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223B1 - 휴대폰 스킨 - Google Patents

휴대폰 스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223B1
KR101378223B1 KR1020130092402A KR20130092402A KR101378223B1 KR 101378223 B1 KR101378223 B1 KR 101378223B1 KR 1020130092402 A KR1020130092402 A KR 1020130092402A KR 20130092402 A KR20130092402 A KR 20130092402A KR 101378223 B1 KR101378223 B1 KR 10137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obile phone
opening
ligh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승
Original Assignee
백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495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782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용승 filed Critical 백용승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와 플래시 모듈이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플래시에서 발광되는 빛을 도전, 굴절, 반사시켜 외부 스킨의 자체 발광이 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효과와 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스킨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킨이 플래시의 강한 빛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 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발광 여부를 쉽게 인지하고 발현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킨이 다양한 외부 디자인과 방식으로 발광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개성적인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휴대폰 스킨 {Skin for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와 플래시 모듈이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 외부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으로 자신만의 개성 표출을 증대하기 위한 휴대폰 스킨이 본연의 기능 외에 플래시에서 발광되는 빛을 도전, 굴절, 반사시켜 외부 스킨의 자체 발광이 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효과와 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스킨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 생산되는 통상의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에는 카메라와 이를 보조하기 위한 플래시가 형성되어 있다. 플래시는 어두운 곳에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빛을 밝혀 사물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시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례이다.
한편, 이러한 휴대폰에는 각 개인의 개성과 취향에 따라 다양한 외형을 갖는 면형 스킨을 부착하기도 하는데 이는 자체적인 미감을 통해 스마트폰 등의 단조로운 형상 및 디자인의 외측을 다양한 형상과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평면, 곡면의 스킨 외부에 다양한 캐릭터를 인쇄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도 있고, 다양한 효과가 발현되도록 하여, 보다 다양하고 향상된 미감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킨은 얇은 패널 내지는 합성수지 스티커와 같은 단조로운 구성이기 때문에, 색상, 모양 등을 통해 다양한 미감을 표현할 수는 있겠으나, 발광 효과를 스킨 내에서 구현할 수는 없었다. 즉, 발광소자, 전원, 단자 등은 스킨 내부에 구비될 수가 없거나, 이것이 스킨 내부에 구비되면 그 두께가 커지고 구성이 복잡해 지기 때문에, 스킨을 통해 발광 효과를 내는 것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1747호
본 발명은 휴대폰에 부착되어 외부를 꾸미는 스킨에 있어서, 휴대폰의 카메라용 플래시를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구성 없이 발광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에 부착되는 스킨에 카메라용 플래시에서 발광되는 빛을 전달하여 다양한 디자인과 방식으로 발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플래시가 구비되는 휴대폰의 외부에 배치 가능한 보호 스킨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상기 플래시가 위치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플래시의 발광측에 구비되는 광입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되면 플래시의 빛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광입사부로 발광되고, 상기 광입사부로 전달된 빛은 상기 본체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폰의 상기 플래시와 대향되는 정면 위치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개구의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폰의 상기 플래시와 대향되는 정면 위치에 상기 광입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휴대폰의 상기 플래시의 빛이 특정 밝기 이상으로 발광되는 주광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플래시의 정면보다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플래시의 정면에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플래시에 가까운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보다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플래시에서 먼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에 대향되며 위치되는 부분이 있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플래시에 가까운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에 대향되며 위치되는 부분이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에서 먼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보다 측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기 플래시와 마주보는 외측에는, 상기 플래시의 정면을 일부 또는 전부 커버하는 반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플래시와 마주보는 부분에 반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 굴절 또는 도광된 빛은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와 상기 휴대폰을 외측에서 감싸는 커버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밀착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각종 색상 또는 형광물질이 인쇄되는 인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부가부재가 더 구비되어 덮되,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본체의 테두리 또는 일 부분을 개방시키며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개구를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개구를 마주보거나, 상기 개구의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내측에 개방된 개구대면부가 장형으로 구비된 개구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개구대면부의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제2본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에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레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의 홈 또는 돌기에 대응되며 맞물릴 수 있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입사부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도광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입사부에는 인입되는 형상의 렌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밀착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킨이 플래시의 강한 빛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 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발광 여부를 쉽게 인지하고 발현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킨이 다양한 외부 디자인과 방식으로 발광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개성적인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에 요구되는 빈 공간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반적인 휴대폰 외부 보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외부 보조케이스가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외부 보조케이스와 본 발명의 스킨의 개념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킨과 광입사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킨의 광입사부에 반사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보호 스킨에 개폐부재가 적용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통상의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들은 바 형의 패널 형태를 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반대편에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휴대폰(1)의 배면 상단부에는 카메라(2)가 구비되고, 그 옆에는 촬영에 필요한 빛을 공급하기 위한 플래시(3)가 구비된다. 도면상 카메라(2)와 플래시(3)의 사이에 있는 구성은 스피커이다. 플래시(3)는 카메라(2)의 렌즈가 향해 있는 방향으로 발광되도록 측방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휴대폰(1)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강한 빛을 내도록 한다.
