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27B1 - 광학기록매체 및 광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광학기록매체 및 광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27B1
KR100796327B1 KR1020027008986A KR20027008986A KR100796327B1 KR 100796327 B1 KR100796327 B1 KR 100796327B1 KR 1020027008986 A KR1020027008986 A KR 1020027008986A KR 20027008986 A KR20027008986 A KR 20027008986A KR 100796327 B1 KR100796327 B1 KR 10079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recording
light
optical
convex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937A (ko
Inventor
이치무라이사오
오사토기요시
나카노준
마수하라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79Width or dep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7Tracks or pit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73Tracks
    • G11B7/24082Meand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Optical Head (AREA)
  • Holo Graph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라이트(crosswrite)의 방지나 재생신호의 균질화를 실현하고, 용이하게 재생전용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학기록매체 및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한다. 개구수가 0.85±0.1인 렌즈(12,14)에 의해 집광되고, 파장이 405±5nm인 빛(LB)이 조사되어서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지고, 표면에 홈(2)이 형성된 기판(1)과, 기판 상에 형성되고, 홈에 따라서 요철형상을 갖는 광학기록층(3)과, 광학기록층 상에 형성된 광투과성의 보호막(4)을 가지고, 보호막 측에서 광학기록층에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이 조사되어서 이용되고,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요철형상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가까운 측인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 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고, 트랙피치가 0.32±0.01㎛이고,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D2)가 19~24nm의 범위인 광학기록매체로 한다.

Description

광학기록매체 및 광디스크장치{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disk device}
본 발명은, 광학기록매체(이하, 광디스크라고도 함)와 이것을 재생 또는 기록하는 광디스크장치에 관하여, 특히 고밀도기록이 가능한 광학기록매체와 이것을 재생 또는 기록하는 광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동화상, 정지화상 등의 비디오데이터를 디지털로 기록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가 취급되게 되고, 대용량 기록장치로서 CD나 DVD 등의 광디스크장치가 각광받고 있고, 더욱 대용량화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CD-RW(rewritable) 방식의 광디스크의 단면구조 및 빛의 조사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두께(D5)가 약 1.2mm인 광투과성의 디스크기판(5)의 한쪽 표면에, 홈(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면 위에, 예를 들면 유전체막, 기록막, 유전체막, 반사막 등이 이 차례로 적층된 광학기록층(7)이 형성되어 있다. 막 구성 및 층수는 기록재료의 종류나 설계에 따라 다르다.
광학기록층(7)의 상층에 보호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CD-RW방식 등의 광디스크를 기록 혹은 재생하는 광디스크장치는,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생용의 파장(λ)의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해당 광원이 출사하는 빛을 광학기록매체의 광학기록층 상에 집광하는 개구수(開口數)(NA)의 대물렌즈(집광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와, 광학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수광소자 등을 가진다.
예를 들면 CD-RW방식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용 혹은 기록용의 레이저빔(LB)이, 예를 들면 대물렌즈(50)에 의해 집광되어서, 광투과성의 디스크기판(5)을 투과하고, 상기 구조의 광디스크의 광학기록층(7)에 대해서 조사된다.
광디스크의 재생시에 있어서는, 광학기록층에서 반사된 복귀광이 수광소자로 수광되고,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재생신호가 취출된다.
상기 광디스크의 재생 혹은 기록에 있어서, 광학기록층 상에 있어서의 광스폿사이즈(φ)는, 일반적으로 하기 식(1)으로 주어진다.
Figure 112002022124704-pct00001
빛의 스폿사이즈(φ)는 광학기록매체의 기록밀도에 직접 영향을 주고, 스폿사이즈(φ)가 작을수록 고밀도기록이 가능해지며, 대용량화가 가능하다. 즉, 빛의 파장(λ)이 더 짧을수록, 또, 대물렌즈의 개구수(NA)가 클수록, 스폿사이즈(φ)는 더 작아지고, 고밀도기록이 가능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CD-RW방식에 있어서는, 광원의 파장이 근적외영역(780nm정도)이고,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0.45정도이고, 기록층에 상변 화형 기록층을 이용하고, 또한, 디스크기판(5)에 형성된 요철에 따라서, 광학기록층이 요철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RA)으로서 이용되고,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요철형상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광학기록층을 기록영역(RA)으로서 이용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120mm 지름의 광디스크의 경우에 약 700MB의 기록용량을 실현하고 있다.
상기한 볼록부와 오목부에 있어서는, 홈이 형성된 디스크기판(5)을 형성하기 위한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원반의 표면에 있어서 레이저빔 또는 전자빔에 의해 노광(露光)된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을 그루브(G)라고 부르고, 그루브(G) 사이에 끼워진 영역을 랜드(L)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광디스크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의 경우, 요철형상의 볼록부가 그루브(G)에 상당하고, 오목부가 랜드(L)에 상당한다.
광디스크의 한층 더한 고밀도화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예를 들면, 문헌 A 「Optical disk recording using a GaN blue-violet laser diode」(Ichimura 등, Jpn. J. Appl. Phys., vol. 39(2000), pp937-942)에 있어서는, 청자색 반도체 레이저와 개구수 0.85의 2군 대물렌즈를 이용하는 것으로, DVD사이즈의 광디스크에 22G바이트를 넘는 기억용량을 실현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크게 되면, 일반적으로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경사허용도가 감소한다. 광축에 대한 경사각(Θ)에 대해서, 발생하 는 코마수차(WS1)는, 문헌 B「Aplanatic condition required to reproduce fitter-free signals in optical disk system」(Kubota 등, App1, Opt,. vol. 26(1987), pp3861-3973)에 의하면 하기 식(2)으로 주어지고, 대체로 개구수(NA)의 3승과, 광디스크의 보호층(광학기록층의 상층에 형성된 층)의 두께(t)에 비례한다. 또한, 식(2) 중, n은 보호막의 굴절율이다.
