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570B1 -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570B1
KR100799570B1 KR1020060053897A KR20060053897A KR100799570B1 KR 100799570 B1 KR100799570 B1 KR 100799570B1 KR 1020060053897 A KR1020060053897 A KR 1020060053897A KR 20060053897 A KR20060053897 A KR 20060053897A KR 100799570 B1 KR100799570 B1 KR 10079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catalyst metal
silicon
catalytic metal
do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358A (ko
Inventor
박래만
김상협
맹성렬
박종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5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570B1/ko
Priority to EP06824014A priority patent/EP2027059A4/en
Priority to US12/304,739 priority patent/US8414974B2/en
Priority to JP2009515290A priority patent/JP4866461B2/ja
Priority to PCT/KR2006/005308 priority patent/WO2007145406A1/en
Publication of KR2007011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02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02Silicon
    • C01B33/021Preparation
    • C01B33/027Preparation by decomposition or reduction of gaseous or vaporised silicon compounds other than silica or silica-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5/00Single-crystal growth by chemical reaction of reactive gases, e.g. chemical vapour-deposition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02Elements
    • C30B29/06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6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shape
    • C30B29/602Nano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32Silicon, silicon germanium, germa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606Nano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 H01L21/02642Mask materials other than SiO2 or 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 H01L21/02645See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01L29/0669Nanowires or nanotubes
    • H01L29/0673Nanowires or nanotubes oriented parallel to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01L29/066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the shape of the body defining a nanostructure
    • H01L29/0669Nanowires or nanotubes
    • H01L29/0676Nanowires or nanotubes oriented perpendicular or at an angle to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2Reduction or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e.g. 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53Vapour-liquid-solid grow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를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 주위를 둘러싸게 촉매 금속 도넛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금속 도넛 상에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실리콘 나노튜브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촉매 금속 도넛을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튜브를 효과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 방법{Fabrication method of silicon nanotube using doughnut type catalytic metal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나노튜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실리콘 나노튜브 성장에 이용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5의 실리콘 나노튜브 성장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기판, 102: 비촉매 금속층, 104: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 105: 촉매 금속층, 106: 촉매 금속 도넛, 300: 챔버, 304: 보트, 306: 실리콘 분말 소스, 308: 가스 주입구, 308: 가스 배출구
본 발명은 나노튜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탄소 나노튜브는 새로운 형태와 기능의 초고속, 고집적 전자소자나 센서로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경우에는 촉매 금속층을 이용하여 적당한 성장조건에서 열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반도체 특성과 금속 특성을 가지며, 제조시에 반도체 성질과 금속 성질을 원하는 대로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이 실리콘 나노튜브를 착안하였다. 실리콘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반도체 성질을 가지므로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는 전자소자나 센서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더하여,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는 탄소 나노튜브처럼 외부벽의 구조에 의해 특성이 결정되는 만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특성을 갖는 실리콘 구조체가 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응용 분야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는 상기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을 단순히 채용할 경우 나노튜브로 성장하지 않고 나노와이어로 성장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고, 이에 따라 실리콘 나노튜브에 대한 연구 결과도 거의 발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나노튜브를 잘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실리콘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시에 이 용되는 촉매 금속층을 단순하게 이용하지 않으면서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실리콘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aspect)에 의하면,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를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 주위를 둘러싸게 촉매 금속 도넛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금속 도넛 상에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실리콘 나노튜브를 제조한다.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는, 상기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는, 상기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층을 건식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촉매 금속 도넛은,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가 형성된 기판 상에 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촉매 금속층은 니켈, 금, 아연 또는 철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상기 비촉매 금속층의 표면 에너지가 줄어 뭉쳐져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를 형성한다.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가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상기 촉매 금속층의 표면 에너지를 줄여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 주위를 둘러싸게 촉매 금속 도넛을 형성한다. 상기 촉매 금속 도넛 상에서 상기 촉매 금속 도넛과 실리콘 소스 와의 반응에 의해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실리콘 나노튜브를 제조한다.
