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508B1 - 차량용 후사경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508B1
KR100791508B1 KR1020060100233A KR20060100233A KR100791508B1 KR 100791508 B1 KR100791508 B1 KR 100791508B1 KR 1020060100233 A KR1020060100233 A KR 1020060100233A KR 20060100233 A KR20060100233 A KR 20060100233A KR 100791508 B1 KR100791508 B1 KR 10079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view mirror
mirror
rear view
view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호
Original Assignee
허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민호 filed Critical 허민호
Priority to KR102006010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사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통상의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26)은 중앙의 후방 관찰용 거울(21)의 좌우측부에 각각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이 일체화된 단일 거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 관찰용 거울(21)과 좌후방 관찰용 거울(23) 및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볼록 거울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중앙지역을 관찰함은 물론 차량 후미의 우측지역과 좌측지역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야간 주차시와 같이 차량 후진시에는 차량의 후미중앙과 차량후미의 우측과 좌측 사각지대에도 조명을 비출 수 있어서 차량의 후진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함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차량 후미, 모서리, 사각지대, 좌후방 관찰용 거울, 우후방 관찰용 거울

Description

차량용 후사경{Backward detection mirror}
도 1은 통상의 승합차의 후미에 후사경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사경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사경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후사경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후사경의 관찰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후사경을 차량 후미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후방 관찰용 거울 22. 우후방 관찰용 거울
23. 좌후방 관찰용 거울 27. 후진등
본 발명은 차량용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 중앙지역을 관찰함은 물론 차량 후미의 우측지역과 좌측지역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야간 주차시와 같이 차량 후진시에는 차량의 후미중앙과 차량후미의 우측과 좌측 사각지대에도 조명을 비출 수 있어서 차량의 후진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된 차량용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의 후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사경(16)을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도 2는 후사경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에 의하면, 후사경(16)은 후사경 케이스(13)에 내장되어 브라켓(12)을 매개로 승합차의 우측 후미에 치우쳐 설치되거나 승합차의 후미 중앙에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후사경(16)은 RV 차량이나 승합자의 후미에 부착하여 차량의 후방을 주시하도록 된 것이지만, 차량의 좌측 후미에 설치된 경우, 차량의 좌측 모서리 지역과 후미 중앙 지역은 볼 수 있으나, 차량 후미의 우측지역은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후사경(16)을 차량의 후미 중앙에 설치한 경우, 차량의 후미 중앙 지역은 볼 수 있으나, 차량의 좌측 모서리 지역과 우측 모서러 지역은 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야간 주차시에 차량에 부착된 후진등의 빛이 차량 후미 일부분만 비추도록 되어 있어, 차량 후미의 좌우측 끝부분은 운전자가 관찰할 수 없어 후진시 다른 물체에 차량이 부딪히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후방주시 거울을 통하여 물체를 어느 정도 확인한 후 차량에서 하차하여 직접 차량후미 모서리 부분이 다른 물체와 부딪힐 수 있는 거리를 대충 짐작하여 후진 주행해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리어스포일러와 후사경이 별도의 상품으로 분리되어 제공되므로 비용면에서 낭비가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방 중앙을 볼 수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차량 후미의 우측지역과 좌측지역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폭넓게 주시 관찰할 수 있어 차량의 안전 운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야간 주차시에는 차량에 부착된 후진등의 빛이 차량 후미중앙은 물론 차량후미의 우측과 좌측 사각지대에도 비출 수 있어 차량의 후진 주행시 더욱 안전하고 용이함 등의 효과가 있는 차량용 후사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통상의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26)은 중앙의 후방 관찰용 거울(21)의 좌우측부에 각각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이 일체화된 단일 거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우후방 관찰용 거울(22)과 좌후방 관찰용 거울(23)은 볼 록 거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 관찰용 거울(21)은 평면 거울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사경이 제공된다.
