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962B1 -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962B1
KR100794962B1 KR1020010080042A KR20010080042A KR100794962B1 KR 100794962 B1 KR100794962 B1 KR 100794962B1 KR 1020010080042 A KR1020010080042 A KR 1020010080042A KR 20010080042 A KR20010080042 A KR 20010080042A KR 100794962 B1 KR100794962 B1 KR 10079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motor
engine
correction value
torque
engine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269A (ko
Inventor
아오키가즈오
이자와가즈유키
히사다히데키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5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4Series-parallel type
    • B60K6/445Differential gearing distribut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by batteries charg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mbustion engines
    • B60L2240/44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5Structure borne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1Speed
    • B60W2510/082Speed change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66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3Tor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04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ev
    • Y10S903/906Motor or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 Y10S903/903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having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y, capacitor
    • Y10S903/951Assembly or relative location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을 해제함에 따라 쇼크(shock)가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엔진(11)과, 발전기모터(16)와,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14)과, 차동기어장치와, 발전기모터(16)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처리수단(91)과, 상기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는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92)을 갖는다.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가 산출되고, 상기 추정엔진토크가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되기 때문에, 엔진(11)의 사용환경이,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된 후의 발전기모터(16)의 로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하이브리드, 엔진, 발전기모터, 구동륜, 출력축,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 엔진토크, 산출처리수단, 보정처리수단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기능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속도 선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동작을 나타낸 메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학습제어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동작을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동작을 나타낸 메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학습제어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엔진 13 :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
14 : 출력축 16 : 발전기모터
25 : 구동모터 37 : 구동륜
47 : 발전기모터제어장치 51 : 차량제어장치
91 : 보정치 산출처리수단 92 :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
B : 브레이크 CR : 캐리어
R : 링기어 S : 선기어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엔진의 토크, 즉, 토크의 일부를 발전기모터에, 나머지를 구동륜에 분배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선기어, 링기어 및 캐리어를 구비한 플래 니터리 기어 유닛을 가지며, 상기 캐리어와 엔진을 연결하고, 링기어와 구동륜을 연결하고, 선기어와 발전기모터를 연결하며, 상기 링기어 및 구동모터로부터 출력된 회전을 구동륜에 전달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구동모터 및 엔진을 구동하여 주행시킬 때에 발전기모터에 의해 발전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지만, 발전기모터의 회전속도, 즉, 발전기모터 회전속도가 낮으면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발전효율이 그만큼 낮아진다. 그래서, 발전기모터의 로터와 케이싱 사이에 고정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발전기모터 회전속도가 500〔rpm〕이하가 되면, 상기 브레이크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고정하고, 그 후, 차량속도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의 출력축의 회전속도, 즉, 출력회전속도, 및 발전효율이 높은 엔진운전포인트의 엔진의 회전속도, 즉, 엔진회전속도에 근거하여 발전기모터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이 발전기모터 회전속도가 500〔rpm〕보다 높아지면, 상기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회전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로터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브레이크가 맞물려 있는 동안, 엔진의 토크, 즉, 엔진토크가 반력(反力; reaction force)으로서 로터에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브레이크를 해제하면, 상기 엔진토크가 로터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발전기모터토크 및 엔진토크가 크게 변화하여, 쇼크가 발생되어 버린다.
그래서, 로터에 전달되는 엔진토크를 추정하여, 이 엔진토크에 상당하는 발전기모터토크를 엔진토크와 역방향으로 발생시킨 후에, 브레이크를 해제함으로써, 쇼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9-10085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의 사용환경, 예컨대, 엔진 오일의 온도 등 이외에, 엔진 자체의 고체차(固體差), 예컨대, 엔진의 관성(inertia)에 의해, 추정된 엔진토크와 실제의 엔진토크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쇼크가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을 해제할 때에 쇼크가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과, 발전기모터와,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과, 적어도 3개의 기어요소를 구비하고, 각 기어요소가 상기 엔진, 발전기모터 및 출력축에 각각 연결된 차동기어장치와, 상기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처리수단과, 상기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는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정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은, 상기 추정엔진토크에 대한 발전기모터토크의 비율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추정엔진토크는 엔진의 운전상태에 근거하여 추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보정치는, 복수의 변동치를 평균함으로써 산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과, 발전기모터와,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과, 적어도 3개의 기어요소를 구비하고, 각 기어요소가 상기 엔진, 발전기모터 및 출력축에 각각 연결된 차동기어장치와, 상기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발전기모터의 각가속도(角加速度; angular acceleration)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처리수단과,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는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의 각가속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또한 보정된 추정엔진토크에 상당하는 엔진토크 상당분을 산출하는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과, 상기 발전기모터에 의해 엔진토크 상당분을 발생시켜서 토크제어를 행하는 토크제어 처리수단과, 상기 엔진토크 상당분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처리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출력축과 구동륜의 사이에 구동모터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엔진, 발전기모터, 및 이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적용된다.