Figure 112002022124704-pct00002
따라서, 허용되는 코마수차(WS1)의 값을 λ/4로 하면, 개구수 0.85까지 높인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DVD재생장치와 동등한 디스크 경사 허용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광디스크의 보호층의 두께를 0.1mm정도로 얇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상기한 문헌 A에 있어서 보고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 광디스크의 단면구조 및 빛의 조사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두께(D1)가 1.1~1.2mm의 디스크기판(1)의 한쪽 표면에, 홈(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면 위에, 예를 들면 반사막, 유전체막, 기록막, 유전체막 등이 이 순번으로 적층된 두께(D3)의 광학기록층(3)이 형성되어 있다. 막구성 및 층수는 기록재료의 종류나 설계에 따라 다르다.
광학기록층(3)의 위층에 두께(D4)가 0.1mm 정도인 광투과성의 보호층(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방식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용 혹은 기록용의 레이저빔(LB)이, 예를 들면 제 1렌즈(선옥(先玉)렌즈)(12) 및 제 2렌즈(후옥(後玉)렌즈)(14)로 이루어지는 2군(群) 렌즈에 의해 집광되고, 광투과성의 보호층(4)을 투과하여, 상기 구조의 광디스크의 광학기록층(3)에 대하여 조사된다.
재생시에 있어서는, 광학기록층에서 반사된 복귀광이 수광소자로 수광되고,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고, 재생신호가 취출된다.
상기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은, 표면에 홈을 가지는 디스크원반 등으로부터의 전사(轉寫)에 의해 표면에 홈을 가지는 스탬퍼(stamper)를 형성하고, 스탬퍼로부터 표면형상을 전사하여 표면에 홈(2)을 가지는 디스크기판(1)을 형성하고, 예를 들면 반사막, 유전체막, 광학기록층, 유전체막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광학기록층(3)을 이 성막 순서로 성막한다. 이것은 통상과는 역순이다. 최후에, 유전체막의 상층에 광투과성의 보호층(4)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 의해, 0.1mm 두께의 보호층을 가지는 광디스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에 있어서는, 면기록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홈구조의 깊이(D2)를 λ/6n(λ: 광디스크장치의 광원의 파장, n: 광투과성의 보호층의 굴절율) 정도로 하고, 홈구조에 따라서 광학기록층이 요철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랜드(L)와,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그루브(G)의 양 영역을 기록영역(RA)으로서 이용하는 랜드·그루브기록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랜드·그루브기록방식에 있어서는, 트랙피치(TP)는 랜드(L)의 중앙위치와 그루브(G)의 중앙위치의 거리에 상당하고, 구체적으로는 약 0.3㎛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랜드·그루브기록방식에 관해서는 문헌C「Land and groove recording for high track density on phase-change optical disks」(Miyagawa 등, Jpn. J. Apl. Phys., vol. 32(1993), pp5324-5328) 등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는,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신호진폭을 균등하게 하도록, 광학기록층의 성막 후의 랜드부와 그루브의 폭의 비(duty비)가 약 1:1이 되도록, 디스크기판의 홈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기판에 형성되는 홈의 폭을 홈의 피치의 60% 정도로 하고, 홈의 내벽을 피복하여 전면(全面)에, 유전체막, 기록막, 유전체막, 반사막을 적층시켰을 때에, 랜드부와 그루브부에 상당하는 기록막의 폭이 균등하게 되도록, 홈의 폭이 결정된다.
또, 홈간섭을 이용하여, 인접트랙으로부터의 반사광량, 즉, 크로스토크성분을 저감시키기 위해, 홈의 깊이를 λ/6n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랜드·그루브기록방식을 채용한 경우, 일반적으로,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쪽인 그루브부에 신호를 기록할 때에, 미리 바로 앞쪽의 랜드부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마크를 소거하는 현상(크로스라이트(crosswrite))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것은,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크고, 홈이 깊게되어 있는 것에서 그루브부에 전자파가 전파하기 어렵고, 그루브에서의 조사출력을 높이는 것에서, 기록시의 최적 조사출력이 반드시 균등하게 되지 않는 것이 원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재생신호의 품질을 균등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랜드·그루브방식의 특징인 인접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캔슬하는 효과를 충분히 활용한 트랙밀도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또, 랜드부와 그루브부의 양자를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피트에 의해 정보를 기록하는 재생전용(ROM; Read only memory)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투과성의 보호층의 두께를 0.1mm정도로 얇게 하고, 광원의 파장의 단파장화 및 대물렌즈의 고개구수화에 의한 고밀도기록에 대응한 광학기록매체(광디스크)에 있어서, 크로스라이트의 방지나 재생신호의 균질화를 실현하고, 용이하게 재생전용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학기록매체와, 이것을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는, 개구수가 0.85±0.1인 렌즈에 의해 집광되고, 파장이 405±5nm인 빛이 조사되어서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 표면에 홈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홈 형성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따라서 요철형상을 갖는 광학기록층과, 상기 광학기록층 상에 형성된 광투과성의 보호막을 가지며, 상기 보호막 측에서 상기 광학기록층에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이 조사되어서 이용되고, 상기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 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고, 상기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피치(트랙피치)가 0.32±0.01㎛이고, 상기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가 19~24nm의 범위이다.
