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917B1 -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 Google Patents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917B1
KR100797917B1 KR1020070054353A KR20070054353A KR100797917B1 KR 100797917 B1 KR100797917 B1 KR 100797917B1 KR 1020070054353 A KR1020070054353 A KR 1020070054353A KR 20070054353 A KR20070054353 A KR 20070054353A KR 100797917 B1 KR100797917 B1 KR 10079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iew
vehicle
viewing angl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102007005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방, 후방 및/또는 전방범퍼 하부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지대가 제거된 거울로서 간단하게 사이드미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신규의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을 제공하기 위해 거의 평면형상인 제1거울(11,21,31,51)을 지니는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에 있어서, 그 제1거울(11,21,31,51)의 상변 및/또는 하변을 상부연결선(12,22,52) 및/또는 하부연결선(33,53)으로 하여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거울(15,25,55) 및/또는 제3거울(40,60)이 형성되며, 그 제2거울(15,25,55)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한 때에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운전자의 측방향까지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선(12,22,52)으로부터 적어도 제2거울(15,25,55)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점점 더 큰 곡률로 곡선진 볼록형상의 수평단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거울(40,60)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한 때에 적어도 내측시야각경계선과 하부시야각경계선이 차량의 전방 범퍼의 전방과 그 범퍼전방의 바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연결선(33,53)으로부터 적어도 제3거울(40,60)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점점 더 큰 곡률로 곡선짐과 동시에 측단면상에서 점점 후방으로 배치되는 볼록형상의 수평단면(43)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이드미러, 복합거울, 측방, 후방, 전방범퍼,제2거울, 제3거울

Description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complex mirror for a side mirror assembly in an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시킨 사이드미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에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부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적용시킨 사이드미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작용 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에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부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선 13-13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적용시킨 사이드미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에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부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좌측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적용시킨 사이드미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8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트레일러에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부평면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트레일러의 카고의 꺽은 상태를 도시한 상부평면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덤프트럭의 덤프시의 상태를 도시한 상부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20,30,50: 복합거울
11,21,31,51: 제1거울
12,22,52: 상부연결선
15,25,55: 제2거울
16,26,56: 상변
17,27,41,57,61: 측변
33,53: 하부연결선
40,60: 제3거울
42,62: 하변
본 발명은, 측방, 후방 및/또는 전방범퍼 하부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지대가 제거된 거울로서 간단하게 사이드미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신규의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부분의 차량은, 측후방을 주시관찰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사이드미러를 구비한다. 대부분의 사이드미러는 약간 볼록형상이거나 거의 평면형상으로된 거울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 도어 또는 전방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 며, 측후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차량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되고, 그 각도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안전상 돌출되는 크기를 크게 할 수 없어 운전자의 측후방 시야가 좁아 명확하게 관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측방향까지 관찰할 수 없어 자연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므로, 안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사이드미러의 보조거울 등이 개발되어 있지만,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거나, 설치 등이 복잡하며, 여전히 측후방의 관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각지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거울로서 일체로 형성된 것이 있지만, 종래의 거울에 각도를 달리하여 거울을 부착시키거나 종래의 거울의 단부만을 곡선지게 형성한 것이어서 여전히 사각지대를 형성하며, 매우 시야가 좁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측방, 후방 및/또는 전방범퍼 하부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지대가 제거된 거울로서 간단하게 사이드미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신규의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은, 거의 평면형상인 제1거울을 지니는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에 있어서, 그 제1거울의 상변 및/또는 하변을 상부연결선 및/또는 하부연결선으로 하여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거울 및/또는 제3거울이 형성되며, 그 제2거울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한 때에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운전자의 측방향까지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선으로부터 적어도 제2거울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점점 더 큰 곡률로 곡선진 볼록형상의 수평단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거울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한 때에 적어도 내측시야각경계선과 하부시야각경계선이 차량의 전방 범퍼의 전방과 그 범퍼전방의 바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연결선으로부터 적어도 제3거울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점점 더 큰 곡률로 곡선짐과 동시에 측단면상에서 점점 후방으로 배치되는 볼록형상의 수평단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10)의 구성이 사시도, 도 1의 상부 평면도, 도 1의 좌측면도로 도시되며, 도 4a 및 도 4b에는 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10)을 적용시킨 사이드미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그 복합거울(10)이 장착된 승용차의 상부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복합거울(10)은 거의 평면형상인 제1거울(11)과, 그 제1거울(11)의 상변을 상부연결선(12)으로 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거울(15)로 구성된다.