도 4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에 요구되는 빈 공간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의 화살표를 기준으로 한 측면을 표시한 것이며, 도면에 표시된 선은 휴대폰(1)의 제조시에 규정된 필요 형식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이다. 카메라(2)에 표시된 B-B선의 사이 공간은 제대로된 촬영을 위해 비워지도록 필요한 공간이며, 플래시(3)에 표시된 C-C선의 사이 공간은 플래시(3)의 발광을 원활하게 방사하기 위해 비워지도록 필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1)의 외부 스킨을 구성할 때에는, 카메라 및 플래시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최소한 B-B 영역, C-C 영역은 가려지지 않도록 하며 여유있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통상 B-B 영역은 카메라 이미지콘이라 하여, 카메라 내의 상이 맺히는 기준점 등을 중심으로 90°로 정의되며, C-C 영역은 플래시콘이라 하여 발광 기준점 등을 중심으로 100°로 정의된다. 상기 수치는 휴대폰(1)의 제조업체에 따라 부품 사양이나 형식에 따라 다소 증감될 수 있을 것이다.
플래시콘은 플래시가 발광되는 주광(主光)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정의된 것으로서, 플래시(3)에서 발산하는 빛이 집중적으로 출력되는 부분이므로, 주광영역이 외부 케이스나 악세사리 등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에는 사진, 동영상 촬영에 필요한 빛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발산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외부 보조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외부 보조케이스가 스마트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케이스(10)에는 카메라 이미지콘 영역과 플래시콘 영역을 개방하기 위한 개방구(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구(20)의 내부 테두리면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래시(3)의 경계로부터 상당히 이격되어 주광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이 지금까지의 보조케이스(10)에 공통된 것이었다.
한편, 최근의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은, 첨단화된 내부 인터페이스 및 제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의 스마트폰 등은 카메라의 촬영시에만 플래시가 발광되도록 되어 있는데, 스마트폰에 특정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앱 등을 설치하거나 또는 내부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촬영시뿐만 아니라 다른 때에도 플래시가 간헐적으로 발광되도록 하고자 한다. 예컨대, 문자가 수신되었을 때, 또는 문자를 발신했을 때나 전화가 왔을 때, 또는 전화를 걸 때, 또는 스마트폰 내부에 구비된 무선 결제 모듈에 의해 대중교통에서의 T money 결제 등이 수행될 때에, 이를 알리기 위해 한 차례 또는 일정 시간 반복되도록 점멸시킬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음성이나 음악 리듬에 맞춰 점멸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발광은 휴대폰의 전원을 사용하므로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유도전류에 의할 때보다, 훨씬 밝은 빛을 내게 된다. 이러한 발광 기능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는, 손쉽게 위와 같은 이벤트 즉, 문자, 전화 송수신, 결제 등의 사실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미감이 향상되고,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플래시는 사용자가 주로 보는 디스플레이의 반대측, 즉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정면이 아닌 후면 측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발광이 되더라도 사용자에게는 발광이 직접 보여지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발광 기능이 무의미해진다. 또한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탑승시, 운전기사측에 구비되는 카드 결제 장치에 결제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폰의 후면을 근접시키는 경우 결제와 함께 운전기사를 향해 플래시가 발광되어, 정작 사용자는 발광 효과를 못느끼면서 운전기사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플래시의 발광을 위해 불가침하여 왔던 플래시콘과 같은 주광영역에 후술할 구성들을 도입함으로써, 기존에는 생각 못하던 플래시 발광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각종 주변장치, 즉 보호 스킨에 결합하고자 한다. 