상기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는, 개구수가 0.85±0.1인 렌즈에 의해 집광되고, 파장이 405±5nm인 빛이 조사되어서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 요철형상을 갖는 광학기록층 중,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와,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오목부 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므로, 오목부와 볼록부의 사이의 크로스라이트(crosswrite)의 방지와, 재생신호의 균질화를 실현하고, 또한 재생전용 디스크와의 호환성의 확보가 용이하다.
개구수가 0.85±0.1인 렌즈에 의해, 파장이 405±5nm인 빛을 집광하면, 광학기록층 상에서의 빛의 스폿사이즈에서,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피치(트랙피치)를 0.32±0.01㎛로 설정하는 것이 최적으로 되고, 얻어지는 신호품질과 서보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를 19~24n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에 진폭이 ±8~12nm인 워블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를 상기한 범위로 설정하면, 어드레스정보를 피트로서 형성하는 경우에 피트신호의 변조도가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홈에 워블을 형성하고, 이것에 어드레스정보를 짜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워블신호의 C/N비와, 인접트랙으로부터의 워블의 누락양과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워블의 진폭을 ±8~12nm의 범위로 설정한다.
또, 오목부와 볼록부 중 한쪽밖에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지 않으므로 기록밀도의 면에서 불리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드레스 등을 워블신호에서 얻는 것 등에 의해, 기록밀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된다.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와,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오목부를 비교한 경우, 크로스라이트특성의 실험결과에서 볼록부를 기록영역으로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상기 홈이 형성된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원반의 표면에 있어서 레이저빔 또는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영역에 상당한다.
상기한 구성의 광학기록매체에서는, 제조상, 원반작성 시에 레이저빔 등의 노광이 행해진 영역은 폭이 일정하게 되는 것에서, 이 영역을 기록영역으로서 이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볼록부와 오목부 중, 원반작성 시에 노광이 행해진 영역이 볼록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광된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을 그루부라고 부르는 경우, 볼록부가 그루부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는, 표면에 홈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홈형성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따라서 요철형상을 가지는 광학기록층과, 상기 광학기록층 상에 형성된 광투과성의 보호막을 가지는 광학기록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광학기록층에 대하여, 파장이 405±5nm인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빛을 상기 보호막 측에서 상기 광학기록층에 집광하여 조사하기 위한 개구수가 0.85±0.1인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와, 상기 광학기록층에서 반사된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된 복귀광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며,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 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을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고,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피치(트랙피치)가 0.32±0.01㎛이고, 상기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가 19~24nm의 범위인 광학기록매체를 이용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홈에 진폭이 ±8~12nm인 워블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기록매체를 이용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을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한다.
떠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상기 홈이 형성된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원반의 표면에 있어서 레이저빔 혹은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영역에 상당하는 광학기록매체를 이용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디스크장치는, 크로스라이트의 방지나 재생신호의 균질화를 실현하고, 용이하게 재생전용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기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를 이용하고, 이것을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종래예에 관계되는 CD-RW(리라이터블)방식의 광디스크의 단면구조 및 빛의 조사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제 2 종래예에 의한 광디스크의 단면구조 및 빛의 조사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단면구조 및 빛의 조사방법을 나타 내는 모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서의 지터와 푸시풀신호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서의 워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서의 워블진폭을 변경하였을 때의 워블신호의 C/N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4에서의 지터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장치의 광학픽업(헤드)용 2군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장치의 광학픽업(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수광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크기판 2. 홈
4. 광학기록층 5. 보호층
5. 디스크기판 6. 홈
7. 광학기록층 8. 보호층
10. 광학픽업(헤드) 11. 광디스크
12. 제 1렌즈(선옥렌즈) 13. 렌즈홀더
14. 제 2렌즈(후옥렌즈) 15. 전자엑추에이터
16. 반도체레이저 17. 콜리미터렌즈
18. 1/2파장판 19. 회절격자
20. 편광빔스플리터 21. 집광렌즈
22. 수광소자 23. 1/4파장판
24. 익스팬더 렌즈유닛 25. 집광렌즈
26. 멀티렌즈 27. 수광소자
31. 헤드앰프 32. RF이퀄라이져앰프
33. 신호복조회로 34. 포커스 매트릭스회로
35. 위상보상회로 36. 앰프
37. 트래킹 매트릭스회로 38. 위상보상회로
39. 앰프 40. CPU
41. 익스팬더 제어회로 42. 스핀들서보회로
43. 모터 44. 워블매트릭스회로
45. 구동용 엑추에이터 46. 어드레스 검출회로
47. 클럭검출회로 50. 집광렌즈
a. 글라스기판 b,b'. 레지스트막
c. 메탈마스터 d. 마더스탬퍼
e. 디스크기판 f. 홈
g. 광학기록층 h. 보호층
L. 랜드 G. 그루브
RA. 기록영역 RS. 기록스폿
LB. 레이저빔 MS. 메인스폿
SS1,SS2. 사이드스폿 S. 스폿
WB. 워블 TP. 트랙피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광학기록매체인 광디스크와, 이것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이하, 광디스크장치라고 함)에 적용한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의 단면구조 및 빛의 조사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두께(D1)가 1.1~1.2mm인 디스크기판(1)의 한쪽 표면에, 홈(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면 위에, 예를 들면 반사막, 유전체막, 기록막, 유전체막 등이 이 순서로 적층된 두께(D3)의 광학기록층(3)이 형성되어 있다. 막구성 및 층수는 기록재료의 종류나 설계에 따라 다르다.
