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808Y1 - 휴대폰용 보조커버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보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808Y1
KR200362808Y1 KR20-2004-0017546U KR20040017546U KR200362808Y1 KR 200362808 Y1 KR200362808 Y1 KR 200362808Y1 KR 20040017546 U KR20040017546 U KR 20040017546U KR 200362808 Y1 KR200362808 Y1 KR 200362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ver
film
auxiliary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철기
정태호
선경표
최영진
황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센
Priority to KR20-2004-0017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8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의 조작시 또는 휴대폰의 파지시 촉감성이 우수하고, 외피의 색상, 외관 또는 디자인이 자연적이며 주변 분위기와의 세트화가 가능한 휴대폰용 보조커버를 제공한다. 그 휴대폰용 보조커버는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로 형성되는 필름; 그 필름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바인더층; 그 바인더층에 접착되어 라미네이션 처리되며 섬유재, 직물재, 천연가죽 및 합성가죽 중 하나로 형성되며, 휴대폰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설정한 로고, 문양, 상표와 같은 표식부가 형성되는 외피; 및 필름의 하부면에 플라스틱 또는 엘에스알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휴대폰의 덮개에 상응하며 덮개에 삽탈 가능한 몸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폰용 보조커버{A sub-cover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보조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촉감이 우수하고, 디자인이 우수하며, 환경학적으로 유익하며, 주변 분위기에 적용성이 우수한 직물재 또는 가죽이 도포된 휴대폰용 보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또는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통신수단을 이용하고있다. 이 같은 통신수단으로는 유선전화기, 컴퓨터, 휴대폰 등이 있다. 최근에는, 그 휴대성 및 편리성의 장점으로 인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휴대폰을 널리 이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 같은 휴대폰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폴더형인 경우 사용자가 가압하여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 키(1)가 구비된 본체(2)와, 그 본체(2)의 키(1)의 조작에 의해 또는 전송되는 내용에 따라 그 내용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3)가 구비된 덮개(4)와, 이 같은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착탈식 배터리(5)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키(1)는 키패드(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부품으로 취급된다. 또한, 덮개(4)의 외측면에는 덮개를 개방하지 않고도 시각 또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보조 디스플레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휴대폰은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휴대폰의 외표면 전체가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파지하는 경우 딱딱한 느낌이 들어 촉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경질의 재료의 자연적인 한계성 때문에 디자인의 개발이 한정적인 단점이 있다.
특히, 화학재료로 이루어진 덮개는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고급스럽지 못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다른 물품과의 연계하거나 세트화될 수 없어 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작 및 파지시 촉감성이 우수한 휴대폰용 보조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색상, 외관 또는 디자인이 자연적이고 개발이 광범위한 휴대폰용 보조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이 수려하고, 고급스러우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다른 물품과의 연계화 및 세트화가 용이하여 적용성이 우수한 휴대폰용 보조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보조커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도 2의 선 Ⅲ-Ⅲ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내지 7은 도 3a 및 3c의 키패드의 각각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조커버 12:필름
14: 바인더층 또는 접착제층 16: 외피
18: 표식부 20: 몸체
22: 발광부
이 같은 목적들은, 본체와 덮개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휴대폰용 보조커버에 있어서,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로 형성되는 필름; 그 필름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바인더층; 그 바인더층에 접착되어 라미네이션 처리되며 섬유재, 직물재, 천연가죽 및 합성가죽 중 하나로 형성되며, 휴대폰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설정한 로고, 문양, 상표와 같은 표식부가 형성되는 외피; 및 필름의 하부면에 플라스틱 또는 엘에스알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휴대폰의 덮개에 상응하며 덮개에 삽탈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조커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표식부는 휴대폰의 덮개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기 위해 외피가 레이저 가공에 의해 완전 제거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표식부의 주변에는 휴대폰의 덮개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기 위해 발광부가 절취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식부는 프린팅, 히트 엠보싱 및 스티칭가공 또는 자수 가공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보조커버(10)는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폰의 덮개(4)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보조커버(10)는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필름(12)을 구비한다. 그 필름(12)의 상부면에는 바인더 또는 접착제 재료가 도포되어 바인더층(14) 또는 접착제층이 형성된다. 또한, 바인더층(14) 또는 접착제층에는 섬유재, 직물재, 천연가죽 또는 합성가죽으로 형성될 수 있는 외피(16)가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필름(12)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외피(16)에는 회사의 로고, 상표, 문양,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표식부(18)가 형성된다. 또한, 필름(12)의 배면에는 플라스틱, 엘에스알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는 몸체(20)가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몸체(20)의 양측에는 덮개(4)의 양측변에 유연하게 삽탈될 수 있도록 가이드(2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표식부(18)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6)에 인쇄에 의한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잉크는 축광잉크 또는 형광 잉크와 같이 자체 발광성 잉크가 사용될 수 있어 야간에도 가시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덮개(4)외부에 보조 디스플레이(4a)가 구비된 경우 그 보조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여 야간 식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부(18)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외피(16)의 해당부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필름(12)이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경우에는 보조 디스플레이(4a)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표식부(18)를 통해 발광될 수 있어 돋특한 가시적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부(18)는 히트 엠보싱 가공에 의해 외피(16)의 해당부분의 두께의 대략 절반부만이 제거되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덮개(4)의 보조 디스플레이(4a)의 광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표식부(18)의 주변에 발광부(22)가 레이저 가공될 수 있다.
