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901B1 - 표시 부착 스위치 - Google Patents

표시 부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901B1
KR100796901B1 KR1020060033494A KR20060033494A KR100796901B1 KR 100796901 B1 KR100796901 B1 KR 100796901B1 KR 1020060033494 A KR1020060033494 A KR 1020060033494A KR 20060033494 A KR20060033494 A KR 20060033494A KR 100796901 B1 KR100796901 B1 KR 100796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ct
operation handle
switc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530A (ko
Inventor
마사미 하야푸네
히로히사 오쿠노
도시유키 다키
칙쾅 시아오
유쉥 첸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8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hree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쌍투형의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을 향상한다. 핸들 블록(2)이 스위치 본체(1)에 부착된 상태에서는<로는?>,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이 접점 장치(30A)와 (30B) 및 (30A)와 (30C)의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그러므로 조명 부하의 소등시에 있어 항상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양쪽 단부 중에 전방에 위치하는 쪽의 단부(다음에 조작되는 쪽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92)의 표시면에서만 위치 표시등(71a) 또는 (71b)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위해서>,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어, 종래의 예에 비교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부착 스위치 {ILLUMINATED SWITCH}
도 1은 실시예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상(同上)을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하면도이다.
도 3은 동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동상에 있어서의 핸들 블록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동상을 플레이트에 2개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동상을 플레이트에 1개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동상에 있어서의 표시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동상에 있어서의 표시 블록의 일부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상에 있어서의 반전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예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위치 본체
2 핸들 블록
30A, 30B, 30C 접점 장치
40 접점 장치
41a, 41b 고정 접점
42a, 42b 가동 접점
43 개폐 소자
50 반전 핸들
60 조작 핸들
70 회로 기판
71a, 71b 위치 표시등
90 램프 유지체
92 표시부
본 발명은, 조작 부분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표시 부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 회로의 전압으로 점등하는 것에 의해 조작 부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스위치(표시 부착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도 12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151402호에 개시되어 있는 표시 부착 스위치(200)의 정면도이다. 이 표시 부착 스위치(200)는 접점 장치 및 발광원(예컨대, 네온 램프)이 수납된 기체(201)와, 기체(20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형태로 장착되어 접점 장치를 개폐하는 반전 핸들과, 반전 핸들의 전면을 덮어 반전 핸들에 결합되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의 조작 핸들(202)을 구비하고, 조작 핸들(202)을 상반되는 두 방향으로 조작하여 반전 핸들을 거쳐 접점 장치를 개폐하는 스위치(텀블러 스위치)로서, 조작 핸들(202)을 기체(201) 전면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킨 스위치(이러한 종류의 스위치는 일반적으로「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라고 불린다)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202) 전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의 한쪽(도시된 예에서는 우측 단부)에는 발광원이 발하는 빛을 전방으로 조사함으로써 조작 핸들(202)의 조작 부위를 표시하는 표시부(203)가 마련되고 있고,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기체(201)에 수납되어 있는 발광원이 발광하고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예에 있어서 접점 장치가 단극단투형(SPST: single pole single throw) 혹은 2극단투형(DPST: double pole single throw)의 접점 구성을 가지는 단극 스위치 또는 2극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하의 동작 상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상태가 하나의 동작으로 결정되므로 표시부(203)에 의 한 표시가 있는 측에서 조작 핸들(202)의 단부를 누르면 부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수 있어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을 항상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점 장치가 쌍투형(double throw)(단극 쌍투형 혹은 2극 쌍투형) 접점 구성을 가지는 3로 스위치 또는 4로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하의 동작 상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상태가 하나의 동작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으므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의 경우, 조작 핸들(202)이 대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203)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 표시부(203)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측의 단부의 거리도 커지고, 따라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의해 조작성을 잃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쌍투형의 접점 장치가 기체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택일적으로 발광하는 2개의 발광원과, 적어도 단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과 대략 동일 혹은 대형이고 대략 중앙을 지점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요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조작 핸들을 구비하고, 조작 핸들은,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 한쪽의 발광원이 발하는 빛을 외부로 출사하는 제 1 표시부가 마련되고,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에, 다른 쪽의 발광원이 발하는 빛을 외부로 출사하는 제 2 표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급전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2개의 발광원이 택일적으로 발광하고, 그 빛은 조작 핸들의 요동하는 양쪽 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의 한쪽으로부터 출사되어 표시가 실행되게 되고, 게다가, 2개의 표시부 중에 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부에서만 발광원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쌍투형의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켜 조작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표시부는, 조작 핸들의 양쪽 단부에 있어서 전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표시부의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조작 핸들의 양쪽 단부에 각각 발광원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2개의 광원이 스위치 본체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양을 증대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기체에 요동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으로 연동하여 접점 장 치를 전환하는 반전 핸들을 구비하고, 조작 핸들의 배면측에 반전 핸들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조작 핸들을 반전 핸들에 결합한 상태로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과 2개의 발광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치수가 다른 조작 핸들을 갈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이며 또한 접점 장치가 단극 쌍투형 접점 구성을 가지는 3로 스위치(텀블러 스위치)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 부착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1)와 핸들 블록(2)으로 구성되고, 시공면(施工面)에 마련되는 매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스위치 본체(1)의 후단부를 매입 형태로 플레이트 테두리(101)와 덮개 플레이트(110)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100)에 의해 매입 배치된다.