광학기록층(3)의 상층에 두께(D4)가 0.1mm 정도인 광투과성의 보호막(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용 혹은 기록용의 레이저빔(LB)이, 예를 들면 제 1렌즈(선옥렌즈)(12) 및 제 2렌즈(후옥렌즈)(14)로 이루어지는 2군렌즈에 의해 집광되고, 광투과성의 보호층(4)을 투과하여, 상기 구조의 광디스크의 광학기록층(3)에 대하여 조사된다.
개구수가 0.85±0.1인 렌즈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2군렌즈를 사용한다.
또, 이용하는 렌즈빔(LB)의 파장은 405±5nm이다.
재생시에 있어서는, 광학기록층에서 반사된 복귀광이 수광소자로 수광되고,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고, 재생신호가 취출된다.
상기한 광디스크에 있어서, 홈(2)에 따라서 광학기록층은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고,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와,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오목부 중, 어느 한쪽이 기록영역(RA)으로서 이용된 다.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는, 볼록부와 오목부 중의 어느 한쪽이 기록영역(RA)으로서 이용되므로, 오목부와 볼록부의 사이의 크로스라이트의 방지와, 재생신호의 균질화를 실현하고, 또한 재생전용 디스크와의 호환성의 확보가 용이하다.
상기한 볼록부와 오목부에 대해서는, 상기의 홈이 형성된 디스크기판(1)을 형성하기 위한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원반의 표면에 있어서, 레이저빔 또는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을 그루브(G)라고 부르고, 그루브(G) 사이에 끼워진 영역을 랜드(L)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록 또는 재생용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가 그루브(G),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측인 오목부가 랜드(L)가 되도록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트랙피치(TP)는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피치, 즉, 어느 볼록부의 중앙위치와 그 이웃의 볼록부의 중앙위치의 거리, 혹은, 어느 오목부의 중앙위치와 그 이웃의 오목부의 중앙위치의 거리에 상당하고, 개구수가 0.85±0.1인 렌즈에 의해, 파장이 405±5nm인 빛을 집광하면, 광학기록층 상에서의 빛의 스폿사이즈로부터, 상기 트랙피치를 0.32±0.01㎛로 설정하는 것이 최적으로 된다.
또, 만족한 신호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를 24n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한편, 만족한 서보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이 깊이를 19n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는, 홈(2)에 진폭이 ±8~12nm인 워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를 상기한 범위로 설정하면, 어드레스정보를 피트로서 형성하는 경우에 피트신호의 변조도가 불충분하게 되지만, 홈에 워블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것에 어드레스정보를 짜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워블신호의 C/N비와, 인접트랙으로부터의 워블의 누설되어 들어가는 양과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워블의 진폭을 ±8~12nm의 범위로 설정한다.
또, 오목부와 볼록부 중의 한쪽밖에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지 않으므로 기록밀도의 면에서 불리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드레스 등을 워블신호에서 얻는 것 등에 의해, 기록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되고, 이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는,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그루브(G))와,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오목부(랜드(L))를 비교한 경우, 크로스라이트 특성의 실험결과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그루브(G))를 기록영역(RA)으로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디스크원반의 작성시에 레이저빔 등의 노광이 행해진 영역은 폭이 일정하게 되는 것에서, 이 영역을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에 의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는 볼록부가, 디스크원반 작성공정에 있어서의 노광영역에 상당하도록, 즉, 볼록부가 그루브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피치가 0.32㎛이고, 예를 들면 1-7RPP 변조방식을 채용하고, 광디스크제조측의 성능으로 결정되는 최단마크길이를 0.16㎛로 하면, CD사이즈의 광디스크로, 약 23.3G바이트의 기록용량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최단마크길이를 0.16㎛로 하는 것은, 광디스크장치의 채널클럭(T)이 0.08㎛인 것으로 하여, 2T신호를 최단마크로서 상정하고 있다.
장래, 채널클럭이 더 짧게 되면, 한층 더 용량의 증대가 가능하다.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라스기판(a) 위에 레지스트막(b)이 성막된 디스크원반을 준비한다.
다음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빔 혹은 전자빔 등에 의해, 예를 들면 디스크기판의 홈이 되는 영역을 감광시키는 패턴으로 레지스트막(b)의 노광을 행하고, 현상처리를 실시하여, 디스크기판의 홈이 되는 영역을 개구하는 패턴의 레지스트막(b')으로 한다.
여기서, 원반작성공정에 있어서 글라스기판(a)의 표면이 노출한 부분(도면중의 X로 표시한 부분)이 상기한 노광영역에 상당하고,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그루브가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그루브가 제조하는 광디스크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새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가 되도록 한다.
다음에,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은도금처리나 기타의 성막처리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글라스기판(a) 위의 레지스트막(b')을 갖는 디스크원반 상에 메탈마스터(c)를 형성한다. 메탈마스터(c)의 표면에는, 글라스기판(a) 및 레지스트막(b')에 의해 구성되는 패턴의 요철과 역패턴의 요철이 전사된다.
다음에,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메탈마스터(c) 상에 마더스템퍼(mother stamper)(d)를 형성한다. 마더스탬퍼(d)의 표면에는, 메탈마스터(c)의 표면의 요철과 역패턴의 요철이 전사된다. 도면상, 메탈마스터(c)를 아래쪽으로 하고, 도 5a에 대해서 상하를 역전하여 그리고 있다.