그 제1거울(11)은, 통상의 승용차용 종래의 거울과 유사한 것으로, 여기서 거의 평면형상인 제1거울은, 약간 곡면진 것을 포함하는 종래의 사이드미러용 거울을 말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거울(15,25,55) 및 제3거울(40,60)보다 곡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2거울(15)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한 때에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운전자의 측방향까지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선(12)으로부터 상부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제2거울(15)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점점 더 큰 곡률로 곡선진 볼록형상의 수평단면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거울(10)은, 자동차중에서도 승용차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그 크기는 일예를 들면, 제1거울(11)의 폭이 13cm 및 높이 9cm의 크기로 형성되고, 제2거울(15)의 폭이 13cm로 동일하고 높이는 7cm로 주된 제1거울(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조적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거울(1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11b)에 의해 종래의 거울인 제1거울(11)의 제1시야각을 형성하여 거의 왜곡됨이 없는 상을 보여줌과 동시에 선(15b)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2거울(15)의 제2시야각을 형성하여 종래보다 휠씬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혀 사각이 없는 측방 및 후방의 충분한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되고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그 중앙부분으로부터 상부로의 수평단면들이 중앙부분보다 더 작은 곡률로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또, 상기 제2거울(15)은, 좌우의 측변(17)보다 중앙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부연결선(12)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돌출되게 되어 수직상으로도 볼록거울을 형성하게 되며, 제1거울(11)로는 수직상에서 시야각이 미치지 아니하는 바닥부분까지 시야각이 미치게 되어 더욱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2거울(15)은, 중앙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양측을 거의 직선화할 수 있어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20)의 구성이 사시도, 도 6의 상부 평면도, 도 6의 좌측면도로 도시되며, 도 9a 및 도 9b에는 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20)을 적용시킨 사이드미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그 복합거울(20)이 장착된 봉고의 상부평면도가 도시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복합거울(20)은 거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복합거울(10)과 유사한 것으로, 다만, 봉고나 소형 화물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외부 사이드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봉고나 소형 화물차의 높이가 높고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높이도 높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복합거울(10)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즉, 크기의 예를 들면, 제1거울(21)의 폭이 20cm 및 높이 28cm 의 크기로 형성되고, 제2거울(25)의 폭이 20cm로 동일하며 높이는 16cm로 역시 주된 제1거울(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조적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기타,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제1거울(11)와 동일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30)의 구성이 사시도, 도 11의 좌측면도 및 도 11의 선 13-13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14a 및 도 14b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거울(30)을 적용시킨 사이드미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15에는 그 복합거울(3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자동차에의 장착된 상태가 상부평면도로 도시된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복합거울(30)은, 특히 버스나 화물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외부 사이드에 부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측방 및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 및 전방 하부의 시야까지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은 제1시야각을 위한 상부의 거의 평면형상부분의 제1거울(31)과 제3시야각을 위한 하부의 곡면형상부분의 제3거울(40)로 이루어진다. 제1거울(31)은, 종래 공지된 바와 같은 거울의 형상이 채용된다.
제3거울(40)은, 상기 제1거울(31)의 하변을 하부연결선(33)으로 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 12, 도 13 및 도 15에서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된 때에 적어도 내측시야각경계선(40a)과 하부시야각경계선(40c)이 차량의 전방 범퍼의 전방과 그 범퍼전방의 바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연결선(33)으로부터 적어도 제3거울(40)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점점 더 큰 곡률로 곡선짐과 동시에 측 단면상(수직단면상)에서 점점 후방으로 배치되는 볼록형상의 수평단면(43)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거울(30)은, 자동차중에서도 버스나 화물차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그 크기는 일예를 들면, 제1거울(31)의 폭이 20cm 및 높이 28cm의 크기로 형성되고, 제3거울(40)의 폭이 20cm로 동일하고 높이(도 12에서 수직높이)는 14.5cm(도 12에서 최대 직선길이는 20cm)로 주된 제1거울(3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조적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거울(30)은, 도 12,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31a,31b)에 