스위치 본체(1)는 전면(도 1에 있어서의 상면)이 열린 직육면체 형상의 합성 수지 성형물의 보디(10)와,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디(10)의 전면 측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커버(20)에 의해 구성되는 기체를 구비한다. 보 디(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 외측면에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각 한 쌍의 조립 돌기(11)가 돌출 설치되고, 커버(20)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는 조립 편(21)이 후방(도 1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조립 편(21)에 마련한 조립 구멍(21a)에 조립 돌기(11)를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보디(10)와 커버(20)가 결합된다.
보디(10)에는 보디(10)의 뒷벽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기체에 삽입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3개의 접점 장치(30A, 30B, 30C)와, 접점 장치(30A)와 접점 장치(30B, 30C)의 사이의 전기 회로를 개폐하는 접점 장치(40)가 수납된다(도 3참조). 한편, 커버(20)의 중앙부의 개구(22)에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반전 핸들(50)이 커버(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형태로 장착되어, 이 반전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접점 장치(40)가 개폐된다. 반전 핸들(50)의 전면 측에는 커버(20)의 전면에 중복하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작 핸들(60)을 조작부로 하여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전 핸들(50)이 요동하여 접점 장치(40)가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보디(10)의 내측면에는 접점 장치(30A, 30B, 30C) 및 접점 장치(4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유지 리브(13) 및 유지 홈(14)이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접점 장치(30A)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 내에 배치되고, 접점 장치(30B, 30C)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 단부 내에 배치되고, 접점 장치(40)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내에 배치된다.
접점 장치(30A)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된 단자판(32)과, 2개의 잠금 용수철(33)과 2개의 잠금 용수철(33)에 맞닿은 합성 수지 성형물의 해제 버튼(34)을 구비한다. 단자판(32)은 주편(32a) 및 주편(32a)에 대향하는 연직편(32b)의 전단 둘레를 연결편(32c)으로 연속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대략 한쪽이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편(32c)이 보디(10)의 개구면에 따라 보디(10) 내에 수납된다. 또한 잠금 용수철(33)은 주편(32a)과 연직편(32b)의 사이에 수납된다. 단자판(32)에는 연직편(32b)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향하여 보디(10)의 안쪽 바닥면에 따라 지지편(32d)이 연장 설치되고, 지지편(32d)의 선단부에는 역 V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점 돌기부(32e)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접점 장치(30B, 30C)는 각각 단자판(45, 46)을 구비하고 각 단자판(45, 46)에는 기체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기체에 도입된 전선이 접촉하는 주편(45a, 46a)과, 각각 보디(10)에 마련한 유지 리브(13)에 맞닿은 연직편(45b, 46b)과, 주편(45a, 46a)과 연직편(45b, 46b)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45c, 46c)과, 연결편(45c, 46c)에서 연속 일체로 연장되어 선단부에 각각 고정 접점(41a, 41b)을 마련한 접점 유지편(45d, 46d)이 마련된다. 양 접점 장치(30B, 30C)의 접점 유지편(45d, 46d)의 선단부가 기체의 중앙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고정 접점(41a, 41b) 끼리 기체의 중앙부에서 서로 대향한다.
접점 장치(30B, 30C)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같은 측(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 배치되고, 각 단자판(45, 46)의 주편(45a, 46a)과 연직편(45b, 46b)의 사이에는 각각 1 개씩의 잠금 용수철(33)이 수납된다. 또한, 양 단자판(45, 46)의 잠금 용수철(33) 사이에 하나의 해제 버튼(34)이 배치된다.