다음에,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압축성형법, 사출성형법 혹은 2P(Photo Polymarization) 법 등에 의해, 상기 마더스탬퍼(d)의 요철패턴 상에,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제 기판인 디스크기판(e(1))을 형성한다. 디스크기판(e(1))에는, 마더스탬퍼(d)의 표면의 요철과 역패턴의 요철이 되는 홈(f(2))이 전사된다. 도면상, 마더스탬퍼(d)를 아래쪽으로 하고, 도 5b에 대해서 상하를 역전하여 그리고 있다.
다음에,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더스탬퍼(d)에서 분리성형하여, 디스크기판(e(1))을 얻는다.
얻어진 디스크기판(e(1))에서는, 기판표면에서 돌출한 볼록부가, 도 4b에 나타내는 노광영역(X)에 상당하고, 즉, 볼록부가 그루브(G)가 되며, 그 사이의 오목부가 랜드(L)가 된다.
다음에,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예를 들면 반사막, 유전체막, 기록층, 유전체막의 적층체를 갖는 광학기록층(g(3))을 이 성막순서로 성막한다. 이것은 통상과는 역순이다.
다음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기록층(g(3))의 상층에 광투과성의 보호층(h(4))을 형성한다.
광투과성의 보호층(g(4))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수지를 스핀도포 등으로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법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시트를 첩합(貼合, lamination) 시키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의 0.1mm의 두께의 보호층을 갖는 광디스크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는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에서는, 마더스탬퍼에서 요철을 반전시켜서 썬스탬퍼(son stamper)를 다시 형성하고, 사출성형법 등에 의해 썬스탬퍼의 표면의 요철로 반전시켜서 디스크기판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디스크원반 작성공정에 있어서의 노광영역은,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오목부가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한 마더스탬퍼에서 직접 디스크기판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한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면 반전공정을 1회 생략한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디스크원반 작성공정에 있어서의 노광영역(도 4a의 영역(X))이, 최종적인 광디스크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가 된다. 즉,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볼록부가 그루브(G),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측인 오목부가 랜드(L)가 된다.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디스크원반의 작성공 정에 있어서의 노광영역(도 4b의 영역(X))의 폭은, 레이저빔 혹은 전자빔의 스폿지름에 상당하고, 일정치를 확보할 수 있고, 즉, 그루브의 폭은 일정하게 된다.
한편, 그루브와 그루브의 간격, 즉 랜드부의 폭은, 원반작성장치에 있어서의 레이저빔 혹은 전자빔의 디스크반경 방향의 전송정밀도에 의존하고, 일정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즉, 기록영역으로서 랜드를 이용하는 경우, 재생신호나 트래킹 오차신호의 진폭이, 트랙마다 다른 것을 의미하고, 높은 트랙밀도가 요구되는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보다 현저한 영향이 나타난다.
이런 것에서, 랜드보다도 그루브를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과 같이 오목부보다도 볼록부를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볼록부가 그루브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한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종래의 방법보다도 반전공정을 1회 생략하고, 디스크원반 작성공정에 있어서의 노광영역이 디스크기판에 있어서의 볼록부에 상당하도록 제조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디스크기판(1)의 표면에, 홈(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면상에, 광학기록층(3)이 형성되고, 그 상층에 광투과성의 보호층(4)이 형성되어 있다.
랜드(L)와 그루브(G) 중, 어느 한쪽, 예를 들면 도시와 같이 그루브(G)만이 기록영역(RA)으로서 이용되고, 기록스폿(RS)이 형성된다.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레이저빔의 스폿(S)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구조를 디스크반경 방향으로 일정주기로 사행(蛇行)시켜서 워블(W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워블(WB)에 의해 워블신호가 생성되고, 이 신호에 의거하여, 디스크회전에 동기한 클럭신호의 검출이나 어드레스신호의 검출 등이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홈구조에 워블(WB)을 형성하는 경우, 워블의 위상은 어드레스 등으로 결정되고, 인접한 그루브끼리에서 위상은 일치하지 않으므로, 그루브와 그루브의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랜드의 폭은 일정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이유에서도, 재생신호나 트래킹 오차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랜드(L)보다도 그루브(G)를 기록영역(RA)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피트를 재생하는 재생전용(ROM) 디스크와의 트래킹 오차신호의 공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디스크 상의 기록영역폭을 50% 미만으로 하고, 동일한 신호극성을 얻는 것도 바람직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1)
트랙피치를 0.32㎛로 한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에 있어서, 변조방식으로서 1-7RPP방식을 채용하고, 최단마크길이를 0.16㎛로 하고, 측정대상 트랙에 있어서 100회 오버라이트를 행하고, 연속하여 인접 트랙에 100회 오버라이트를 행하였을 때의 측정대상 트랙의 지터와 푸시풀신호를 측정하고, 이들 측정치가 디스크기판의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를 변경하였을 때에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하였다.
도 9는 상기의 측정결과이고, 도면 중 흑색원(●)은 지터의 값을, 백색원(○)은 푸시풀신호의 값을 나타낸다.
안정한 트래킹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푸시풀신호는 0.25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디스크기판의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가 19nm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한편, 시스템마진에 의해 지터는 8.5% 이하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디스크기판의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가 24nm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이 결과에서, 디스크기판의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는 19~24nm의 범위로 한다.
