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035B1 -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035B1
KR102496035B1 KR1020200184712A KR20200184712A KR102496035B1 KR 102496035 B1 KR102496035 B1 KR 102496035B1 KR 1020200184712 A KR1020200184712 A KR 1020200184712A KR 20200184712 A KR20200184712 A KR 20200184712A KR 102496035 B1 KR102496035 B1 KR 102496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light
guide sheet
light gu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708A (ko
Inventor
이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Priority to KR102020018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035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카메라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후면에 플래시와 단차가 있는 카메라 구조물이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도광시트; 상기 플래시에 대응되는 상기 도광시트 위치에 도광시트를 관통하는 광입사 개구를 구비하는 광입사부; 상기 도광시트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패턴부; 및 상기 광입사 개구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상기 도광시트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빛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입사 개구는 상기 플래시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굴곡된 개구연장면을 가지고, 상기 개구연장면의 끝단은 상기 플래시의 플래시콘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플래시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되면 상기 플래시의 빛이 상기 개구연장면의 끝단을 통하여 입사되어 상기 도광시트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LIGHT GUIDING APPARATUS FOR POTABLE DEVICE USING FLASH}
본 발명은 카메라 촬영 등에 사용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휴대기기에 장착된 카메라 촬영 등에 사용되는 플래시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는 휴대기기 도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산되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 휴대기기의 후면에는 카메라와 카메라 촬영에서 빛을 제공하여 보조하는 플래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어두운 환경 등에서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 물체에 플래시로 부터 방출되는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카메라 플래시의 용도였다.
한편,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의 휴대기기를 스크래치, 외부 충격이나 낙하 등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다양한 종류의 보호케이스가 사용되고 있으며, 해당 보호케이스에 개성과 취향을 표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보호케이스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해당 보호케이스 제품들에는 카메라 플래시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얇은 필름 형태의 스킨을 통하여 발광효과를 내는 제품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 휴대기기는 전체적으로 보다 더 얇아지는 반면에, 휴대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는 높은 성능이 요구되면서, 카메라 구조가 휴대기기의 얇은 두께보다 더 두꺼워지기 시작하였고, 그에 따라 플래시가 형성된 면보다 카메라가 형성된 면이 보다 높은 단차를 가지게 되었고, 그로 인하여 기존에 평면적인 구조를 가지며 제조된 얇은 필름 형태의 스킨을 통한 발광효과를 내는 제품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78223호 등)은 카메라 단차 구조에 적합한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지 못하게 되어, 카메라 구조의 단차로 인하여 빛이 입사되는 스킨 부분이 플래시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해당 스킨으로 입사되는 플래시의 빛이 현저하게 감소(멀어진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여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78223호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 휴대기기의 후면에 구비된 플래시가 형성된 면과 보다 높은 단차로 구비된 카메라 등 단차구조물을 갖는 휴대기기에서 입체적인 구조 형태를 제공하여 보다 높은 도광효율을 얻어, 디자인이 형성된 패턴에서 발광표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후면에 플래시와 단차가 있는 카메라 구조물이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도광시트; 상기 플래시에 대응되는 상기 도광시트 위치에 도광시트를 관통하는 광입사 개구를 구비하는 광입사부; 상기 도광시트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패턴부; 및 상기 광입사부의 후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빛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광입사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래시를 향하여 굴곡지며 연장되어 형성된 개구연장면을 가지고, 상기 개구연장면의 끝단은 상기 플래시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래시의 플래시콘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되면 상기 플래시의 빛이 상기 개구연장면의 끝단을 통하여 입사되어 상기 도광시트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상기 개구연장면의 둘레를 따라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상기 도광시트의 후면에서 상기 휴대기기의 측면 둘레를 감싸며 구비된 커버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플래시와 상기 카메라 구조물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케이스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빛차단부는 상기 커버케이스 개구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상기 도광시트에는 상기 카메라 구조물에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개구는 상기 카메라 구조물의 상부에 놓이게 되며, 상기 카메라 개구의 폭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상기 휴대기기 후면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상기 카메라 구조물 및 상기 플래시가 관통되는 보조시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휴대기기와 상기 도광시트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상기 빛차단부는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사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전면에 반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상기 빛차단부는 슬라이더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상기 반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플래시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보다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플래시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굴곡된 개구연장면과 같은 입체적인 광입사 구조를 제공하거나, 더 많은 빛이 입사되도록 노치(notch) 등을 추가로 형성하여 도광효율이 높아지도록 하고, 도광되는 빛이 음각으로 디자인이 형성된 패턴에서 난반사를 통하여 발광표현이 되도록 하여 휴대기기로부터의 플래시가 발광되는 기능이나 역할을 발광표현으로 알리는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해당 디자인이 형성된 패턴의 발광으로 개성적인 표현 또는 특별한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의 후면 기준 분해사시도이다.