의해 종래의 거울인 제1거울(31)의 제1시야각을 형성하여 거의 왜곡됨이 없는 상을 보여줌과 동시에 선(40a) 및 선(40b)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3거울(40)의 수평상의 제3시야각을 형성하여 종래보다 휠씬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게 되며, 특히, 선(40a)로 구성되는 내측시야각경계선에 의해 전방범퍼의 전방까지의 시야각을 제공하게 되고, 나아가, 도 12에서와 같이 제1거울(31)의 전방으로 돌출됨이 없이 수직연장선 후방으로 형성됨으로써 선(40c)로 구성되는 하부시야각경계선에 의해 전방범퍼 아래의 바닥부분까지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어 특히 버스나 화물차의 운전자에게 전방의 범퍼부분에서도 전혀 사각이 없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되고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거울(40)은, 도면에서는 그 중앙부분으로부터 하부로의 수평단면들이 중앙부분보다 더 작은 곡률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상하 중앙부에서 직각인 중심선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고, 중앙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도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다. 즉, 제3거울(40)의 하변(42)이, 거의 직선화될 수 있어 케이싱의 제조 및 거울의 조립 등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제3거울(40)의 상한시야각경계선과 외측시야각경계선도 그 곡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50)의 구성이 사시도 및 도 16의 좌측면도로 도시되고, 도 18a 및 도 18b는 그 복합거울(50)을 일예로 적용시킨 사이드미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19에는 그 복합거울(5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트레일러에의 장착된 상태가 상부평면도로 도시되며, 도 20에는 그 트레일러의 카고의 꺽은 상태가 상부평면도로 도시되고, 도 21에는 덤프트럭의 덤프시의 상태가 상부평면도로 도시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복합거울(50)은, 특히 트레일러, 덤프트럭 등과 같은 대형 특수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외부 사이드에 부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측방 및 후방뿐만 아니라, 전방 및 전방 하부의 시야까지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은 제1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한 중앙의 거의 평면형상부분의 제1거울(51)과, 제2시야각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의 제2거울(55)과, 제3시야각을 위한 하부의 곡면형상부분의 제3거울(60)로 이루어진다. 제1거울(51)은, 종래 공지된 바와 같은 거울의 형상이 채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거울(55)은,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2거울(15,25)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지니며, 또한, 제3거울(6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3거울(40)과 동일한 구성을 지니며, 각각 제1거울(51)의 상부연결선(52) 및 하부연결선(53)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거울(55)과 제3거울(60)의 구체적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거울(50)은, 자동차중에서도 트레일러, 덤프트럭 등과 같은 특수차량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그 크기는, 일예를 들면, 제1거울(51)의 폭이 20cm 및 높이 28cm의 크기로 형성되며, 제2거울(55)의 폭은 20cm로 동일하며 높이는 16cm로 하고, 제3거울(60)의 폭도 20cm로 동일하고 높이(도 17에서 수직높이)는 14.5cm(도 17에서 최대 직선길이는 20cm)로 형성하여 주된 제1거울(5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보조적인 것으로 구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거울(50)은, 도 18a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51a,51b)에 의해 종래의 거울인 제1거울(51)의 제1시야각을 형성하여 거의 왜곡됨이 없는 측면과 후방의 상을 보여줌과 동시에 선(55a,55b)에 의해 제2거울(55)의 제2시야각을 형성하여 종래보다 휠씬 넓은 측방과 후방의 시야각을 제공하여 전혀 사각이 없는 측방 및 후방의 충분한 시야가 확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선(60a) 및 선(60b)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3거울(60)의 수평상의 제3시야각을 형성하여 종래보다 더욱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게 되며, 특히, 선(40a)로 구성되는 내측시야각경계선에 의해 전방범퍼의 전방까지의 시야각을 제공하게 되고, 나아가, 도 17에서와 같이 제3거울(60)이 제1거울(51)의 전방으로 돌출됨이 없이 수직연장선 후방으로 형성됨으로써 선(60c)로 구성되는 하부시야각경계선에 의해 전방범퍼 아래의 바닥부분까지 시야각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 상술한 복합거울(50)은, 트레일러의 경우 도 20에서와 같이 트레일러의 카고를 꺽은 상태에서 제2거울(55)에 의해 후미가 보이게 되어 후미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덤프트럭의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트럭의 덤프시 카고의 상단이 보이게 되므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고압선 등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특히 트레일러, 덤프트럭 등과 같은 특수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의 범퍼 앞부분이나, 꺽어진 카고의 후미, 덤프시의 카고의 상단부 등에서도 전혀 사각이 없는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게 되고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거울(50)의 여타의 작용효과도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작용효과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종류에 따른 특성에 따라 종래의 제1거울(11,21,31,51)에 제2거울(15,25,55) 및/또는 제3거울(40,60)을 함께 적용시켜 조금도 사각지대를 남김이 없이 최적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며,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고,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측방, 후방 및/또는 전방범퍼 하부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지대가 제거된 거울로서 간단하게 사이드미러를 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제1거울(11,21,31,51) 및 그 제1거울(11,21,31,51)의 상부나 하부에 제2거울(15,25,55) 또는 제3거울(40,60)을 지니는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에 있어서,