그리고,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고, 상기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엔진, 발전기모터, 및 이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적용된다.
그리고, 발전기모터의 각가속도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고,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기능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엔진, 16은 발전기모터, 13은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14)과, 선기어(S), 링기어(R) 및 캐리어(CR)를 구비하고, 각 선기어(S), 링기어(R) 및 캐리어(CR)가 상기 엔진(11), 발전기모터(16) 및 출력축(14)에 각각 연결된 차동기어장치로서의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 B는 상기 발전기모터(16)의 회전 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 91은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처리수단, 92는 상기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는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개념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제1축선 상에 설치된 엔진(E/G), 12는 상기 제1축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11)을 구동함으로써 발생된 회전을 출력하는 출력축, 13은 상기 제1축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12)을 경유하여 입력된 회전에 대하여 변속을 행하는 차동기어장치로서의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 14는 상기 제1축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에 있어서의 변속 후의 회전이 출력되는 출력축, 15는 이 출력축(14)에 고정된 출력기어로서의 제1카운터 드라이브 기어, 16은 상기 제1축선 상에 설치되고, 동일하게 상기 제1축선 상에 설치된 전달축(17)을 경유하여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과 연결되고, 또한 엔진(11)과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전동기로서의 발전기모터(G)이다.
상기 출력축(14)은 슬리브모양을 가지고, 상기 출력축(12)을 포위하여 설치된다. 또, 상기 제1카운터 드라이브 기어(15)는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보다 엔진(11)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은, 적어도 제1기어요소로서의 선기어(S), 이 선기어(S)와 맞물리는 피니언(P), 이 피니언(P)과 맞물리는 제2기어요소로서의 링기어(R), 및 상기 피니언(P)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기어요소로서의 캐리어(CR)를 구비하고, 상기 선기어(S)는 상기 전달축(17)을 경유하여 발전기모터(16)와, 링기어(R)는 출력축(14) 및 소정의 기어열을 경유하여 구동륜(37)과, 캐리어(CR)는 출력축(12)을 경유하여 엔진(11)과 연결된다. 또, 상기 캐리어(CR)와 구동장치 케이싱(10)의 사이에 원웨이클러치(F)가 설치되고, 이 원웨이클러치(F)는, 엔진(11)으로부터 정방향의 회전이 캐리어(CR)에 전달되었을 때에 자유롭게 되고, 발전기모터(16), 또는 상기 제1축선과 평행한 제2축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발전기모터(16)와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2전동기로서의 구동모터(M)(25)로부터 역방향의 회전이 캐리어(CR)에 전달되었을 때에 로크(lock)되고, 역방향의 회전이 엔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14)과 구동모터(25) 및 구동륜(37)은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모터(16)는, 상기 전달축(17)에 고정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터(21), 이 로터(21)의 주위에 설치된 스테이터(22), 및 이 스테이터(22)에 감겨 장착된 코일(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전기모터(16)는, 전달축(17)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회전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코일(23)은,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에 접속되고, 이 배터리에 직류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로터(21)와 상기 케이싱(1O) 사이에 고정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B)가 설치되고, 이 브레이크(B)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로터(21)를 고정하여, 발전기모터(16)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B)의 도시되지 않은 유압서보와 유압공급원이 절환밸브에 의해 접속되고, 이 절환밸브에 솔레노이드가 설치된다. 따라서, 후술하 는 차량제어장치(51)에 의해 솔레노이드신호를 보내고, 상기 절환밸브를 절환하여, 상기 유압공급원의 유압을 상기 유압서보에 대하여 공급하고, 브레이크(B)를 맞물림/해제할 수 있다.