잠금 용수철(33)은 띠 형상의 판 용수철의 한쪽 단부가 S자 형상으로 접촉편(33a)을 형성하고 다른 쪽 단부가 J자 형상으로 잠금편(33b)을 형성하여, 접촉편(33a)과 잠금편(33b) 사이를 접속편(33c)에 의해 연속하여 일체로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은 접속편(33c)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잠금 용수철(33)을 단자판(32, 45, 46)의 주편(32a, 45a, 46a)과 연직편(32b, 45b, 46b)의 사이에 장착할 때는, 접속편(33c)을 연직편(32b, 45b, 46b)에 맞닿는 형태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을 주편(32a, 45a, 46a)에 대향시킨다. 여기에,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선단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접속편(33c)으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선단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연결편(32c, 45c, 46c)과 거리를 작게 하도록 상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상술한 전선 삽입 구멍(12)은 단자판(32, 45, 46)의 주편(32a, 45a, 46a)과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사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스위치 본체(1)의 기체 내에 전선을 삽입하면 전선의 선단부가 주편(32a, 45a, 46a)과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사이에 끼워져, 전선이 주편(32a, 45a, 46a)에 접촉하고, 접점 장치(30A, 30B, 30C)와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잠금편(33b)의 선단 둘레가 전선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전선이 기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유지된다. 또, 보디(10)의 뒷벽에는 해제 버 튼(34)에 대응하는 부위에 조작 구멍(15)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접점 장치(30A, 30B, 30C)에 전선을 접속한 상태로 조작 구멍(15)에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 버튼(34)을 누르면, 해제 버튼(34)에 마련한 누름 편(도시하지 않음)이 잠금편(33b)을 눌러 전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전선의 기계적 유지가 해제되어 전선을 기체로부터 뽑을 수 있게 된다.
접점 장치(40)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형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점 돌기부(32e)의 선단에 후단부가 맞닿도록 배치된 개폐 소자(43)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소자(43)는 양다리편 선단 부근에 각각 가동 접점(42a, 42b)이 외부를 향하여 마련되고, 지점 돌기부(32e)의 선단 부근을 요동 지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각 고정 접점(41a, 41b)에 각 가동 접점(42a, 42b)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즉, 고정 접점(41a)에 가동 접점(42a)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점(42b)은 고정 접점(41b)으로부터 떨어지고, 고정 접점(41b)에 가동 접점(42b)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점(42a)은 고정 접점(41a)으로부터 떨어진다. 개폐 소자(43)의 양다리편 사이에는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반전 용수철(44)의 한쪽 단부가 삽입되고, 반전 용수철(44)의 다른 쪽 단부가 반전 핸들(50)의 배면 측에 마련한 통부(54)의 유지 구멍(54a)에 삽입됨으로써 개폐 소자(43)와 반전 핸들(50)의 사이에 반전 용수철(44)이 압축 상태로 유지된다.
반전 핸들(50)은 전체가 사각형 상자 형태의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면에는 전단부가 좁아지는 형상의 지점 돌기(51)가 각각 옆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2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이며 폭 방향 (짧은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개구(22)의 주변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축받이 돌기편(23)이 돌출 설치되어, 양 축받이 돌기편(23)의 대향면에는 반전 핸들(50)의 지점 돌기(51)가 삽입되는 축받이 오목 부분(24)이 형성된다(도 1). 축받이 오목 부분(24)은 적어도 전단부에 있어서 지점 돌기(5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반전 핸들(50)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위치 표시등(71)을 설치한 회로 기판(7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 부분(52)이 마련되고, 또한 반전 핸들(50)의 길이 방향의 양단면에는 핸들 블록(2)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고리(53)가 각각 돌출 설치된다.
또, 커버(20)의 길이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 한 쌍의 부착 고리(26)가 돌출 설치된다. 부착 고리(26)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한 장치 구멍(102)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스위치 본체(1)를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 커버(20)의 한쪽 측면에 있어서는 한 쌍의 홈(20a)에 의해 장치 고리(26)가 돌출 설치된 부위를 탄성적으로 휠 수 있게 하고 있고, 이 부위를 휘게 함으로써 부착 고리(26)와 부착 구멍(102)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스위치 본체(1)를 플레이트 테두리(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반전 핸들(50) 전면의 수납 오목 부분(52)에 수납되는 회로 기판(70)은, 중앙에 원형의 압입 구멍(70a)이 관통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표면에는 도전 패턴(70c)이 인쇄되어 있다. 