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111Y1 -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111Y1
KR200175111Y1 KR2019990022824U KR19990022824U KR200175111Y1 KR 200175111 Y1 KR200175111 Y1 KR 200175111Y1 KR 2019990022824 U KR2019990022824 U KR 2019990022824U KR 19990022824 U KR19990022824 U KR 19990022824U KR 200175111 Y1 KR200175111 Y1 KR 200175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driver
bent
sid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김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렬 filed Critical 김정렬
Priority to KR2019990022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60R1/007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lateral blind spot not covered by the usual rear-view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장착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미러는, 차체의 측방에 고정되는 미러케이스(100)와; 미러케이스(100) 내부에서 고정부재(210)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는 부착판(200); 및 부착판(200)의 외표면 상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 미러(300)를 포함하여, 차량 탑승자가 미러(300) 하부의 절곡부(320)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 저면의 가시불능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Description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side mirror for cars}
본 고안은 차량 장착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미러의 하부를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측후방 저면의 가시 불능영역을 관찰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및 후진 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해, 차량의 실내에는 룸미러가 설치되고, 양측의 프론트도어에는 사이드미러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룸미러와 사이드미러는 운전자의 후방 관찰을 용이하게 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트럭이나 버스 등 대형차량은 차체가 크기 때문에 운전자가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각도로 관찰하기 위해 다수개의 미러가 설치된다.
차량 측방의 프론트도어에 설치되는 종래의 사이드미러는, 미러케이스와 미러케이스에 조립되는 평판 거울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및 주차할 때 후방의 시야를 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자가 사이드미러를 통해 관찰할 수 있는 영역을 가시영역이라고 하고, 운전자가 사이드미러를 통해 관찰되지 않는 영역을 가시불능영역이 라고 불리어진다. 그래서, 운전자는 차량의 운행 중 가시불능영역을 육안으로 관찰하여야 하고, 운전자가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얼굴을 돌리거나 몸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이런 운전자세는 대단히 위험한 행동이며, 운전자의 전방 주시 소홀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 불능영역을 관찰할 수 있는 곡면거울이 달린 보조미러(3)가 사이드 미러케이스(1)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미러(3)를 설치하면 가시 불능영역을 관찰할 수는 있으나 운전중 운전자는 후방을 관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룸미러(미도시), 사이드 미러(2) 및 보조미러(3) 등 여러개의 미러를 관찰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전방 주시가 소홀하게 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본적인 사이드미러(2)외에 보조미러(3)를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이드미러의 하부를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측후방 저면의 가시 불능영역을 관찰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및 후진 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사고를 예방하는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사이드미러에 보조미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도
도 2 -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를 보인도
도 3 -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의 가시영역을 표시한 도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가 대형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러케이스 200 : 부착판
210 : 고정부재 220 : 장착부
300 : 미러 310 : 중앙부
320 : 절곡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장착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차체의 측방에 고정되는 미러케이스와; 미러케이스 내부에서 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는 부착판; 및 부착판의 외표면 상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 미러를 포함하여, 차량 운전자가 미러 하부의 절곡부를 통하여 가시 불능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미러의 중앙부는 평판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이드미러의 하부를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여 가시 불능지역을 관찰할 수 있어 차량의 출발 및 후진시 시야가 확보되어 사고를 예방하는 잇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를 보인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의 가시영역을 표시한 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가 대형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는 차량에 장착되는 미러케이스(100), 미러케이스(100)에 고정되는 부착판(200) 및, 부착판(200)에 부착되는 미러(300)로 구성된다.
미러케이스(100)는 차량 측방의 프론트도어 등에 설치된다. 미러케이스(100)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사이드미러케이스와 동일한 형상이며, 미러케이스(100)의 하측 가장자리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미러의 절곡부(320)의 하측 단부의 인접한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유는 미러(300)의 절곡부(320)를 통해 가시 불능영역의 관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미러케이스(100) 내부에서 고정부재(210)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는 부착판(200)을 설명한다. 부착판(200)은 판상형태이며, 하부가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전면은 내부에 장착부(220)가 형성되어 미러(300)가 장착된다. 그리고, 후면은 고정부재(21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210)는 미러케이스(100) 내부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부착판(200)의 후면에 고정된다.
