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507B1 -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 Google Patents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507B1
KR100924507B1 KR1020050067496A KR20050067496A KR100924507B1 KR 100924507 B1 KR100924507 B1 KR 100924507B1 KR 1020050067496 A KR1020050067496 A KR 1020050067496A KR 20050067496 A KR20050067496 A KR 20050067496A KR 100924507 B1 KR100924507 B1 KR 100924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pattern
forming
screen prin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124A (ko
Inventor
김범섭
Original Assignee
김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욱 filed Critical 김용욱
Priority to KR102005006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5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 또는 디지털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키패드에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으면서 얇게 구형할 수 있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패드는,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 에칭처리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 인쇄된 시트를 재단하는 중간재단단계; 중간재단 된 시트에 실리콘을 접착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 된 시트의 외각을 가공하여 키패드를 완성하는 완성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키패드, 제조방법, 금속성, 메탈

Description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Keypad Manufacturing Method and Keypa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과 키패드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핸드폰 키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작되는 키패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시트원단: 100, 100a 헤어라인: 110,110a
증착층: 120, 120a 인쇄패턴: 130, 130a
실리콘성형: 140, 140a 도트(Dot): 150, 150a
발광소자: 200, 200a 돔스위치: 210, 210a
본 발명은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 또는 디지털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키패드에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으면서 얇게 구형할 수 있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이나 혹은 휴대용 무선단말기(PCS폰, PDA 포함) 등을 보면 소정의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키패드가 마련된다.
종래의 키패드들은 보통 한번에 찍어서 제조하는 타입과 해당하는 숫자판이나 문자판 등을 일일이 인쇄하여 제조하는 타입이 있다.
통상적으로 키패드의 조작은 작동 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돔 스위치를 사용하고, 키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가 돔 스위치를 가압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을 터치하도록 함으로써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
전술한 종래의 키패드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과 키패드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핸드폰 키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종래의 휴대폰 단말기(10)의 키패드(11)는, 키패드(11)가 프런트 하우징(12)의 키홀(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설계되므로 인하여 그 두께만큼 휴대 단말기의 부피를 차지하여 경단박소와 슬림화에 역행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키패드(11)는, 일반필름으로 인쇄하고, 소정의 포밍 금형을 이용하여 한번에 찍는 타입이고, 도시되어 있는 않지만 다른 예로는, 키패드(11)에 숫자판이나 문자판 등을 일일이 색상별로 사출 후 스프레이 도장과 레이저 각인하여 제조하는 타입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키패드(1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별도의 금형으로 해당 플라스틱 재료를 넣어 원하는 크기와 형상의 중간단계 사출 물을 만든다.
그런 다음, 키패드(11)를 전면에서 바라볼 때 숫자나 문자가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해당하는 숫자나 문자를 레이저 각인하여 구현하고 하단에 스크린인쇄성형 시트를 중간단계 사출 물의 아래에 놓이도록 배면에서 인쇄한다.
인쇄시에는 숫자나 문자(이하, 이를 통틀어 "인쇄패턴"이라 함)가 형성된 별도의 인쇄용 지그(Jig)를 이용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종래의 키패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바닥면에 기판(25)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25) 위에는 접점(30)이 형성된다.