또, 26은 상기 제2축선 상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5)의 회전이 출력되는 출력축, 27은 이 출력축(26)에 고정된 출력기어로서의 제2카운터 드라이브 기어이다. 상기 구동모터(25)는, 상기 출력축(26)에 고정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터(40), 이 로터(40)의 주위에 설치된 스테이터(41), 및 이 스테이터(41)에 감겨 장착된 코일(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25)는, 코일(42)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구동모터토크를 발생시킨다. 그 때문에, 상기 코일(42)은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고, 이 배터리로부터의 직류전류가 교류전류로 변환되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모터(16) 및 구동모터(25)와 구동륜(37)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륜(37)을 엔진(11)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제2축선과 평행한 제3축선 상에 카운터 샤프트(30)가 설치되고, 이 카운터 샤프트(30)에, 제1카운터 드리븐 기어(31), 및 이 제1카운터 드리븐 기어(31)보다 톱니개수가 많은 제2카운터 드리븐 기어(32)가 고정된다. 또, 상기 제1카운터 드리븐 기어(31)와 상기 제1카운터 드라이브 기어(15)가, 또 상기 제2카운터 드리븐 기어(32)와 상기 제2카운터 드라이브 기어(27)가 맞물려지고, 상기 제1카운터 드라이브 기어(15)의 회전이 반전되어 제1카운터 드리븐 기어(31)로, 상기 제2카운터 드라이브 기어(27)의 회전이 반전되어 제2카운터 드리븐 기어(32)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샤프트(30)에는 상기 제1카운터 드리븐 기어(31)보다 톱니개수가 적은 디퍼런셜 피니언 기어(33)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축선과 평행한 제4축선 상에 차동장치(36)가 설치되고, 이 차동장치(36)의 디퍼런셜 링기어(35)와 상기 디퍼런셜 피니언 기어(33)가 맞물린다. 따라서, 디퍼런셜 링기어(35)에 전달된 회전이 상기 차동장치(36)에 의해 분배되어, 구동륜(37)에 전달된다. 그리고, 38은 발전기모터(16)의 회전속도, 즉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를 검출하는 발전기모터 회전속도센서, 39는 구동모터(25)의 회전속도, 즉 구동모터 회전속도(NM)를 검출하는 구동모터 회전속도 센서이다.
이와 같이, 엔진(11)에 의해 발생된 회전을 제1카운터 드리븐 기어(31)에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25)에 의해 발생된 회전을 제2카운터 드리븐 기어(32)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11) 및 구동모터(25)를 구동함으로써 하이브리드형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의 동작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속도 선도면이다.
이 경우,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도 2)에 있어서는, 캐리어(CR)가 엔진(11)과, 선기어(S)가 발전기모터(16)와, 링기어(R)가 출력축(14)을 경유하여 상기 구동륜(37)과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링기어(R)의 회전속도와 출력축(14)의 회전속도, 즉 출력회전속도(NO)와 동일하게, 캐리어(CR)의 회전속도와 엔진(11)의 회전속도, 즉 엔진회전속도(NE)와 동일하게, 선기어(S)의 회전속도와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링기어(R)의 톱니개수가 선기어(S)의 톱니개수의 ρ배(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배)로 되면,
(ρ+ 1)ㆍNE = 1ㆍNG + ρㆍNO
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출력회전속도(NO) 및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에 근거하여 엔진회전속도(NE)는,
NE = (1ㆍNG + ρㆍNO) / (ρ+ 1) ㆍㆍㆍㆍㆍㆍ(1)
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엔진(11)의 토크, 즉 엔진토크(TE), 출력축(14)의 토크, 즉 출력토크(TO) 및 발전기모터(16)의 토크, 즉 발전기모터토크(TG)는,
TE : TO : TG = (ρ+ 1) : ρ: 1
의 관계가 되어, 서로 반력을 받는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엔진, 16은 발전기모터, 25는 구동모터, 43은 배터리 이다. 46은 상기 엔진(11)의 제어를 행하는 엔진제어수단으로서의 엔진제어장치이고, 이 엔진제어장치(46)는 스로틀개도(開度)(θ) 등의 지시신호를 엔진(11)으로 보낸다. 47은 상기 발전기모터(16)의 제어를 행하는 발전기모터 제어수단으로서의 발전기모터 제어장치이고, 이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는 발전기모터(16)에 전류지령치(IG)를 보낸다. 49는 상기 구동모터(25)의 제어를 행하는 구동모터 제어수단으로서의 구동모터 제어장치이고, 이 구동모터 제어장치(49)는 구동모터(25)에 전류지령치(IM)를 보낸다.
