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029B1 -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029B1
KR100791029B1 KR1020060083773A KR20060083773A KR100791029B1 KR 100791029 B1 KR100791029 B1 KR 100791029B1 KR 1020060083773 A KR1020060083773 A KR 1020060083773A KR 20060083773 A KR20060083773 A KR 20060083773A KR 100791029 B1 KR100791029 B1 KR 10079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key
keypad
transparen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주)서원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원인텍 filed Critical (주)서원인텍
Priority to KR102006008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Printed information in transparent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박필름에 투명한 유브이소재를 키 성형태로 성형하여 부착하고, 이 필름의 배면에 빛이 투과하지 않는 불투광소재를 코팅한 다음 각 키와 대응되는 필름의 배면에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문양을 투명하게 하여 이 문양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소재를 코팅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단히 하고, 두께를 더욱 슬림화할 수 있으며, 키에 형성된 식별문양이 닳지 않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키패드 제조방법은, 키 기능을 갖도록 복수 개의 투명한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금형의 캐비티에 수용한 상태에서 이 유브이소재를 투명한 필름의 지정된 위치에 성형 및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각 유브이소재를 자외선광에 노출 경화시켜 키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필름의 배면에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불투광소재를 코팅하되, 상기 각 키와 대응되는 필름 배면에는 그 키의 기능을 표시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문양을 투명하게 하여 이 문양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소재를 코팅하는 인쇄단계;
상기 인쇄공정을 마친 키패드의 인쇄소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폰, 키, 불투광소재, 투광소재, 키패드, 슬림화

Description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Key-pa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키패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의 정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의 배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 인쇄공정 전 투명한 키패드의 정면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키 형태로 성형하는 금형 사진
도 6은 도 5의 금형 요부를 확대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필름 배면에 불투광소재가 코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필름 배면에 불투광소재 및 투광소재가 코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원내부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패드 11 : 필름
12 : 유브이소재 13 : 불투광소재
14 : 투광소재
본 발명은 휴대폰, 전자계산기, 전자사전과 같은 전자제품의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한 박필름에 투명한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키 형태로 일체로 성형하고, 이 필름의 배면에 빛이 투과하지 않는 불투광소재를 코팅한 다음 각 키와 대응되는 필름의 배면에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문양을 투명하게 하여 이 문양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소재를 코팅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단히 하고, 두께를 더욱 슬림화하며, 키에 형성된 식별문양이 필름 배면에 형성되어 닳지 않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각종 전자제품의 키패드는 기술의 발달로 점차 고급화가 진행되면서 두께가 얇은 형태로 점차 슬림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의 경우 기기 자체가 슬림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도모하기 위해서 키패드도 당연히 슬림화 되어가고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이후부터는 핸드폰에 적용되는 키패드의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드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키패드가 적용되 는 전자제품에 모두 적용된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휴대폰의 키패드(1)는 필름(2) 상부에 다이얼숫자, 문자, 기호 등이 인쇄된 다이얼키(3) 및 기능키(4)가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키패드(1)는 다이얼키(3) 및 기능키(4)를 별도로 준비하고, 필름(2)의 지정된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키(3)(4)들을 필름(2)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조해야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키(3)(4)를 정확한 위치에 접착시키기가 난이하고, 접착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필름(2)에서 