(실시예 2)
도 10은,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워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디스크기판의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를 실시예 1에서 결정된 범위로 설정하면, 어드레스정보를 피트로서 형성하는 경우에 피트신호의 변조도가 20% 이하가 되고, 불충분하게 되므로, 홈에 워블을 형성하여 어드레스정보를 짜 넣는다.
그루브(G)와 그루브(G)의 사이가 랜드(L)가 되고, 그루브(G)에 워블(W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랜드(L)의 폭을 일정하게 되지 않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광디스크장치의 채널클록(T)을 단위로 하여, 워블(WB)의 한 주기만큼의 길이(LWB)를 69T로 설정하고, T=0.08㎛일 때, LWB는 5.52㎛가 된다.
(실시예 3)
워블신호는, 그 진폭에 의해 결정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블(WB)의 진폭(AWB)은, 워블이 없는 것으로 한 경우의 그루브(G)의 중앙위치와, 한쪽 방향으로 최대로 흔들렸을 때의 그루브의 중앙위치와의 차가 된다.
도 11은 워블진폭을 변경하였을 때의 워블신호의 C/N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워블신호의 C/N비는 40dB 이상 필요하므로, 워블의 진폭은 ±8nm 이상 필요하게 된다.
한편, 워블진폭의 상한은, 인접 트랙으로부터의 워블의 누설되어 들어가는 양에 의해 결정되고, 실험에서는 ±12nm를 넘으면 어드레스에러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결과에서, 워블의 진폭(AWB)을 ±8~12nm의 범위로 설정한다.
(실시예 4)
트랙피치를 0.32㎛로 한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에 있어서, 변조방식으로서 1-7RPP방식을 채용하고, 최단마크길이를 0.16㎛로 하고, 측정대상 트랙에 있어서 100회 오버라이트(덮어쓰기)를 행하고, 계속하여 인접트랙에 100회 오버라이트를 행하였을 때의 측정대상 트랙의 지터를 측정하였다. 이 때, 디스크기판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기록한 경우와, 디스크기판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기록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최적 기록파워를 0으로 하였을 때에, 10% 및 20% 증폭한 파워에 있어서 지터의 값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사하였다.
도 12는 상기한 측정결과이고, 도면중 백색원(○)은 볼록부에 기록한 경우의 값을, 흑색원(●)은 오목부에 기록한 경우의 값을 나타낸다.
볼록부, 오목부 함께, 기록파워를 증폭하는데 따라서 지터가 변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볼록부보다도 오목부 쪽이 보다 악화하고 있다. 이것은, 인접트랙에 기입하였을 때에 데이터를 소거해 버리는 크로스라이트가, 오목부 쪽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에서, 볼록부와 오목부를 비교한 경우, 볼록부를 기록영역으로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하는 광디스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장치의 광학픽업(헤드)용 2군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단면도이다.
지름이 다른 2개의 제 1렌즈(선옥렌즈)(12) 및 제 2렌즈(후옥렌즈)(14)가, 동일광축상에 배치되어서 렌즈홀더(13)에 지지되고, 이것이 전자(電磁) 엑추에이터(15) 상에 탑재되어 있다.
이들 2장의 렌즈는, 개구수 0.85의 2군 대물렌즈로서 기능하고, 광원으로부터의 레이저빔(LB)을 광디스크(11)의 광학기록층 상에 집광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장치의 광학픽업(헤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반도체레이저(16)에서 출사된 레이저빔(LB)은,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17), 1/2파장판(18), 회절격자(19)를 통과하여, 편광빔스플리터(20)에 입사한다.
레이저빔(LB)의 일부는, 편광빔스플리터(20)에 대하여 반사하고, 집광렌즈(21)에 의해 발광출력검출용 수광소자(22)로 인도된다.
한편, 편광빔스플리터(20)를 통과한 레이저빔(LB)은, 1/4파장판(23), 2장의 렌즈의 간격(Dex)이 가변으로 되어 있는 익스팬더(expander) 렌즈유닛(24), 후옥렌즈(14) 및 선옥렌즈(12)를 통과하여 광디스크(11)의 광학기록층 상에 조사된다.
또, 광디스크(11)로부터의 반사광(복귀광)은, 편광빔스플리터(20)에서 반사하여, 검출광로로 인도되고, 집광렌즈(25) 및 멀티렌즈(26)를 통과하여, 서보오차신호 및 RF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광소자(27)에 입사하고, 광전변환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도 15는, 상기한 서보오차신호 및 RF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광소자(27)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수광소자(27)는, 도시한 바와 같이 8분할 광검출소자(A,B,C,D,E,F,G,H)로 구성된다.
수광소자(27)에 입사하는 빛은, 광검출소자(A,B,C,D) 상에 1개의 메인스폿(MS)으로서, 광검출소자(E,F) 및 광검출소자(G,H) 상에, 각각 회절격자(19)에 의해 생성된 2개의 사이드스폿(SS1,SS2)으로서 입사한다.
상기한 8분할 광검출소자(A,B,C,D,E,F,G,H)로부터의 출력치에서, 포커스오차 신호, 트래킹오차신호, 워블오차신호, RF신호가 연산된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광디스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광학픽업(헤드)(10)으로부터의 레이저빔(LB)이, 모터(4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광디스크(11)의 광학기록층 상에 조사되고, 그 반사광(복귀광)을 검출하여 얻은 재생신호는, 헤드앰프(31)에 입력된다.