또, 51은, 도시되지 않은 CPU, 기억장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전체 제어를 행하는 차량제어장치, 44는 상기 배터리(43)의 상태로서의 배터리잔량(SOC)을 검출하는 배터리잔량 검출장치, 52는 액셀페달, 53은 차량속도(V)를 검출하는 차량속도센서, 55는 상기 액셀페달(52)의 밟는 양, 즉 액셀개도(α)를 검출하는 액셀조작 검출수단으로서의 액셀스위치, 61은 브레이크페달, 62는 이 브레이크페달(61)의 밟은 양(β)을 검출하는 브레이크조작 검출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 스위치, 38은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를 검출하는 발전기모터 회전속도센서, 39는 구동모터 회전속도(NM)를 검출하는 구동모터 회전속도센서, 72는 상기 배터리(43)의 상태로서의 배터리전압(VB)을 검출하는 배터리전압센서이다. 그리고, 배터리잔량 검출장치(44) 및 배터리전압센서(72)에 의해 배터리상태 검출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차량제어장치(51)는, 상기 엔진제어장치(46)에 엔진제어신호를 보내어 엔진(11)의 구동ㆍ정지를 설정하거나, 상기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 및 구동모터 회전속도(NM)를 읽어내어, 엔진회전속도(NE)를 산출하거나, 엔진제어장치(46)에 엔진회전속도(NE)의 목표치, 즉 목표 엔진회전속도(NE*)를 설정하거나, 상기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에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의 목표치, 즉, 목표 발전기모터 회 전속도(NG*), 및 발전기모터토크(TG)의 목표치, 즉 목표 발전기모터토크(TG*)를 설정하거나, 상기 구동모터 제어장치(49)에 구동모터토크(TM)의 목표치, 즉 목표 구동모터토크(TM*) 및 구동모터토크 보정치(δTM)를 설정하거나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차량제어장치(51)가 엔진회전속도(NE)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지만, 도시되지 않은 엔진회전속도센서를 설치하고, 이 엔진회전속도센서에 의해 엔진회전속도(NE)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속도(V)는, 출력회전속도(NO)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지만, 링기어(R)의 회전속도, 구동륜(37)의 회전속도 등에 의해 검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동작을 나타낸 메인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학습제어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동작을 나타낸 타임차트이다.
상기 구성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구동모터(25)(도 2) 및 엔진(11)을 구동하여 주행시킬 때에 발전기모터(16)에 의해 발전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지만,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가 낮으면 소비전력이 커져서, 발전효율이 그만큼 낮아진다. 그래서,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가 500〔rpm〕이하가 되고, 브레이크영역이 맞물림영역(OFF)이 되면, 상기 브레이크(B)를 맞물리게 함(ON으로 한다)으로써 로터(21)를 정지시키고, 그 후, 차량속도(V)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의 출력회전속도(NO), 및 발전효율이 높은 엔진운전포인트의 엔진회전속도(NE)에 근거하여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를 산출하고, 이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가 타이밍(t1)에서 500〔rpm〕보다 높아지고, 브레이크영역이 해제영역(ON)이 되면, 상기 브레이크(B)를 해제함으로써 로터(21)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맞물림영역에 있어서, 브레이크(B)가 맞물려 있는 동안, 엔진토크(TE)가 반력으로서 로터(21)에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타이밍(t1)에서 단순히 브레이크(B)를 해제하면, 상기 엔진토크(TE)가 로터(21)에 전달되고, 발전기모터토크(TG) 및 엔진토크(TE)가 크게 변화하여, 쇼크가 발생되어 버린다.
그래서, 상기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추정토크 보정처리수단으로서의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은,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를 행하고, 브레이크(B)를 해제했을 때에 실제로 로터(21)에 전달되는 엔진토크(TEa)에 상당하는 발전기모터토크(TG)를, 학습제어처리에 근거하여 엔진토크 상당분(TGa)으로서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목표 발전기모터토크 설정처리수단은, 목표 발전기모터토크 설정처리를 행하고, 상기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읽어내어, 이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목표 발전기모터토크(TG*)로서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로 보내어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의 도시되지 않은 토크제어 처리수단 은, 토크제어처리를 행하고, 차량제어장치(51)로부터 목표 발전기모터토크(TG*)가 보내져 오면, 이 목표 발전기모터토크(TG*)에 근거하여 발전기모터토크 지령치(STG*)를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의 도시되지 않은 전류지령치발생 처리수단은, 상기 발전기모터토크(TG)와 상기 발전기모터토크 지령치(STG*)와의 편차(ΔTG)가 0이 되도록 전류지령치(IG)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지령치(IG)를 발전기모터(16)로 보내어, 발전기모터(16)를 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발전기모터(16)에 있어서 엔진토크 상당분(TGa)의 발전기모터토크(TG)가 발생되어, 토크제어가 행해진다. 이어서,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해제처리수단으로서의 해제처리수단은, 해제처리를 행하여 브레이크(B)를 해제한다.
그런데, 브레이크영역이 해제영역에 있고, 브레이크(B)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상기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에 의해 발전기모터(16)의 회전속도제어가 행하여지고, 그 동안에,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으로서의 학습제어처리수단은 학습제어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은, 학습제어처리에 있어서 산출된 학습치(γa)에 근거하여 엔진토크 상당분(TGa)이 산출된다.