상기 후사경(26)의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각각 후사경(26)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차량의 후방과 나란한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각각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전진한 위치와 차량의 후미 방향에서 후퇴한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사경(26)의 전방에 위치되는 후진등(27)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사경(26)은 차량의 후미에 고정되는 후사경 케이스(24)에 내장되고, 상기 후사경 케이스(24)의 전방에는 차량의 후미에 후사경 케이스(24)를 고정하는 브라켓(25)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25)에 상기 후진등(27)이 장착되어 상기 후사경(26)의 전방에 상기 후진등(27))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사경(26)은 상기 후사경 케이스(24)에 내장되어 차량의 후미 좌우측에 한 쌍으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후사경(26)이 차량의 후미 좌우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후사경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후사경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후사경의 관찰 범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후사경을 차량 후미의 좌우측에 한 쌍 으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후사경(26)은 기존의 후방관찰용거울(21)과 차량후미의 좌후방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좌후방관찰용거울(23) 및 차량후미의 우후방사각지대를 볼 수 있는 우후방관찰용거울(22)이 일체화된 단일 거울 형태로 제작되어 구성된다. 또한, 후사경(26)은 후사경 케이스(24)에 내장되고, 후사경 케이스(24)의 전방에는 브라켓(25)이 구비되어, 브라켓(25)을 차량의 후미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후사경 케이스(24)와 후사경(26)을 차량 후미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후사경의 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후사경(26)은 차량의 후미 중앙지역의 관찰/확인을 위한 후방 관찰용 거울(21)의 양측에 각각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이 일체화된 단일 거울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관찰용 거울(21)은 평면 거울 형태이고 좌후방 관찰용 거울(23) 및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볼록 거울 형태이다.
따라서, 평면 거울 형태의 후방 관찰용 거울(21)에 의해 차량의 후방 중앙부는 실제 거리로 보이고, 볼록 거울 형태의 좌후방 및 우후방 관찰용 거울(23,22)에 의해 차량 후방의 좌우측 모서리 사각지대까지 광범위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사경(26)의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각각 후사경(26)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차량의 후방과 나란한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각각 차량의 후방으로 전진한 위치와 차량의 후방에서 후퇴한 위치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후사경(26)의 후방 관찰용 거울(21)에 의해 승용차 후미 중앙부의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좌후방 관찰용 거울(23)에 의해 차량 후미의 좌측 사각지대를 폭넓게 볼 수 있고,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에 의해 차량 후미의 우측 사각지대를 폭넓게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사경(26)의 후방 관찰용 거울(21)은 a 범위에서 시야를 확보하고, 좌후방 관찰용 거울(23)은 b 범위까지 시야를 확보하며,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c 범위까지 시야를 확보하므로, 후사경(26)을 차량의 우측 후방에 치우치도록 설치하여도, 운전자가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에 의해 차량의 우후방 모서리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후방 관찰용 거울(23)에 의해 차량의 좌후방 모서리 부분까지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차량이 후진할 때 차량과 차량의 사이가 극히 협소한 곳을 서서히 후진하면서 차량간 접촉여부를 관찰할 수가 있고, 차량이 후진할 때 하측으로 향한 볼록거울은 차량후미 지면을 확인할 수 있어 보도블럭등 돌출부 옆에 쉽게 주차가 가능하고, 지면의 요철부분을 쉽게 관찰이 되어 운전자가 안전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25)에 후진등(27)이 더 구비된다. 즉, 후진등(27)은 후사경 케이스(24)의 전방 브라켓(25)에 내장되어, 후사경(26)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진등(27)은 차량이 출고될 때 부착된 후진등의 반사각도와 밝기가 각각 한정되어 있어 차량을 야간에 후진 주행할 때 물체식별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진등(27)은 차량후미 좌우 모서리에 형성되는 사각지대의 밝기를 중점적으로 보완함으로써, 운전자가 야간에 더욱 안전하고 편안하게 차량을 후진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후진등(27)의 전원은 차량 출고시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후진등의 전원을 채용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사경(26)은 차량의 후미 좌우측에 한 쌍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후사경(26)을 후사경 케이스(24)에 내장하여 브라켓(25)을 차량 후미의 좌우측에 고정함으로써, 후사경(26)을 차량 후미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배치한다. 