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644Y1 - 차량용 보조 후진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후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644Y1
KR200167644Y1 KR2019990016422U KR19990016422U KR200167644Y1 KR 200167644 Y1 KR200167644 Y1 KR 200167644Y1 KR 2019990016422 U KR2019990016422 U KR 2019990016422U KR 19990016422 U KR19990016422 U KR 19990016422U KR 200167644 Y1 KR200167644 Y1 KR 200167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clock
securing mean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행자
Original Assignee
한행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행자 filed Critical 한행자
Priority to KR2019990016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6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보조 후진등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기술에 의한 후진등이 리어범퍼나 리어 리드 패널에만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야간 후진시 측후방의 시계확보가 불량하여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차량의 야간 후진시 측후방 시계확보가 가능하도록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의해 점/소등되는 시계확보수단(100)을 구비한 보조 후진등이 차량 사이드 미러 하우징(10)이나, 프론트 펜더(64), 프론트 도어(72)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101)의 야간 후진시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의해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이 점등됨으로써, 야간 후진시 차량(101)의 측후방의 시계가 용이하게 확보되어 접촉사고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후진등{A AUXILIARY BACK UP LAMP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용 보조 후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 후진등을 사이드 미러나 보조 방향지시등 또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의 측면에 설치하여 차량의 후진시 측후방의 시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보조 후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후진등(BACK UP LAMP)은 차량의 후방의 범퍼나 콤비네이션 램프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진시 후방차량에 이를 알려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후방시계를 확보함으로써 차량의 후진을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후진등은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이 아니고, 변속레버를 후진쪽으로 선택했을 경우에 점등되고, 전진쪽으로 선택했을 경우에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후진등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리어범퍼(2)나 리어 리드 패널(3)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야간에 점등시 차량(1)의 후방을 비춤으로써, 후방시계는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었으나, 차량(1)의 측면부(측후방)는 비추지 못하게 되어, 야간에 후진으로 주차할 경우에 차량(1)의 측부 장애물(6)을 확인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후진등(4)은 차량(1)의 후방만을 비추도록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차량(1)의 측부영역(5)을 비추지 못하여 측부영역(5)에 위치하는 장애물(6)을 확인하기 곤란하였고, 이로 인하여 차량(1)이 야간에 후진하여 주차할 경우에, 차량(1)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타 차량)(6)에 접촉되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야간 후진시 측후방의 시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보조 후진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야간 후진시 측후방 시계확보가 가능하도록 라이트 스위치와 후진기어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되어 점/소등되는 시계확보수단이 차량 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후진등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계확보수단은 소켓을 구비한 반사판; 상기 소켓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구; 및 상기 반사판의 입구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의한 후진등에 의해 발생한 차량 후방의 가시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후진등이 설치된 차량의 후진 주차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 후진등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조 후진등에 의한 차량 측후방의 추가 가시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제 2실시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5b는 제 2실시예의 보조 후진등에 의한 차량 측후방의 추가 가시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6a는 제 3실시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6b는 제 3실시예의 보조 후진등에 의한 차량 측후방의 추가 가시영역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의 회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을 장착한 차량이 후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a, 9b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이 버스나 대형 트럭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미러 하우징 20 : 설치부
30 : 반사판 32 : 소켓
40 : 전구 50 : 렌즈
60 : 보조 방향지시등 62: 렌즈 하우징
64 : 프론트 펜더 70 : 설치부재
72 : 프론트 도어 100 : 시계확보수단
110 : 라이트 스위치 120 : 후진기어 스위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미설명 부호 '101'은 차량이다.
본 고안은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1)이 야간에 후진할 경우에 차량(101)의 측후방 시계확보가 가능하도록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직렬로 연결되어 점/소등되는 시계확보수단(100)을 구비한 보조 후진등이 차량(101)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가 '온' 상태이고, 상기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온'될 때,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량(101)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직렬로 연결된 소켓(32)을 구비한 반사판(30)과, 상기 소켓(32)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구(40)와, 상기 반사판(30)의 입구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나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직렬로 연결되어 점/소등되는 시계확보수단(100)이 차량(101)의 측부에 설치됨으로써, 차량(101)의 야간 후진시 측후방 시계가 용이하게 확보되어 차량(101)의 측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과의 접촉사고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제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도 3 및 도 4, 도 7을 토대로 설명한다. 이하, 미설명 부호 '22'는 설치부(20)의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홈이고, '52'는 렌즈(5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시계확보수단(100)은 차량(101)의 사이드 미러 하우징(10) 하부에 형성된 설치부(2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설치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미러 하우징(10)의 배면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이 설치부(20)의 내측에는 상기 전구(40)에 전원을 공급할 전선이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전구(40)로부터 발산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30)이 삽입 설치된다. 이 반사판(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구(40)가 교환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소켓(32)을 구비한다.
상기 소켓(32)은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전구(40)가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스티어링 컬럼(도시되지 않음)측에 설치된 라이트 스위치(110)가 '온'되고, 변속레버(도시되지 않음)의 후진기어 선택으로 온/오프되는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온'되었을 때 점등된다.