여기서 장착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플래시 측에 보호 스킨이 위치를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결합, 접착, 체결, 지지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외부 보조케이스와 본 발명의 스킨의 개념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주광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플래시콘이 정의되어 있다(a). 따라서 (b)와 같이 종래의 외부 보조케이스(10) 등의 장착부재의 개방구(20)는 주광영역을 가리지 않기 위하여 카메라 이미지콘(B-B), 플래시콘(C-C)에 보조케이스(10)의 테두리 부분이 걸치지 않도록 개방구(20)를 넓게 형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대한 역발상으로, (c)와 같이 외부 장착부재(100)의 테두리가 플래시콘(C-C)의 내부까지 침범하는 부분(D)을 구비하여, 플래시(3)에서 발산되는 빛이 주광영역으로 발산되는 동시에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 장착부재(100)의 내부로 입사되거나 난반사, 반사되면서 도광되어, E의 화살표와 같이 보호 스킨(100)을 통해 전달되거나 발광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즉 플래시(3)의 전방 주광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걸쳐지는 보호 스킨(100)을 통해 플래시(3)에서 발산되는 빛이 보호 스킨(100)의 다른 부분에서 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호 스킨과 광입사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보호 스킨(100)은 본체(110)와 개구(130)를 구비하며, 개구(130) 측에는 테두리를 따라 광입사부(120)가 정의된다. 본체(110)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폰의 배면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는 도광, 발광 기능의 패치형 패널을 구성한다. 개구는 카메라의 이미지콘에 대응되어 형성된 개방된 공간과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부분과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a)의 경우 개구(130)가 넓게 형성되고, 광입사부(120)가 플래시(3)의 정면 빛 플래시콘(C-C) 영역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주광이 광입사부(120)로 인입되지 않는다.
(b)의 경우 개구(130)의 크기가 플래시(3)의 면적보다 약간 크거나 동일하게 구성되고, 그 테두리의 광입사부(120)가 플래시(3)의 정면을 가리지는 않으면서도 근접하게 위치되는 상태이다. 이 때 플래시콘(C-C) 영역에 광입사부(120)가 걸쳐있게 되므로, 플래시(3)의 주광(主光) 일부가 광입사부(120)로 입사되어 화살표와 같이 빛이 본체(110) 내에서 도광, 난반사되어 외측으로 전달된다. 보호 스킨(100)은 색상이 있거나, 또는 투명, 반투명, 불투명 등 다양한 기능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도광, 난반사 성능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의 경우 개구(130)를 더 작게 형성하고, 광입사부(120)가 플래시(3)의 정면에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b)의 경우보다 더 많은 주광이 광입사부(120)로 인입될 것이다.
(d)의 경우 개구(130) 테두리 즉, 광입사부(120)의 하측은 플래시(3)의 정면 면적과 같거나 크게 하고, 하측은 플래시(3)의 정면을 가리도록 비스듬하게 또는 계단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e)의 경우 개구(130) 없이, 플래시(3)의 정면을 광입사부(120)가 모두 덮어버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플래시(3)의 주광 영역을 광입사부(120)가 모두 감싸고 있기 때문에, 많은 량의 빛이 광입사부(120)를 통해 측방으로 도광, 난반사, 굴절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광입사부에 반사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플래시(3)와 개구(130)의 정면에 반사부재(140)가 구비되어 있다. 반사부재(140)는 플래시(3)에서 출력되는 빛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반사, 굴절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티커방식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게 배치된다. 반사부재(140)는 불투명인 것이 가장 성능이 좋겠으나,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입사된 빛을 다시 본체(110)의 광입사부(120) 측으로 반사, 난반사, 굴절, 도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반사부재(140)는 도광 성능이 있는 필름,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사가 가능하도록 은색이나 색상있는 외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플래시(3)에서 강한 빛이 발광되면, 반사부재(140)에 의해 개구(130) 내부에 강한 빛이 비치면서 광입사부(120)를 통해 빛이 본체(110) 쪽으로 향하게 된다. 반사부재(1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면과 같이 개구(130)가 플래시(3)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도 8의 (b) 내지 (e)와 같은 실시예 구성에서도 반사부재(140)를 구비시킬 수 있다.
