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 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지니고,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로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정면에 상기 종이류의 다발을 압출하는 압출 플레이트를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 양측면에 상부가 개구한 절결부를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캐리어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스를 배치한 구동 롤러를 상기 다발 반송로의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구동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각 구동 롤러의 보스를 상기 캐리어의 각 절결부로 순차 체결시킴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의 각 절결부를 상부가 개구한 직사각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전달 수단의 각 구동 롤러에 배치한 보스를 원주형으로 하여, 각 절결부의 옆폭을 보스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유극을 크게 한 구성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전달 수단의 각 구동 롤러에 각각 풀리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상기 구동 롤러끼리의 각 풀리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동시킨 구성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의 압출 플레이트에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 및/또는 바닥벽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기립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 및/또는 바닥벽에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기립편의 수용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취급 장치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와, 상기 종이류를 다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궤도를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캐리어의 주행 궤도와 교차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와 캐리어 상호간에서의 상기 종이류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에 의하면, 캐리어의 각 절결부에 각 구동 롤러의 보스를 순차 체결시켜 상기 캐리어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고, 각 절결부와 보스의 유극을 크게 취함으로써, 각 절결부에 보스를 확실하게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는 동시에, 좌우의 각 구동 롤러의 회전에 위상차가 생긴 경우에도, 상기 위상차를 상기 유극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장치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발 반송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운 캐리어에 각 구동 롤러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행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다발 반송로에 플랫 벨트를 종단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캐리어의 주행 궤도인 상기 다발 반송로에, 다른 벨트 등 반송 기구를 교차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는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갖고 있다.
나아가, 인접하는 구동 롤러끼리의 각 풀리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동시킨 경우는 다발 반송로를 길게 하여도 안정된 구동력으로 반송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전술한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플랫 벨트에 장력을 주기 위한 롤러, 샤프트라는 부품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캐리어의 압출 플레이트에 기립편을 설치하는 동시에,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바닥벽에 상기 기립편의 수용홈을 형성한 경우는 압출 플레이트와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바닥벽의 간극에 종이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캐리어의 압출 플레이트의 상부·하부를 후방향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상기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를 원호면으로 하여, 이들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와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바닥벽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적극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면, 종이류가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기립편과 더불어,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의 지폐 입출금 장치(종이류의 취급 장치)의 일부에 다발 반송 장치를 설치하여, 종이류인 지폐의 다발 반송을 행하는 구성의 일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취급 장치(지폐 입출금 장치) 및 그 일부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각각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비교예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지폐(P)의 다발을 장치 내외로 입출금하는 입출금부(2)와, 입금된 지폐(P)의 다발을 승강 스테이지(승강 부재 )(3a)에서 아래쪽으로 반송하여, 인출 롤러로 한 장씩 분리하여 조출하는 인출부(3)와, 지폐(P)의 정상 또는 이상을 이미지 센서에 의해 판정하는 감별부(4)와, 정상으로 판단된 지폐(P)가 보내지는 일차 보류부(5)와, 이상으로 판단된 지폐(P)가 보내지는 리젝트 공간(6)과, 일차 보류부(5) 및 리젝트 공간(6)에 집적된 지폐(P)를 위쪽의 다발 반송로(7)까지 반송하는 승강 스테이지(승강 부재)(5a, 6a)와, 다발 반송로(7)에 반송된 지폐(P)를 다발 상태인 채로 압출 반송하는 다발 반송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도 4에 있어서, 다발 반송로(7)는 상호 별개의 독립된 정상벽(71)과 바닥벽(72) 및 좌우 양측벽(73, 73)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 형태의 다발 반송 장치(8)는 상기 다발 반송로(7) 내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10)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전방을 향해 요철 형상이 교대로 연속하는 빗살형 상판(11)과, 상기 빗살형 상판(11)의 좌우 양측을 각각 아래쪽으로 절곡한 2개의 측판(12, 12)과, 빗살형 상판(11)의 뒤쪽에서 앞쪽을 향해 뒷면으로부터 되접어 꺾은 5개의 얇고 긴 바닥판(13, 13, 13, 13, 13)과, 각 얇고 긴 바닥판(13)의 선단측을 직각으로 세운 5개의 압출 플레이트(14, 14, 14, 14, 14)를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10)의 각부에 대해 설명하면, 빗살형 상판(11) 전방의 각 볼록 형상 부분의 선단측을 직각으로 세워서 5개의 지지편(11a, 11a, 11a, 11a, 11a)을 형성하고(도 2, 도 4A, 도 4B, 도 4C 참조), 이들에 의해 각 압출 플레이트(14)를 후측 에서 보강하고 있다.
또한, 빗살형 상판(11)의 정면 좌측에는 직사각형 소편을 기립시킨 플래그(1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래그(11b)를 도시하지 않은 광학 센서로 검지함으로써, 다발 반송로(7)를 주행하는 캐리어(10)의 동작 제어를 행하고 있다.
나아가서, 빗살형 상판(11)의 좌우 양측에는 수직인 회전축에 수평으로 부착한 좌우 방향 지지 롤러(15A, 15A)가 2개씩 세워져 있다. 이들 좌우 방향 지지 롤러(15A)는 다발 반송로(7)의 좌우 양측벽(73, 73)에 접촉하여 캐리어(10)를 좌우 방향으로 지지하고, 덜걱거림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킨다.
좌우의 양측판(1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부가 개구한 직사각형의 절결부(12a, 12a, 12a, 12a, 12a)가 소정 간격으로 5개 병설되어 있다. 또한, 양측판(12)의 하부 가장자리 근방에는 수평인 회전축에 수직으로 부착한 상하 방향 지지 롤러(15B, 15B, 15B, 15B)가 4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하 방향 지지 롤러(15B)는 다발 반송로(7)의 외측에 설치한 상기 다발 반송로(7)와 평행하게 부설한 단면コ자 형태 또는 역コ자 형태의 2개의 레일(30, 30)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캐리어(10)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여, 덜걱거림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킨다.
