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165A -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165A
KR20060087165A KR1020050008053A KR20050008053A KR20060087165A KR 20060087165 A KR20060087165 A KR 20060087165A KR 1020050008053 A KR1020050008053 A KR 1020050008053A KR 20050008053 A KR20050008053 A KR 20050008053A KR 20060087165 A KR20060087165 A KR 20060087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pad
key module
layer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홍
박왕근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7165A/ko
Publication of KR2006008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모듈(60)의 표면에 색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미려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며, 키 모듈(60)로서 낱개형 키 조합체(61) 또는 일체형 키 플레이트(62)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라데이션 층(70)에 보호 코팅층(80)을 더 구비시켜 그 보존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돔 스위치 및 회로기판을 포함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키 모듈 60a : 폰트
61 : 낱개형 키 조합체 62 : 일체형 키 플레이트
70 : 그라데이션 층 80 : 보호 코팅층
90 : 패드 91 : 돌기
100 : 키패드 KS : 키 본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 모듈의 표면에 색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층을 부여하여 보다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가정용 전화기, PDA, 셀룰러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회로기판과 연동되어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소개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편의상 셀룰러폰용 키패드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를 나타내는 돔 스위치(D) 및 회로기판(H)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는 기본적으로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L)를 내장한 프런트 하우징(F) 속에 구비되며 돔 스위치(D) 위에 놓여지는 패드(20)와, 다이얼키나 기능키 등과 같이 각각의 기능으로 식별되도록 키탑(11) 위에 기호, 문자, 숫자 등이 새겨진 폰트(11a)를 갖는 키(10)로 이루어진다.
패드(20)는 돔 스위치(D)의 탄성에 연동되면서 회로기판(H)의 접점(H1)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돌출 성형된 돌기(21)를 구비하며, 키(10)는 키탑(11) 위에 인쇄, 스프레이 또는 레이저 가공 등으로 폰트(11a)가 부여되어 완성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는 프런트 하우징(F)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10)가 단지 폰트(11a)만을 인식하는 기능적인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어 미려한 휴대단말기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는 크게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에 적용된 키(10)는 사용자가 기능적(휴대단말기의 고유기능인 통신기능, 콘텐츠 접근기능 또는 모드 전환기능 등)으로만 활용할 수 있도록 단지 폰트(11a)만이 부여되어 그 미적 디자인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획일적 구조로 인한 고급스런 휴대품으로서의 가치를 다양하게 창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키 모듈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을 부여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휴대단말기를 양산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폰트가 부여된 키 모듈과, 상기 키 모듈에 접착되어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의 표면에 색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a) 키 본체를 마련하는 스텝과,
(b) 상기 키 본체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을 부여하는 스텝과,
(c) 상기 그라데이션 층이 부여된 키 본체에 폰트를 부여하여 키 모듈을 완성하는 스텝과,
(d) 상기 키 모듈을 패드 위에 부착시키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A) 키 본체를 마련하는 스텝과,
(B) 상기 키 본체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 및 폰트를 부여하여 키 모듈을 완 성하는 스텝과,
(C) 상기 그라데이션 층 및 폰트가 상기 패드를 향하도록 상기 키 모듈을 부착시키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면 중 부호 91은 패드(90)의 구성이 되면서 돔 스위치(D; 도 2 참조)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를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하우징(F; 도 2 참조)의 외부로 노출되며 돔 스위치(D)를 가압하는 패드(90) 위에 부착되는 키 모듈(60)의 표면을 더욱 고급스럽고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색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하는 것을 가장 큰 핵심 특징으로 한다.
그라데이션(Gradation) 층(70)은 명암이 어두운데서 밝은 값으로, 큰 모양(예를 들면 큰 물방울 모양)에서 작은 모양(예를 들면 작은 물방울 모양)으로, 껄끄러운 결에서 매끈한 결로, 또는 한 색상에서 다른 색상 등으로와 같이 점진적이며, 매끄럽게, 단계적으로 변해 가는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색조, 즉 색상, 명도, 채 도, 명암, 농도, 빛깔, 음영 등이 점진적이면서 단계적으로 키 모듈(60)의 표면에 부여될 수 있도록 옵셋 인쇄, 스크린 인쇄, 구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로서 부여될 수 있다.
옵셋 인쇄는 사진, 풍경, 판화나 작은 글씨 등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인쇄할 수 있으며 속도가 빨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스크린 인쇄는 물과 공기를 제외한 어떠한 물체 또는 모양에도 인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세밀한 인쇄에서 오목, 볼록, 원형, 타원형, 평판 등과 같은 성형품에도 자유롭게 인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구라비아 인쇄는 롤(Roll) 인쇄가 가능하여 후술하는 일체형 키 플레이트(62)에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하고자 할 때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고, 또한 전사는 인쇄용 이형지 혹은 박리지를 키 모듈(60)의 표면에 열부착한 후 박리시키므로써 그라데이션 층(70)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어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이때, 키 모듈(6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형 키 조합체(61)일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키 플레이트(62)일 수 있으며, 그라데이션 층(7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코팅층(80)을 더 구비할 경우 더욱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본체[KS; 본 발명에서 명명한 키 본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낱 개형 키 조합체(61)의 구성이 되는 사출물로 제작된 키탑(도 1 참조)일 수 있고, 기타 플라스틱 시트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를 마련하고(a), 키 본체(KS)의 표면에 옵셋 인쇄, 스크린 인쇄, 구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로서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한다(b).
그리고, 그라데이션 층(70)이 부여된 키 본체(KS)에 폰트(60a)를 레이저 가공, 식각, 스프레이 또는 인쇄 등과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부여하여 키 모듈(60)을 완성한 후(c), 이 키 모듈(60)을 패드(90) 위에 부착시킴으로써 키패드(100)를 최종 완성할 수 있게 되며(d), 필요에 따라서 그라데이션 층(70)을 보호하기 위하여 UV 코팅의 보호 코팅층(80)을 제공할 수도 있다(도 3a 및 도 3b의 부분 확대도 참조).
본 발명에서는 [키 본체(KS)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한 후 별도로 폰트(60a)를 레이저 가공 또는 에칭공정으로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키 본체(KS)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하는 (b)스텝과 키 본체(KS)에 폰트(60a)를 부여하는 (c)스텝을 각각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 키 본체(KS)에 그라데이션 층(70) 및 폰트(60a)를 동시에 부여할 수도 있다[그라데이션 층(70)과 폰트(60a)를 공히 옵셋 인쇄, 스크린 인쇄, 구라비아 인쇄, 전사 등으로 동시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본원 발명 의 핵심기술이 사실상 도 3a 내지 도 4에 의하여 충분히 개진되었지만 또 다른 경우의 수를 감안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그라데이션 층(70) 및/또는 폰트(60a)가 부여된 키 모듈(60)을 거꾸로 뒤집어 패드(90) 위에 부착시킨 경우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본체(KS)를 마련하고(A), 키 본체(KS)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70) 및 폰트(60a; 폰트는 인쇄 또는 양각, 음각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부여할 수 있다)를 부여하여 키 모듈(60)을 완성한 후(B), 그라데이션 층(70) 및 폰트(60a)가 패드(90)를 향하도록 키 모듈(60)을 부착시키는 스텝(C)으로 이루어지며, 추가적으로 (B)스텝 이후 키 모듈(60)에 보호 코팅층(80)을 더 부여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이해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키 본체(KS)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한 후 폰트(60a)를 새겨 간단하고 용이하게 더욱 고급스런 키패드(100)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상품적 가치와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은 키 모듈(60)의 표면에 색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미려한 휴대단말기를 양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키 모듈(60)로서 낱개형 키 조합체(61) 또는 일체형 키 플레이트(62)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그라데이션 층(70)에 보호 코팅층(80)을 더 구비할 경우 그 보존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키 모듈(60)의 표면에 색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하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공정 및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고 특허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7)