키(3)(4)가 이탈되어 불량품이 양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다이얼키(3) 및 기능키(4)는 그 표면에 다이얼숫자, 문자, 기호 등이 노출된 상태로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인쇄부가 닳아 각 키의 구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키패드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투명한 박필름에 투명한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키 형태로 일체로 성형하고, 이 필름의 배면에 빛이 투과하지 않는 불투광소재를 코팅한 다음 각 키와 대응되는 필름의 배면에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문양을 투명하게 하여 이 문양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소재를 코팅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단히 하고, 두께를 더욱 슬림화하며, 키에 형성된 식별문양이 필름 배면에 형성되어 닳지 않아 수 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키패드 제조방법은, 금형의 캐비티에 투명한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충진한 후 그 위에 투명한 필름을 가압하여, 필름상에 복수 개의 유브이소재를 키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각 키를 자외선광에 노출시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필름의 배면에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액상의 불투광소재를 코팅하되, 상기 각 키와 대응되는 필름 배면에 그 키의 기능을 표시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문양을 투명하게 하여 이 문양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소재를 코팅하는 인쇄단계;
상기 인쇄공정을 마친 키패드의 인쇄소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키패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의 정면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키패드의 배면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 인쇄공정 전 상태의 투명한 키패드의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키 형태로 성형하는 금형 사진이고, 도 6은 도 5의 금형 요부를 확대한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필름 배면에 불투광소재가 코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필름 배면에 불투광소재 및 투광소재가 코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은 투명한 필름(11)에 액상의 투명한 유브이[UV(ultraviolet)]소재(12)를 키 형태로 성형하여 부착하고, 필름(11)의 배면 전체를 불투광소재(13)로 코팅하며, 키와 대응되는 각 필름(11)의 배면을 다이얼 숫자, 문자, 기호 등과 대응되게 투명하게 하고, 이 투명부분에 투광소재(14)를 코팅하여 휴대폰에서 발광된 빛이 투광소재(14)를 통과하여 야간에 키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키패드 제조방법은, 금형의 캐비티에 투명한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충진한 후 그 위에 투명한 필름을 가압하여, 필름의 표면에 복수 개의 유브이소재를 키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S1);
상기 성형된 각 키를 자외선광에 노출시켜 경화시키는 단계(S2);
상기 필름의 배면에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액상의 불투광소재를 코팅하되, 상기 각 키와 대응되는 필름 배면에 그 키의 기능을 표시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 호의 문양을 투명하게 하여 이 문양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소재를 코팅하는 인쇄단계;(S3)
상기 인쇄공정을 마친 키패드의 인쇄소재를 건조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유브소재(12)는 공지의 아크릴수지(acrylic resins)계 또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의 재질로 구성되며 점도는 800∼2000cps를 사용한다.
유브이소재(12)를 필름(11)에 부착하는 공정(S1)은 유브이소재(12)를 금형(15)에서 성형함과 동시에 필름(11)에 부착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금형(15)의 각 캐비티(15a)에 투명한 액상의 유브이소재(12)를 충진한 다음 상기 캐비티(15a) 상부에 필름(11)을 놓은 상태에서 필름(11)을 고르게 압착시키고 자외선광선에 조사시키면 액상의 유브이소재(12)가 키 형상으로 굳어지면서 필름(11)에 부착된다.
이는 곧, 액상의 유브이소재(12)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필름(11)에 일체로 부착되므로, 종래 별도로 제작된 키를 수작업 또는 기계장치에 의해 접착제로 패드상에 하나하나 부착하는 것과는 상이한 개념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필름(11)은 그 자체 및 키 형상을 갖는 유브이소재(12)가 모두 투명하므로 그 배면에 불투광소재(13)가 인쇄되면, 핸드폰에서 발광된 빛이 필름(11)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지 않고, 키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투명부분(숫자, 문자, 특수기호 등의 부분)을 통해 빛이 조사되어 다이얼키, 기능키 등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키패드(10)는 상기와 같이 얇은 필름(11)에 유브이소재(12)를 얇게 성형 부착되므로 종래의 키패드에 비해 현저하게 얇은 두께의 형태로 제조된다.
여기서, 유브이소재(12)가 부착되는 필름은 0.1∼0.5mm두께를 가진 박필름이고, 재질은 아크릴필름(acrylic film), 피유필름(PU[polyurethane film]), 피시필름(PC[polycarbonate film]), 피이티필름(PET[polyethylen terephthalate film]) 등을 사용한다.