그 때문에, 상기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엔진토크 산출처리수단은, 엔진(11)의 운전상태에 근거하여 엔진토크 산출처리를 행하고, 차량속도(V)를 읽어내어, 이 차량속도(V) 및 플래니터리 기어 유닛(13)으로부터 구동륜(37)까지의 기어비에 근거하여 출력회전속도(NO)를 산출하고, 이 출력회전속도(NO) 및 발전기모터회전속도(NG)에 근거하여, 상기 식(1)에 의해 엔진회전속도(NE)를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엔진토크 산출처리수단은, 엔진제어장치(46)로부터 스로틀개도(θ)를 읽어내고, 도시되지 않은 엔진토크맵을 참조하여, 상기 스로틀개도(θ) 및 상기 엔진회전속도(NE)에 대응하는 엔진토크(TE)를 산출한다.
또, 상기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발전기모터토크 산출처리수단은, 발전기모터토크 산출처리를 행하고, 도시되지 않은 발전기모터토크맵을 참조하여,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 및 배터리전압(VB)에 대응하는 발전기모터토크(TG)를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학습제어처리수단의 학습치 산출처리수단은, 학습치 산출처리를 행하고, 상기 엔진토크(TE) 및 발전기모터토크(TG)를 읽어내어, 엔진토크(TE) 에 대한 발전기모터토크(TG)의 비율, 즉 토크비(γ)를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학습치 산출처리수단은, 소정의 제어주기마다 상기 토크비(γ)를 산출하고, 과거 소정의 복수회에 걸쳐서 산출된 토크비(γ)의 평균치를 학습치(γa)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학습치(γa)에 의해, 추정되는 엔진토크(TE)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가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엔진토크(TE) 및 발전기모터토크(TG)에 근거하여 학습치(γa)가 산출되면, 상기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은, 상기 엔진토크 산출처리수단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즉 추정된 엔진토크(TE)에 상기 학습치(γa)를 곱함으로써, 엔진토크(TE)를 보정하여,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엔진토크(TE) 및 학습치(γa)에 근거하여 엔진토크 상당분(TGa)이 산출되고, 상기 브레이크(B)를 해제할 때에, 발전기모터(16)가 구동 되어 엔진토크 상당분(TGa)이 발생되기 때문에, 엔진(11)의 사용환경, 예컨대 엔진오일의 농도 등에 의한 영향, 및 엔진(11) 자체의 고체차, 예컨대 엔진(11)의 관성에 의한 영향이, 브레이크(B)가 해제된 후의 로터(21)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모터토크(TG) 및 엔진토크(TE)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쇼크가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플로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 : 브레이크영역이 맞물림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브레이크영역이 맞물림영역에 있는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맞물림영역에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 : 브레이크(B)가 맞물려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브레이크(B)가 맞물려 있는 경우는 스텝 S3로, 맞물려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 :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를 행한다.
스텝 S4 :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발생시킨다.
스텝 S5 : 브레이크(B)를 해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6 : 회전속도제어를 행한다.
스텝 S7 : 학습제어처리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7의 플로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3-1 : 엔진토크(TE)에 학습치(γa)를 곱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8의 플로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7-1 : 토크비(γ)에 근거하여 학습치(γa)를 산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학습제어처리에 있어서 토크비(γ)를 산출함으로써 학습치(γa)를 산출하고, 상기 엔진토크(TE)에 학습치(γa)를 곱함으로써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지만, 학습제어처리에 있어서, 엔진토크(TE)와 발전기모터토크(TG)의 차이를 산출함으로써 학습치를 산출하고, 상기 엔진토크(TE)에 학습치(γa)를 가산함으로써 엔진토크 상당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동작을 나타낸 메인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학습제어처리의 서브루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브레이크영역이 해제영역에 있고, 고정수단으로서의 브레이크(B)(도 2)가 해제되어 있을 때에, 발전기모터 제어수단으로서의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도 5)에 의해 발전기모터(16)의 회전속도제어가 행하여지지만, 이 회전속도제어가 행하여질 때에, 학습제어처리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리고, 브레이크영역이 해제영역에 있고, 브레이크(B)가 맞물려 있을 때에, 상기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추정토크 산출처리수단으로서의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은,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를 행하고, 브레이크(B)를 해제했을 때에 실제로 로터(21)에 전달되는 엔진토크(TEa)에 상당하는 발전기모터토크(TG)를, 학습제어처리에 의해 엔진토크 상당분(TGa)으로서 산출한 다.