도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의 전면 기준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후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3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도광시트 후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도광시트 전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도광시트 전면 부분을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도광시트 전면 부분을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도광시트, 보조시트를 표시한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도광시트, 보조시트를 표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카메라의 '화각'은 '카메라 이미지'콘이라고도 불리며,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최대 촬영 각도를 의미하고, '플래시콘'은 플래시가 발광되는 빛이 집중적으로 출력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통상 카메라 수직 기준점을 중심으로 90°정도가 되며 각 제조업체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플래시콘'이 특정 물체 등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에는 사진, 동영상 촬영에 필요한 빛이 부족하거나 제대로 발산되지 않게 될 수 있으며, 통상 발광 수직 기준점을 중심으로 100°정도가 되며 각 제조업체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전면'과 '후면'은 휴대기기의 스크린 화면을 기준으로 스크린 화면이 나오는 측을 '전면'으로, 그 반대면을 '후면'으로 지칭하며, 나머지 구성요소도 휴대기기에서 정한 방향으로 기준으로 동일하게 지칭하도록 한다.
도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의 후면 기준 분해사시도이다.
도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의 전면 기준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후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3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도광시트 후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도광시트 전면을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도광시트, 보조시트를 표시한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도광시트, 보조시트를 표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a, 1b, 2, 3a, 3b, 4a, 4b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우선 휴대기기(10)의 후면에 구비된 플래시(15)와 단차(d)가 있는 카메라 구조물(11, 12, 13)이 구비된 휴대기기(10)에 결합되어 적용될 수 있는데, 도광시트(100)와 빛차단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커버케이스(300)과 보조시트(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시트(100)는 휴대기기(10)의 후면에 구비되는데, 카메라 개구(111, 112, 113), 광입사부(150) 및 패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시트(100)은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일부를 상기 광입사부(150)로부터 입사받아 상기 도광시트(100)의 전체 면으로 빛을 균일하게 전달(도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 개구(111, 112, 113)는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에 대응되는 상기 도광시트(100)에 개구 형태로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개구(111, 112, 113)는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의 상부에 놓이게 되며, 상기 카메라 개구(111, 112, 113)의 폭(Rg)은 각각의 카메라 화각(이미지콘)을 방해하지 않도록 카메라 화각을 벗어나는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개구(111, 112, 113)의 폭(Rg)이 너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의 폭 또는 넓이(Rc) 보다 넓게 되면,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이 상기 카메라 개구(111, 112, 113)을 관통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의 상부에 놓일 수 없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도광시트(100)에서 전달되는 빛이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에 부딪혀 직접적인 방해를 받게 되어 상기 도광시트(100)에서 빛이 균일하게 전달(도광)되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결론적으로 상기 카메라 개구(111, 112, 113)의 폭(Rg)은 카메라 화각(이미지콘)에 방해가 되지 않게 넓은 폭을 가져야 하면서도,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의 폭(Rc)보다 좁아야 하므로, 적절한 폭을 가지도록 최적화가 필요하다.