특히 (e)와 같이 광입사부(120)가 플래시(3)의 전면에 있는 경우에도 그 외측에 반사부재(140)를 구비하면, 본체(110) 측으로 도전되는 빛은 상당히 강하게 되는데 이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한편, 도 9a의 반사부재(140)를 대체하여, 개폐 가능한 개폐부재를 동일 위치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광입사부(120)의 외측에 반사부재(140)가 구비되는데, 보호 스킨(100) 본체(110) 및 반사부재(140)에는 카메라(2)에 대응되는 통공만 형성되고, 플래시를 마주보는 광입사부(120)는 폐쇄되어 있으며, 반사부재(140)도 폐쇄되어 있다. 이 때 광입사부(120)로 입사된 빛 및 반사부재(140)에서 반사된 빛이 보호 스킨(100)의 도광 영역 전체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기 위해서, 도광홈(122)을 광입사부(120) 및 그 주위에 형성시킬 수 있다. 도광홈(122)은 광입사부(120)에 형성되며 외측을 향해 뻗어나가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구가 형성된 상태에서도 그 측방의 광입사부(120)에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반사부재(140)와 함께 작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반사부재(140)가 없는 경우에노 도광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광홈(122)은 플로터에 의한 커팅으로 형성되거나, 프레스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d 와 같이 광입사부(120)에 걸쳐 내입되도록 형성되는 도광홈(122)은 라이트 파이프의 역할을 하게 되어, 빛을 난반사, 도광시켜 도광홈(122)을 따라 음영지역을 향해 전달되도록 한다.
도 9e를 참조하면, (a)는 도광홈(122)의 다른 실시예 단면을 나타내는 것인데, (b), (c)와 같이, 같은 위치에 내입홈(124)을 도광홈(122)보다 좀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렌즈홈(123, 124)은 원반형(124) 또는 반구형(123)으로 내입되며, 플래시에서 발광된 빛이 렌즈홈(123, 124)에 입사되면서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빛이 고르게 도광되도록 하는 렌즈의 역할을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폰(1)의 외부에 보호 스킨(100)이 부착된 상태이다. 본체(110)에는 카메라(2)를 위한 개방구와 플래시를 위한 개구(130)를 구비하고, 개구(130)의 테두리에는 광입사부(120)가 구비된다. 광입사부(120)는 플래시(3)의 전방을 일부 가리고 있는 도 8의 (c)와 같은 형태로 적용되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플래시의 빛이 광입사부(120)로 인입되어 보호 스킨(100)의 테두리와, 이에 구비된 패턴부 캐릭터 디자인에서 발광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보호 스킨(100)으로 휴대폰 배면에 평판형 패널부재를 구비하여 배치해 놓은 상태에서, 플래시의 발광시에 빛이 표현되는 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패널부재는 스마트폰에 부착될 수도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휴대폰(1)의 플래시 측에 패널형 본체(110)를 구비하고, 이를 외측의 커버부재(160)로 덮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호 스킨(1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색상이 있는 합성수지 도광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1) 배면의 형상에 따라 도 13과 같이 평평하게 구비하거나, 또는 도 15와 같이 곡면으로 포밍되도록 할 수도 있다. 패널부재(150)에는 마찬가지로 개구(130)가 형성되고 그 주위를 따라 광입사부(120)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호 스킨(100)은 단독으로 휴대폰(1)에 부착, 접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추가적으로 커버부재(160)가 덧씌워져 밀착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보호 스킨(100)과 커버부재(160)가 사출성형 등의 제조시부터 일체화되거나 사전에 커버부재(160) 측에 보호 스킨(100)이 결합된 후, 커버부재(160)가 휴대폰(1)에 결합되거나 씌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좌측과 같이 스마트폰의 배면에 보호 스킨이 배치된 후, 이를 내포한 상황에서 가운데와 같이 커버부재(160)가 씌워지게 된다. 이 후 플래시가 발광되면 우측의 사진과 같이 보호 스킨에 의해 도광된 빛이 커버부재(160)의 테두리 등으로 발산되어 발광 효과를 내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결합이 완성되면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나타난다. 외측에는 커버부재(160)가 휴대폰(1)을 감싸고, 그 내부에는 보호 스킨(100)이 구비된다. 플래시(3)에서 발광되는 빛은 보호 스킨(100)에서 도광되어 커버부재(160)의 내측 전반을 발광시키기도 하고, 또는 커버부재(160)의 일부가 개방되거나 또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빛이 발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의 A-A 선에 따른 단면인 도 17 (b)를 보면, 휴대폰(1)과 커버부재(160)의 사이에 박판형의 패널의 보호 스킨(100)이 배치되어 있으며, 보호 스킨(100)에 구비되는 개구(130) 측방의 광입사부(120)로부터 입사되는 플래시(3)의 빛은 보호 스킨(100) 전체로 도광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빛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의 사진을 보면 커버부재(160)의 개방구 내로 노출된 투명의 보호 스킨(100)이 플래시(13)의 전방에 걸쳐 광입사부(120)를 배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보호 스킨(100)에는 패턴부(152)를 형성할 수도 있다. 패턴부(152)는 v, u 형의 홈을 긁거나 프레스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홈 부분에서는 그 단면에 빛이 맺히면서 주위에 비해 밝게 나타나기 때문에 각종 도안이나 글씨, 그림 등의 패턴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이나 정보, 광고 등을 전달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패턴부 대신에 색상물질이나 형광물질을 본체 표면에 인쇄한 인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쇄부는 각종 글씨, 캐릭터, 도형 등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버부재(160)와 보호 스킨(100)에는 전술한 반사부재(140)를 구비할 수 있다. 