띠 형상의 금속판의 선단부가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져서 L 자형으로 형성된 램프 접촉 단자(73a, 73b, 73c) 및 공통 접촉 단자(73d)가 표면으로부터 상승하도록 회로 기판(70)에 실장되어, 2개의 램프 접촉 단자(73a, 73b)가 도전 패턴(70c) 및 저항 소자(72a)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남은 하나의 램프 접촉 단자(73c)와 공통 접촉 단자(73d)가 도전 패턴(70c) 및 저항 소자(72b)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70)의 양쪽 단부에는 고정홈(70b)이 각각 마련되어, 이들 2개의 고정홈(70b)에는 접촉자(47)의 한쪽 단부가 각각 압입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접촉자(47)는 어느 쪽도 띠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고정홈(70b)에 압입 고정된 부위보다도 선단측으로 회로 기판(70)의 도전 패턴(70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납 오목 부분(52) 저면의 중앙에는 전방을 향해 통부(54)가 돌출하고 있어, 이 통부(54)를 압입 구멍(70a)으로 압입함으로써 수납 오목 부분(52)내에 회로 기판(70)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 오목 부분(52) 저면에는 회로 기판(70)에 한쪽 단부가 고정된 접촉자(47)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 통과한 접촉자(47)의 선단부가 접점 장치(30B, 30C)를 구성하는 단자판(45, 46)의 연결편(45c, 46c)에 전방으로부터 탄접하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수납 오목 부분(52)와 유지 구멍(54a)에 연통하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통부(54)에 마련되어, 이 홈을 통해서 공통 접촉 단자(73d)의 선단이 반전 용수철(44)에 맞닿게 해 두어, 반전 용수철(44) 및 개폐 소자(43)를 거쳐서 공통 접촉 단자(73d)가 접점 장치(30A)와 도통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3로 스위치는 조명 부하를 2개소로부터 점등/소등하는 것과 같은 용도에 이용되는 것이 많고, 각 개소에 각각 3로 스위치를 배치하여 조명 부하의 점등/소등을 어느 쪽의 개소에서도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반전 핸들(50)의 수납 오목 부분(52)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커버(80)에 의해서 전방으로부터 폐색(閉塞)된다. 이 보호 커버(80)는 배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고리(81)를 반전 핸들(50)의 양측면에 마련된 걸림부(56)에 걺으로써 반전 핸들(50)에 고정된다(도 3 참조). 보호 커버(80)의 전면(도 1 및 도 3에 있어서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리드판(93, 93, 94)이 각각 삽입 통과되는 3개의 삽입 통과 홈(82)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핸들 블록(2)은, 스위치 본체(1)의 앞면보다 더 대형인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조작 핸들(60)과,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과, 조작 핸들(60)의 배면측에 결합되어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을 유지하는 램프 유지체(90)와, 위치 표시등(71a, 71b)을 접점 장치(30A, 30B, 30C)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리드판(93, 93, 94)으로 구성된다. 조작 핸들(60)은, 전면이 전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부(主部)(61)와, 주부(6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가장자리보다 후방으로 늘어진 한 쌍의 측벽(62)과, 반전 핸들(50)에 결합하기 위한 걸어 맞춤 돌기편과, 주부(61)의 네 귀퉁이 및 중앙 단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6개의 고정 리브(64)를 구비한다. 주부(61) 전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쪽 단부 중앙에는, 조작 핸들(60)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원통형의 돌기(61a)가 돌출되어 있다. 걸어 맞춤 돌기편(63)은, 주부(61) 배면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에 각각 3개씩 줄지어 설치되어 있고, 반전 핸들(50)에 마련한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고리(63a)가 후방으로 돌출하는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도 4 참조).
램프 유지체(90)는 투명 합성 수지의 성형품에 있어서, 조작 핸들(60)의 내측에 수납 고정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유지부(91)와, 유지부(91)의 양쪽 끝에 마련되고, 조작 핸들(60)의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양측면을 막도록 배치되어 네온 램프로 이루어지는 위치 표시등(71a, 71b)의 빛을 각각 외부로 출사하는 2개의 표시부(92)를 구비한다. 유지부(91)는, 표시부(92)와 인접하는 양쪽 단부에 위치 표시등(71a, 71b)을 수납 유지하기 위한 오목부(91a)가 각각 마련되고, 중앙부에는 리드판(93, 93, 94)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3개의 지지홈(91b)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리드판(93, 93)은 서로 거울상의 관계에 있고, 양쪽 끝의 지지홈(91b)에 각각 압입되는 지지편(93a)과, 지지편(93a)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지지편(93a)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갈고랑이 형태의 접속편(93b)이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판(94)은 중앙의 지지홈(91b)에 압입되는 지지편(94a)과, 지지편(94a)의 한쪽 끝측으로부터 지지편(94a)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T 자형인 접속편(94b)이 금속판을 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한쪽의 위치 표시등(71a)의 2개의 단자를 한쪽의 리드판(93)의 접속편(93b) 및 리드판(94)의 접속편(94b)에 각각 접속하고, 다른 쪽의 위치 표시등(71b)의 2개의 단자를 다른 쪽의 리드판(93)의 접속편(71b) 및 리드판(94)의 접속편(94b)에 각각 접속함과 동시에, 3개의 리드판(93, 93, 94)의 지지편(93a, 93a, 94a)을 각각 램프 유지체(90)의 지지홈(91b)에 삽입한 뒤, 유지부(91)에 마련되어 있는 6개의 관통 구멍(91c)에 각각 삽입 통과 고정 리브(64)의 선단을 코킹하는 것 에 의해, 위치 표시등(71a, 71b) 및 리드판(93, 93, 94)을 유지한 램프 유지체(90)를 조작 핸들(60)에 고정하여 핸들 블록(2)이 구성된다. 또한, 조작 핸들(6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합계 6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63)은, 유지부(91)를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삽입 통과 구멍(91d)을 통해서 램프 유지체(90)의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핸들 블록(2)은, 조작 핸들(60)의 양쪽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돌출된 각 3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63)의 어느 하나의 선단에 마련된 걸어 맞춤 고리(63a)를 반전 핸들(50)의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춤으로써 반전 핸들(50)의 전면측에 결합된다. 