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919B1 -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919B1
KR101482919B1 KR20130063969A KR20130063969A KR101482919B1 KR 101482919 B1 KR101482919 B1 KR 101482919B1 KR 20130063969 A KR20130063969 A KR 20130063969A KR 20130063969 A KR20130063969 A KR 20130063969A KR 101482919 B1 KR101482919 B1 KR 101482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ver
mobile phone
display scree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2781A (ko
Inventor
오의근
김영신
Original Assignee
오의근
김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근, 김영신 filed Critical 오의근
Priority to KR2013006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91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어주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과 접촉되는 커버의 내측 면에 내부로 오목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인입하는 광 인입부와;
상기 광 인입부와 연결되도록 커버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인입된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와;
상기 커버의 외측 면에 외부로 볼록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광 전달부와 연결되어 전달된 광을 외부로 토출하는 광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토출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광 전달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에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커버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LIGHT EMITTING DEVICE OF COVER USING DISPLAY LIGHT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에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커버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휴대폰은 이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인에게 반드시 있어야 할 물품이 되고 있으며, 기술의 컨버전스(convergence)경향으로 인하여 휴대폰이 단순히 전화를 걸고 받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DMB, 고성능의 카메라, MP3 및 동영상 재생기 등이 장착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새로운 첨단 장비의 하나로서 고가화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인터넷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면서 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이 요구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방식의 폰이 보다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상기와 같은 근래의 휴대폰은 대부분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커버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커버는 휴대폰의 일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어서 보호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는 일반적으로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어서 보호하고 있을 경우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차단하여 외부에서 식별 불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진동 또는 무음 모드로 되어 있는 휴대폰에 전화가 오더라도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없어 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에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커버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어주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과 접촉되는 커버의 내측 면에 내부로 오목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인입하는 광 인입부와;
상기 광 인입부와 연결되도록 커버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인입된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와;
상기 커버의 외측 면에 외부로 볼록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광 전달부와 연결되어 전달된 광을 외부로 토출하는 광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토출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광 전달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커버의 전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가 각각 하나씩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광 전달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유색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전달부의 전 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커버의 내부에 내장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전달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광 인입부와 광 토출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에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커버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소 밋밋해 보이는 커버의 외측 면을 발광시켜 심미감을 더해주고,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하여 커버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치 않아 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가 설치된 휴대폰 커버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가 설치된 휴대폰 커버의 내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가 설치된 휴대폰 커버의 외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가 설치된 휴대폰 커버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가 설치된 휴대폰 커버의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의 광 전달부 내부에 광섬유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의 광 전달부 내부에 광섬유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는, 도 1, 3,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 디스플레이 화면(110)과 접촉되는 커버(120)의 내측 면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광을 인입하는 광 인입부(200)와, 광 인입부(200)와 연결되도록 커버(120)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인입된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210)와, 커버(120)의 외측 면에 형성되되 광 전달부(210)와 연결되어 전달된 광을 외부로 토출하는 광 토출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커버(120)는 가죽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 구조물로, 디스플레이 화면(110)이 형성된 휴대폰(100) 전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휴대폰(100)의 상기 전면을 덮어서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커버(120)는 휴대폰(10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110)을 덮어서 보호하거나 개방하게 된다.
한편, 광 인입부(200)는 커버(120)의 내측 면 상에 커버(120)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재이고, 광 토출부(220)는 커버(120)의 외측 면 상에 커버(120)의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광 인입부(200) 및 광 토출부(220)는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커버(120) 면 상에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광 전달부(210)는 광 인입부(200)와 광 토출부(220)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부재로서, 커버(120)의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한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어, 일측이 커버(120)의 내측 면 상에 드러나도록 설치되고, 타측이 커버(120)의 외측 면 상에 드러나도록 형성된다. 즉, 커버(120)의 내측 면 상에 오목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된 상기 일 측이 광 인입부(200)가 되는 것이고, 커버(120)의 외측 면 상에 볼록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된 상기 타측이 광 토출부(220)가 되는 것이다.
또한,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가 별개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광 인입부(200)는 일측 면이 내부로 오목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 렌즈로서, 오목하게 형성된 면이 커버(120)의 내측 면 상에 드러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광 토출부(220)는 일측 면이 외부로 볼록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 렌즈로서, 볼록하게 형성된 면이 커버(120)의 외측 면 상에 드러나도록 형성된다.
