 철판(60); 상기 철판(60)의 상부에 장착된 스크랩 수집목판(70); 상기 목판(70)의 상부에 부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50)이 적층된 상태로 다수개의 고정핀(80, 80')을 사용하여 고정된 일체형 스크랩 자동배출 지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나클금형(100)의 작업공정에서 플라스틱 원지(200)의 상부에 피나클 금형(100)을 올려놓고 피나클 금형(100) 상부를 프레스(300)로 압착하여 찍는 경우 하나의 단일공정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홀가공핀(30)에서 끼어있는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을 일일이 파내어 빼내거나 뜯어내야 하는 작업공정을 생략하고 플라스틱 원지(200)의 구멍난 홀부분이 원지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을 거친 후 피나클 금형(100)을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구멍난 홀부분을 다른 지그에 올려놓고 송곳으로 구멍난 홀부분을 뚫어야 하는 작업공정을 생략하며 프레스(300)로 압착하는 공정과는 별도 작업공정에서 송곳으로 구멍난 홀부분을 뚫는 별도의 작업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인원을 줄이고 생산단가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지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pinnacle) 금형(100)에 있어서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의 내부에 스크랩배출구(32)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스크랩(202)을 수집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 상부에 스크랩 수집공간부(40)를 장착하여 일체형 스크랩 자동배출 지그로 금형작업을 수행하여 피나클 금형(100)의 작업공정에서 플라스틱 원지(200)의 상부에 피나클 금형(100)을 올려놓고 피나클 금형(100) 상부를 프레스(300)로 압착하여 찍는 경우 하나의 단일공정으로 작업을 완료하며 프레스 작업과는 다른 별도의 작업공정을 생략하며 작업시 생길 수 있는 불량품을 없애고 작업인원을 줄이고 생산단가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어 금형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지지판(10), 커터날(20) 및 홀가공핀(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pinnacle) 금형(100)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원지(200)의 스크랩(scrape)(202)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의 내부에 스크랩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스크랩(202)이 수집될 수 있도록 홀가공핀(30)에 스크랩 수집공간부(4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수집공간부(40)는 홀가공핀(30)의 스크랩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원지(200)의 스크랩(202)이 모아질 수 있도록 상부에 합성수지 필름(5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수집공간부(40)는 홀가공핀(30)의 핀날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핀지지대(42, 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수집공간부(40)는 2개 이상의 공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커터날(20)과 홀가공핀(30)이 지지판(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피나클 금형(100); 상기 피나클 금형(100)의 상부에 장착된 철판(60); 상기 철판(60)의 상부에 장착된 스크랩 수집목판(70); 상기 목판(70)의 상부에 부착된 합성수지 필름(50)이 적층된 상태로 다수개의 고정핀(80, 80')을 사용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KR1020050115181A 2005-11-30 2005-11-30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KR100666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181A KR100666828B1 (ko) 2005-11-30 2005-11-30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PCT/KR2006/002580 WO2007064067A1 (en) 2005-11-30 2006-07-01 Pinnacle die structure having scrap collecting opening
CNB2006800004491A CN100534658C (zh) 2005-11-30 2006-07-01 具有废料收集孔的尖顶模具结构
US11/572,552 US20090019983A1 (en) 2005-11-30 2006-07-01 Pinnacle die structure having scrap collecting opening
JP2008543168A JP2009517236A (ja) 2005-11-30 2006-07-01 スクラップ収集空間部装着用ピナクル金型の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181A KR100666828B1 (ko) 2005-11-30 2005-11-30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828B1 true KR100666828B1 (ko) 2007-01-10

Family

ID=3786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181A KR100666828B1 (ko) 2005-11-30 2005-11-30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19983A1 (ko)
JP (1) JP2009517236A (ko)
KR (1) KR100666828B1 (ko)
CN (1) CN100534658C (ko)
WO (1) WO20070640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22B1 (ko) * 2013-07-26 2014-07-22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보조 출력 전압 제어가 가능한 다중 출력 컨버터