도 7에서는 리어스포일러(29)에 브라켓(25)을 고정하여 후사경(26)을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데, 차량 후미의 좌우측 모서리 부분의 사각지대를 보다 잘 보이도록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차량 뒷자석에 탑승한 사람이 있을 경우 탑승자에 의해 후사경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7에서는 후진등(27)이 좌우측 후사경(26)의 전방에 각각 위치되도록 후사경 케이스(24)의 브라켓(25)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결국, 후방 관찰용 거울(21)과 좌후방 관찰용 거울(23) 및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이 단일 거울로 일체화된 본 발명은 차량 후미의 좌,우측면의 사각지대를 한번에 볼 수 있으며, 특히 야간에 차량 후미 장애물 등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후진등(27)을 설치하여 차량 후진시 차량의 좌우측 모서리 부분과 장애물이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 후방의 중앙 지역은 물론 종래에는 볼 수 없었던 차량 후미의 좌우측 모서리 부분의 사각지대까지 폭넓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차량 후방 주행시 다른 물체에 차량의 후미 부분이 부딪혀서 발생되는 사고나 손실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사경에 더하여 추가된 후진등에 의해 차량 후미 부분의 중앙 지역은 물론 차량 후미의 좌우측 모서리 사각지대에도 빛을 비추어서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차량 후미의 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야간에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후진 주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사경에 더하여 후진등을 별도로 더 설치함으로써, 야간 후진 운전시에 운전자가 가장 신경써야 하는 안전주차와 차량 주변의 돌출 장애물과의 접촉 사고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차량의 후미에 장착되는 통상의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26)은 중앙의 후방 관찰용 거울(21)의 좌우측부에 각각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이 일체화된 단일 거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후방 관찰용 거울(23) 및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볼록 거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후사경(26)의 좌후방 관찰용 거울(23)과 우후방 관찰용 거울(22)은 각각 후사경(26)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차량의 후방과 나란한 가상의 중심선(C-C)을 기준으로 각각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전진한 위치와 차량의 후미 방향에서 후퇴한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사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26)은 차량의 후미에 고정되는 후사경 케이스(24)에 내장되고, 상기 후사경 케이스(24)의 전방에는 차량의 후미에 후사경 케이스(24)를 고정하는 브라켓(25)가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25)에 상기 후진등(27)이 장착되어 상기 후사경(26)의 전방에 상기 후진등(27))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차량용 후사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26)은 상기 후사경 케이스(24)에 내장되어 차량의 후미 좌우측에 한 쌍으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사경.
KR1020060100233A 2006-10-16 2006-10-16 차량용 후사경 KR10079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33A KR100791508B1 (ko) 2006-10-16 2006-10-16 차량용 후사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233A KR100791508B1 (ko) 2006-10-16 2006-10-16 차량용 후사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508B1 true KR100791508B1 (ko) 2008-01-03

Family

ID=3921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233A KR100791508B1 (ko) 2006-10-16 2006-10-16 차량용 후사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973A (ko) * 2019-11-22 2019-11-29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041A (ja) * 1988-06-27 1990-01-11 Konica Corp 写真感光材料の処理機
KR200183018Y1 (ko) * 1999-12-15 2000-05-15 상진산업주식회사 제동등과 후진등이 장착된 후사경
KR200280083Y1 (ko) * 2002-01-30 2002-06-27 (주)브이엔지 부착판을 구비한 자동차 후사경
KR200284078Y1 (ko) * 2002-05-02 2002-07-31 최정곤 다기능 램프가 장착된 자동차용 리어백미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041A (ja) * 1988-06-27 1990-01-11 Konica Corp 写真感光材料の処理機
KR200183018Y1 (ko) * 1999-12-15 2000-05-15 상진산업주식회사 제동등과 후진등이 장착된 후사경
KR200280083Y1 (ko) * 2002-01-30 2002-06-27 (주)브이엔지 부착판을 구비한 자동차 후사경
KR200284078Y1 (ko) * 2002-05-02 2002-07-31 최정곤 다기능 램프가 장착된 자동차용 리어백미러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183018 호Y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280083호Y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284078호 Y1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2-007041호 U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973A (ko) * 2019-11-22 2019-11-29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36B1 (ko) 2019-11-22 2020-02-13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508B1 (ko) 차량용 후사경
WO2009051374A1 (en) Driving safety device of vehicle
KR100791506B1 (ko) 개량된 백미러
KR200262474Y1 (ko) 램프가 부설된 후사경
KR100791507B1 (ko) 리어스포일러 장치
JP3133977U (ja) バックミラー
US20060279861A1 (en) Saftey mirror
KR200175111Y1 (ko)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KR100666539B1 (ko) 자동차 베이스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KR200193216Y1 (ko) 전방 좌, 우측방향 사이드미러를 부착한 자동차의 엠블렘
KR200169877Y1 (ko) 승합차 후측방 사각 미러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WO2005118338A1 (en) The flank indicator lamp and a rear guard lamp
KR200277861Y1 (ko) 승용차의 주차용 실내 오목렌즈
KR200167644Y1 (ko) 차량용 보조 후진등
KR1005102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US20060279864A1 (en) On structure of a side mirror
KR20140074054A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0206576Y1 (ko) 자동차 후방 감시용 거울
JP3019361U (ja) 反射鏡
KR200200729Y1 (ko) 자동차 후면 장착용 사이드미러
JP2009269588A (ja) 反射バックミラー
KR200291702Y1 (ko) 리어 언더 뷰 미러
KR20010002153A (ko) 차량용 보조 후진등
KR200200730Y1 (ko) 자동차의 전방 측방향 관측용 사이드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