상기 비촉매 금속층은 2 내지 10nm의 두께로 크롬, 백금 또는 바나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촉매 금속층은 2 내지 10nm의 두께로 니켈, 금, 아연 또는 철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촉매 금속 도넛을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실리콘 나노튜브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막 또는 영역들의 크기 또는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리콘 나노튜브의 성장시에 탄소 나노튜브에 채용되는 방법을 단순하게 이용할 경우 나노튜브로 성장하지 않고 나노와이어로 성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킬 수 있게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하는 것을 착안하였다. 다시 말해, 기판 상에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하기 위해서 비촉매 금속층을 아일랜드로 성장시킨 후, 상기 비촉매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아일랜드 주변으로 촉매 금속층을 도넛 형태로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 상에 실리콘층을 형성시킬 경우 실리콘 나노튜브를 안전하게 성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채용된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나노튜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기판(100), 예컨대 실리콘 기판을 화학적 방법에 의해 세정하여 준비한다(스텝 50). 상기 기판(100) 상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촉매 금속층(102)을 형성한다. 상기 비촉매 금속층(102)은 크롬, 백금 또는 바나듐으로 형성한다. 상기 비촉매 금속층(102)은 증착(evaporator)법이나 스퍼터(sputter)법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 비촉매 금속층(102)은 2nm 내지 1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3nm의 두께로 형성한다(스텝 52).
상기 비촉매 금속층(102)을 1차 열처리한다. 상기 1차 열처리는 비촉매 금속층(102)이 형성된 기판(100)을 열처리 장치의 반응실(미도시) 내에 넣고, 반응실의 온도를 400℃ 내지 700℃의 온도 조건에서 30초 내지 5분간 수행한다(스텝 54). 상기 1차 열처리를 통하여 상기 비촉매 금속층(102)은 표면 에너지가 줄어 아일랜드(island, 섬) 형태로 뭉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가 형성된다.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는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의 직경에 따라 후에 형성되는 실리콘 나노튜브(도 5의 108)의 내부 직경이 결정된다(스텝 56).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는 비촉매 금속층(102)을 열 처리하여 형성하였으나, 비촉매 금속층(102)을 건식식각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즉, 기판(100) 상에 비촉매 금속층(102)을 형성한 후, 자외선이나 전자선을 이용하여 미세 패턴을 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층(102)을 건식식각하면 아일랜드 형태의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가 형성된 기판(100)의 전면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촉매 금속층(105)을 형성한다. 상기 촉매 금속층(105)은 니켈, 금, 아연 또는 철로 형성한다. 상기 촉매 금속층(105)은 증착(evaporator)법이나 스퍼터(sputter)법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 촉매 금속층(105)은 2nm 내지 1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3nm의 두께로 형성한다(스텝 58).
상기 촉매 금속층(105)을 2차 열처리한다. 상기 2차 열처리는 촉매 금속층(105)이 형성된 기판(100)을 열처리 장치의 반응실(미도시) 내에 넣고, 반응실의 온도를 300℃ 내지 500℃의 온도 조건에서 30초 내지 5분간 수행한다(스텝 60). 상기 2차 열처리를 통하여 상기 촉매 금속층(105)은 표면 에너지가 줄어 도넛 형태로 뭉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의 주위를 둘러싸게 촉매 금속 도넛(106)이 형성된다. 즉, 촉매 금속층(105)이 표면 에너지를 줄여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의 가장자리로 모이게 되어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 도넛(106)이 형성된다. 상기 촉매 금속 도넛(106)의 직경에 따라 후에 형성되는 실리콘 나노튜브(도 5의 108)의 직경도 결정된다(스텝 6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촉매 금속 도넛(106)은 촉매 금속층(105)을 2차 열처리하여 형성하였으나, 2차 열처리하지 않고 후공정의 실리콘 나노튜브 성장 장치에서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하는 과정에서 형성할 수 도 있다. 다시 말해, 후공정의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하는 과정에서 촉매 금속층(105)은 약간의 용융이 일어나게 되어 서로 뭉치거나 기판(100)에서 표면 이동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촉매 금속층(105)을 2차 열처리 없이 바로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하기 위해 성장실의 온도를 올릴 때 충분히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 도넛(106)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촉매 금속 도넛(106) 상에 실리콘 나노튜브(108)를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108)는 촉매 금속 도넛(106) 상에서만 형성되고 비촉매 금속층(104)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촉매 금속 도넛(106) 상에 형성되는 실리콘 나노튜브(108)를 얻을 수 있다(스텝 64).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108)의 성장 방법을 후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5의 실리콘 나노튜브 성장에 이용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5의 실리콘 나노튜브 성장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 성장에 이용되는 성장 장치는 열 화학기상증착(thermal CVD) 장치를 이용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히터(302)를 구비하는 챔버(300)와, 상기 챔버(300)의 내부에 기판(100)이 놓이는 보트(304)가 위치하고, 상기 보트(304)에 인접하여 실리콘 분말 소스(306)가 위치한다. 상기 실리콘 분말 소스(306)는 실리콘 분말이나, 실리콘 산화물과 탄소가 포함된 분말을 이용한다. 상기 챔버(300)의 양측부에는 챔버(300) 내부에 분위기 가스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가스 주입구(308) 및 가스 배출구(3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 나노튜브(108) 성장에는 실리콘 분말 소스(306)를 이용하였으나, 상기 가스 주입구(308) 및 가스 배출구(310)를 이용하여 실리콘 소스 가스, 예컨대 SiCl4, SiHCl3, SiH2Cl2, SiH4, Si2H6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성장 장치를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튜브(108)를 성장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보트(304) 상에 기판(100)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챔버(300)를 성장 온도, 예컨대 70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800℃로 설정하고 가스 주입구(308)를 통해 아르곤 가스를 100 내지 1000 sccm을 흘리면 실리콘 분말 소스(306)에서 실리콘이 분해되어 실리콘 이온(또는 실리콘 원자)이 촉매 금속 도넛(106)에 흡착되어 용해된다.
