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42B1 -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542B1
KR101857542B1 KR1020160125008A KR20160125008A KR101857542B1 KR 101857542 B1 KR101857542 B1 KR 101857542B1 KR 1020160125008 A KR1020160125008 A KR 1020160125008A KR 20160125008 A KR20160125008 A KR 20160125008A KR 101857542 B1 KR101857542 B1 KR 10185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cover member
flash
light
shee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037A (ko
Inventor
이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12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5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기기의 플래시가 발광하였을 때 시트부재에만 빛이 투사되고 투명한 커버부재에는 빛이 투사되지 않도록 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후면 상부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로서, 휴대기기의 후면과 상하좌우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를 포함한 일정 부위가 개구된 관통홀과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안착홈을 구비한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며,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부를 통해 입사된 빛에 의해 빛나는 시트부재; 및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홀을 채우되, 상기 커버부재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된 데코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면 상부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기기를 감싸도록 휴대기기의 외곽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주로 하였다. 그런데, 최근에 생산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카메라와 이를 보조하기 위한 플래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플래시를 이용하여 각 개인의 개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 예로 얇은 패널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표면에 그림이나 문자, 도형 등이 새겨진 시트부재를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와 휴대기기 사이에 넣은 다음,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이 시트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여 시트의 표면에 새겨진 그림이나 문자, 도형 등이 불빛에 도드라져 보이게 한 것이 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시트의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기기의 단조로운 외형 디자인을 극복하고 개성을 자유롭게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데, 플라스틱은 태양광선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누런색으로 변화거나 노화되면서 인장ㅇ충격 강도가 약화된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는 UV(ultraviolet, 자외선) 안정제가 첨가된다. 그런데 이 UV안정제로 인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빛이 투사되는 경우 누런 색깔을 띄게 된다(도 1 참조). 이 경우 제품이 조악해 보인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8223호(2014. 3. 28.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플래시가 발광하였을 때 시트부재에만 빛이 투사되고 투명한 커버부재에는 빛이 투사되지 않도록 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후면 상부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로서, 휴대기기의 후면과 상하좌우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를 포함한 일정 부위가 개구된 관통홀과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안착홈을 구비한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며,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부를 통해 입사된 빛에 의해 빛나는 시트부재; 및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홀을 채우되, 상기 커버부재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된 데코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커버부재와 상기 데코부재는 이중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데코부재의 외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홀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후면 상부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휴대기기의 후면과 상하좌우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안착홈을 구비한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며,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부를 통해 입사된 빛에 의해 빛나는 시트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데코부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의 불투명 데코부는 인쇄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시가 발광하였을 때 시트부재에만 빛이 투사되고 커버부재에는 빛이 투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서 빛이 나 미감을 향상시키면서도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고급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가를 절감하면서도 데코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서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에 빛이 투사되어 발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서 빛이 시트부재에만 투사되어 발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참조된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실제보다 과장될 수 있다. 그리고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100)는 후면 상부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M)의 외부에 배치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커버부재(110)와 시트부재(120), 데코부재(13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10)는 휴대기기(M)의 후면과 상하좌우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버부재(110)에 빛이 투사되는 경우 커버부재(110) 전체가 빛나게 된다. 커버부재(110)는 관통홀(111)과 안착홈(112)을 구비하는데, 관통홀(111)은 휴대기기(M)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를 포함한 일정 부위가 개구된 것이다. 그리고 안착홈(112)은 커버부재(110)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것이다. 관통홀(111)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관통홀(111)의 모든 내측 모서리는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만들 수 있다.
시트부재(120)는 안착홈(112)에 삽입되며, 휴대기기(M)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부(121)를 통해 입사된 빛이 전체로 퍼져나가 시트부재(120)가 빛나게 된다. 이 때 시트부재(120)에는 다양한 형상이 각인되어 있을 수 있는데 각인된 부위가 더욱 밝게 빛나게 된다. 시트부재(120)는 투명, 반투명, 또는 색상이 있는 합성수지 도광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재(120)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데코부재(130)는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져 커버부재(110)의 관통홀(111)을 채운다. 그리고 데코부재(130)는 커버부재(110)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된다. 데코부재(130)가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커버부재(110)와 동일 높이의 면으로 형성되므로, 휴대기기의 카메라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커버부재(110)로 투사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커버부재(110)에 빛이 투사되어 누런 빛이 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데코부재(130)는 카메라 부위까지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에 대응되는 곳에는 카메라의 크기에 맞는 원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100)에 휴대기기를 조립한 후, 플래시를 발광하면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시트부재(120)의 개구부(121)를 통해 시트부(120)로 입사된 후 시트부재(120) 전체로 골고루 퍼지게 된다. 그리고 형상이 각인된 부위가 주위보다 밝게 빛남으로써 미감을 더욱 불러일으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휴대기기의 카메라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커버부재(110)로 투사되는 것은 차단된다. 따라서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110)에 빛이 투사되어 커버부재(110) 전체가 누런 빛이 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고급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한편, 커버부재(110) 또는 데코부재(130)에는 시트부재(120)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긴 모양의 안내돌기(131)가 형성되고, 시트부재(120)의 대응되는 부위에는 슬릿(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부재(120)를 제 위치에 안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데코부재(13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커버부재(110)의 관통홀(111) 내주면에는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잘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의 모서리에는 챔퍼(chamfer)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과 결합돌기를 구비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조립이 용이하고, 데코부재를 커버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210)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개의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는 이중사출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의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측면의 일부분(212)은 비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측면의 타 부분(211)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종의 두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는 이중사출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탄성재질 부분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잘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재질 부분(211)과 비탄성재질 부분(212)의 색상을 달리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화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커버부재(210)와 시트부재(220)를 포함하되, 커버부재(210)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데코부(230)는 불투명하게 형성된다.
커버부재(210)는 휴대기기(M)의 후면과 상하좌우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버부재(210)에 빛이 투사되는 경우 커버부재(210) 전체가 빛나게 된다. 커버부재(210)는 안착홈(212)을 구비하는데, 안착홈(212)은 커버부재(210)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것이다. 커버부재(210)는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만들 수 있다.
시트부재(220)는 안착홈(212)에 삽입되며, 휴대기기(M)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221)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부(221)를 통해 입사된 빛이 전체로 퍼져나가 시트부재(220)가 빛나게 된다. 이 때 시트부재(220)에는 다양한 형상이 각인되어 있을 수 있는데 각인된 부위가 더욱 밝게 빛나게 된다. 시트부재(220)는 투명, 반투명, 또는 색상이 있는 합성수지 도광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재(220)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휴대기기를 조립한 후, 플래시를 발광하면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시트부재(220)의 개구부(221)를 통해 시트부재(220)로 입사된 후 시트부재(220) 전체로 골고루 퍼지게 된다. 그리고 형상이 각인된 부위가 주위보다 밝게 빛남으로써 미감을 더욱 불러일으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커버부재(210)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데코부(230)는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휴대기기의 카메라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커버부재(210)로 투사되는 것은 차단된다. 따라서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210)에 빛이 투사되어 커버부재(210) 전체가 누런 빛이 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고급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부재(210)의 불투명 데코부(230)는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불투명 데코부(230)를 인쇄하여 형성하는 경우, 별도의 부재로 만드는 것보다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형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110, 210: 커버부재
111: 관통홀 112, 212: 안착홈
120, 220: 시트부재 130: 데코부재
131: 안내돌기
230: 불투명 데코부
M: 휴대기기