유브이소재(12)를 경화시키는 공정(S2)은 상기 금형(15)에서 필름(11)과 유브이소재(12)를 부착한 다음 금형(15)을 개방하여 필름(11) 및 유브이소재(12)에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유브이소재(12)를 경화시키는데, 이때 자외선광을 약 5∼30초 조사하여 경화시키며, 바람직하게는 10∼20초가 좋다. 만약 유브이소재(12)를 자외선광으로 경화시키지 않으면 유브이소재(12)가 자외선광선에 의한 분자 결합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 공정은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다.
상기 인쇄공정(S3)은 공지의 스크린인쇄방식을 이용한다.
다시 말해, 먼저 상기 불투광소재(13)가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차단부재(미도시)를 인쇄장치의 투과망(미도시) 상부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차단부재는 핸드폰 각 키에 해당하는 위치에 대응되고 그와 대응되는 키의 숫자, 문자, 기호 등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차단부재가 핸드폰의 각 키들의 형상을 갖게 되므로, 이후 공정에서 불투광소재(13)가 인쇄장치의 투과망을 통해 필름(11)의 배면에 도포 되더라도 차단부재와 대응되는 필름(11)의 부분에는 불투광소재(13)가 코팅되지 않아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인쇄장치의 투과망 하부에 필름(11)의 배면을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투과망에 액상의 불투광소재(13)를 공급한 후 밀대 등으로 불투광소재(13)를 투과망에 고르게 공급하게 되면 불투광소재(13)가 투과망을 통과하여 필름(11)의 배면 전역에 걸쳐 코팅된다. 이때, 투과망에 차단부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불투광소재(13)는 그와 대응되는 필름(11)의 부분에 코팅되지 않게 된다.
이후, 불투광소재(13)가 코팅된 필름(11)의 배면을 별도의 인쇄장치의 투과망 하부에 배치한 후, 상기 투과망에 액상의 투광소재(14)(공지의 잉크종류, 즉 아크릴수지계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의 잉크)를 필름(11)에 공급하게 되면, 투광소재(14)는 차단부재에 의해 형성된 필름(11)의 투명한 부분에 코팅된다.
상기와 같이 필름(11)의 배면에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불투광소재(13)를 도포하게 되면, 핸드폰에서 발광하는 빛이 필름(11)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지 않게 되고, 투광부재를 통해 키에 조사되어 다이얼키, 기능키 등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불투광소재(13) 및 투광소재(14)는 유브이소재(12)와 같은 계열의 재질, 즉 공지의 아크릴수지(acrylic resins)계 또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의 재질로 구성되며 점도는 800∼2000cps를 사용한다.
인쇄공정을 마치면 키패드를 건조시키는 공정(S4)이 진행된다.
즉, 인쇄공정을 마친 키패드(10)를 60∼100℃의 밀폐된 건조실에 설치된 콘베이어상에 놓은 상태에서 이 콘베이어를 구동시켜 키패드(10)를 이동시키면서 5∼20분 동안 건조시킨다. 이 건조공정은 투광소재인 잉크를 스크린인쇄 할 수 있도록 투광소재의 점도를 800∼1000cps 맞추기 위해 사용된 희석제를 휘발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키패드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키를 패드의 지정된 위치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얇고 투명한 필름에 투명하고 얇은 유브이소재가 간단히 부착되어 극히 얇은 키패드를 제조할 수 있어 초슬림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필름의 배면에 숫자, 문자, 기호 등의 문양들이 인쇄되므로 키의 표면에 문양이 노출되지 않아 키를 장시간 누름조작하여도 문양이 지워지지 않아 키패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열, 내한, 내습에 약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부분이 없기 때문에 제품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금형의 캐비티에 투명한 액상의 유브이소재를 충진한 후 그 위에 투명한 필름을 가압하여, 필름상에 복수 개의 유브이소재를 키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각 키를 자외선광에 노출시켜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필름의 배면에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 액상의 불투광소재를 코팅하되, 상기 각 키와 대응되는 필름 배면에 그 키의 기능을 표시하는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문양을 투명하게 하여 이 문양에 빛을 투과하는 투광소재를 코팅하는 인쇄단계;
    상기 인쇄공정을 마친 키패드의 인쇄소재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소재의 경화는 상온에서 유브이소재를 자외선광에 5∼30초 노출시켜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공정은 상기 불투광소재가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의 문양의 형상을 가진 차단부재를 인쇄장치의 투과망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인쇄장치의 투과망에 액상의 불투광소재를 공급하여 상기 투과망 하부에 위치된 필름의 배면에 코팅하는 단계;
    상기 불투광소재가 코팅된 필름의 배면을 별도의 인쇄장치의 투과망 하부에 배치한 후, 상기 투과망에 액상의 투광소재를 공급하여 차단부재에 의해 투명한 부분에 투광소재를 코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스크린 인쇄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소재 건조공정은 인쇄공정을 마친 키패드를 60∼100℃의 밀폐된 건조실에 설치된 콘베이어상에 놓은 상태에서 이 콘베이어를 구동시켜 키패드를 이동시키면서 5∼20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재질은 아크릴필름, 피유필름, 피시필름, 피이티필름 중에서 선택되고,