이는 본 고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100)이 주간에는 점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설치부(20)의 개구방향 및 반사판(30)의 반사각도는 좌측 및 우측의 사이드 미러 하우징(10)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계확보수단(100)의 점등시 빛이 운전자의 눈에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부(20)의 입구측에는 렌즈(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렌즈(50)는 상기 전구(40)의 빛을 확산시키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렌즈(5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50)의 내측면에는 걸림턱(52)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부(20)의 입구측 가장자리에는 걸림홈(2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계확보수단(100)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미러 하우징(10)에 형성된 설치부(20)에 반사판(30)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반사판(30)의 소켓(32)에 전구(40)를 설치한다.
상기 소켓(32)에 전구(40)가 설치되면, 상기 설치부(20)의 입구에 렌즈(50)를 설치하되, 상기 렌즈(50)의 걸림턱(52)이 상기 설치부(20)의 걸림홈(22)에 걸리도록 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실시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100)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20)에 반사판(30)과 전구(40) 그리고 렌즈(50)와 전구(40)로 이루어진 시계확보수단(100)이 설치되고, 상기 전구(40)가 설치되는 소켓(32)은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스위치(110)가 '온'되고,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온'되었을 때 점등되도록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야간에 운전자가 차량(101)을 후진하기 위해서 변속레버(도시되지 않음)를 후진으로 변속하게 되면, 기존의 후진등(도시되지 않음)과 제 1실시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100)이 동시에 점등된다.
즉, 야간에는 라이트 스위치(110)가 필수적으로 '온'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변속레버를 후진으로 변속하게 되면, 상기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온'되어 상기 전구(40)가 점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사이드 미러 하우징(10)에 설치된 시계확보수단(100)이 점등되면, 상기 전구(40)의 빛이 상기 반사판(30)에 반사되어 차량(101)의 후방으로 조사되나, 상기 렌즈(50)에 의해 확산되어 차량(101)의 측후방을 비추게 됨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1)의 측후방 가시영역(A)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차를 완료한 후 변속레버를 전진으로 변속하게 되면, 상기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오프'되어 상기 전구(40)는 소등되어 결국,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소등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제 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a, 5b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미설명 부호 '63'은 렌즈 하우징(6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설치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시계확보수단(100)은 차량(101)의 프론트 펜더(64)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보조 방향지시등(60)의 렌즈 하우징(62) 내부 일측에 형성된 설치부(63)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제 2실시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100)은 차량(101)의 프론트 펜더(64)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상기 보조 방향지시등(60)의 렌즈 하우징(62) 내부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조 방향지시등(60)의 내부 후방부에 설치부(63)가 분할되어 형성되고, 이 설치부(63)에는 소켓(32)을 구비한 반사판(30)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 방향지시등(60)의 렌즈 하우징(62)의 후방부에는 상기 소켓(32)에 설치되는 전구(40)의 빛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렌즈(5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렌즈 하우징(62)의 후방에 형성되는 렌즈(50)는 상기 렌즈 하우징(6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50)의 색상은 상기 보조 방향지시등(60)과는 다르게 투명한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이 차량(101)의 양측 프론트 펜더(64)에 부착되는 보조 방향지시등(60)의 후방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101)을 후진시켜 주차하기 위하여 변속레버를 후진으로 변속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온'되어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점등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야간이기 때문에 이미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가 '온' 상태이고, 따라서 상기 시계확보수단(60)은 변속레버의 조작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이 야간에만 점/소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이 점등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구(40)의 빛은 차량(101)의 측후방으로 조사되고, 상기 렌즈(50)에 의해 확산되어 차량(101)의 측후방을 비추게 됨으로 차량(101)의 측후방 가시영역(B)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제 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a, 6b를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의 시계확보수단(100)은 차량(101)의 프론트 도어(72)에 설치되는 설치부재(7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치부재(70)는 프론트 도어(72)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 설치부재(70)의 일측면에는 안착부(74)가 형성되고, 그 외측면은 만곡지게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설치부재(70)의 안착부(74)는 상기 설치부재(70)의 일측면에 차량(101)의 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이러한 상기 설치부재(70)의 외측면은 차량(101)의 전방측으로 만곡지게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설치부재(70)의 외측면이 만곡지게 경사진 것은 차량(101)의 주행시 바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70)는 나사와 같은 탈부착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론트 도어(72)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안착부(74)에는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이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설치부재(70)의 안착부(74)에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직렬로 연결된 소켓(32)을 