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010B1 -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010B1
KR100781010B1 KR1020060127501A KR20060127501A KR100781010B1 KR 100781010 B1 KR100781010 B1 KR 100781010B1 KR 1020060127501 A KR1020060127501 A KR 1020060127501A KR 20060127501 A KR20060127501 A KR 20060127501A KR 100781010 B1 KR100781010 B1 KR 10078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nvex
concave
outer cover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203A (ko
Inventor
쯔또무 고노
구니나리 아라끼
와따루 에찌고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fibrou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글라스울 등을 필름에 내포시켜 그 내부를 진공화하여 이루어지는 진공 단열재의 필름 표면 및 이면에 홈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필름 표면 및 이면에서 각각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2 방향 이상의 굽힘 성형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굽힘 부분에서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진공 단열재의 입체 형상을 생산성 좋고, 낮은 비용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진공 단열재, 지그, 과열 플레이트, 굽힘 공구, 코어재

Description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VACUUMED INSULATIO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1은 진공 단열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진공 단열재의 3점 굽힘 시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요철 형상을 2방향 이상에 갖는 경우의 진공 단열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독립된 돌기(볼록부 이상)의 이면에 오목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테이퍼 형상의 독립된 돌기(볼록부 이상) 및 이면의 오목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복수의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요철 부분에서 포개어 설치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진공 단열재를 진공화하면서 요철 형상을 가공하는 금형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진공화하면서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진공화하면서 임의의 곡면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진공 챔버 내에서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판 형상으로 형성한 진공 단열재를, 미리 요철 형상을 형성한 2개의 롤 금형에서 클램프하는 2차 가공에서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요철 형상을 갖는 복수매의 진공 단열재를 연속해서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진공화 및 필름의 밀봉까지를 연속해서 행하고, 요철 형상을 갖는 복수매의 진공 단열재를 연속해서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어재
2 : 외포재
3 : 진공 단열재
4 : 지그
5 : 굽힘 공구
6 : 최외층
7 : 돌기
14 : 과열 플레이트
15 : 상부 금형
16 : 하부 금형
18 : 밀봉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36691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755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7-151297호 공보
본 발명은, 내부의 글라스 파이버 등의 코어재와 외부의 복합 수지, Al 증착막 등의 외포재로 이루어지는 단열 성능이 높은 진공 단열재의 입체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공 단열재는 종래 냉장고에서 이용되고 있던 우레탄 발포 재료보다도 열전도율이 한 자릿수 낮기 때문에, 냉장고, 욕조, 보온병 등의 단열재로서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진공 단열재는 진공화된 코어재와 외포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재료이므로, 임의의 입체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는 것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굽힘 성형을 행하기 전의 진공 단열재의 형상으로서, 미리 홈 형상을 가공하고, 이 홈을 따라 굽힘 성형하는 사례를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홈 형상은 1 방향으로 밖에 가공되어 있지 않아 임의의 방향으로의 굽힘 성형을 할 수 없다. 또한, 홈 형상의 가공에 의해 진공 단열재의 두께가 부분적으로 얇아져 이 부분으로부터 열이 릴리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홈 성형에 있어서의 진공 단열재의 압축 가공에 의해 코어재의 섬유가 끊어져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께의 감소를 적게 하고, 임의의 방향에 홈 형상을 가공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3669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75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7-151297호 공보