KR101421021B1 (ko) * 2013-07-26 2014-07-22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결합 인덕터 선택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컨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7118A (ja) * 2008-04-11 2011-05-26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Pvの美観および効率を改善する方法
CN102327947A (zh) * 2011-05-27 2012-01-25 昆山能缇精密电子有限公司 金属带切割治具
CN103722584A (zh) * 2012-10-16 2014-04-16 昆山力诺能源机械有限公司 一种废料收集装置
AU2013100504B4 (en) * 2013-04-14 2013-12-19 Alucity Windows And Doors Pty Ltd Screen Assembly
CN117245005B (zh) * 2023-11-20 2024-02-02 武汉登奇机电技术有限公司 一种伺服电机转子冲片加工成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793A (en) * 1988-02-27 1991-06-11 Citizen Watch Co., Ltd. Scrap collection system
JPH10109298A (ja) * 1996-10-01 1998-04-28 Toshiba Fa Syst Eng Kk 打抜装置におけるスクラップ排出機構付き積層体取出装置
JP2002316221A (ja) * 2001-04-20 2002-10-29 Denso Corp シート材打抜き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2092A (en) * 1975-06-11 1977-01-11 B & M Die Co., Inc. Compound angle cutting edg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267753A (en) * 1979-11-08 1981-05-19 Bennett Edward D Apparatus for producing a blank from stock material
US4377957A (en) * 1980-07-03 1983-03-29 The Boeing Company Joined blanking tool
US5172622A (en) * 1991-11-12 1992-12-22 Lamcraft, Inc. Quick change die cutter
US5906702A (en) * 1995-02-07 1999-05-25 Precision Dynam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rofiles
EP1036637A1 (en) * 1999-03-17 2000-09-20 De La Rue Giori S.A. Invalidating device for perforating plane objects
KR100819783B1 (ko) * 2001-07-06 2008-04-07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의 트리밍 장치 및 방법과반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793A (en) * 1988-02-27 1991-06-11 Citizen Watch Co., Ltd. Scrap collection system
JPH10109298A (ja) * 1996-10-01 1998-04-28 Toshiba Fa Syst Eng Kk 打抜装置におけるスクラップ排出機構付き積層体取出装置
JP2002316221A (ja) * 2001-04-20 2002-10-29 Denso Corp シート材打抜き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22B1 (ko) * 2013-07-26 2014-07-22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보조 출력 전압 제어가 가능한 다중 출력 컨버터
KR101421021B1 (ko) * 2013-07-26 2014-07-22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결합 인덕터 선택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9983A1 (en) 2009-01-22
WO2007064067A1 (en) 2007-06-07
CN101124055A (zh) 2008-02-13
JP2009517236A (ja) 2009-04-30
CN100534658C (zh)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828B1 (ko)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KR100811525B1 (ko) 목금형 및 피나클금형에 적용할 수 있는 스크랩수집카트리지 장착용 금형의 구조
KR100815441B1 (ko) 목금형의 커터날 고정장치
KR100712829B1 (ko) 분진방지용 목금형
KR20090099704A (ko) 독립형 폐스크랩이 발생하지 않는 목금형
KR200399370Y1 (ko) 전기자석형 목금형 유닛
KR20090008926A (ko) 스프링 쿠숀재를 구비한 목금형의 구조
KR100644090B1 (ko) 자석이 장착된 목금형의 구조
KR101042570B1 (ko) 커터날 측면에 고정지그 받침용 보조인대가 장착되어 있는 목금형
KR100496812B1 (ko) 목금형
KR100784977B1 (ko) 착탈가능한 홀가공블럭이 장착된 피라클 금형의 구조
KR100877131B1 (ko) 스크랩배출창테이프가 장착된 목금형 구조
KR100845779B1 (ko) 목금형의 커터날 밀림 및 고정장치
KR20100091426A (ko) 목금형용 홀가공 치구
KR200408000Y1 (ko) 홀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CN210547461U (zh) 一种下模强度加强的冲压模具结构
KR100875645B1 (ko) 경량화 목금형
KR100654921B1 (ko) 홀가공 및 수집공간부를 갖는 목금형
KR100666827B1 (ko) 홀가공치구 및 스크랩 자동배출구를 구비한 목금형
KR20090071727A (ko) 소형 패드가 장착된 목금형의 구조
KR200453438Y1 (ko) 목금형에 설치된 고정장치
KR20070024175A (ko) 홀 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KR20090069610A (ko) 받침대가 장착된 목금형의 구조
KR20160001346U (ko) 연성 패널 타발장치
KR100876578B1 (ko) 전자석 목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