구비한 반사판(30)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소켓(32)에는 상기 전구(40)가 교환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렌즈(90)가 안착부(74)에 입구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구(40)는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고, 렌즈(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22)이나 걸림턱(52)에 의해 상기 안착부(74)의 입구 가장자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실시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1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치부재(70)를 차량(101)의 프론트 도어(72) 외측 끝단에 부착하여 상기 후진기어 스위치(120)와 라이트 스위치(110)에 직렬로 연결된 상기 소켓(32)에 전구(40)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부재(70)의 설치부(74)에는 렌즈(50)를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101)을 야간에 후진시키기 위해서 라이트 스위치(110)를 '온'시키고, 변속레버를 후진으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온'되어 상기 전구(40)는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전구(40)가 점등되면, 상기 전구(40)의 빛은 상기 반사판(30)에 의해 후방으로 조사되고, 상기 렌즈(50)에 의해 확산되어 차량(101)의 측후방을 비추게 됨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1)의 측후방 가시영역(C)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변속레버를 전진으로 변속하게 되면 후진기어 스위치(120)가 '오프'되어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소등되는데, 이때 상기 라이트 스위치(110)를 '오프'하여도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소등된다. 이는 상기 후진기어 스위치(120)와 라이트 스위치(110) 그리고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의 전구(40)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차량(101)의 측부에 위치하는 사이드 미러 하우징(10)이나, 프론트 펜더(64)에 설치되는 보조 방향지시등(60) 또는 프론트 도어(72)에 설치되는 별도의 설치부재(70)에 본 고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100)이 설치됨으로써, 차량(101)의 측후방 가시영역(A)이 확보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1)이 야간에 주차를 하기 위하여 후진을 하더라도 상기 측후방 가시영역(A)이 확보되어 운전자가 주차중인 차량(101)의 양측에 위치하는 장애물(타 차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101)의 후진주차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시계확보수단(100)은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트럭이나 버스 등 비교적 길이가 긴 차량(101)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보조 후진등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하우징 하부에 설치되거나 프론트 도어 또는 프론트 펜더의 외측면에 야간 후진시에만 점등되는 시계확보수단을 구성하여 설치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야간 후진시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차량의 측부에 설치된 시계확보수단이 점등됨으로써, 야간 후진시 차량의 측후방의 시계가 용이하게 확보되어 접촉사고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차량의 야간 후진시 측후방 시계확보가 가능하도록 라이트 스위치(110)와 후진기어 스위치(120)에 직렬로 연결되어 점/소등되는 시계확보수단(100)이 차량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후진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소켓(32)을 구비한 반사판(30);
    상기 소켓(32)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구(40); 및
    상기 반사판(30)의 입구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후진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하우징(10) 하부에 차량의 후방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설치부(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후진등.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차량의 프론트 펜더(64)의 측면에 설치되는 보조 방향지시등(60)의 렌즈 하우징(62)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후진등.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확보수단(100)은
    일측면에 차량의 후방측으로 개구된 안착부(74)가 형성되고 외측면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차량의 프론트 도어(72)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재(70)의 상기 안착부(7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후진등.
KR2019990016422U 1999-08-11 1999-08-11 차량용 보조 후진등 KR200167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422U KR200167644Y1 (ko) 1999-08-11 1999-08-11 차량용 보조 후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422U KR200167644Y1 (ko) 1999-08-11 1999-08-11 차량용 보조 후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644Y1 true KR200167644Y1 (ko) 2000-02-15

Family

ID=1958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422U KR200167644Y1 (ko) 1999-08-11 1999-08-11 차량용 보조 후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6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069A (en) Retractable tire change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
CA2486213A1 (en) License plate frame with integral led lamps and camera for rear vsion
KR200167644Y1 (ko) 차량용 보조 후진등
KR20010002153A (ko) 차량용 보조 후진등
US6899450B2 (en) Rear illumination and reflective viewing fixture for motor vehicles
KR970002662Y1 (ko) 자동차용 후사등
KR200249373Y1 (ko) 라이트가 구비된 후방미러조립체
KR200371033Y1 (ko) 측면 방향지시등 겸용 후진등
KR200421686Y1 (ko) 후방등을 겸비한 측면 깜박이
KR200262474Y1 (ko) 램프가 부설된 후사경
KR100791508B1 (ko) 차량용 후사경
KR200237308Y1 (ko) 차량용후사경에형성된보조등의점등구조
KR19980040766U (ko) 야간 인식 등을 구비한 자동차의 백 미러
KR200266202Y1 (ko) 차폭등이 장착된 차량의 백밀러
KR200234344Y1 (ko) 승합차용 후사경
KR200308678Y1 (ko) 차량의 사이드스텝
KR200164298Y1 (ko) 승합차용 후사경
JP3073541U (ja) 後退灯
KR200237309Y1 (ko) 차량후사경장착용보조점등구
KR200291707Y1 (ko) 보조 후진등이 구비된 후사경
KR200154178Y1 (ko) 후진기어 작동시 라이트 전원 차단장치
KR19980059605A (ko) 야간 인식등을 구비한 자동차의 백 미러
KR200277797Y1 (ko) 차량의 측면 확인용 램프가 설치된 사이드 밀러
KR200231248Y1 (ko) 차량의 측면 후진등
JP2002036944A (ja) 車両後端位置標示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