핸들 블록(2)을 스위치 본체(1)에 부착하면, 보호 커버(80)에 마련된 삽입 통과 홈(82)을 통해서 리드판(93, 93, 94)의 지지편(93a, 93a, 94a)의 후단부가 각각 램프 접촉 단자(73a, 73b, 73c)에 탄접하여 도통한다(도 3 참조). 이 때문에, 접점 장치(30A 와 30B)의 사이에 저항 소자(72a)를 거쳐서 한쪽의 위치 표시등(71a)이 접속되고, 접점 장치(30A 와 30C)의 사이에 저항 소자(72a)를 거쳐서 다른 쪽의 위치 표시등(71b)이 접속됨과 동시에, 접점 장치(30B 와 30C)가 저항 소자(72b)를 거쳐서 접속되게 되어, 조명 부하의 소등시에 어느 한 쪽의 위치 표시등(71a, 71b)이 택일적으로 점등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 테두리(101)에는 3조의 장치 구멍(102)이 마련되어 있고, 최대로 3개의 스위치 본체(1)를 짧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할 수 있으므로(도 2참조), 중앙의 장치 구멍(102)에 부착되는 스위치 본체(1)에 대해서는 중앙의 걸어 맞춤 돌기편(94)의 걸어 맞춤 고리(94a)를 이용하고, 양단의 장치 구멍(102)에 부 착되는 스위치 본체(1)에 대해서는 어느 한쪽 끝의 걸어 맞춤 돌기편(94)의 걸어 맞춤 고리(94a)를 이용함으로써 스위치 본체(1)의 짧은 폭 방향에서 핸들 블록(2)의 장치 위치를 비켜나가게 하고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대한 스위치 본체(1)의 장치 위치에 따라 3종류의 핸들 블록(2)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스위치 본체(1)의 장치 위치에 관계없이 공통의 핸들 블록(2)을 이용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양단에 위치하는 스위치 본체(1)에 부착된 핸들 블록(2)에 있어서는 한쪽 단부 측의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편(94))만이 반전 핸들(50)과의 결합에 사용되어, 다른 쪽 단부 측의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편(94))가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의 바깥으로 밀려나오게 되므로, 밀려나온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94))를 받아주기 위한 받아주기 수단을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된 한 쌍의 구멍(106)을 받아주기 수단에 겸용하여,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로부터 밀려나온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94))를 각각 구멍(106)에 삽입하여 받아줄 수 있다. 또한, 받아주기 수단을 별도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오른쪽 단부가 왼쪽 단부보다도 후방(도의 하방)에 위치할 때에는 가동 접점(42b)이 고정 접점(41b)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반전 용수철(44)은 중간부가 양단부에 대하여 좌측으로 굴곡된 상태가 되어 반전 용수철(44)에 의해서 가동 접점(42b)이 고정 접점(41b)에 눌려 접점 압력이 부여된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조작 핸들(60)의 왼쪽 단부를 후방으로 누르면 반전 핸들(50)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반전 용수철(44)은 중간부가 양단부에 대하여 우측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고, 이 때 개폐 소자(43)를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 접점(42b)을 고정 접점(41b)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가동 접점(42a)을 고정 접점(41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가동 접점(42a)이 고정 접점(41a)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60)의 왼쪽 단부가 오른쪽 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조작 핸들(60)의 양단부 중에 전방에 위치하는 단부가 후방으로 누름 조작될 때마다 접점 장치(40)에서는 고정 접점(41a)과 가동 접점(42a) 및 고정 접점(41b)과 가동 접점(42b)의 접촉 및 일분리가 택일적으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상술 한 바와 같이, 핸들 블록(2)이 스위치 본체(1)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이 접점 장치(30A 와 30B) 및 접점 장치(30A 와 30C)의 사이에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2개의 접점 장치(30B)와 (30C)의 사이에 저항 소자(72a)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 장치(30A 와 30B)가 고정 접점(41a) 및 가동 접점(42a)을 거쳐서 도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명 부하가 소등하고 있으면 접점 장치(30A 와 30C)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위치 표시등(71b)만이 점등하고, 접점 장치(30A 와 30C)가 고정 접점(41b) 및 가동 접점(42b)을 거쳐서 도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명 부하가 소등하고 있으면 접점 장치(30A 와 30B)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위치 표시등(71a)만이 점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부하의 소등시에 있어 항상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양쪽 단부 중에 전방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92)의 표시면에서만 위치 표시등(71a 또는 71b)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어, 종래의 예에 비교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3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했지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양단에 2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나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중앙에 1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스위치 본체(1)의 짧은 폭 방향에 따른 폭 치수를 각각 1.5배 및 3배로 확대한 조작 핸들(60) 및 프리즘(90)으로 이루어지는 핸들 블록(2)과 조합하면 좋다.