이어서, 상기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목표 발전기모터토크 설정처리수단은, 목표 발전기모터토크 설정처리를 행하고, 상기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읽어내어, 이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목표 발전기모터토크(TG*)로서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로 보내어,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는, 차량제어장치(51)로부터 목표 발전기모터토크(TG*)가 보내져 오면, 이 목표 발전기모터토크(TG*)에 근거하여 발전기모터토크 지령치(STG*)를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발전기모터 제어장치(47)의 도시되지 않은 전류지령치 발생처리수단은, 상기 발전기모터토크(TG)와 상기 발전기모터토크 지령치(STG*)의 편차(ΔTG)가 O이 되도록 전류지령치(IG)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지령치(IG)를 발전기모터(16)로 보내어, 발전기모터(16)를 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발전기모터(16)에 있어서 엔진토크 상당분(TGa)의 발전기모터토크(TG)가 발생되고, 토크제어가 행하여진다. 이어서,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해제처리수단으로서의 해제처리수단은, 해제처리를 행하여 브레이크(B)를 해제한다.
그리고, 브레이크(B)가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차량제어장치(51)의 도시되지 않은 학습제어처리수단은 학습제어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차량제어장치(51)의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92)의 도시되지 않은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은, 학습제어처리에 있어서 산출된 학습치(νb)에 근거하여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산출한다.
그 때문에, 상기 학습제어처리수단의 학습치 산출처리수단은, 학습치 산출처 리를 행하고, 상기 브레이크(B)를 해제했을 때의, 발전기모터 회전속도센서(38)에 의해 검출된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를 읽어내고, 브레이크(B)가 해제됨에 따라서 변화된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의 변화량(ΔNG)을 각가속도(ω')로서 산출하고, 이 각가속도(ω')와 발전기모터(16)의 관성(I)〔kgㆍ㎡〕을 곱함으로써, 엔진토크(TE)와 발전기모터토크(TG)의 차이를 토크차(ΔT)로서 산출한다.
이어서, 상기 학습치 산출처리수단은, 소정의 제어주기마다 상기 토크차(ΔT)를 산출하고, 과거 소정의 복수회에 걸쳐 산출된 토크차(ΔT)의 평균치를 학습치(ΔTa)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학습치(ΔTa)에 의해, 추정되는 엔진토크(TE)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가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학습치(ΔTa)가 산출되면, 상기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은, 상기 엔진토크 산출처리수단에 의해 산출되고, 또한 추정된 엔진토크(TE)에 상기 학습치(ΔTa)를 가산함으로써, 엔진토크(TE)를 보정하고,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엔진토크(TE) 및 학습치(ΔTa)에 근거하여 엔진토크 상당분(TGa)이 산출되고, 상기 브레이크(B)를 해제할 때에, 발전기모터(16)가 구동되어 엔진토크 상당분(TGa)이 발생되기 때문에, 엔진(11)의 사용환경, 예컨대 엔진오일의 온도 등에 의한 영향, 및 엔진(11) 자체의 고체차, 예컨대 엔진(11)의 관성에 의한 영향이, 브레이크(B)가 해제된 후의 로터(21)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모터토크(TG) 및 엔진토크(TE)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쇼크가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의 플로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1 : 브레이크영역이 맞물림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브레이크영역이 맞물림영역에 있는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맞물림영역에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 : 브레이크(B)가 맞물려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브레이크(B)가 맞물려 있는 경우는 스텝 S14로, 맞물려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 : 회전속도제어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4 :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를 행한다.
스텝 S15 : 엔진토크 상당분(TGa)을 발생시킨다.
스텝 S16 : 브레이크(B)를 해제한다.
스텝 S17 : 학습제어처리를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11의 플로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17-1 : 발전기모터 회전속도(NG)의 변화량(ΔNG)에 근거하여 학습치(ΔTa)를 산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근거하여 여러가지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브리드형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과, 발전기모터와,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과, 적어도 3개의 기어요소를 구비하고, 각 기어요소가 상기 엔진, 발전기모터 및 출력축에 각각 연결된 차동기어장치와, 상기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처리수단과, 상기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는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을 갖는다.