이 접점(30) 상면에는 돔 형상의 돔 스위치(29)가 형성되고, 돔 스위치(29) 상면에는 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기(27)가 형성된 부위는 연결부(26)와 베이스부재(28)와 일체형인 형상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베이스부재(28)는 하우징(22)에 의해 휴대단말기 내부에 하우징되고, 키홀(23) 부위의 홀을 통해 키탑(21) 부분이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지니고, 키탑(21) 상측 도장 스프레이 또는 하측에는 스크린인쇄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의 구조는, 하우징(22)의 키홀(23)에 키탑(21)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키탑(21)을 조작할 때, 키탑(21) 밑에 형성된 돌기(27)가 돔 스위치(29)를 누르게 되어 접점(30)을 터치함으로써, 돔 스위치(29)와 접점(30) 간의 신호가 전달 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키패드(11)는 하우징(22) 밖으로 키탑(21)이 돌출되어 키패드(11)를 조작할 시 작동 감을 살리지만, 휴대단말기의 슬림화에 역행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키탑(21) 면만 하우징(22) 밖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키패드(11)에 인쇄된 문자나 숫자 외에 다른 디자인을 키패드(11)에 형성하거나 미관을 불러 일으키는 키패드(11)의 디자인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슬림화를 하기 위한 키패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패드에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으면서도 디자인이 수려한 키패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는, 제1 실시 예를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 에칭처리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 패턴이 형성된 시트를 재단 하는 중간재단단계; 중간재단 된 시트에 실리콘성형물을 접착하는 성형단계; 및 성형 된 시트의 외각을 가공하여 키패드를 완성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키패드가 제조된다.
또한, 제2 실시 예를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 층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 에칭처리된 시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 패턴이 형성된 시트를 키 별로 외각을 가공하는 키별 외각가공단계; 및 외각가공된 키를 조립접착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키패드가 제조된다.
또한, 제3 실시 예를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 층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 에칭처리된 시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 패턴이 형성된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외각을 가공하는 제품 외각가공단계; 및 제품 외각가공된 시트를 조립접착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키패드가 제조된다.
전술한 실시 예를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헤어라인가공단계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로도 형성할 수 있고, 에칭처리단계는, 레이저 각인처리단계로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원단은 PET, PVC 또는 PC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제2 실시 예를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완성단계에서는, 에칭처리단계 이후, 사출재료를 도트(Dot) 형상으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 및 사출성형 된 성형물의 외각을 가공하는 외각가공단계; 를 통해 사출성형물을 형성하고, 사출성형물과 외각가공된 키를 조립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실시 예를 바람직하게 실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는, 완성단계에서는, 에칭처리단계 이후, 사출재료를 도트(Dot) 형상으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 및 사출성형 된 성형물을 제품형상으로 가공하는 제품 형상가공단계; 를 통해 사출성형물을 형성하고, 사출성형물과 제품 외각가공된 시트를 조립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각각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키패드가 제작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키패드를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실시 예로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S300);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S301);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S302);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S303); 에칭처리된 시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S304); 인쇄된 시트를 재단하는 중간재단단계(S305); 중간재단 된 시트에 실리콘성형물을 접착하는 성형단계(S306); 및 성형 된 시트의 외각을 가공하여 키패드를 완성하는 완성단계(S307)로 키패드가 제조된다.
여기서, 헤어라인가공단계(S300)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300a)로도 형성할 수 있고, 증착단계(S301)는 증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증착효과 스크린인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증착단계(S301)를 달성할 수도 있으며, 에칭처리단계(S303)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각인처리(S303a)를 통해서도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르면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트원단을 준비한다. 시트원단은 투명한 PC를 재료로 하겠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PET 또는 PVC 중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헤어라인가공단계(S300)에서, 준비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헤어라인가공단계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300a)로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측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할 때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300a)로 형성한다.
헤어라인가공 또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로 시트원단에 다양한 효과 또는 모양을 실시할 수 있다.
만약,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경우, 도 6과 같은 키패드가 제조되고, 시트원단의 상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경우, 도 7과 같은 키패드가 제조된다.
증착단계(S301)에서, 하프증착 또는 완전증착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니켈이나 알루미늄 등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 형성하는 증착단계(S301)를 한다.
한편, 증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증착효과 스크린인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증착단계(S301)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투명으로 된 시트원단의 상면은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 스크린인쇄단계(S302)에서,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원하는 일반 문자, 숫자 또는 그림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에칭처리단계(S303)에서,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원단시트에 형성된 공정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한편, 에칭처리단계(S303)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각인처리(S303a)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에칭처리단계(S303)를 달성할 수도 있는데, 레이져각인 하여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어야할 패턴을 얻기 위한 부분을 제거한다.