    상기 제2거울(15,25,55) 또는 제3거울(40,60)이 상기 제1거울(11,21,31,51)의 상변 또는 하변을 상부연결선(12,22,52) 또는 하부연결선(33,53)으로 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거울(15,25,55)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한 때에 차량의 측면 후방에서 운전자의 측방향까지 시야각을 확보하도록 상기 상부연결선(12,22,52)으로부터 상기 제2거울(15,25,55)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더 큰 곡률로 곡선진 볼록형상의 수평단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거울(40,60)은, 차량의 사이드미러로 장착한 때에 내측시야각경계선과 하부시야각경계선이 차량의 전방 범퍼의 전방과 그 범퍼전방의 바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부연결선(33,53)으로부터 상기 제3거울(40,60)의 상하의 중앙부분으로 가면서 더 큰 곡률로 곡선짐과 동시에 측단면상에서 후방으로 배치되는 볼록형상의 수평단면(43)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거울(15,25,55)은, 좌우의 측변(17,27,41,57, 61)보다 중앙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거울(40,60)은, 상하 중앙부에서 직각인 중심선에 대해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하 중앙부로부터 하변(42,62)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1거울(11,21,31,51)의 전방으로 돌출됨이 없이 수직연장선 후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KR1020070054353A 2007-06-04 2007-06-04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KR10079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353A KR100797917B1 (ko) 2007-06-04 2007-06-04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353A KR100797917B1 (ko) 2007-06-04 2007-06-04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872 Division 2007-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917B1 true KR100797917B1 (ko) 2008-01-24

Family

ID=3921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353A KR100797917B1 (ko) 2007-06-04 2007-06-04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9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638A (en) * 1979-02-20 1980-08-26 Takashi Tsujita Curving mirror
JPS59134101U (ja) * 1983-02-25 1984-09-07 井口 達也 平面凸面共有ミラ−
JPS6136461U (ja) * 1984-08-08 1986-03-06 長栄 中野 大形自動車のバツクミラ−
JPS62105103A (ja) * 1985-10-31 1987-05-15 Shinya Miyake 凸面反射鏡
JPH027041A (ja) * 1988-06-27 1990-01-11 Konica Corp 写真感光材料の処理機
JPH0459549A (ja) * 1990-06-26 1992-02-26 Shikoku Kakoki Co Ltd 複数のロール状フィルムの連続巻戻し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638A (en) * 1979-02-20 1980-08-26 Takashi Tsujita Curving mirror
JPS59134101U (ja) * 1983-02-25 1984-09-07 井口 達也 平面凸面共有ミラ−
JPS6136461U (ja) * 1984-08-08 1986-03-06 長栄 中野 大形自動車のバツクミラ−
JPS62105103A (ja) * 1985-10-31 1987-05-15 Shinya Miyake 凸面反射鏡
JPH027041A (ja) * 1988-06-27 1990-01-11 Konica Corp 写真感光材料の処理機
JPH0459549A (ja) * 1990-06-26 1992-02-26 Shikoku Kakoki Co Ltd 複数のロール状フィルムの連続巻戻し装置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036461호 U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02-007041호 U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59549호 A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59-134101호 U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110638호 A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05103호 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251B2 (en) Travel trailer having improved turning radius
CN110576909B (zh) 车辆的后部结构
KR100797917B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복합거울
JP2003127902A (ja) 作業車の運転部構造
US20030081334A1 (en) Combination side-view mirror with convex portion
JP2007055316A (ja) 車両のミラー構造
US6196689B1 (en) Mirror system for tractor trailers
WO2018193950A1 (ja) 車載用カメラ
JP7015476B2 (ja) ルーフパネル及びルーフ構造
KR200328408Y1 (ko) 사각지대가 없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N217455824U (zh) 一种倒车镜支架
IT9053005U1 (it) Specchietto retrovisore per veicoli industriali e veicoli commerciali
KR100510268B1 (ko) 사각 방지용 사이드 미러
US20230015659A1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KR200175111Y1 (ko) 차량장착용 사이드 미러
JP6907763B2 (ja) サイドアンダビューミラー
JP2003034183A (ja) セーフティー・ビュー・ドア・ミラー
JPH11209931A (ja) 合わせ鏡利用の坂道頂上における前方安全確認鏡
US20060279861A1 (en) Saftey mirror
JPH0723604U (ja) 自動車用トレーラヒッチ装置
JP3104880U (ja) 自動車の斜め後方確認の為の、曲面鏡及び曲面鏡の取付位置
JP2009067293A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構造
JP3019361U (ja) 反射鏡
JP3104890U (ja) 自動車の斜め後方確認の為に、ダッシュボ−ドに取付けられる曲面鏡
JP2024069831A (ja) 車両用ピラーガラスモ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