    유브이소재, 불투광소재, 및 투광소재는 아크릴수지계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제조방법.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KR1020060083773A 2006-08-31 2006-08-31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9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73A KR100791029B1 (ko) 2006-08-31 2006-08-31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773A KR100791029B1 (ko) 2006-08-31 2006-08-31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029B1 true KR100791029B1 (ko) 2008-01-03

Family

ID=3921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773A KR100791029B1 (ko) 2006-08-31 2006-08-31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0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369A (ja) * 2002-07-02 2004-02-05 Taisei Plas Co Ltd キー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20040047595A (ko) * 2002-11-26 2004-06-05 폴리마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컬러디자인 화상을 가지는 가식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86686Y1 (ko) 2005-03-24 2005-06-16 주식회사 두성테크 적층인쇄 키패드
KR20060087165A (ko) * 2005-01-28 2006-08-02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9369A (ja) * 2002-07-02 2004-02-05 Taisei Plas Co Ltd キー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KR20040047595A (ko) * 2002-11-26 2004-06-05 폴리마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컬러디자인 화상을 가지는 가식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7165A (ko) * 2005-01-28 2006-08-02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86686Y1 (ko) 2005-03-24 2005-06-16 주식회사 두성테크 적층인쇄 키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0200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heet shaped key top
KR100962604B1 (ko) 푸시-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
KR10186136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부재 제작 방법
US20090057121A1 (en) Key Base, Key Sheet and Method of Forming Key Base
US8242396B2 (en)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744593B2 (en) Illuminated film-covered keyboard
JP5245003B1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91029B1 (ko)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50294B1 (ko) 케이스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70336B1 (ko) Uv몰딩에 의한 패턴층을 구비한 가식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가식시트
US20110284356A1 (en) Keypad plung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841527B1 (ko) 홀로그램이 형성된 투명필름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KR100826970B1 (ko) 컬러 투명 윈도를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플레이트 및윈도 형성방법
KR100937006B1 (ko) 키패드 제작용 금형 및 그 금형이송장치
CN102262968A (zh) 按键凸体结构及其制法
US11507229B2 (en) Molded body for electronic fun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operation device using molded body for electronic function
KR100775522B1 (ko) 필름형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JPH11144551A (ja) 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の製造方法
KR10079700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를 이용한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1549A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JP3410633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押圧部材の製造方法
KR20090068480A (ko) 키패드 제조방법
KR100945863B1 (ko) 광확산 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61546B (zh) 电子设备壳体制备工艺、电子设备壳体及电子设备
JPH0855534A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シ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