이 경우,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가 산출되고, 상기 추정엔진토크가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되기 때문에, 엔진의 사용환경, 예컨대 엔진오일의 온도 등에 의한 영향, 및 엔진 자체의 고체차, 예컨대 엔진의 관성에 의한 영향이,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된 후의 발전기모터의 로터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모터토크 및 엔진토크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쇼크가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1)

  1. 엔진과, 발전기모터와,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과, 적어도 3개의 기어요소를 구비하고, 각 기어요소가 상기 엔진, 발전기모터 및 출력축에 각각 연결된 차동기어장치와, 상기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처리수단과, 상기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는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은, 상기 추정엔진토크에 대한 발전기모터토크의 비율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엔진토크는 엔진의 운전상태에 근거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는, 복수의 변동치를 평균함으로써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6. 엔진과, 발전기모터와,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과, 적어도 3개의 기어요소를 구비하고, 각 기어요소가 상기 엔진, 발전기모터 및 출력축에 각각 연결된 차동기어장치와, 상기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과, 발전기모터의 각가속도(角加速度; angular acceleration)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는 보정치 산출처리수단과,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는 엔진토크 보정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 산출처리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의 각가속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8.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된 추정엔진토크에 상당하는 엔진토크 상당분을 산출하는 엔진토크 상당분 산출처리수단과, 상기 발전기모터에 의해 엔진토크 상당분을 발생시켜서 토크제어를 행하는 토크제어 처리수단과, 상기 엔진토크 상당분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처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구동륜의 사이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
  10. 엔진, 발전기모터, 및 이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 및 발전기모터토크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고,
    상기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며,
    상기 보정치의 산출처리는,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방법.
  11. 엔진, 발전기모터, 및 이 발전기모터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발전기모터의 각가속도에 근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고,
    추정에 의해 산출된 추정엔진토크를 상기 보정치에 의해 보정하며,
    상기 보정치의 산출처리는, 고정수단에 의한 회전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010080042A 2000-12-27 2001-12-17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0794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9059A JP3815220B2 (ja) 2000-12-27 2000-12-27 ハイブリッド型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0-00399059 2000-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69A KR20020054269A (ko) 2002-07-06
KR100794962B1 true KR100794962B1 (ko) 2008-01-15

Family

ID=1886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042A KR100794962B1 (ko) 2000-12-27 2001-12-17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83626B2 (ko)
EP (1) EP1219486B1 (ko)
JP (1) JP3815220B2 (ko)
KR (1) KR100794962B1 (ko)
DE (1) DE6013775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6084B2 (ja) * 2002-08-09 2009-03-1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装置、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方法及び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のプログラム
JP2004248382A (ja) * 2003-02-12 2004-09-02 Mitsubishi Motors Corp ハイブリッド車
JP3900105B2 (ja) * 2003-04-11 2007-04-0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装置、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063744B2 (ja) * 2003-09-24 2008-03-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輌の制御装置
US7024299B2 (en) * 2004-05-15 2006-04-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dynamically determining peak output torque within battery constraints in a hybrid transmission including a parallel hybrid split
US7223203B2 (en) * 2004-09-01 2007-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detecting torque disturbances in a hybrid vehicle
KR100830056B1 (ko) * 2005-03-29 2008-05-16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브리드 구동장치
US20070007056A1 (en) * 2005-07-07 2007-01-11 Billy Bowers Low speed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05041663A1 (de) * 2005-09-02 2007-03-15 Robert Bosch Gmbh Momentüberwachung für einen Hybridantrieb
DE102005048704B3 (de) * 2005-10-11 2007-05-10 Siemens Ag Verfahren zur Optimierung einer Ventilhubumschaltung bei Ottomotoren
DE102005055001A1 (de) 2005-11-18 2007-05-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Antriebsmoment-Korrekturfaktors zum Abgleich von zusammenwirkenden Antriebsmomenten verschiedener Antriebseinrichtungen
KR100748659B1 (ko) * 2005-12-01 2007-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중립레인지에서의 충전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JP5106869B2 (ja) * 2007-01-24 2012-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車両、駆動装置
JP4577582B2 (ja) * 2007-08-31 2010-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イブリッド車の動力制御装置
DE102007050113A1 (de) * 2007-10-19 2009-04-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Hybridantriebsvorrichtung
JP4557061B2 (ja) * 2008-07-11 2010-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00056325A1 (en) * 2008-08-29 2010-03-04 Paccar Inc Automatic throttle response for a hybrid vehicle