냉장고 등의 단열 기기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열전도율이 낮은 진공 단열재의 설치 면적을 넓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진공 단열재는 코어재와 외포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재료이므로 굽힘 성형이 곤란하다. 굽힘 성형을 행하기 위해, 진공 단열재에 1 방향만의 홈 형상을 가공한 종래 기술을 이용한 굽힘 성형을 행하면, 1 방향밖에 굽힘 성형을 행할 수 없어 홈 부분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이 두께가 얇아진 부분으로부터의 열이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진공 단열재에 2 방향 이상의 굽힘 성형이 가능하고,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홈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단열재의 입체 형상의 굽힘 성형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진공 단열재를 진공 성형하는 동시에 상기의 홈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진 공 성형 후의 홈 형성 등의 2차 가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진공 단열재의 외포재의 표면 상에 복수의 돌기(볼록 부분)가 형성되고, 및 상기 각 돌기의 이면측의 외포재 표면 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오목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요철 형상의 조합이 상기 외포재의 양면 상에서 복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진공 단열재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진공 단열재의 외포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상기 돌기(볼록 부분)는 복수 방향으로 연속된 돌기 형상이고, 그것들에 대응하여 상기 오목 형상이 상기 각 돌기의 이면측 외포재 표면 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홈 형상으로서 형성되도록 진공 단열재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진공 단열재의 외포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돌기(볼록 부분)는 상기 외포재의 표면 상의 윤곽 형상이 원형, 3각형이나 4각형 등의 임의의 다각형 형상이고, 그것들에 대응하여 상기 오목 형상이 상기 각 돌기의 이면측 외포재 표면 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돌기(볼록 부분)의 윤곽 형상에 대응하여 윤곽이 상사 형상의 오목 형상으로서 형성되도록 진공 단열재를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요철 형상을 형성한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그 표면 상에 상기 상부 금형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오목 형상이, 및 상기 상부 금형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대향 위치에 볼 록 형상이 형성된 하부 금형에 의해 진공 단열재를 소정의 간격까지 끼워 넣어 가압하여 상기 진공 단열재의 표면 및 이면에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 형상을 상기 진공 단열재에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에 2 방향 이상의 굽힘 성형이 가능하고,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홈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단열재의 입체 형상의 굽힘 성형을 실현한다. 또한, 진공 단열재를 진공 성형하는 동시에 상기의 홈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성형 후의 홈 형성 등의 2차 가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외포재와, 외포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또한 진공화된 공간에 수용되는 코어재를 갖고, 시트 형상의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외포재는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에 배치되는 표면과 이면을 갖고, 표면과 이면의 한쪽은 볼록부를 갖고, 표면과 이면의 다른 한쪽은 오목부를 가지며,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오목부와 볼록부는 서로 포개지고, 또한 오목부로부터 외측으로 볼록부가 확대되고,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오목부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볼록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은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볼록부와 포개지는 오목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보다 커지면, 진공 단열재를 오목부를 따라 절곡해도 오목부 주변의 진공 단열재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오목부 주변의 진공 단열재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볼록부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볼록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면, 진공 단열재를 오목부에 따라 절곡해도 상기 볼록부 부분으로의 응력 집중이 완화된다.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복수의 볼록부가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교차점에 있어서 교차하고, 복수의 오목부가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교차점에 있어서 교차하면, 진공 단열재를 복수 방향으로 절곡할 때, 절곡은 오목부의 교차점에 있어서 교차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따라 행해지고, 진공 단열재의 국부 변형은 교차점에 한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볼록부가 대각선 상에 교차점간을 연장하고, 오목부가 대각선 상에 교차점간을 연장하면, 교차점 부근의 응력 집중(진공 단열재의 두께 수축을 수반함)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각선 상에 교차점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볼록부가 서로 교차하여 대각선 상에 교차점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서로 교차하면, 교차점 부근의 응력 집중(진공 단열재의 두께 수축을 수반함)을 더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다각형은 사각형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 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공 단열재의 구조를 도1에 도시한다. 이는 내부의 글라스 파이버의 코어재(1)와 외부의 복합 수지 필름의 외포재(2)로 이루어지는 진공 단열재(3)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진공 단열재(3)의 3점 굽힘 시험 내용을 도2에 나타낸다. 여기서, 진공 단열재(3)를 지그(4) 상에 두고, 굽힘 공구(5)에 의해 굽힘 가공을 행한다. 이 때, 굽힘 부분의 최외층(6)에 있어서의 왜곡을 왜곡 게이지로 측정하는 동시에, 굽힘 가공 전후의 두께의 증감을 측정하였다.