반사부재(140)는 커버부재(160) 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플래시(3)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좌측에는 투명한 보호 스킨(100), 가운데에는 보호 스킨 또는 커버부재에 끼워지는 반사부재(140), 우측에는 커버부재(160)의 형상이 나타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a)는 반사부재(140)가 커버부재(160)에 끼워져 보호 스킨(100)를 대면하고 있는 상태이다. (b)는 이 부분에 대한 횡단면도, (c)는 종단면도인데, 커버부재(160)의 개방구 테두리에는 결합을 위한 돌출 결합부(163)가 형성되고, 반사부재(140)에는 이와 암수결합되는 내입 결합부(143)가 형성되어 맞물리며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반사부재(140)나 커버부재(160)가 형상이 변형되면서 뒤틀리면서 상호 간의 결합이 착탈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접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사부재(140)의 내측에는 안착부(141)가 형성되고, 안착부(141) 내에는 추가적으로 반사부(142)가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142)는 거울과 같이 빛을 반사시키거나 도광판과 같이 도광시키는 재질로 구성되어, 입사되는 빛을 단독으로 또는 반사부재(140)의 안착부(14)와 함께 굴절, 반사, 난반사, 도전시키는 구성이다. 플래시(3)에서 발광된 빛은 개구(130)를 지나 반사부(142)에서 반사되어 보호 스킨(100)의 광입사부(120)로 입사된다. 물론 이 때 광입사부(120)로 직접 입사될 수 있도록 광입사부(120)와 개구(130)의 형상, 위치,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개방구(144)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보호 스킨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보호 스킨은 본체(110)에 다른 부가부재(150)를 맞대어 배치시킬 수도 있다. 즉 본체(110)의 일면에 인조가죽이나 인쇄물 등을 접착제나 점착 테이프(미도시)를 사용하여 결합시켜 외부 악세사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0과 같이 본체(110)의 일면에 빛이 잘 투과되지 않는 인조가죽이나 섬유를 붙이는 경우에는 본체(110)에 도광된 빛이 면으로는 노출되지 않고, 측방 모서리를 따라 발광되어 테두리를 장식할 수 있다. 또한 부가부재(150)의 일부를 개방하거나, 또는 문구, 로고, 상표, 광고 등이 표시되는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으로 빛이 노출되면서 외부로 발현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반사부재(140)를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반사부재(140)는 도 23 (a)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b)에 의하면, 본체(110)의 개방구에 내입되는 내입 결합부(145)가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a)와 같이 본체(110)보다 부가부재(150)의 크기를 약간 작게 하면, 본체(110)의 테두리 부분에서 발광이 되면서 발광시에 테두리 라인이 발광되는 것으로 표현이 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좌측의 보호 스킨(100)에 반사부재(140)가 결합되어 우측과 같이 배치됨을 나타낸 것이다. 보호 스킨(100)에는 캐릭터 패턴이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 형상, 그림 내지는 광고, 문구, 로고 등을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호 스킨(100)는 접착될 수도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다른 수단과 함께 구비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25를 참조하면, 보호 스킨(100)의 외면에 부가부재(150)로 인조가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부가부재(150)에는 스마트폰 제조사의 로고가 홀로써 표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발광시에는 우측 사진과 같이 테두리 부분과, 로고 부분의 경계가 환하게 비쳐질 수 있게 된다.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보호 스킨에 개폐부재가 적용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보호 스킨(100)은 본체의 개구(130)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개폐부재(170)를 구비한다. 개폐부재(170)는 본체(110)의 개구(130)에 결합되어 개구(130)를 가리고 있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시켜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본체(110)의 하측에는 접착부재(116)가 구비되어, 휴대폰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체(110)에는 추가적으로 제2본체(112)가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본체(112)는 제2개구대면부(113)가 개방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부재(170)의 슬라이딩부재(174)의 상하방에서 본체(110)와 함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재(170)는 슬라이더(171)와 슬라이딩부재(174)를 포함하며, 슬라이더(171)는 슬라이딩부재(174)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움직인다. 제2본체(112)의 상측에는 추가적으로 제3본체(114)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제3본체(114)에는 슬라이더(171)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조작부(115)가 개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재(174)는 개구레일부(175)를 구비한다. 개구레일부(175)는 장형의 개구대면부(176)가 뚫린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이 부분에 슬라이더(171)가 삽입되어 움직인다. 