부착판(200)에 부착되는 미러(300)를 설명한다. 미러(300)는 중앙부(310)와 그 하부의 절곡부(320)가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미러(300)는 부착판(200)의 장착부(220)에 고정 설치된다. 미러(300)는 일반적인 거울 형태 또는 금속 표면을 미세하게 가공하여 반사효율을 높인 금속 거울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중앙부(310)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적용되는 평판형태의 미러와 곡면형태의 미러 등이 사용된다.
또한, 하부의 절곡부(320)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있다. 절곡부의 형태는 평판, 수직방향 곡면 및 수평 곡면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곡부(320)는 일반적인 평판 형태의 미러(300)에 의해 관찰되지 못하는 차량의 측후방 아래의 가시불능지대를 관찰한다.
한편, 버스, 트럭 등과 같은 대형차량의 사이드미러는 차체의 측방에 고정 설치된다. 미러(300)가 외부케이스에 고정되며, 미러의 중앙부(310)는 곡면형태이고, 하부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절곡된 절곡부(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절곡부(320)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형차량은 차량의 차체가 높고 앞바퀴가 운전자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와 같은 사이드미러를 설치하면, 절곡부(320)를 통하여 가시영역이 확대되어 앞바퀴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의 작동 및 효 과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미러는 차량의 측방 프론트도어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측후방 및 측후방 저면의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사이드미러는 중앙부(310)와 절곡부(3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보조미러를 장착하지 않고도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게 되어, 운전자가 사이드미러와 보조미러를 번갈아 관찰하는 불편을 없애고, 운전자가 전방주시에 집중할 수 있다.
특히, 제한된 공간에서 후진시 후방 저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사이드미러를 대형차량에 설치하면, 사이드미러 하부의 절곡부(320)를 통하여 앞바퀴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어, 출발, 후진할 때 앞바퀴를 확인하지 못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장착용 사이드미러에 의하면, 사이드미러의 하부를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여 가시 불능영역을 관찰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및 후진 시 시야가 확보되어 사고를 예방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사이드미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다수개의 사이드미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차량 장착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차체의 측방에 고정되는 미러케이스(100)와;
    상기 미러케이스(100) 내부에서 고정부재(210)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는 부착판(200); 및
    상기 부착판(200)의 외표면 상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부가 절곡된 형상을 갖는 미러(300)를 포함하여,
    차량 운전자가 상기 미러(300) 하부의 절곡부(320)를 통하여 가시 불능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사이드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300)의 중앙부는 평판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는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하향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장착용 사이드미러.
KR2019990022824U 1999-10-22 1999-10-22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KR200175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24U KR200175111Y1 (ko) 1999-10-22 1999-10-22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24U KR200175111Y1 (ko) 1999-10-22 1999-10-22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11Y1 true KR200175111Y1 (ko) 2000-03-15

Family

ID=1959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824U KR200175111Y1 (ko) 1999-10-22 1999-10-22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97B1 (ko) * 2005-11-08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 탑승자를 위한 사이드미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97B1 (ko) * 2005-11-08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 탑승자를 위한 사이드미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111Y1 (ko)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US6799857B2 (en) Lateral-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US6196689B1 (en) Mirror system for tractor trailers
KR100791508B1 (ko) 차량용 후사경
KR200294211Y1 (ko) 사각지대가 없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0288548Y1 (ko) 사각지대가 해소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KR100552436B1 (ko) 자동차용 뒷유리의 후방시야 확보구조
KR200206576Y1 (ko) 자동차 후방 감시용 거울
JP3043527U (ja) 走行用補助ミラー
KR200222792Y1 (ko) 자동차용 후사경의 개량된 거울구조
KR200203299Y1 (ko) 자동차 본네트 미러장치
KR200291702Y1 (ko) 리어 언더 뷰 미러
KR100797917B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KR19980028818U (ko) 자동차의 룸미러
WO2005014339A1 (en) Safety mirror
JP3440438B2 (ja) 安全運転指示装置付後視鏡
KR200200729Y1 (ko) 자동차 후면 장착용 사이드미러
KR19980048197U (ko) 자동차의 보조사이드밀러
KR200331465Y1 (ko) 매직(magic) 사이드 미러
KR200169877Y1 (ko) 승합차 후측방 사각 미러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RU21408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него обзора автомобиля с нестандартным расположением руля
JP2003034183A (ja) セーフティー・ビュー・ドア・ミラー
KR20010075807A (ko) 무사각 백미러
KR19990010462U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