제2 스크린인쇄단계(S304)에서, 에칭처리된 시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원하 는 는 투과색상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원하는 색상은 실리콘성형물의 시트에서 얻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S403)가 생략될 수도 있다
중간재단단계(S305)에서, 제2 스크린인쇄단계 이후 형성된 시트를 일차적으로 중간 재단을 한다.
성형단계(S306)에서, 중간재단 된 시트의 하측면에 실리콘을 접착 및 경도를 선택하여 중간재단 된 시트와 실리콘성형물을 일체형으로 접착 성형한다.
여기서, 실리콘성형물은 도트(Dot)가 형성된 것으로 키패드의 하측면에 돔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완성단계(S307)에서, 실리콘성형 된 시트의 외각을 프레스 또는 조각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가공하면 키패드가 완성된다.
이때, 완성된 키패드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제조되는데,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도 같은 키패드를 제조하므로 이에 따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말미에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키패드를 분리조립형으로 제조하는 실시 예로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S400);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S401);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 쇄단계(S402);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S403); 에칭처리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S404); 인쇄된 시트를 키 별로 외각을 가공하는 키별 외각가공단계(S405); 및 외각가공된 키를 조립접착하는 완성단계(S408); 를 포함하여 키패드가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완성단계(S408) 이전에는, 사출재료를 도트(Dot) 형상으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S406)를 하고, 사출성형 된 성형물의 외각을 가공하는 외각가공단계(S407)를 통해 형성된 실리콘성형물과 키별 외각가공단계에서 형성된 시트를 조립접착하는 단계가 같이 준비되어 완성단계(S408)에서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헤어라인가공단계(S400)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400a)로도 형성할 수 있고, 증착단계(S401)는 증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증착효과 스크린인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증착단계(S401)를 달성할 수도 있으며, 에칭처리단계(S403)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각인처리(S403a)를 통해서도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르면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트원단을 준비한다. 시트원단은 투명한 PC를 재료로 하겠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PET 또는 PVC 중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헤어라인가공단계(S400)에서, 준비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헤어라인가공단계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400a)로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측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할 때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400a) 로 형성한다.
헤어라인 가공 또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로 시트원단에 다양한 효과 또는 모양을 실시할 수 있다.
만약,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경우, 도 6과 같은 키패드가 제조되고, 시트원단의 상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경우, 도 7과 같은 키패드가 제조된다.
증착단계(S401)에서, 하프증착 또는 완전증착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니켈이나 알루미늄 등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 형성하는 증착단계(S401)를 한다.
한편, 증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증착효과 스크린인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증착단계(S401)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투명으로 된 시트원단의 상면은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 스크린인쇄단계(S402)에서,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원하는 일반 문자, 숫자 또는 그림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에칭처리단계(S403)에서,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원단시트에 형성된 공정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한편, 에칭처리단계(S403)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각인처리(S403a)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에칭처리단계(S403)를 달성할 수도 있는데, 레이져각인 하여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어야할 패턴을 얻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제2 스크린인쇄단계(S404)에서, 에칭처리된 시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원하는 투과색상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원하는 색상은 실리콘성형 시트에서 얻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S403)가 생략될 수도 있다
키별 외각가공단계(S405)에서, 제2 스크린인쇄단계 이후 형성된 시트를 일차적으로 각각 인쇄된 키 별로 외각을 재단을 한다.
한편, 완성단계(S408) 이전에는 가공되는 시트의 하측면에 접착될 도트(Dot) 형상의 사출성형물을 준비해야 하는 사출성형단계(S406)와 사출성형 된 사출성형물의 외각을 가공하는 외각가공단계(S407)를 준비해야 한다.