(실시예 2)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공통이며,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상이 다소 다르더라도 기능이 공통이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에서는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이 핸들 블록(2)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을 포함하는 표시등 블록(3)이 스위치 본체(1)에 마련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등 블록(3)은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과, 저항 소자(72)와, 위치 표시등(71a, 71b)의 한쪽의 단자끼리를 접속하는 리드판(4)과, 위치 표시등(71b)의 다른 쪽 단자와 접점 장치(30C)를 접속하는 리드판(5)과, 위치 표시등(71b)의 한쪽의 단자에 저항 소자(72)를 거쳐서 접점 장치(30A)를 접속하는 리드판(6)과, 위치 표시등(71a)의 다른 쪽 단자와 접점 장치(30B)를 접속하는 리드판(7)과, 위치 표시등(71a, 71b), 저항 소자(72), 리드판(4 내지 7)을 유지하는 유지체(8)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판(4, 5)은 서로 병행하게 배치되고, 리드판(5)의 선단에는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꾸부린 접속편(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판(6, 7)의 선단에도 대략 L자형으로 꺾어 꾸부린 접속편(6a, 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8)는 합성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이고 내측에 위치 표시등(71a, 71b)을 각각 저장해 두는 2개의 유지부(8a, 8a)와, 서로 병행하여 배치되어 리드판(4, 5)을 덮는 형태로 2개의 유지부(8a, 8a)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8b, 8b)와, 연결부(8b)의 양쪽 단부로부터 후방(도 8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돌출하여 리드판(5 내지 7)의 접속편(5a 내지 7a)에 맞닿는 각 한 쌍의 맞닿음편(8c, 8c)과, 각 유지부(8a)의 중앙부로부터 후방(도 8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돌출하고, 커버(20)의 열림창문(22)의 주연부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고리(8e)를 선단에 가지는 걸어 맞춤 돌기편(8d)과, 각 유지부(8a)의 전면(도 8에 있어서의 상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여 유지부(8a)에 유지된 위치 표시등(71a, 71b)의 양쪽 단부를 전방으로부터 지탱하는 한 쌍의 지지편(8f, 8f)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 다. 또한, 위치 표시등(71a, 71b) 및 저항 소자(72)를 접속한 4개의 리드판(4 내지 7)을 유지체(8)에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표시등 블록(3)을 구성하고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표시등 블록(3)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체(8)의 걸어 맞춤 돌기편(8d) 선단에 마련된 걸어 맞춤 고리(8e)를 커버(20)의 열린창문(22)의 주연에 걸어 맞춤으로써 커버(20)에 부착된다. 이 때, 리드판(5~7)의 각 접속편(5a~7a)의 선단부가 접점 장치(30C)를 구성하는 단자판(46)의 연결편(46c), 접점 장치(30A)를 구성하는 단자판(32)의 연결편(32c), 및 접점 장치(30B)를 구성하는 단자판(45)의 연결편(45c)에 각각 전방으로부터 맞닿게 하여 도통(導通)한다. 이 때문에, 접점 장치(30A 와 30B)의 사이에 저항 소자(72)를 거쳐서 한쪽의 위치 표시등(71a)이 접속되고, 접점 장치(30A 와 30C)의 사이에 다른 쪽의 위치 표시등(71b)이 접속됨과 동시에, 접점 장치(30B 와 30C)가 접속되게 되어, 실시예(1)와 동일하게 조명 부하의 소등시에 어느 한쪽의 위치 표시등(71a, 71b)이 택일적으로 점등하게 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반전 핸들(5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블록(3)을 스위치 본체(1)에 마련한 것에 따라, 표시등 블록(3)이 반전 핸들(50)의 요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유지체(8)의 한 쌍의 연결부(8b, 8b)를 피하는 각 한 쌍의 세로 홈(58)이 반전 핸들(50)의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연결부(8b, 8b)가 각각 반전 핸들(50)의 세로 홈(58)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연결부(8b, 8b)와 간섭하는 일 없이 반전 핸들(50)을 커버(20)에 대하여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핸들 블록(2)은, 조작 핸들(60)과, 조작 핸들(60)의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쪽 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프리즘(130)으로 구성된다. 프리즘(130)은, 위치 표시등(71a, 71b)이 발하는 빛을 집광하여 핸들 블록(2)의 전방 및 측방으로 출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곡면 형상의 입사면을 가져 위치 표시등(71a 또는 71b)이 발하는 빛을 집광하는 집광부(131)와, 조작 핸들(60)의 단부에 배치되어 집광부(131)로 집광한 빛을 출사하는 표시부(132)가 투명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 핸들(60)의 양쪽 단부를 막는 형태로 조작 핸들(60)의 배면측에 고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핸들 블록(2)은, 조작 핸들(60)의 배면측에 돌출된 걸어 맞춤돌기편(63) 선단의 걸어 맞춤 고리(63a)를 반전 핸들(50)의 걸어 맞춤 고리(53)에 걸어 맞춤으로써 스위치 본체(1)에 부착된다(도 7참조). 