계속하여, 촉매 금속 도넛(106) 내부로 실리콘 원자가 확산하여 공급되면 촉매 금속 도넛(106) 상에서 실리콘 나노튜브(108)가 성장하게 된다. 상기 실리콘 분말 소스(306)에서 실리콘이 분해될 때, 상기 촉매 금속 도넛(106) 내에는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가 형성되어 있으나,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와 실리콘의 반응도에 비하여 촉매 금속 도넛(106)과 실리콘의 반응도가 우수하여 실리콘 구조물이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104)에서는 성장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실리콘 분말 소스(306)로부터 공급되는 실리콘 소스와의 촉매 금속 도넛(106)의 반응에 의해 실리콘 나노튜브(108)가 성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시에 이용되는 촉매 금속층을 단순하게 이용하지 않고, 촉매 금속 도넛을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튜 브를 성장시켜 실리콘 나노튜브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를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 주위를 둘러싸게 촉매 금속층을 형성하여 촉매 금속 도넛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금속 도넛 상에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촉매 금속층을 이용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를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 주위를 둘러싸게 촉매 금속 도넛을 형성하고; 및
    상기 촉매 금속 도넛 상에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는,
    상기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촉매 금속층은 크롬, 백금 또는 바나듐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는,
    상기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층을 건식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 도넛은,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가 형성된 기판 상에 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층은 니켈, 금, 아연 또는 철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는 열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해 상기 촉매 금속 도넛과 실리콘 소스와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8. 기판 상에 비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상기 비촉매 금속층의 표면 에너지가 줄어 뭉쳐져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를 형성하고;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가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촉매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금속층을 열처리하여 상기 촉매 금속층의 표면 에너지를 줄여 상기 비촉매 금속 아일랜드 주위를 둘러싸게 촉매 금속 도넛을 형성하고; 및
    상기 촉매 금속 도넛 상에서 상기 촉매 금속 도넛과 실리콘 소스와의 반응에 의해 실리콘 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촉매 금속층은 2 내지 10nm의 두께로 크롬, 백금 또는 바나듐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금속층은 2 내지 10nm의 두께로 니켈, 금, 아연 또는 철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나노튜브는 열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KR1020060053897A 2006-06-15 2006-06-15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KR10079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897A KR100799570B1 (ko) 2006-06-15 2006-06-15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EP06824014A EP2027059A4 (en) 2006-06-15 2006-12-08 METHOD FOR PRODUCING SILICON NANOROES USING A TOROUS CATALYTIC METAL LAYER
US12/304,739 US8414974B2 (en) 2006-06-15 2006-12-08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 nanotubes using doughnut-shaped catalytic metal layer
JP2009515290A JP4866461B2 (ja) 2006-06-15 2006-12-08 ドーナッツ状の触媒金属層を利用したシリコ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PCT/KR2006/005308 WO2007145406A1 (en) 2006-06-15 2006-12-08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 nanotubes using doughnut-shaped catalytic metal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897A KR100799570B1 (ko) 2006-06-15 2006-06-15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358A KR20070119358A (ko) 2007-12-20
KR100799570B1 true KR100799570B1 (ko) 2008-01-31

Family

ID=3883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897A KR100799570B1 (ko) 2006-06-15 2006-06-15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4974B2 (ko)
EP (1) EP2027059A4 (ko)
JP (1) JP4866461B2 (ko)
KR (1) KR100799570B1 (ko)
WO (1) WO2007145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336B1 (ko) * 2008-02-04 2010-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나노 디바이스,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나노 디바이스및 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CN101284667B (zh) * 2008-05-29 2010-12-15 复旦大学 一种硅纳米管的制备方法
US20120145988A1 (en) * 2009-01-29 2012-06-14 Quitoriano Nathaniel J Nanoscale Apparatus and Sensor With Nanoshell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2139876B (zh) * 2011-04-30 2012-10-17 南京大学 一种硅纳米管的制备方法