광 전달부(210)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 부재로서, 양측이 광 인입부(200)와 광 토출부(220)에 결합되어 광 인입부(200)와 광 토출부(220)를 상호 연결하도록 커버(120)의 내부에 내장된다.
도 4에는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만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가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는 광 인입부(2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광이 인입되고, 인입된 광은 광 전달부(210)를 따라 전달되어 광 토출부(220)로 토출된다. 즉,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광이 커버(120)의 외부로 토출되어 커버(120)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0)을 동작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광 토출부(2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태 즉, 꽃, 과일 및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120)의 심미감을 더해줄 수 있다.
상기한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는 각각 복수 개로 마련되어 커버(120)의 전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는 각각 하나씩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광 전달부(210) 양측에 각각 하나씩의 광 인입부(200) 및 광 토출부(220)가 설치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될 경우 광 토출부(220)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의 개수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는 유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가 무색의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110)에서 나오는 광의 색상 그대로 커버(120)의 외부로 토출하게 되는데, 이 경우 광 토출부(220)의 특정 형상과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색의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광 토출부(220)의 형상이 사과의 형상일 경우 사과 부분(도 3의 a)에 해당되는 광 토출부(220)는 빨간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고, 잎 부분(도 3의 b)에 해당되는 광 토출부(220)는 초록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광 토출부(220)의 색상을 변화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광 토출부(220) 만을 유색의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광 전달부(210) 및 광 인입부(200)도 유색의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 전달부(210)에는 커버(12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240)가 더 형성되어 광 전달부(210)를 커버(12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한편, 광 전달부(210)의 전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커버(120)의 내부에 내장되는 반사층(250)이 더 형성된다.
반사층(250)은 은박지 또는 거울 등과 같이 빛을 반사하는 부재로서, 소정 두께를 갖는 박막 형태로 형성되어 광 전달부(21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반사층(250)에 의해 광 전달부(210)로 인입된 광이 분산되지 않고 광 토출부(220)로 온전하게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반사층(250)에 의해 광 인입부(200)로 인입된 광이 누설되지 않아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전달부(2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광섬유(250)가 설치될 수 있다. 광섬유는 중심부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하는 광학적 섬유로서, 일측은 광 인입부(200)에 접촉되고, 타측은 광 토출부(2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인입된 광을 보다 선명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광섬유(25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광섬유(250)의 색상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예>
이하에서는, 도 2, 3, 5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1 실시 예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또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광 전달부(210)의 형상과 광 인입부(200) 및 광 토출부(220)의 개수만이 다를 뿐 다른 사항을 동일하다.
제2 실시 예는 광 토출부(220)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커버(120) 외측 면의 전 영역에 걸쳐 배치되며, 광 인입부(200)는 하나만 마련되어 커버(120) 내측 면에 배치된다. 도 2에는 광 인입부(200)가 커버(120) 내측 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120)의 내측 면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110) 중 광이 가장 강하게 발산되는 부분과 접촉되는 커버(120)의 내측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광 인입부(200) 및 광 토출부(220)가 형성되면, 광 전달부(210)가 상기 광 인입부(200) 및 광 토출부(220)를 상호 연결하도록 커버(120) 내부에 내장된다. 즉, 하나의 광 인입부(200)를 복수 개의 광 토출부(220)와 상호 연결시키도록 가지 형태로 광 전달부(2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가 형성되면, 하나의 광 인입부(200)로 인입된 빛이 복수 개의 광 토출부(220)로 토출되어 커버(120)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동작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의 경우 광 인입부(200)가 복수 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광 인입부(200)가 위치된 영역의 디스플레이 화면(110)이 발산하는 광의 양에 따라 각 광 토출부(220)로 토출되는 광의 양이 서로 달라 심미감을 해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2 실시 예와 같이, 하나의 광 인입부(200)로 인입된 광이 복수 개의 광 토출부(220)로 토출되게 되면,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각 영역별로 발산되는 광의 양이 다르더라도 광이 인입되는 곳이 한 곳이므로 토출되는 광의 양이 균일해지게 되어 보다 심미감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전달부(2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광섬유(250)가 설치될 수 있다. 