헤드앰프(31)로부터의 재생신호는, RF이퀄라이저앰프(32), 포커스 매트릭스회로(34), 트래킹 매트릭스회로(37) 및 워블 매트릭스회로(44)에 입력된다.
RF이퀄라이저앰프(32)에 있어서 연산된 RF신호(RF)는, 신호복조회로(33)에 입력되고, 광디스크(11) 상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신호로서 신호처리가 행해진다.
포커스 매트릭스회로(34) 및 트래킹 매트릭스회로(37)의 각각에 있어서 연산된 포커스 오차신호(FE) 및 트래킹 오차신호(TE)는, 위상보상회로(35,38)에 의해 위상이 보상되고, 앰프(36,39)에 의해 증폭되어서 구동용 엑추에이터(45)에 입력된다.
워블매트릭스회로(44)에 있어서 연산된 워블신호(WS)는, 어드레스 검출회로(46)나 클럭검출회로(47) 등에 입력된다.
구동용 엑추에이터(45) 중의 포커스 엑추에이터는, 포커스 오차신호(FE)에 근거하여 헤드(10)의 위치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커스서보가 실현되고, 한편, 트래킹 오차신호(TE)에 근거하여 헤드(10)의 위치를 광디스크(11)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래킹서보가 실현된다.
CPU(중앙연산유닛)(40)는, 상기한 서보기구 외, 익스팬더 제어회로(41)를 통과한 광학픽업(헤드)(10) 중의 익스팬더유닛의 2장의 렌즈의 간격(dex)의 조정에 의한 구면수차의 보정이나, 스핀들서보회로(42)를 통한 회전구동의 제어 등, 광디스크장치 전체의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한 광디스크장치는, 크로스라이트의 방지나 재생신호의 균질화를 실현하고, 용이하게 재생전용 디스크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광디스크를 이용하여, 이것을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기록매체 및 이것을 이용한 광디스크장치에 의하면, 요철형상을 갖는 광학기록층 중,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랜드와, 기록 또는 재생용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그루브 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므로, 랜드와 그루브 사이의 크로스라이트의 방지와, 재생신호의 균질화를 실현하고, 또한 재생전용 디스크와의 호환성의 확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학기록층의 층구성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기록막의 재료 등에 따라서 각종의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변화형의 광학기록매체 외, 광자기기록매체나, 유기색소재료를 이용한 광디스크매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기타,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개구수가 0.85±0.1인 렌즈에 의해 집광되고, 파장이 405±5nm인 빛이 조사되어 기록 또는 재생이 이루어지는 광학기록매체에 있어서,
    표면에 홈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홈 형성면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따라서 요철형상을 가지는 광학기록층과,
    상기 광학기록층 상에 형성된 광투과성의 보호막을 가지고,
    상기 보호막 측에서 상기 광학기록층에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이 조사되어 이용되고,
    상기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 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고,
    상기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피치(트랙피치)가 0.32±0.01㎛이고,
    상기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가 19~24n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진폭이 ±8~12nm인 워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학기록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이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매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상기 홈이 형성된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원반의 표면에 있어서 레이저빔 또는 전자빔에 의해 노광(露光)된 영역에 상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록매체.
  5. 표면에 홈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홈 형성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 따라서 요철형상을 가지는 광학기록층과, 상기 광학기록층 상에 형성된 광투과성의 보호막을 가지는 광학기록매체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광학기록층에 대하여, 파장이 405±5nm인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빛을 상기 보호막 측에서 상기 광학기록층에 집광하여 조사하기 위한 개구수가 0.85±0.1인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와,
    상기 광학기록층에서 반사된 복귀광을 수광하는 수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된 복귀광에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회로를 가지며,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먼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오목부에 상당하는 부분과,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중의 어느 한쪽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을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고,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피치(트랙피치)가 0.32±0.01㎛이고, 상기 볼록부에 대한 오목부의 깊이가 19~24nm의 범위인 광학기록매체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홈에 진폭이 ±8~12nm인 워블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기록매체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요철형상의 광학기록층 중,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상기 광학기록층만을 기록영역으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 또는 재생용의 빛의 조사측에서 가까운 측인 상기 요철형상의 볼록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상기 홈이 형성된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원반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해당 원반의 표면에 있어서 레이저빔 또는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영역에 상당하는 광학기록매체를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KR1020027008986A 2000-11-20 2001-11-20 광학기록매체 및 광디스크장치 KR100796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3288 2000-11-20
JPJP-P-2000-00353288 2000-11-20
JPJP-P-2001-00010716 2001-01-18
JP2001010716 2001-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937A KR20020071937A (ko) 2002-09-13
KR100796327B1 true KR100796327B1 (ko) 2008-01-21

Family

ID=2660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86A KR100796327B1 (ko) 2000-11-20 2001-11-20 광학기록매체 및 광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6882616B2 (ko)
EP (2) EP1341167B1 (ko)
JP (1) JP4161716B2 (ko)
KR (1) KR100796327B1 (ko)
CN (1) CN1205607C (ko)
AT (1) ATE459959T1 (ko)
CA (1) CA2396246C (ko)
DE (1) DE60141475D1 (ko)
HK (1) HK1054814B (ko)
TW (1) TWI272589B (ko)
WO (1) WO2002041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5778A (ja) * 2001-06-29 2003-03-20 Sony Corp 光学記録再生媒体、光学記録再生媒体製造用マザースタンパ及び光学記録再生装置
CN100388363C (zh) * 2002-03-15 2008-05-14 株式会社东芝 信息记录方法
AU2002304136A1 (en) * 2002-05-31 2003-12-19 Fujitsu Limited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storage device
JP3961466B2 (ja) * 2002-09-05 2007-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情報記録媒体の保持方法
JP4516428B2 (ja) * 2002-11-07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ヘッドおよび光学ヘッドを備えた光ディスク装置
KR100498478B1 (ko) * 2003-01-16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환형 광픽업장치
JP2004342216A (ja) * 2003-05-15 2004-12-02 Sony Corp 光記録媒体、光記録媒体製造用原盤、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2005174408A (ja) * 2003-12-09 2005-06-30 Fuji Photo Film Co Ltd 光情報記録媒体、光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光情報記録方法
JP2005196817A (ja) * 2003-12-26 2005-07-21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
CN1930614A (zh) * 2004-03-09 2007-03-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适于使用紫外激光源存储数据的光学记录盘
JP2005322356A (ja) 2004-05-11 2005-11-17 Canon Inc 光ピックアップ装置
CN100334633C (zh) * 2004-05-28 2007-08-29 精碟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记录媒体
JP4201740B2 (ja) * 2004-06-02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MX2007004039A (es) * 2004-10-08 2007-06-04 Koninklije Philips Electronics N V Portador optico de grabacion.