또한, 본 실시예의 동작은 실시예(1)와 공통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하여, 핸들 블록(2)이 스위치 본체(1)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2개의 위치 표시등(71a, 71b)이 접점 장치(30A 와 30B) 및 (30A 와 30C)의 사이에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2개의 접점 장치(30B 와 30C)의 사이에 저항 소자(72)가 삽입되기 때문에, 접점 장치(30A 와 30B)가 고정 접점(41a) 및 가동 접점(42a)을 거쳐서 도통(導通)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명 부하가 소등하고 있으면 접점 장치(30A 와 30C)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위치 표시등(71b)만이 점등하고, 접점 장치(30A 와 30C)가 고정 접점(41b) 및 가동 접점(42b)을 거쳐서 도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명 부하가 소등하고 있으면 접점 장치(30A 와 30B)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위치 표시등(71a)만이 점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1)와 동일하게, 조명 부하의 소등시에 있어 항상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양쪽 단부 중에 전방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132)의 표시면에서만 위치 표시등(71a 또는 71b)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고, 종래의 예에 비교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위치 표시등(71a, 71b)을 스위치 본체(1)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핸들 블록(2)에 각각 위치 표시등(71a, 71b)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실시예(1)에 비교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단지, 표시부(132)와 위치 표시등(71a, 71b)의 거리가 떨어지므로, 표시부(132)로부터 출사되는 광량에 관해서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들 블록(2)에 위치 표시등(71a, 71b)을 마련하는 편이 유리하다. 또한,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전면에 부착되는 덮개 플레이트(110)의 창문 구멍(111)과 핸들 블록(2)의 간격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a, 71b)의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핸들 블록(2)의 양쪽 단부(표시부(132))와 덮개 플레이트(110)를 전후 방향에서 오버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핸들 블록(2)에 특징이 있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와 공통이다. 따라서, 실시예 2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상이 다소 다르더라도 기능이 공통이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핸들 블록(2)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후방(도 11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열린 평평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 핸들(60)과, 표시부(132) 및 집광부(131)를 가지는 2개의 프리즘(130, 130)으로 구성된다. 2개의 프리즘(130)은 동일한 것으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표시부(132)와 집광부(1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집광부(131)는 평평한 사각형 형상으로 한쪽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고정편(131a)에 의해서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즉, 고정편(131a)에는 한 쌍의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64)를 각각 구멍에 삽입 통과하여 선단부를 코킹(calkng)함으로써 고정편(131a)이 조작 핸들(60)에 고정된다. 표시부(132)는 평면에서 보아 타원형으로 돌출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60)의 양단부에는 타원형의 긴 구멍(67)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고정편(131a)을 조작 핸들(60)에 고정할 때에 표시부(132)가 긴 구멍(67)에 삽입 통과되어, 표시부(132)의 선단 부분이 조작 핸들(60)의 전면보다 돌출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표시등(71a, 71b)이 발하는 빛이 집광부(131)로 입사하여, 표시부(132)를 통해서 조작 핸들(60)의 전방으로만 출사되므로, 전방뿐만아니라 측방으로도 출사되는 실시 형태(1, 2)와 비교하여 전방으로부터 본 표시부(132)의 밝기가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급전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2개의 발광원이 택일적으로 발광하고, 그 빛은 조작 핸들의 요동하는 양쪽 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의 한쪽으로부터 출사되어 표시가 실행되고, 또한, 2개의 표시부 중에 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에서만 발광원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전환형의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쌍투형의 접점 장치가 기체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택일적으로 발광하는 2개의 발광원과,
    단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보다 같거나 크고, 중앙을 지점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측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된 조작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핸들은,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 상기 2개의 발광원 중 한쪽의 발광원이 발하는 빛을 외부로 출사하는 제 1 표시부 및 요동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에, 상기 2개의 발광원 중 다른 쪽의 발광원이 발하는 빛을 외부로 출사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2 표시부는, 상기 조작 핸들의 양쪽 단부에 있어서의 전면에 마련된
    표시 부착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의 양쪽 단부에 상기 2개의 발광원이 각각 배치된
    표시 부착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 요동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으로 연동하여 상기 접점 장치를 전환하는 반전 핸들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핸들의 배면측에 상기 반전 핸들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작 핸들을 상기 반전 핸들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접점 장치의 상기 전환 접점과 상기 2개의 발광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표시 부착 스위치.