광섬유는 중심부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하는 광학적 섬유로서, 일측은 광 인입부(200)에 접촉되고, 타측은 광 토출부(2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인입된 광을 보다 선명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광섬유(25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광섬유(250)의 색상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11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120)에 광 인입부(200), 광 전달부(210) 및 광 토출부(220)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광을 커버(120)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소 밋밋해 보이는 커버(120)의 외측 면을 발광시켜 심미감을 더해주고,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광을 이용하여 커버(120)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치 않아 보다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0 : 휴대폰 110 : 디스플레이 화면
120 : 커버 200 : 광 인입부
210 : 광 전달부 220 : 광 토출부
230 : 고정부 240 : 광섬유
250 : 반사층

Claims (7)

  1.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어주는 커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과 접촉되는 커버의 내측 면에 내부로 오목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인입하는 광 인입부와;
    상기 광 인입부와 연결되도록 커버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인입된 광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와;
    상기 커버의 외측 면에 외부로 볼록하게 또는 평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광 전달부와 연결되어 전달된 광을 외부로 토출하는 광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토출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하나의 광 전달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커버의 전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광 인입부, 광 전달부 및 광 토출부가 각각 하나씩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달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유색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달부의 전 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커버의 내부에 내장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달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광 인입부와 광 토출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광섬유를 더 포함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KR20130063969A 2013-06-04 2013-06-04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KR10148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969A KR101482919B1 (ko) 2013-06-04 2013-06-04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969A KR101482919B1 (ko) 2013-06-04 2013-06-04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781A KR20140142781A (ko) 2014-12-15
KR101482919B1 true KR101482919B1 (ko) 2015-01-27

Family

ID=5246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3969A KR101482919B1 (ko) 2013-06-04 2013-06-04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168B1 (ko) 2017-01-04 2023-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버 액세서리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159Y1 (ko) * 2002-04-19 2002-07-22 조지호 핸드폰 케이스
KR200362808Y1 (ko) * 2004-06-22 2004-09-23 주식회사 모센 휴대폰용 보조커버
KR200387454Y1 (ko) 2005-02-18 2005-06-17 오성택 핸드폰 lcd 보호용 거울판
KR20060115681A (ko) * 2006-09-21 2006-11-09 안형규 휴대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159Y1 (ko) * 2002-04-19 2002-07-22 조지호 핸드폰 케이스
KR200362808Y1 (ko) * 2004-06-22 2004-09-23 주식회사 모센 휴대폰용 보조커버
KR200387454Y1 (ko) 2005-02-18 2005-06-17 오성택 핸드폰 lcd 보호용 거울판
KR20060115681A (ko) * 2006-09-21 2006-11-09 안형규 휴대폰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781A (ko) 201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8753A1 (en) Electronic device
JP2007027115A (ja) 携帯型端末のキーパッド照明装置
CN109257465B (zh) 壳体组件以及电子设备
KR101378223B1 (ko) 휴대폰 스킨
TWI522698B (zh) 顯示裝置
KR101494760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 부재
CN109257470A (zh) 电子装置
US20160369976A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Light Emitting Device Capable of Converting Color
CN104662875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壳体
WO2024060861A1 (zh) 呼吸灯模组及电子设备
KR101482919B1 (ko)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CN113847583A (zh) 发光模组以及电子设备
CN208672966U (zh) 电子装置
CN108494897B (zh) 电子装置
JP5852481B2 (ja) 携帯端末
CN103629633A (zh) 电子装置、照明装置、照明方法和制造照明装置的方法
EP2228974B1 (en) Portable terminal with lighting decoration
KR100976975B1 (ko) 오버랩 키패드
KR20150050011A (ko) 다색을 구현하는 다방향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JP2013157975A (ja) 携帯端末機用ケース
JP2008017402A (ja) 折畳み型携帯電話端末
CN112118341B (zh) 电子设备及其led灯组件
US20100157587A1 (en) Light-emitt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257468A1 (en) Communication devices that include a coherent light source configured to project light through a translucent portion of a housing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11373320A (zh) 闪光灯结构以及具备该结构的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