  1. 폰트(60a)가 부여된 키 모듈(60)과, 상기 키 모듈(60)에 접착되어 돔 스위치를 가압하는 패드(9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60)의 표면에 색조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그라데이션 층(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모듈(60)은 낱개형 키 조합체(61) 또는 일체형 키 플레이트(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층(70)을 보호하는 보호 코팅층(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100).
  4. (a) 키 본체(KS)를 마련하는 스텝과,
    (b) 상기 키 본체(KS)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70)을 부여하는 스텝과,
    (c) 상기 그라데이션 층(70)이 부여된 키 본체(KS)에 폰트(60a)를 부여하여 키 모듈(60)을 완성하는 스텝과,
    (d) 상기 키 모듈(60)을 패드(90)에 부착시키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스텝 이후 상기 키 모듈(60)에 보호 코팅층(80)을 더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
  6. (A) 키 본체(KS)를 마련하는 스텝과,
    (B) 상기 키 본체(KS)의 표면에 그라데이션 층(70) 및 폰트(60a)를 부여하여 키 모듈(60)을 완성하는 스텝과,
    (C) 상기 그라데이션 층(70) 및 폰트(60a)가 상기 패드(90)를 향하도록 상기 키 모듈(60)을 부착시키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스텝 이후 상기 키 모듈(60)에 보호 코팅층(80)을 더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20050008053A 2005-01-28 2005-01-28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7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053A KR20060087165A (ko) 2005-01-28 2005-01-28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053A KR20060087165A (ko) 2005-01-28 2005-01-28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165A true KR20060087165A (ko) 2006-08-02

Family

ID=3717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053A KR20060087165A (ko) 2005-01-28 2005-01-28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7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29B1 (ko) * 2006-08-31 2008-01-03 (주)서원인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546B1 (ko) * 2007-09-21 2008-05-26 (주) 디지로그 디스플레이 도광판 키패드 및 도광판 키패드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29B1 (ko) * 2006-08-31 2008-01-03 (주)서원인텍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546B1 (ko) * 2007-09-21 2008-05-26 (주) 디지로그 디스플레이 도광판 키패드 및 도광판 키패드 어셈블리
US8338730B2 (en) 2007-09-21 2012-12-25 Curling Creative Consult Inc. Lighting guide keypad and lighting guide keypad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0200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heet shaped key top
JPH0866658A (ja) 成形体内に図形を作製する方法
WO2005125158A1 (en) Metal keypad for portable tele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592114B1 (ko) 일체형 휴대폰용 금속키패드의 제조방법
KR20060087165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479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0231849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58808B2 (en) Method of branding the keypad of a wireless device
KR20020080687A (ko)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JP2004181037A (ja) モアレ模様付き化粧品収納容器あるいは化粧板
KR200395476Y1 (ko) 문양부착식 표지를 가진 앨범
KR100589292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62808Y1 (ko) 휴대폰용 보조커버
JP3722626B2 (ja) キートッ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82132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KR100700741B1 (ko) 전자기기용 식별 유니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403152A (zh) 键盘及其键盘制造方法
CN220358005U (zh) 按键及键盘装置
KR100583911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0964208B1 (ko) 일체형 키패드 및 키패드 제조방법
KR200394140Y1 (ko) 메탈 키패드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51675B1 (ko) 키패드 및 그 키패드 제조방법
KR100567556B1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KR100924507B1 (ko)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