특히,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부(18)는 바느질 또는 재봉과 같은 스티칭 또는 자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덮개(4)의 보조 디스플레이(4a)의 광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표식부(18)의 주변에 발광부(22)가 레이저 가공될 수 있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키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커버의 외피(16)를 형성하거나 성형할 섬유, 직물, 가죽 등과 같은 섬유를 준비한다(S100).
그리고 준비된 외피(16)에 바인더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필름(12)을 접착시킨다(S102).
이후, 필름(12)에 바인더 또는 접착제로 접착된 외피(16)를 라미네이션 처리한다(S104).
다음으로 라미네이션 처리된 외피(16)에 회사의 로고, 문양, 그림 등과 같은 표식부(18)를 인쇄한 후, 덮개(4)의 보조 디스플레이(4a)의 광의 제공을 위해 표식부의 주변을 레이저 가공하여 발광부(22)를 형성한다(S106).
또한, 일표면에 외피(16)가 라미네이션된 필름(12)의 반대측면에 휴대폰의 덮개에 상응하는 몸체(20)를 사출 성형한다(S108). 몸체(20)는 플라스틱 또는 엘에스알 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휴대폰의 덮개의 형상에 적합하게 채용되어 삽탈될 수 있도록 적정 크기 또는 사이즈로 절단 가공한다(S110). 물론, 이 같은 절단 가공에는 금형 또는 레이저가 이용된다.
도 5에 예시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보조커버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술된 제1실시예와 유사한 바, 즉, 보조커버의 외피(16)를 형성하거나 성형할 섬유, 직물, 가죽 등과 같은 섬유를 준비한다(S200).
그리고 준비된 외피(16)에 바인더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필름(12)을 접착시킨다(S202).
이후, 필름(12)에 바인더 접착된 외피(16)를 라미네이션 처리한다(S204).
다음으로, 라미네이션 처리된 외피(16)에 제조업자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로고, 문자, 상표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식부(18)를 레이저 가공한다(S206). 이때, 표식부(18)는 그 표식부에 해당하는 형태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광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일표면에 외피(16)가 라미네이션된 필름(12)의 반대측면에는 휴대폰의 덮개에 상응하며 그 덮개에 삽탈될 수 있도록 몸체(20)를 사출 성형한다(S208). 몸체(20)는 플라스틱 또는 엘에스알 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휴대폰의 덮개의 형상에 적합하게 채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정 크기 또는 사이즈로 절단 가공한다(S210). 물론, 이 같은 절단 가공에는 금형 또는 레이저가 이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보조커버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술된 제1 및 2실시예와 유사한 바, 즉, 보조커버의 외피(16)를 형성하거나 성형할 섬유, 직물, 가죽 등과 같은 섬유를 준비한다(S300).
그리고 준비된 외피(16)에 바인더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필름(12)을 접착시킨다(S302).
이후, 필름(12)에 바인더 또는 접착제로 접착된 외피(16)를 라미네이션 처리한다(S304).
다음으로, 라미네이션 처리된 외피(16)에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원하는 로고, 문양, 상표 등과 같은 표식부(18)를 히트 엠보싱(heat embossing) 가공한다(S306). 이때, 표식부(18)는 그 표식부에 형태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광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표식부(18)가 일부 또는 절반부만 제거되는 경우에는 표식부(18)의 주위에 발광부(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표면에 외피(16)가 라미네이션된 필름(12)의 반대측면에 휴대폰의 덮개에 상응하며 그곳에 삽탈가능한 몸체(20)를 사출 성형한다(S308). 몸체(20)는 플라스틱 또는 엘에스알 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휴대폰의 덮개의 형상에 적합하게 채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정 크기 또는 사이즈로 절단 가공한다(S310). 물론, 이 같은 절단 가공에는 금형 또는 레이저가 이용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보조커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조커버의 외피(16)를 형성하거나 성형할 섬유, 직물, 가죽 등과 같은 섬유를 준비한 후, 그 섬유 즉, 외피(16)에 각각의 키에 상응하는 표식부(18)를 스티칭하거나 자수하여 형성한다(S400).
그리고 준비된 외피(16)에 바인더 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필름(12)을 접착시킨다(S402).
이후, 필름(12)에 바인더 접착된 외피(16)를 라미네이션 처리한다(S404).