사출성형물은 실리콘, 투명플라스틱, 아크릴 또는 ABS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출성형물은 실리콘으로 하고, 도트(Dot) 형상으로 성형하여 키패드의 하측면에 돔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형성된 실리콘성형물과 키별 외각가공단계에서 형성된 시트를 조립접착하는 단계가 같이 준비되어 완성단계(S408)에서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사출성형단계(S406)에서, 사출원료를 실리콘으로 하고, 도트(Dot) 형상의 돌기를 갖는 실리콘성형물을 사출하고, 외각가공단계(S407)에서 사출성형물의 외각을 가공한다.
마지막으로 완성단계(S408)에서, 키 별로 재단된 시트와 실리콘성형물을 지 그(Jig)를 통하여 조립접착 하면 키패드가 완성된다.
이때, 완성된 키패드는,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제조되는데,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도 같은 키패드를 제조하므로 이에 따른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말미에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키패드를 분리조립형으로 제조하는 실시 예로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S500);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S501);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S502);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S503); 에칭처리된 면에 선택적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S504); 인쇄된 시트를 원하는 형상으로 외각을 가공하는 제품 외각가공단계(S505); 및 외각가공된 시트를 조립접착하는 완성단계(S508); 를 포함하여 키패드가 제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완성단계(S508)는 스크린인쇄단계 이후, 사출재료를 도트(Dot) 형상으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S506)를 하고, 사출성형 된 성형물을 제품형상으로 가공하는 제품형상가공단계(S507)를 통해 형성된 실리콘성형물과 제품형상가공단계(S507)에서 형성된 시트를 조립접착하는 단계가 같이 준비되어 완성단계(S508)에서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여기서, 헤어라인가공단계(S500)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500a)로도 형 성할 수 있고, 증착단계(S501)는 증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증착효과 스크린인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증착단계(S501)를 달성할 수도 있으며, 에칭처리단계(S503)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각인처리(S503a)를 통해서도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의 실시 예에 따르면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트원단을 준비한다. 시트원단은 투명한 PC를 재료로 하겠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PET 또는 PVC 중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헤어라인가공단계(S500)에서, 준비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한다.
또한, 헤어라인가공단계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500a)로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측면에 헤어라인을 형성할 때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500a)로 형성한다.
헤어라인 가공 또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로 시트원단에 다양한 효과 또는 모양을 실시할 수 있다.
만약,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경우, 도 6과 같은 키패드가 제조되고, 시트원단의 상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할 경우, 도 7과 같은 키패드가 제조된다.
증착단계(S501)에서, 하프증착 또는 완전증착 중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니켈이나 알루미늄 등을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 형성하는 증착단계(S501)를 한다.
한편, 증착층을 형성하지 않고 증착효과 스크린인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증착단계(S501)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투명으로 된 시트원단의 상면은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제1 스크린인쇄단계(S502)에서,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원하는 일반 문자, 숫자 또는 그림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에칭처리단계(S503)에서,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원단시트에 형성된 공정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한편, 에칭처리단계(S503)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 각인처리(S503a)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에칭처리단계(S503)를 달성할 수도 있는데, 레이져각인 하여 발광소자의 빛이 투과되어야할 패턴을 얻기 위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제2 스크린인쇄단계(S504)에서, 에칭처리된 시트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원하는 일반 문자, 숫자 또는 그림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원하는 색상은 실리콘성형물의 시트에서 얻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S504)가 생략될 수도 있다
외각가공단계(S505)에서, 제2 스크린인쇄단계 이후 형성된 시트를 원하는 제품형상에 맞추어 외각을 가공한다.