굽힘 시험의 조건은 크로스 헤드 스피드 4.5 ㎜/분, 굽힘 스판 100 ㎜, 지그(4) 및 굽힘 공구(5)의 선단부(R)는 10 ㎜이고, 굽힘 시험편의 형상은 150 × 100 × 10 ㎜이다. 굽힘 시험의 결과를 표1에 나타냈지만, 진공 단열재의 굽힘 시험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최외층에 있어서의 복합 수지 필름의 왜곡 및 두께의 감소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외포재(2)에 왜곡이 발생하면, 진공도가 누설될 문제가 있고, 두께의 감소율이 크면, 열이 누설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표1]
두께의 감소율(%) 최위층의 왜곡(%)
35.9 17.1
여기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단열재 상부의 임의의 장소에 임의의 형상의 돌기(볼록 형상)(7)를 형성하고, 그 돌기의 이면에 오목 형상(8)을 형성하면, 홈 형상의 형성에 수반하는 두께의 감소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형상을 이용 하면, 굽힘 성형하는 복합 수지 필름 최외층의 표면적이 커지고, 최외층의 복합 수지 필름은 굽힘 성형에서 오목 부분이 신장되어 형성되고, 굽힘 응력이 분산되므로, 왜곡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요철 형상을 2 방향 이상으로 형성한 구조를 도4에 도시한다.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4의 요철 형상을 이용하면, 복수(임의) 방향의 단면에도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임의)의 방향으로 굽힘 성형해도 최외층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4에서는, 요철의 방향이 동일하고, 요철의 단면 치수가 동일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의 배향 및 단면 치수가 1매의 진공 단열재에서 달라도 좋은 것으로 한다.
또한, 진공 단열재의 임의의 장소에 임의의 형상의 독립된 돌기(볼록 형상)(9)를 2개 이상 형성하고, 그 돌기의 이면에 오목 형상(1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도5에 도시한다.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5의 요철 형상을 이용하면, 임의의 방향의 단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임의의 방향의 굽힘 성형해도 최외층의 왜곡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5의 요철 형상에 테이퍼를 부여하여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요철 부분에서 포개어 제품에 설치할 수 있다. 이 형상을 도6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포개어 배치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단열 성능을 높이고자 하는 장소에 복수매의 진공 단열재를 포개어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요철 부분에 포개어 설치한 일례를 도7에 도시한다. 이는 큰 치수의 진공 단열재(11)의 임의의 특정 장소에만 작은 치수의 진공 단열재(12)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높은 단열 성능이 요구되는 장소에만 작은 치수의 진공 단열재(3)를 설치함으로써 필요 최저한의 진공 단열재(3)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5 또는 도6에서 도시한 돌기(볼록 형상)(9) 및 돌기의 이면에 오목 형상(10)은 원 형상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각형, 4각형 등 임의의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돌기(볼록 형상)(9) 및 돌기의 이면에 오목 형상(10)의 사이즈도 하나의 진공 단열재(3)에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세한 가공이 필요한 장소는 작은 돌기(볼록 형상)(9)를, 미세한 가공이 필요없는 장소는 큰 돌기(9)를 설치하거나 혹은 돌기(9)를 없앨 수도 있다.
또한, 도5에서는 요철의 방향이 동일하고, 요철의 단면 치수가 동일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의 배향 및 단면 치수가 1매의 진공 단열재에서 달라도 좋은 것으로 한다. 또한, 도4와 도5에서 도시한 형상을 1매의 진공 단열재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3 내지 도6에서 도시한 요철 형상을 형성한 진공 단열재의 가공 방법에 대해 나타낸다. 우선, 도9에 단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4각형의 외포재(2)끼리가 3변 용착하고 있고, 1변의 개방 부분(21)으로부터 코어재(1)를 삽입 한 진공화 가공하기 전의 진공 단열재(3)를 이용한다. 이 진공화 가공하기 전의 진공 단열재(3)를 진공화하면서 요철 형상을 가공하기 위한 금형을 도8에 도시한 다. 여기서, 미리 요철 형상을 형성한 상하 금형(15, 16)의 맞춤 부분은 실리콘제의 밀봉재(18)를 설치하고 있다.