다음으로 라미네이션 처리된 외피(16)의 표식부(18)의 주변을 레이저 가공하여 발광부(22)를 형성한다(S406).
또한, 일표면에 외피(16)가 라미네이션된 필름(12)의 반대측면에 휴대폰의 덮개에 상응하며 그곳에 삽탈가능한 몸체(20)를 사출 성형한다(S408). 몸체(20)는 플라스틱 또는 엘에스알 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휴대폰의 덮개의 형상에 적합하게 채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적정 크기 또는 사이즈로 절단 가공한다(S410). 물론, 이 같은 절단 가공에는 금형 또는 레이저가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키패드에 의하면, 외피가 부드러운 섬유재, 직물재, 천연가죽 또는 합성가죽으로 형성됨으로써 휴대폰의 조작 또는 파지시 촉감성이 우수하고, 외피의 색상, 외관 또는 디자인이 자연적이고 개발이 광범위하여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휴대폰의 외관이 수려하고, 고급스러우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다른 물품과의 연계화 및 세트화가 용이하여 적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5)

  1. 본체와 덮개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휴대폰용 보조커버에 있어서,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로 형성되는 필름;
    상기 필름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바인더층;
    상기 바인더층에 접착되어 라미네이션 처리되며 섬유재, 직물재, 천연가죽 및 합성가죽 중 하나로 형성되며, 휴대폰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설정한 로고, 문양, 상표와 같은 표식부가 형성되는 외피; 및
    상기 필름의 하부면에 플라스틱 또는 엘에스알 재질로 사출 성형되며 휴대폰의 덮개에 상응하며 상기 덮개에 삽탈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조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부는 상기 휴대폰의 덮개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기 위해 외피가 레이저 가공에 의해 완전 제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조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부의 주변에는 상기 휴대폰의 덮개에 구비된 보조 디스플레이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이용하기 위해 발광부가 절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조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부는 프린팅, 히트 엠보싱 및 스티칭 가공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조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층은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보조커버.
KR20-2004-0017546U 2004-06-22 2004-06-22 휴대폰용 보조커버 KR200362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46U KR200362808Y1 (ko) 2004-06-22 2004-06-22 휴대폰용 보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46U KR200362808Y1 (ko) 2004-06-22 2004-06-22 휴대폰용 보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808Y1 true KR200362808Y1 (ko) 2004-09-23

Family

ID=4935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546U KR200362808Y1 (ko) 2004-06-22 2004-06-22 휴대폰용 보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8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681A (ko) * 2006-09-21 2006-11-09 안형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55881Y1 (ko) 2011-06-03 2011-09-30 이영훈 단말기용 가죽스킨패드
KR101482919B1 (ko) * 2013-06-04 2015-01-27 오의근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KR102339050B1 (ko) * 2020-08-27 2021-12-13 황종수 방습 기능을 갖는 섬유시트를 사용한 기기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681A (ko) * 2006-09-21 2006-11-09 안형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55881Y1 (ko) 2011-06-03 2011-09-30 이영훈 단말기용 가죽스킨패드
KR101482919B1 (ko) * 2013-06-04 2015-01-27 오의근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KR102339050B1 (ko) * 2020-08-27 2021-12-13 황종수 방습 기능을 갖는 섬유시트를 사용한 기기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529B1 (ko) 휴대기용 케이스
CN103716426B (zh) 移动终端壳体及其制造方法
US6382448B1 (en) Housing case and a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1646316A (zh) 壳体及其制作方法
KR200362808Y1 (ko) 휴대폰용 보조커버
TW200840700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panel and structure thereof
JP2007285093A (ja) 携帯機及び加飾フィルム
EP1157799A1 (en) Housing shell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100651673B1 (ko) 키패드 및 그 키패드 제조방법
KR100651675B1 (ko) 키패드 및 그 키패드 제조방법
KR200365139Y1 (ko) 키패드 및 그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폰
KR200365140Y1 (ko) 키패드 및 그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2433016B1 (ko) 박막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
JP2007176108A (ja) 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をインサート成形する方法及び皮革製カバーによって覆われたキャビネット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20080687A (ko)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JP2007130890A (ja) 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をインサート成形する方法及び皮革製カバーによって覆われたキャビネット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7176109A (ja) 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をインサート成形する方法
KR200172167Y1 (ko) 의류용 입체라벨
KR101374740B1 (ko) 입체패턴 및 코팅층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방법
JP4810227B2 (ja) 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をインサート成形する方法及び布製カバーによって覆われたキャビネットを有する電子機器
CN204928933U (zh) 一种手机保护壳
KR20070091413A (ko) 2중 박판 키패드
JP4810226B2 (ja) 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をインサート成形する方法及び皮革製カバーによって覆われたキャビネットを有する電子機器
JP4810225B2 (ja) 電子機器のキャビネットをインサート成形する方法
JP2004006352A (ja) 電子機器のキ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