한편, 완성단계(S508) 이전에는 가공되는 시트의 하측면에 접착될 도트(Dot) 형상의 사출성형물을 준비해야 하는 사출성형단계(S506)와 사출성형 된 사출성형물을 원하는 제품형상에 맞추어 가공하는 제품형상 가공단계(S507)를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형성된 제품형상의 실리콘성형물과 외각가공단계(S505)에서 형성된 시트를 조립접착하는 단계가 같이 준비되어 완성단계(S508)에서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사출성형단계(S506)에서, 사출원료를 실리콘으로 하고 도트(Dot) 형상의 돌기를 갖는 제품형상의 실리콘성형물을 사출하고, 제품형상 가공단계(S507)에서 사출성형물을 가공한다.
여기서, 도트(Dot) 형상의 키패드는 하측면의 돔스위치를 누르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완성단계(S508)에서, 제품형상으로 가공된 시트와 제품형상 실리콘성형물을 지그(Jig)를 통하여 조립접착 하면 키패드가 완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7의 형상의 얇은 키패드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공정을 미루어 보면 키패드(30)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먼저, 시트원단(100, 100a)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110a,110)의 형성은 헤어라인가공단계(S300, S400, S500) 공정을 통하여 헤어라인(110a, 1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헤어라인가공단계(S300, S400, S500)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S300a, S400a, S500a)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시트원단(100, 100a)의 하측면에 니켈 또는 알루미늄 등을 증착하는 증착단계(S301, S401, S501) 공정을 통하여 증착층(120, 120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증착층을 직접 형성하지 않고 증착효과 스크린인쇄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증착단계(S301, S401, S501)를 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증착된 면에 일반 문자, 숫자, 그림 등을 인쇄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S302, S402, S502) 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인쇄패턴(130, 130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인쇄된 면에 발광소자(200, 200a)의 빛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인쇄된 시트 면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에칭처리단계(S303, S403, S503) 또는 레이저 각인처리단계(S303a, S403a, S503a) 공정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후, 에칭된 면에 재차 원하는 투과색상 등을 인쇄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S304, S404, S504) 공정을 통하여 원하는 인쇄패턴(130, 13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출성형물에 인쇄처리가 되어 있을 시 시트에 제2 스크린인쇄단계(S304a, S404a, S504a)를 생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 성형물은, 중간재단을 하고 필요한 성형단계를 거쳐 완성단계(S307, S408, S508) 공정에서, 앞서 공정 된 패드성형물(P)과 도트(150, 150a)가 형성된 실리콘성형(140, 140a)물을 이하 각각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을 통하여 조립접착 공정을 거쳐 키패드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하 도트(150, 150a)가 형성된 실리콘성형(140, 140a)물의 성형단계는 앞서 각각의 실시 예에 전술을 하였으므로,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공정상의 차이점이 있는데, 이는 헤어라인(110, 110a)이 형성된 층이 다른 것으로, 헤어라인(110, 110a) 형성을 시트원단의 하측부에 형성하면 도 6의 키패드(30)가 제조되고, 헤어라인(100)이 시트원단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시트원단의 상측부에 형성하면 도 7의 키패드(30)가 제조되고, 헤어라인(100a)이 시트원단 외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키패드와 같이 키 누름 버튼이 휴대 단말기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가 아닌, 키패드 내부에 문자, 숫자 또는 그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여 키패드(30)를 제작한 것이다.