Claims (7)

  1. 후면 상부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후면과 상하좌우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를 포함한 일정 부위가 개구된 관통홀을 구비한 투명 재질의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삽입되며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부를 통해 입사된 빛에 의해 빛나는 시트부재; 및
    불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홀을 채워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상기 커버부재로 입사되는 것을 막는 데코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의 모든 내측 모서리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고,
    상기 데코부재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긴 모양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시트부재의 대응되는 부위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내면에 함몰되게 형성된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의 외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홀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6. 삭제
  7. 삭제
KR1020160125008A 2016-09-28 2016-09-28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KR10185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08A KR101857542B1 (ko) 2016-09-28 2016-09-28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08A KR101857542B1 (ko) 2016-09-28 2016-09-28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37A KR20180035037A (ko) 2018-04-05
KR101857542B1 true KR101857542B1 (ko) 2018-05-14

Family

ID=6197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08A KR101857542B1 (ko) 2016-09-28 2016-09-28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228A (ko) 2019-03-21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2258A1 (en) * 2003-08-07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WO2012061029A2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101377978B1 (ko) * 2013-07-23 2014-03-28 주식회사 루미노소 색변환되는 발광기구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378223B1 (ko) *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KR101587232B1 (ko) *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2258A1 (en) * 2003-08-07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WO2012061029A2 (en) * 2010-11-05 2012-05-10 Targus Group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y with camera protection
KR101378223B1 (ko) *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KR101377978B1 (ko) * 2013-07-23 2014-03-28 주식회사 루미노소 색변환되는 발광기구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587232B1 (ko) *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37A (ko)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2036B2 (en)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40308469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integrally molded product and glass integrally molded product
KR200431587Y1 (ko) 이중사출 성형에 의한 휴대폰용 케이스
KR101857542B1 (ko)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KR101587232B1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US10015297B2 (en) Display cover retention feature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002767A (ja) ガラス取付構造
KR20170053633A (ko) 전자 디바이스 하우징 패널 및 대응하는 하우징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장치
JP2014175767A (ja) 平板状携帯端末機器の装飾保護部材
KR101085472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스킨
KR20150091610A (ko) 착탈형 스마트폰 플립케이스
KR200465669Y1 (ko) 핸드폰 케이스
KR200440561Y1 (ko) 휴대폰 케이스
CN107231772B (zh) 移动终端后壳、移动终端后壳的制造方法及移动终端
KR101552695B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CN220085608U (zh) 一种一体化壳体标志灯
KR20150012975A (ko) 장식용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US20130026528A1 (en) Waterproof transparent led shield structure
KR200346036Y1 (ko) 가구패널용 엣지몰딩스트립
KR200468358Y1 (ko) 엠보싱 구조를 갖는 휴대장치용 케이스
KR20100065419A (ko) 내장형 안테나 장치
US11057037B2 (en) Touch switch
JP5557778B2 (ja) 電子機器用電池カバー
KR100464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광 디스플레이장치
KR200383266Y1 (ko) 모양지가 내장된 아크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99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80629

Effective date: 2018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