US20060109756A1 (en) * 2004-11-22 2006-05-25 Chih-Yuan Chen Track determination
JP2010075992A (ja) * 2008-09-29 2010-04-08 Fujifilm Corp レーザ加工装置
JP2010075991A (ja) * 2008-09-29 2010-04-08 Fujifilm Corp レーザ加工装置
US8277919B2 (en) * 2009-07-23 2012-10-02 VMO Systems, Inc. Reflective coating for an optical disc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438A (ja) * 1997-01-30 1998-08-11 Sharp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0298878A (ja) * 1999-02-12 2000-10-24 Sony Corp 光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733A (ja) 1991-10-24 1993-05-18 Hitachi Ltd 光デイスク
JP2860229B2 (ja) * 1993-06-25 1999-02-2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08147699A (ja) * 1994-11-22 1996-06-07 Sony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JP3772379B2 (ja) * 1996-03-25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アドレス記録方法、および装置
DE69729606T2 (de) * 1996-07-09 2005-07-07 Sharp K.K. Optische Platte mit verteilten Wobbelsektionen,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JP4258037B2 (ja) * 1998-06-29 2009-04-30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と、これを用いた光記録再生装置
JP2000011453A (ja) * 1998-06-29 2000-01-14 Sony Corp 光記録媒体と光記録再生装置
KR100458299B1 (ko) * 2000-10-10 2004-11-26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광기록방법 및 광기록매체
CN101430889A (zh) * 2000-10-10 2009-05-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
JP2002150614A (ja) * 2000-11-10 2002-05-24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ディスク
US20040202097A1 (en) * 2003-04-08 2004-10-14 Tdk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dis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438A (ja) * 1997-01-30 1998-08-11 Sharp Corp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0298878A (ja) * 1999-02-12 2000-10-24 Sony Corp 光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57635A1 (en) 2005-07-21
WO2002041311A1 (fr) 2002-05-23
DE60141475D1 (de) 2010-04-15
CN1395729A (zh) 2003-02-05
AU1522602A (en) 2002-05-27
EP1341167A1 (en) 2003-09-03
EP2189980A1 (en) 2010-05-26
ATE459959T1 (de) 2010-03-15
EP1341167B1 (en) 2010-03-03
HK1054814B (zh) 2005-12-30
US20030090986A1 (en) 2003-05-15
TWI272589B (en) 2007-02-01
KR20020071937A (ko) 2002-09-13
CA2396246A1 (en) 2002-05-23
CN1205607C (zh) 2005-06-08
US20050163033A1 (en) 2005-07-28
US6882616B2 (en) 2005-04-19
US6987723B2 (en) 2006-01-17
JPWO2002041311A1 (ja) 2004-03-25
CA2396246C (en) 2007-05-15
HK1054814A1 (en) 2003-12-12
EP1341167A4 (en) 2007-01-17
US6987725B2 (en) 2006-01-17
JP4161716B2 (ja)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7725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with high density track pitch and optical disk drive for recording and playback of the same
US20050002311A1 (en) Hologram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tion
JP2002015468A (ja) 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US7436755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US7813258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JP2006040446A (ja) 光ディスク及び情報再生装置
US6934243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re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113543A (ja) 情報記録媒体
JP2001052342A (ja) 光学記録媒体、並びに信号記録装置及び信号記録方法
JP4154256B2 (ja) 光学式情報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学式情報記録媒体の記録再生方法
US20020122374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WO2008013168A1 (fr)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s, dispositif de reproduction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s, et procédé de reproduction pour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s
JP3917970B2 (ja) 光磁気記録媒体
KR100616232B1 (ko) 고밀도광기록매체그리고그기록/재생장치및방법
JPH083912B2 (ja) 新規な光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6048B2 (ja) 光ディスク
JP3986702B2 (ja)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用基板
JPH1097735A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
US20060023623A1 (en)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JP2004303351A (ja) テストディスク
JPH0765404A (ja) 光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312545A (ja) 情報記録媒体およびその記録再生方法
JPH03290839A (ja) 光デイスク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H10340523A (ja) 光ディスク媒体及びその記録再生装置
JP2001006176A (ja) 光ディスクの初期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