슬라이더(171)는 개구대면부(176) 내에 위치되어 개구레일부(175)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171)는 개구대면부(176)의 일부를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개구레일부(175)의 측방에는 카메라의 렌즈를 대면하여 개방구를 형성하는 카메라대면부(17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171)는 개폐부(173)를 기본 구성으로 상측으로 돌출부(172)가 더 형성된다. 돌출부(172)를 통해 사람이 손가락으로 개폐부(17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171)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더(171)의 측방에는 돌기(173a)를 형성하고, 개구레일부(175)의 내측에도 1군데 또는 2군데에 홈(175a, b)을 형성할 수 있다. 돌기(173a)는 슬라이딩되며 2쌍의 홈(175a)(175b)에 맞물리면서 원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홈과 돌기의 위치는 슬라이더(171)와 개구레일부(175)에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슬라이더(171)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슬라이더(171)를 도 29 (a)와 같이 밀면 개구(130)를 닫게 되고, (b)와 같이 밀면 개구(130)가 개방된다. 슬라이더(171)가 개구(130)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 플래시가 개구(130) 측으로 발광되면 슬라이더(171)에 의해 빛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고 반사되어 본체(110) 측으로 더 많이 입사되어, 발광 세기가 더 커지게 된다.
슬라이더(171)는 반사부재(140)와 마찬가지로 플래시의 빛을 다시 내측으로 반사, 굴절, 난반사, 도광시킬 수 있으며, 거울과 같은 반사 기능을 하거나, 또는 도광판과 같이 도광 기능을 하는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개폐부재(170)는 하측부터 본체(110), 제2본체(112) 및 제3본체(114)에 의해 그 사이의 공간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휴대폰 2 : 카메라
3 : 플래시 10 : 보호 스킨
20 : 개방구 100 : 외부 장착부재
110 : 본체 120 : 광입사부
130 : 개구 140 : 반사부재
150 : 부가부재 160 : 커버부재
170 : 개폐부재 171 : 슬라이더
174 : 슬라이딩부재

Claims (21)

  1.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플래시가 구비되는 휴대폰의 외부에 배치 가능한 스킨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상기 플래시가 위치되는 방향에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플래시의 발광측에 구비되는 광입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되면 외부로 발광되는 상기 플래시의 빛의 일부가 상기 광입사부로 발광되고, 상기 광입사부로 전달된 빛은 상기 본체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고,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폰의 상기 플래시와 대향되는 정면 위치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개구의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휴대폰의 상기 플래시의 빛이 특정 밝기 이상으로 발광되는 주광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플래시의 정면보다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플래시의 정면에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플래시에 가까운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보다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플래시에서 먼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에 대향되며 위치되는 부분이 있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플래시에 가까운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에 대향되며 위치되는 부분이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에서 먼 쪽은 상기 플래시의 정면보다 측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플래시와 마주보는 외측에는,
    상기 플래시의 정면을 일부 또는 전부 커버하는 반사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플래시와 마주보는 부분에 반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 굴절 또는 도광된 빛은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와 상기 휴대폰을 외측에서 감싸는 커버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밀착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각종 색상 또는 형광물질이 인쇄되는 인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부가부재가 더 구비되어 덮되,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본체의 테두리 또는 일 부분을 개방시키며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개구를 마주보고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개구를 마주보거나, 상기 개구의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내측에 개방된 개구대면부가 장형으로 구비된 개구레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개구대면부의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제2본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제2본체가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레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의 홈 또는 돌기에 대응되며 맞물릴 수 있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도광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에는 인입되는 형상의 렌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접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일면에 밀착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스킨.