도8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가공 프로세스를 도9에 도시한다. 여기서, 상하 금형(15, 16) 사이에 진공화 가공하기 전의 진공 단열재(3)를 설치하고, 상하 금형(15, 16)으로 클램프한다. 클램프에 의해 밀봉재(18)를 상하 금형(15, 16)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금형 내부를 밀봉하고, 진공화 부분(13)으로부터 진공 펌프에 의해 금형 내부를 진공화한다. 이 때, 상하 금형(15, 16)의 요철 형상을 진공 단열재에 전사한 후, 하부 금형(16)에 설치한 과열 플레이트(14)를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외포재(2)의 개방 부분(21)을 열용착함으로써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의 가공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9에 도시하는 금형은 요철을 갖는 형상뿐만 아니라,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곡면 형상을 갖는 금형에 의해 임의의 형상의 진공 단열재(3)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9에서는 금형 내를 진공화하여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3)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공 챔버 내(20)에서 요철 형상을 갖는 상하 금형(15, 16)을 이용하여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가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진공화 성형하는 동시에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3)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 형상으로 형성된 진공 단열재(3)를 미리 요철 형상을 형성한 상하 금형(15, 16)으로 클램프하는 2차 가공에서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하 금형으로 클램프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요철 형상을 형성한 2개의 롤 금형(19) 사이에 진공 단열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롤 금형(19)을 이용한 제조 방법으로서, 도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매 이상의 진공화 성형한 진공 단열재의 코어재(1)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필름 부분(2)을 접합한 상태에서, 도12에 도시하는 미리 요철 형상을 형성한 2개의 롤 금형(19) 사이에 진공 단열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연속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필름(2) 사이에 코어재(1)를 삽입한 후, 진공 챔버(20) 내에서 진공화 및 필름의 밀봉까지 연속해서 행하고, 도12에 도시하는 미리 요철 형상을 형성한 2개의 롤 금형(19) 사이에 진공 단열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요철 형상을 갖는 진공 단열재를 연속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공정에서는 롤 금형(19)을 이용하지 않고 요철 형상을 형성하지 않은 진공 단열 패널의 연속된 제조를 행할 수도 있어, 롤 금형(19)에는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진공 단열 패널을 평활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복합 수지 필름의 외포재(2)는 고분자 재료제이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 탄성률이 낮아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요철 형상을 형성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8 내지 도11에 도시하는 금형, 롤을 가열한 상태에서 가공할 수도 있다. 혹은, 금형 이 아닌 가공 전에 복합 수지 필름의 외포재(2)를 가열한 상태에서 가공할 수도 있다.