KR1020060033494A 2005-04-14 2006-04-13 표시 부착 스위치 KR100796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7412 2005-04-14
JP2005117412A JP4258488B2 (ja) 2005-04-14 2005-04-14 表示付き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530A KR20060108530A (ko) 2006-10-18
KR100796901B1 true KR100796901B1 (ko) 2008-01-22

Family

ID=3707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494A KR100796901B1 (ko) 2005-04-14 2006-04-13 표시 부착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258488B2 (ko)
KR (1) KR100796901B1 (ko)
CN (1) CN1848336B (ko)
SA (1) SA06270092B1 (ko)
TW (1) TWI3239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7372B2 (ja) * 2010-09-29 2014-07-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TWI681425B (zh) * 2018-12-04 2020-01-01 中一電工科技股份有限公司 開關裝置
JP7442090B2 (ja) 2020-03-31 2024-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992A (ja) 1997-08-06 1999-02-26 Kojima Press Co Ltd ラバー式シーソースイッチ
JPH11134972A (ja)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遅れスイッチ
US6388220B1 (en) 1999-03-11 2002-05-14 Alps Electronic Co., Ltd. Illuminated switching device for stabilized illumination to translucent portion of knob
JP2002312100A (ja) 2001-04-17 2002-10-25 Casio Comput Co Ltd キー入力装置
JP2003317577A (ja) 2002-04-26 2003-11-07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0270A (en) * 1996-03-20 1997-08-26 Mcgill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switch having an internal lighting circuit
JP2003007170A (ja) * 2001-06-26 2003-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ほたるスイッチ
CN2495020Y (zh) * 2001-08-21 2002-06-12 叶旺勋 一种改进的发光二极管发亮开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992A (ja) 1997-08-06 1999-02-26 Kojima Press Co Ltd ラバー式シーソースイッチ
JPH11134972A (ja) 1997-10-28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遅れスイッチ
US6388220B1 (en) 1999-03-11 2002-05-14 Alps Electronic Co., Ltd. Illuminated switching device for stabilized illumination to translucent portion of knob
JP2002312100A (ja) 2001-04-17 2002-10-25 Casio Comput Co Ltd キー入力装置
JP2003317577A (ja) 2002-04-26 2003-11-07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A06270092B1 (ar) 2010-12-01
CN1848336A (zh) 2006-10-18
CN1848336B (zh) 2010-11-17
JP4258488B2 (ja) 2009-04-30
JP2006294562A (ja) 2006-10-26
KR20060108530A (ko) 2006-10-18
TWI323904B (en) 2010-04-21
TW200644016A (en) 200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3662C (en) Level
US7575347B1 (en) Magnetic light
KR100796901B1 (ko) 표시 부착 스위치
KR20060070475A (ko)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JP3890957B2 (ja) スイッチ
JP2006269291A (ja) スイッチ用プリズ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波動スイッチ
KR20050077278A (ko) 스위치
JP3567571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001216871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3106003B2 (ja) 接点切換表示機能付ピアノスイッチ
JP3882497B2 (ja) スイッチ装置
JPH0355212Y2 (ko)
JP2961664B2 (ja) 通電表示スイッチ
JP2528185Y2 (ja) スイッチ
JP3091428B2 (ja) スイッチ
JP2908835B2 (ja) スイッチ
JP3758424B2 (ja) スイッチ用照光ブロック
JP3835159B2 (ja) スイッチ装置
JP2588419Y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JP2002358855A (ja) 押釦スイッチ装置
JP3826650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858870B2 (ja) スイッチ
JPS634515A (ja) 表示ランプ付スイツチ
JPH0741059Y2 (ja) スイッチ器具の取付構造
JP2545120Y2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