KR1020130092402A 2012-11-30 2013-08-05 휴대폰 스킨 KR101378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129 2012-11-30
KR20120138129 2012-11-30
KR20130064415 2013-06-05
KR1020130064415 2013-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223B1 true KR101378223B1 (ko) 2014-03-28

Family

ID=5064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402A KR101378223B1 (ko) 2012-11-30 2013-08-05 휴대폰 스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22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06B1 (ko) * 2013-03-27 2015-07-09 주식회사 아이지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KR20160005998A (ko) * 2014-07-08 2016-01-18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7232B1 (ko)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KR101767873B1 (ko) 2017-04-21 2017-08-11 이영태 이층 구조의 도광 패널을 구비한 핸드폰 스킨
WO2017150800A1 (ko) * 2016-03-04 2017-09-08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KR101785307B1 (ko) 2017-07-11 2017-11-1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KR101857542B1 (ko) * 2016-09-28 2018-05-14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WO2018128274A1 (en) * 2017-01-04 2018-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804485B2 (en) 2015-07-10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20093708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2258A1 (en) * 2003-08-07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90124181A (ko) * 2008-05-29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케이스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2258A1 (en) * 2003-08-07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90124181A (ko) * 2008-05-29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케이스
US20120112031A1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506B1 (ko) * 2013-03-27 2015-07-09 주식회사 아이지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KR20160005998A (ko) * 2014-07-08 2016-01-18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97786B1 (ko) 2014-07-08 2016-02-25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804485B2 (en) 2015-07-10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1587232B1 (ko)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WO2017150800A1 (ko) * 2016-03-04 2017-09-08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KR101857542B1 (ko) * 2016-09-28 2018-05-14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US10462919B2 (en) 2017-01-04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8128274A1 (en) * 2017-01-04 2018-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67873B1 (ko) 2017-04-21 2017-08-11 이영태 이층 구조의 도광 패널을 구비한 핸드폰 스킨
KR101785307B1 (ko) 2017-07-11 2017-11-1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KR20220093708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KR102496035B1 (ko) 2020-12-28 2023-02-06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223B1 (ko) 휴대폰 스킨
EP2880842B1 (en) Cas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216854B1 (ko)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CN104662875B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壳体
US8087806B2 (en) Electronic device
KR10147445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94760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 부재
KR101767873B1 (ko) 이층 구조의 도광 패널을 구비한 핸드폰 스킨
KR20140062225A (ko) 이동단말기
JP2002125022A (ja) 折畳み型携帯電話機
CN208537875U (zh) 便携式设备保护壳
JP3189499U (ja) 携帯電話スキン
CN201577111U (zh) 具有照明装饰的便携式终端
CN110995898A (zh) 电子设备的壳体组件及电子设备
WO2015078090A1 (zh) 一种可发光的数码产品保护壳
KR101492479B1 (ko)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20140057126A (ko) 발광 가독성이 향상된 발광 케이스
KR101469652B1 (ko) 엘이디 장식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20150091610A (ko) 착탈형 스마트폰 플립케이스
JP6521252B2 (ja) ライトガイドおよび照光表示装置
CN111315165B (zh) 电子设备的壳体组件及电子设备
CN110602285B (zh) 壳体组件、电子设备及壳体组件的制造方法
JP2002125016A (ja) 携帯電話機
KR101392916B1 (ko) 휴대 단말기
KR102210127B1 (ko) 발광 장식필름이 구비된 휴대단말의 보조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16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412

Effective date: 2019110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033;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803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112

Effective date: 2020082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1325;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911

Effective date: 202012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0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114

Effective date: 2021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