이상, 코어재(1)에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외포재(2)에 복합 수지 필름을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어재(1)에 우레탄 재료를, 외포재에 Al 필름 등의 임의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들이 도시 및 기재되었지만,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기재된 실시 형태들의 변경 및 수정이 허용되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도시 및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수정된 내용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2 방향 이상의 굽힘 성형이 가능하고,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홈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진공 성형 후의 홈 형성 등의 2차 가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코어재를 내포한 외포재의 표면 상에 복수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포재의 이면 상이며,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조합이 상기 외포재의 양면 상에서 복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복수 방향으로 연속된 볼록 형상이고,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상기 오목부가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포재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의 윤곽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이 되는 형상이고, 상기 외포재의 이면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의 윤곽 형상이 상기 볼록부의 윤곽 형상의 상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한쪽 외포재와,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다른 쪽 외포재를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를 맞대어 끼워 맞춤할 수 있도록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치수가 상기 외포재의 면 내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배열 방향이 상기 외포재의 면내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
  7.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한 상부 금형과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 및 오목부를 형성한 하부 금형을 대향시켜 배치한 후,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에 끼워 넣은 코어재를 내포한 외포재를 소정의 간격이 될 때까지 가압하고, 그 후, 상기 외포재의 표면 및 이면에 상기 상부 금형에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와 상기 하부 금형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를 각각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재를 포함하는 외포재를 가압할 때에 진공화를 행하고, 또한 상기 외포재의 표면 및 이면에 볼록부 및 오목부를 전사한 후, 상기 외포재의 개방 부분을 열용착에 의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9. 코어재를 내포한 외포재의 내부를 진공화한 후, 상기 외포재의 주위를 밀봉한 진공 단열재를 복수 적층하여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각각 형성한 상부 금형과 하 부 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진공 단열재의 외포재의 표면 및 이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를 일괄하여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포재 내부의 진공화와 상기 외포재의 주위에서 밀봉하는 것이 연속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11. 코어재를 내포한 외포재의 내부를 진공으로 한 후, 상기 외포재의 주위에서 밀봉한 진공 단열재를 2축 압연롤의 롤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롤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를, 한쪽 롤에 형성된 볼록부가 다른 쪽 롤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하여 상기 외포재의 표면 및 이면에 각각 연속적으로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이 가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가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14. 외포재와, 외포재에 의해 둘러싸이고 또한 진공화된 공간에 수용되는 코어재 를 갖는 시트 형상의 진공 단열재이며,
    외포재는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에 배치되는 표면과 이면을 갖고, 표면과 이면의 한쪽은 볼록부를 갖고, 표면과 이면의 다른 한쪽은 오목부를 갖고,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오목부와 볼록부는 서로 포개지고, 또한 오목부로부터 외측으로 볼록부가 확대되고,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오목부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볼록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은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볼록부와 포개지는 오목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진공 단열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볼록부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볼록부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진공 단열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복수의 볼록부가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교차점에 있어서 교차하고, 복수의 오목부가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교차점에 있어서 교차하는 진공 단열재.
  17. 제16항에 있어서, 또한 시트 형상의 두께 방향으로 보아, 볼록부가 대각선 상에 교차점 사이를 연장하고, 오목부가 대각선 상에 교차점 사이를 연장하는 진공 단열재.
  18. 제16항에 있어서, 대각선 상에 교차점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볼록부가 서로 교차하고, 대각선 상에 교차점 사이를 연장하는 복수의 오목부가 서로 교차하는 진공 단열재.
  19. 제16항에 있어서, 다각형은 사각형인 진공 단열재.
KR1020060127501A 2006-02-06 2006-12-14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1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7859 2006-02-06
JP2006027859A JP4861715B2 (ja) 2006-02-06 2006-02-06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03A KR20070080203A (ko) 2007-08-09
KR100781010B1 true KR100781010B1 (ko) 2007-11-30

Family

ID=3848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501A KR100781010B1 (ko) 2006-02-06 2006-12-14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61715B2 (ko)
KR (1) KR100781010B1 (ko)
CN (1) CN10054550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5095A1 (ko) 2010-07-29 2012-02-02 주식회사 엑스엘 진공단열패널
KR101281287B1 (ko) * 2009-12-23 2013-07-03 (주)엘지하우시스 진공단열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2709A (ja) * 2007-02-21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断熱材の配設方法