나아가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상하 방향 지지 롤러(15B)로 캐리어(10)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에 소정의 상하 간극(L1, L2)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상하 간극(L1, L2)은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지폐(P)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압출 플레이트(14)에 의한 지폐(P)의 압출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크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압출 플레이트(14)는 대소폭이 다른 거의 직사각형의 판형체로서, 그 상부 가장자리부 및 하부 가장자리부에는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또는 2개의 기립편(14a, 14a…)이 기립하고 있다. 이들 기립편(14a)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한 수용홈(71a, 72a) 내에 수습되고,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의 상하 간극(L1, L2)에 지폐(P)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부 및 하부를 후방향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접힘편(14b)을 형성하고, 이들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원호면(14c, 14c…)으로 한다(도 6 참조). 이들 원호면(14c)은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하 간극(L1, L2)과 더불어, 지폐(P)가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성의 캐리어(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20)은, 복수의 구동 롤러(21, 21…)와 풀리(22, 22…) 및 타이밍 벨트(23, 23…)로 이루어지고 있다.
각 구동 롤러(21)는 다발 반송로(7)의 외측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좌우 양측벽의 각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원판(21a)의 표면 원주를 따라 4개의 보스(21b, 21b, 21b, 21b)를 등간격으로 또한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원판(21a)의 이면 중심에 회전축(21c)을 설치한 구성이다.
각 구동 롤러(21)의 회전축(21c)에는 풀리(22)가 각각 고정하고 있으며, 인접하는 구동 롤러(21, 21…)끼리의 각 풀리(22)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23)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21)의 전부가 연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발 반송로(7)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구동 롤러(21, 21)는 단일의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동기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위치(Q, R)에서, 승강 스테이지(3a, 5a, 6a)의 승강 궤도와, 다발 반송 장치(8)의 캐리어(10)의 주행 궤도를 교차시킴으로써, 이들 승강 스테이지(3a, 5a, 6a)와 캐리어(10) 상호간에서의 종이류(P)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 대해, 위치(R)에서의 승강 스테이지(5a(6a))와 캐리어(10)의 구동계를 예로 전술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스테이지(5a(6a))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풀리(9a, 9a(9b, 9b))가 부착되어 있고, 각 풀리(9a, 9a(9b, 9b))에 세로 방향으로 권취하여 부착한 타이밍 벨트(9c, 9c(9d, 9d))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승강 스테이지(5a(6a))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캐리어(10)는 전술한 각 풀리(22, 22…)의 회전축을 상기 풀리(9a(9b))보다 길게 함으 로써, 상기 풀리(9a(9b))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실시 형태의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에 의하면,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각 구동 롤러(21)의 보스(21b)를 캐리어(10)의 각 절결부(12a)에 순차 체결시킴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캐리어(10)를 다발 반송로(7)의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로 지폐(P)를 다발 상태인 채로 압출 반송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10)의 각 절결부(12a)와 각 구동 롤러(21)의 보스(21b)의 유극을 크게 함으로써, 각 절결부(12a)에 보스(21b)를 확실하게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좌우의 각 구동 롤러(21)의 회전에 위상차가 생긴 경우에도, 상기 위상차를 상기 유극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장치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발 반송로(7)에서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운 캐리어(10)에 각 구동 롤러(21)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다발 반송로(7)에 플랫 벨트를 종단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캐리어(10)의 주행 궤도인 상기 다발 반송로(7)에 다른 벨트 등의 반송 기구,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승강 스테이지(3a, 5a, 6a)를 승강시키기 위한 벨트 반송 기구를 교차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발 반송 장치(8)는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갖는다.
나아가서, 캐리어(10)는 그 절결부(12a)에 각 구동 롤러(21)의 보스(21b)가 체결되기만 하면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승강 스테이지(3a, 5a, 6a)와 교차하는 위치(Q, R)에서, 이들의 구동계를 회피하기 위해 각 풀리(22, 22…)의 간격을 넓게 취하는 등의 대응이 가능하고, 상기 캐리어(10)의 승강 스테이지(3a, 5a, 6a) 상의 통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나아가서, 인접하는 구동 롤러(21, 21…) 끼리의 각 풀리(22)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23)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21)의 전부를 연동시킨 것에 의해, 다발 반송로(7)를 길고 안정된 구동력으로 반송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전술한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플랫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롤러, 샤프트라는 부품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에 기립편(14a, 14a…)을 설치하는 동시에,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에 각 기립편(14a)의 수용구(71a, 72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1)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의 상하 간극(L1, L2)에 지폐(P)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어떠한 처리없이 에지(14c')인 채로 하고, 또한,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의 상하 간극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엣지(14c')와 다발 반송 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에 형성된 의도하지 않은 협소한 상하 간극에 지폐(P)가 걸려, 그대로 캐리어(10)가 후퇴하는 때에 출금 에러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원호면(14c)으로 하는 동시에, 이들 원호면(14c)과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에 소정의 상하 간극(L1, L2)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들 상하 간극(L1, L2)에 지폐(P)가 들어간 경우에도, 캐리어(10)가 후퇴한 때에 지폐(P)가 원활하게 빠져 나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지폐(P)가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립편(14a)과 더불어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ATM 등의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일부에 본 다발 반송 장치(8)를 설치하여 지폐(P)를 다발 반송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금 통장, 티켓, 상품권, 수표, 카드, 증권, 채권 등에 관한 종이류의 사행 수정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