KR101336100B1 (ko) * 2011-10-06 2013-1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형 단결정 실리콘 나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3976B1 (ko) * 2012-03-19 2014-11-27 최대규 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976328A (zh) * 2012-12-24 2013-03-20 复旦大学 一种形貌可控的一维硅纳米材料的制备方法
CN103268910B (zh) * 2013-04-24 2016-01-20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一种金属纳米圆环的制备方法
CN103367474B (zh) * 2013-07-09 2017-03-01 北京工业大学 硅纳米管阵列作为太阳能电池的表面微纳结构的应用
TW201507975A (zh) * 2013-08-22 2015-03-01 Univ Ming Chi Technology 鎳奈米管之製備方法及其結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9321A (ja) 1998-06-05 1999-12-21 Osaka Gas Co Ltd 機能性珪素材料の製法
JP2005139044A (ja) 2003-11-07 2005-06-0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単結晶の珪素ナノ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KR20060094862A (ko) * 2005-02-25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콘 나노 와이어, 실리콘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반도체 소자 및 실리콘 나노 와이어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8929A (ja) * 1998-07-28 2000-02-18 Mitsubishi Materials Corp サージアブソーバ及びその製造方法
FR2829873B1 (fr) * 2001-09-20 2006-09-01 Thales Sa Procede de croissance localisee de nanotub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athode autoalignee utilisant le procede de croissance de nanotubes
US7211143B2 (en) 2002-12-09 2007-05-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crificial template method of fabricating a nanotube
JP4834957B2 (ja) * 2004-02-27 2011-12-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触媒構造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4547519B2 (ja) * 2004-10-22 2010-09-22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シリコンナノワイヤーの製造方法
US7662355B2 (en) 2004-11-29 2010-02-1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Technology Silicon nanosized linear body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silicon nanosized linear body
KR100677771B1 (ko) * 2005-03-31 2007-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무촉매층으로 성장시킨 나노튜브를 갖는 캐패시터 및 그의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9321A (ja) 1998-06-05 1999-12-21 Osaka Gas Co Ltd 機能性珪素材料の製法
JP2005139044A (ja) 2003-11-07 2005-06-0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単結晶の珪素ナノ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KR20060094862A (ko) * 2005-02-25 200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리콘 나노 와이어, 실리콘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반도체 소자 및 실리콘 나노 와이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3649A1 (en) 2009-05-14
JP2009539756A (ja) 2009-11-19
WO2007145406A1 (en) 2007-12-21
EP2027059A4 (en) 2012-09-12
EP2027059A1 (en) 2009-02-25
KR20070119358A (ko) 2007-12-20
US8414974B2 (en) 2013-04-09
JP4866461B2 (ja)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570B1 (ko) 도넛 형태의 촉매 금속층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튜브 제조방법
KR101381008B1 (ko) 그래핀의 제조방법
KR100723882B1 (ko) 실리콘 나노점 박막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JP2950272B2 (ja) 半導体薄膜の製造方法
JP2004335715A (ja) シリコン酸化層の形成方法
US20100047152A1 (en) Growth of carbon nanotubes using metal-free nanoparticles
JP2006032970A (ja) シリコン酸化物上に形成されたナノドッ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172431A (ja) 3−5族の材料基板上への電気絶縁層の堆積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mis構造の製造方法
US9951418B2 (en) Method for preparing structured graphene on SiC substrate based on Cl2 reaction
Lee et al. Quality improvement of fast-synthesized graphene films by rapid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mass production
Huang et al. Terminal Atom‐Controlled Etching of 2D‐TMDs
JP2007182349A (ja) ナノチューブと量子ドットの製造方法
KR20130035617A (ko) 그래핀상의 금속 박막의 형성 방법
JP5221075B2 (ja) 酸化膜形成方法、MOSデバイス製造方法、MOSトランジスタ製造方法、SiOx粉末、及びSiOx粉末製造方法
JP2008214688A (ja) 熱cvd装置および成膜方法
US8158495B2 (en) Process for forming a silicon-based single-crystal portion
KR100736401B1 (ko) 나노와이어와 양자점의 제조방법
CN103151246B (zh) 基于Cu膜退火和氯气反应的侧栅石墨烯晶体管制备方法
KR100541516B1 (ko) 양자점 형성 방법
JP3240305B2 (ja) 固体の選択成長方法
KR101281841B1 (ko) 금속막 형성방법
JP2010163662A (ja) ドライプロセス装置
JP3570354B2 (ja) 半導体ウェーハ上への成膜方法及び半導体ウェーハ
JP2007176784A (ja) 有機金属化学気相蒸着法によるカーボン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395048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