US8452472B2 (en) * 2009-05-27 2013-05-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hybrid vehicle
CN102497987B (zh) 2009-09-17 2015-01-28 三菱树脂株式会社 双轴取向聚酯膜
KR101234652B1 (ko) * 2010-12-02 2013-02-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가속 토크 제어 방법 및 장치
JP5382467B2 (ja) * 2011-04-20 2014-01-0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KR101795378B1 (ko) * 2012-08-07 2017-11-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하중에 기초하여 엔진 토크를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6102753B2 (ja) * 2014-01-08 2017-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10411631B2 (en) * 2016-04-27 201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bration damping in a powertrain system
US10883437B2 (en) * 2017-09-19 2021-01-05 Doug Abolt Horsepower on demand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507A (ja) * 1995-05-19 1996-11-29 Aqueous Res:Kk ハイブリッド車両
JPH09100853A (ja) * 1995-10-06 1997-04-15 Aqueous Res:Kk ハイブリッド車両
KR970065268A (ko) * 1996-03-12 1997-10-13 하나와 기이찌 제동력 제어 장치
JPH10231743A (ja) * 1998-03-25 1998-09-02 Aqueous Res:Kk リングギヤのトルク算出装置及びトルク算出方法
JP2000310131A (ja) * 1999-04-27 2000-11-07 Hitachi Ltd ハイブリッド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698B2 (ja) * 1995-02-02 1998-09-1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ハイブリッド車両
JP3534271B2 (ja) * 1995-04-20 2004-06-07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ハイブリッド車両
US5823281A (en) * 1995-05-25 1998-10-20 Kabushikikaisha Equos Reseach Hybrid vehicle
JP3514214B2 (ja) * 1995-12-05 2004-03-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
JP3104632B2 (ja) * 1997-02-25 2000-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イブリッド車制御装置
JP3050141B2 (ja) * 1996-09-24 2000-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336951B2 (ja) * 1998-04-28 2002-10-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の動力伝達装置
JP3451935B2 (ja) * 1998-06-03 2003-09-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6522024B1 (en) 1998-12-24 2003-02-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Output state det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33357B2 (ja) * 1999-03-31 2005-03-3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2001006210A (ja) * 1999-06-22 2001-01-12 Sony Corp 光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244499B2 (ja) * 2000-05-25 2009-03-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3573202B2 (ja) * 2000-11-06 2004-10-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トルク制御装置
JP3777975B2 (ja) * 2000-11-20 2006-05-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2002199508A (ja) * 2000-12-27 2002-07-12 Aisin Aw Co Ltd ハイブリッド型車両
JP2002195137A (ja) * 2000-12-27 2002-07-10 Aisin Aw Co Ltd ハイブリッド型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JP4236084B2 (ja) * 2002-08-09 2009-03-1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装置、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方法及びハイブリッド型車両駆動制御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507A (ja) * 1995-05-19 1996-11-29 Aqueous Res:Kk ハイブリッド車両
JPH09100853A (ja) * 1995-10-06 1997-04-15 Aqueous Res:Kk ハイブリッド車両
KR970065268A (ko) * 1996-03-12 1997-10-13 하나와 기이찌 제동력 제어 장치
JPH10231743A (ja) * 1998-03-25 1998-09-02 Aqueous Res:Kk リングギヤのトルク算出装置及びトルク算出方法
JP2000310131A (ja) * 1999-04-27 2000-11-07 Hitachi Ltd ハイブリッド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15220B2 (ja) 2006-08-30
JP2002195065A (ja) 2002-07-10
KR20020054269A (ko) 2002-07-06
US20020079148A1 (en) 2002-06-27
EP1219486A3 (en) 2005-12-14
DE60137750D1 (de) 2009-04-09
US6883626B2 (en) 2005-04-26
EP1219486A2 (en) 2002-07-03
EP1219486B1 (en)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962B1 (ko) 하이브리드형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03106A1 (en) Electric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077003B2 (ja) 電動車両駆動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951562B2 (ja) ハイブリッド型車両
US6546319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US8032287B2 (en) Control apparatus of driving system for vehicle
US7565938B2 (e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drive controller and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drive control method
JP2007118697A (ja) 電動車両駆動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21067A (ja) 電動車両駆動制御装置及び電動車両駆動制御方法
JP2002195137A (ja) ハイブリッド型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30130772A1 (en) Electric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electric vehicle drive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20020053724A (ko) 하이브리드형 차량
JP2007244071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102057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8126863A (ja) モータ駆動車両用制御装置及びモータ駆動車両
JP2005117779A (ja) ハイブリッド車輌の制御装置
JP3702567B2 (ja) 車両用駆動装置の変速制御装置
JP2002152911A (ja) 車両の4輪駆動制御装置
JP4134977B2 (ja) ハイブリッド変速機のモード切り替え制御装置
JP387973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4186921B2 (ja) ハイブリッド変速機のイナーシャトルク補償装置
JP4788155B2 (ja) 電動モータ式4輪駆動車両のスタック検出装置およびスタック時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2006214538A (ja) 電動モータ式4輪駆動車両における発電機出力制御装置
JP2000278812A (ja) ハイブリッド型車両
JP2005185064A (ja) パラレルハイブリッド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