상기 광입사부(150)는 상기 플래시(15)에 대응되는 상기 도광시트(100) 위치에 상기 도광시트(100)을 관통하는 광입사 개구(15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광입사부(150)은 상기 광입사 개구(151)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래시(15)를 향하여 굴곡지며 연장되어 형성된 개구연장면(152)을 가지며, 상기 개구연장면(152)의 끝단은 상기 플래시(15)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15)의 플래시콘 내에 위치하여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강하게 입사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10)에서 상기 플래시(15)와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는 서로 단차(d)만큼의 높이 차이가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에 접하는 높이에서 구비되는 상기 도광시트(100)와 상기 플래시(15)는 필역적으로 단차(d)만큼의 거리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광입사부(150)과 상기 플래시(15)와의 거리(d)가 멀어지게 되면, 상기 광입사부(150)로 입사되는 빛은 양은 거리(d)의 세제곱에 반비례하여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결국 상기 개구연장면(152)의 끝단을 상기 플래시(15)를 향하여 연장하여 최대한 상기 플래시(15)와의 거리를 가까이 하게 한 것이다. 결국 상기 플래시(15)가 발광되면 상기 플래시의 빛이 상기 개구연장면(152)의 끝단을 통하여 입사되어 상기 도광시트(100)의 다른 부분까지 전면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180)는 상기 도광시트(100)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턴부(180)의 음각은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디자인 패턴 등의 형태나 모양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시트(100)를 따라 내부에서 전면으로 도광되어 퍼지는 빛이 상기 패턴부(180)의 음각을 만나게 되면 해당 음각부위에서 난반사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상기 패턴부(180)의 음각에서 난반사된 빛이 휴대기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져 해당 디자인 패턴 등이 밝게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빛차단부(200)는 상기 광입사부(150)의 후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상기 도광시트(100)를 거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실제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매우 강하여 휴대기기 사용자가 해당 빛을 눈으로 직접 보게되면 상당한 눈부심이 발생하거나 시력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빛차단부(200)는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휴대기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볼 수 없도록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빛차단부(200)는 슬라이더 프레임(2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더(21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210)는 상기 슬라이더 프레임(220)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차단부(200)는 휴대기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예를들어, 어두운 곳에서 카메라 촬영을 하는 등 상기 플래시(15)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상기 빛차단부(200)는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차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빛차단부(200)은 전면에 상기 플래시(15)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드린 상기 슬라이더(210)의 전면에 상기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상기 빛차단부(200)에서 빛의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이는 동시에,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상기 광입사부(150) 측으로 가게 되며, 그에 따라 그 일부는 상기 광입사부(150) 측으로 추가적으로 입사될 수 있어, 상기 광입사부(150)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케이스(300)는 상기 도광시트(100)의 후면에서 상기 휴대기기(10) 측면 둘레를 감싸며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케이스(300)는 상기 도광시트(100)을 보다 견고하게 상기 휴대기기(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휴대기기(10)가 외부 충격 등을 받는 경우, 상기 휴대기기(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케이스(300)는 상기 카메라 구조물(11, 12, 13)과 상기 플래시(15)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커버케이스 개구(310)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커버케이스 개구(310)에는 앞서 설명드린 상기 빛차단부(200)가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빛차단부(200)의 상기 슬라이더 프레임(220)이 상기 커버베이스 개구(310)에 결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시트(400)는 상기 휴대기기(10) 후면에서 가장 낮은 곳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상기 카메라 구조물과 상기 플래시가 관통되는 보조시트 개구(410)를 형성하고, 상기 휴대기기(10)와 상기 도광시트(1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시트(4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해당 두께만큼 상기 휴대기기(10) 후면과 상기 도광시트(100) 사이에서 발생한 단차를 줄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시트(400)는 그 재질에 따라 그 후면은 일종의 빛 반사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상기 도광시트(100)(또는 상기 도광시트(100)의 상기 패턴부(180)로부터 일부 방출되는 빛을 다시 상기 도광시트(100)로 반사함으로써 상기 도광시트(100)에서 도광되는 빛의 효율을 높여주는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도 있다.
도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도광시트 전면 부분을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다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도광시트, 보조시트를 표시한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서 휴대기기, 도광시트, 보조시트를 표시한 측단면도이다.
도3d, 4a, 4b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다른 구성들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광입사부(160)의 상기 개구연장면(16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노치(notch, 163)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치(163)는 상기 개구연장면(16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역삼각형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노치(163)는 상기 개구연장면(16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면서, 결국 상기 개구연장면(162)의 끝단의 표면적을 넓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플래시(15)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만나는 면적과 회수를 높이게 되므로, 상기 광입사부(160)를 통하여 상기 도광시트(100)으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는 플래시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보다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플래시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굴곡된 개구연장면과 같은 입체적인 광입사 구조를 제공하거나, 더 많은 빛이 입사되도록 노치(notch) 등을 추가로 형성하여 높은 도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광시트에서 도광되는 빛이 음각으로 디자인이 형성된 패턴에서 난반사를 통하여 빛에 의한 발광표현이 되도록 하여 휴대기기로부터의 플래시가 발광되는 기능이나 역할을 발광표현으로 알리는 효과(예를들어, 휴대기기에 무음기능을 설정하였거나 휴대기기 사용자가 청각장애자인 경우, 소리를 통하여 휴대기기의 문자알림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발광표현을 통하여 시각화할 수 있는 효과 등)를 가지는 동시에, 해당 패턴에스 드러나는 다양한 디자인이 발광됨으로써 개성적인 표현이나 특별한 미감을 불러일으키는 시각적인 효과를 가진다.