JP2009063064A (ja) * 2007-09-06 2009-03-26 Hitachi Appliances Inc 真空断熱材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JP4969436B2 (ja) * 2007-12-27 2012-07-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
JP5195494B2 (ja) * 2009-02-16 2013-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BRPI1012628A2 (pt) * 2009-04-01 2016-03-29 Autoneum Technologies Ag folha de metal estruturada tridimensional e blindagem térmica para automóveis
KR101102262B1 (ko) * 2010-02-23 2012-01-03 오씨아이 주식회사 연속식 성형틀을 이용한 진공단열재 내부심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398604B2 (ja) * 2010-03-17 2014-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102797B (zh) * 2010-04-20 2013-01-23 福建赛特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板面带凹槽的真空绝热板及其制备方法
CN102261801B (zh) * 2010-05-28 2015-09-30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用于制冷器具的低压储物单元以及制冷器具
JP5618756B2 (ja) * 2010-10-18 2014-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91149B2 (ja) * 2011-02-25 2014-09-17 日新製鋼株式会社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3917818B (zh) * 2011-11-03 2016-04-27 三菱电机株式会社 真空绝热件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了该真空绝热件的保温箱和热泵式热水器
JP5968004B2 (ja) * 2012-03-29 2016-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
JP6022037B2 (ja) 2013-03-29 2016-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
DE102013104712A1 (de) * 2013-05-07 2014-11-13 Saint-Gobain Isov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akuum-Isolations-Paneelen
JP5907204B2 (ja) * 2013-07-19 2016-04-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6132715B2 (ja) * 2013-09-06 2017-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及び断熱箱
US10052819B2 (en) * 2014-02-24 2018-08-21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packaged 3D vacuum insulated door structure and method therefor using a tooling fixture
EP3133330B1 (en) * 2014-04-17 2022-04-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 heat-insulating material and heat-retaining body with same
KR102442071B1 (ko) * 2015-10-19 2022-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N105415808B (zh) * 2015-11-05 2017-08-18 金弼 一种真空玻璃及其制备方法
JP7454827B2 (ja) * 2019-02-22 2024-03-25 旭ファイバーグラス株式会社 真空断熱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138A (ja) * 1993-10-25 1995-05-12 Hitachi Ltd 真空断熱箱体
KR100390786B1 (ko) 2001-03-20 2003-07-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단열패널
JP2004116593A (ja) 2002-09-25 2004-04-1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多層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5258A (ja) 2003-02-12 200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凍機器及び冷温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780B2 (ja) * 2000-05-25 2003-12-15 松下冷機株式会社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
JP2005061465A (ja) * 2003-08-08 2005-03-10 Akoo Kiko:Kk 真空断熱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138A (ja) * 1993-10-25 1995-05-12 Hitachi Ltd 真空断熱箱体
KR100390786B1 (ko) 2001-03-20 2003-07-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단열패널
JP2004116593A (ja) 2002-09-25 2004-04-15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多層真空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5258A (ja) 2003-02-12 2004-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凍機器及び冷温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287B1 (ko) * 2009-12-23 2013-07-03 (주)엘지하우시스 진공단열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2015095A1 (ko) 2010-07-29 2012-02-02 주식회사 엑스엘 진공단열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5502C (zh) 2009-09-30
JP4861715B2 (ja) 2012-01-25
JP2007205530A (ja) 2007-08-16
CN101016970A (zh) 2007-08-15
KR20070080203A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010B1 (ko)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231204A1 (en) Grooved type vacuum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10683228B2 (en) Apparatus for molding glass substrate
JP6022037B2 (ja) 真空断熱材
US1161305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pouch for secondary battery
JP4444316B2 (ja) 真空成形装置及び真空成形方法
KR102037044B1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단열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5025069B2 (ja) 真空断熱パネル用のエッジ断熱技術
JP2000249290A (ja) 真空断熱体
JP2007046628A (ja) 断熱材
WO2019235448A1 (ja) 真空断熱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断熱箱体
CN111868432A (zh) 绝热体、使用该绝热体的绝热片以及绝热体的制造方法
JP2006170303A (ja) 真空断熱材
KR101452824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용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JP7065437B2 (ja) 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CN111825314A (zh) 玻璃弯曲方法及模具
JP7215202B2 (ja) 真空断熱パネル
JP5608611B2 (ja) 断熱体
JP4293995B2 (ja) 保温浴槽の製造方法
JP2019094946A (ja)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
JPH07263758A (ja) 極低温用積層断熱材
JP2006316873A (ja) 真空断熱材
JP2006138336A (ja) 真空断熱材
JPH08121680A (ja) 真空断熱製品の製造方法
KR20120128581A (ko) 플라즈마 애플리케이션용 대면적 icp 소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