여기서, 키패드(30) 평면의 얇은 키를 누르면, 키패드(30) 하단에 접착된 실리콘성형(140, 140a)물의 돌기 형상의 도트(150, 150a)가 기판에 형성된 돔스위치(210, 210a)를 누르고, 이때 발생 된 신호에 의해 발광소자(200, 200a)가 켜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키 누름 버튼이 휴대 단말기 또는 디지털 전자제품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종래의 키패드보다 더 얇은 키패드를 제조할 수 있고, 키패드에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도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슬림화를 하기 위한 키패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에 금속성(Metal) 감과 반사거울효과를 동시에 얻으면서도 디자인이 수려한 키패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
    상기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
    상기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문자, 숫자 및 그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문양 패턴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
    상기 문양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
    상기 에칭처리된 면에 선택적으로 색상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
    상기 제2 스크린인쇄단계까지 처리된 상기 시트원단을 재단하는 중간재단단계;
    상기 중간재단단계를 거친 상기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실리콘성형물을 접착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거친 상기 시트원단의 외각을 재단가공하여 키패드를 완성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2.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원단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헤어라인 무늬를 형성하는 헤어라인가공단계;
    상기 시트원단의 하측면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증착단계;
    상기 증착층이 형성된 면에 선택적으로 문자, 숫자 및 그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문양 패턴 형성하는 제1 스크린인쇄단계;
    상기 문양 패턴이 형성된 표면을 선택적으로 에칭하는 에칭처리단계;
    상기 에칭처리된 면에 선택적으로 색상 패턴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인쇄단계;
    상기 제2 스크린인쇄단계까지 처리된 상기 시트원단을 키 별로 외각을 재단가공하는 키별 외각가공단계; 및
    상기 외각가공된 키를 조립접착하는 완성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완성단계에서는, 에칭처리단계 이후, 사출재료를 도트(Dot) 형상으로 성형하는 사출성형단계 및 상기 사출성형 된 성형물의 외각을 재단가공하는 외각가공단계; 를 통해 사출성형물을 형성하고, 상기 사출성형물과 외각가공된 키를 조립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라인가공단계는, 헤어라인 스크린인쇄단계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칭처리단계는, 레이저 각인처리단계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원단은 PET, PVC 또는 PC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50067496A 2005-07-25 2005-07-25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KR100924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96A KR100924507B1 (ko) 2005-07-25 2005-07-25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96A KR100924507B1 (ko) 2005-07-25 2005-07-25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889A Division KR20080103477A (ko) 2008-10-06 2008-10-06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24A KR20070013124A (ko) 2007-01-30
KR100924507B1 true KR100924507B1 (ko) 2009-11-02

Family

ID=3801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496A KR100924507B1 (ko) 2005-07-25 2005-07-25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634B1 (ko) * 2007-10-25 2009-09-08 세진텔레시스 주식회사 휴대폰용 오목거울형 키패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204Y1 (ko) 2004-12-15 2005-03-11 (주)삼영테크놀로지 일체형 아크릴 키패드
KR20050043547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소림 휴대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KR100584500B1 (ko) 2005-01-06 2006-05-29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547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소림 휴대기기용 키패드 제조 방법
KR200377204Y1 (ko) 2004-12-15 2005-03-11 (주)삼영테크놀로지 일체형 아크릴 키패드
KR100584500B1 (ko) 2005-01-06 2006-05-29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24A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9296B1 (en) Keypad
KR100697031B1 (ko) 키패드 제조공정
US20080271980A1 (en) Production Method Of One Body Style Touch Pad And One Body Style Keypad Having Touch Pad Produced By That Method
JP2007115633A (ja) キー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328919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52679A1 (en) Transparent key of an electronic device
JP2004253384A (ja) 通信端末機のキー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5599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keypad of portable terminal
KR100704123B1 (ko) 금속 질감을 갖는 수지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키패드
JP2001006479A (ja) スイッチボタン
KR100924507B1 (ko)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US20070275751A1 (en) Faceplate having keys for mobile phone
US20070023262A1 (en) Key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775742B1 (ko) 키탑패드의 제조방법 및 키탑패드
KR100310040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20030056830A (ko) 증착필름을 이용한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78906A1 (en) Keypad panel assembly having arrays of micropores
US20090178753A1 (en) Process for keypad panel having arrays of micropores
KR20080103477A (ko)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KR20070037767A (ko)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22283B1 (ko)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1413A (ko) 2중 박판 키패드
JP2000340059A (ja) 照光式キーにおける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77204Y1 (ko) 일체형 아크릴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09

Effective date: 200803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10048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09

Effective date: 200803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04

Effective date: 200908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90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04

Effective date: 2009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