10 : 휴대기기
11, 12, 13 : 카메라 구조물 15 : 플래시
100 : 도광시트 111, 112, 113 : 카메라 개구
150, 160 : 광입사부 151, 161 : 광입사 개구
152, 162 : 개구연장면 163 :노치(notch) 180 : 패턴부
200 : 빛차단부 210 : 슬라이더 220 :슬라이더 프레임
300 : 커버케이스 310 : 커버케이스 개구
400 : 보조시트 410 : 보조시트 개구

Claims (7)

  1. 후면에 플래시와 단차가 있는 카메라 구조물이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의 후면에 구비되는 도광시트;
    상기 플래시에 대응되는 상기 도광시트 위치에 상기 도광시트를 관통하는 광입사 개구를 구비하는 광입사부;
    상기 도광시트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패턴부; 및
    상기 광입사부의 후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빛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입사 개구는 상기 광입사 개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플래시를 향하여 굴곡지며 연장되어 형성된 개구연장면을 가지고,
    상기 개구연장면의 끝단은 상기 플래시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래시의 플래시콘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되면 상기 플래시의 빛이 상기 개구연장면의 끝단을 통하여 입사되어 상기 도광시트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연장면의 둘레를 따라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3. 상기 제1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시트의 후면에서 상기 휴대기기의 측면 둘레를 감싸며 구비된 커버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케이스는 상기 플래시와 상기 카메라 구조물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케이스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빛차단부는 상기 커버케이스 개구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4. 상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시트에는 상기 카메라 구조물에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개구는 상기 카메라 구조물의 상부에 놓이게 되며, 상기 카메라 개구의 폭은 상기 카메라의 화각을 벗어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5. 상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 후면으로부터 단차가 형성된 상기 카메라 구조물 및 상기 플래시가 관통되는 보조시트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휴대기기와 상기 도광시트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6. 상기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빛차단부는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사되는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전면에 반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7. 상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빛차단부는 슬라이더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 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플래시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상기 반사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KR1020200184712A 2020-12-28 2020-12-28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KR102496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12A KR102496035B1 (ko) 2020-12-28 2020-12-28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12A KR102496035B1 (ko) 2020-12-28 2020-12-28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08A KR20220093708A (ko) 2022-07-05
KR102496035B1 true KR102496035B1 (ko) 2023-02-06

Family

ID=8240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12A KR102496035B1 (ko) 2020-12-28 2020-12-28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0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223B1 (ko)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KR101587232B1 (ko)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JP2017090496A (ja) 2015-11-02 2017-05-25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携帯型電子機器用ケース
KR101785307B1 (ko) 2017-07-11 2017-11-1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JP2020034747A (ja) 2018-08-30 2020-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223B1 (ko)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KR101587232B1 (ko) 2015-08-25 2016-01-20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JP2017090496A (ja) 2015-11-02 2017-05-25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携帯型電子機器用ケース
KR101785307B1 (ko) 2017-07-11 2017-11-1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JP2020034747A (ja) 2018-08-30 2020-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708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0911B2 (ja) 距離測定のためのライトプロジェクタ及びビジョンシステム
JP2007079528A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付撮像装置
JP3225476U (ja) レンズ保護装置および携帯電話の保護カバー
US10474005B2 (en) Imaging unit and imaging system
KR102496035B1 (ko)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JP2006101158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767873B1 (ko) 이층 구조의 도광 패널을 구비한 핸드폰 스킨
JP4387960B2 (ja) カメラ
JP4130322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器
US11073745B2 (en) Illumination module
US20140029307A1 (en) Thin light guide device utilizing led flash on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6521252B2 (ja) ライトガイドおよび照光表示装置
CN210110199U (zh) 具有3d摄像头模组的显示装置及电子设备
JP6232254B2 (ja) カメラ付ドアホン子機
JP2004198591A (ja) 表示装置とそれを備えたカメラ及び発光表示方法
TWI844572B (zh) 光導及相關之照明系統及成像系統
JP6192978B2 (ja) 携帯型通信端末用装飾具
US20230135953A1 (en) Document authentication using electromagnetic sources and sensors
JP5116823B2 (ja) 電子機器
CN111095098B (zh) 闪光灯装置
JP2010139690A (ja) ストロボ装置及びストロボ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KR20230165691A (ko) 굴절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굴절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9086266A (ja) カメラ用水中ケースに用いる近距離撮影用アダプタ
CN111245978A (zh) 移动终端
JP2021064460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