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304B1 -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304B1
KR100780304B1 KR1020067021189A KR20067021189A KR100780304B1 KR 100780304 B1 KR100780304 B1 KR 100780304B1 KR 1020067021189 A KR1020067021189 A KR 1020067021189A KR 20067021189 A KR20067021189 A KR 20067021189A KR 100780304 B1 KR100780304 B1 KR 10078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carrier
papers
driv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733A (ko
Inventor
야스시 고토
카즈토 키타노
하야토 미나미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1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pusher, needles, friction, or like devices adapted to feed single articles along a surface or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6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4Driving mechanisms other
    • B65H2403/542Geneva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에 종이류(P)의 다발을 압출하는 압출 플레이트(14)를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 양측면(12)에 상부가 개구한 절결부(12a)를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캐리어(10)와, 회전축(21c)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스(21b)를 배치한 구동 롤러(21)를 다발 반송로(7)의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구동 전달 수단(20)을 구비하고, 구동원에서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각 구동 롤러(21)의 보스(21b)를 캐리어(10)의 각 절결부(12)에 순차 체결시킴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캐리어(10)를 다발 반송로(7)의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다발 반송 장치, 종이류, ATM, 캐리어, 롤러

Description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DEVICE FOR CARRYING BUNDLE OF PAPER SHEETS AND DEVICE FOR HANDLING BUNDLE OF PAPER SHEETS}
본 발명은 지폐 등의 종이류를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하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상기 다발 반송 장치를 구성 요소로 하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의 종이류의 취급 장치에 있어서, 특히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 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지니고,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이류를 세로 방향으로 집적한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종래로부터 벨트 반송 기구를 이용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5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제11-2786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를 종단하도록 설치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랫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플랫 벨트를 종이류의 다발에 압착하여 반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는 종이류를 한 장씩 고속 반송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다발 상태인 종이류를 장거리 반송하는 경우에는 도중에서 다발 상태가 무너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플랫 벨트의 중간 개소에, 종이류의 반송 방향의 폭에 따른 개소에 롤러나 샤프트 등의 장력을 주기 위한 부품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부품 개수의 증대에 의한 구성의 복잡화와 설치 공간의 확보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는 일련의 플랫 벨트가 반송 경로를 종단하는 구성이므로, 예컨대, 종이류의 다발을 승강시키기 위한 다른 벨트 반송 기구 등과 궤도를 교차시켜 설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벨트 반송 기구 이외의 수단, 예컨대, 종이류의 다발 반송로의 좌우 양측에 랙 앤 피니언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전달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구동 전달 수단에 의해 압출 부재를 다발 반송로에 따라 주행시켜 종이류를 다발 반송하는 것도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좌우의 랙 앤 피니언 상호 위상차가 생긴 경우에 발생하는 덜걱거림에 의해, 좌우의 기어의 맞물림이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어, 기어 형상이나 동기에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1-1451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평 제11-27866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 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지니고,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로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정면에 상기 종이류의 다발을 압출하는 압출 플레이트를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 양측면에 상부가 개구한 절결부를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캐리어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스를 배치한 구동 롤러를 상기 다발 반송로의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구동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각 구동 롤러의 보스를 상기 캐리어의 각 절결부로 순차 체결시킴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의 각 절결부를 상부가 개구한 직사각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전달 수단의 각 구동 롤러에 배치한 보스를 원주형으로 하여, 각 절결부의 옆폭을 보스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유극을 크게 한 구성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전달 수단의 각 구동 롤러에 각각 풀리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상기 구동 롤러끼리의 각 풀리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동시킨 구성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의 압출 플레이트에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 및/또는 바닥벽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기립편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 및/또는 바닥벽에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기립편의 수용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취급 장치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와, 상기 종이류를 다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궤도를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캐리어의 주행 궤도와 교차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와 캐리어 상호간에서의 상기 종이류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에 의하면, 캐리어의 각 절결부에 각 구동 롤러의 보스를 순차 체결시켜 상기 캐리어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고, 각 절결부와 보스의 유극을 크게 취함으로써, 각 절결부에 보스를 확실하게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해 지는 동시에, 좌우의 각 구동 롤러의 회전에 위상차가 생긴 경우에도, 상기 위상차를 상기 유극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장치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발 반송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운 캐리어에 각 구동 롤러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행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다발 반송로에 플랫 벨트를 종단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캐리어의 주행 궤도인 상기 다발 반송로에, 다른 벨트 등 반송 기구를 교차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는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갖고 있다.
나아가, 인접하는 구동 롤러끼리의 각 풀리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동시킨 경우는 다발 반송로를 길게 하여도 안정된 구동력으로 반송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전술한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플랫 벨트에 장력을 주기 위한 롤러, 샤프트라는 부품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캐리어의 압출 플레이트에 기립편을 설치하는 동시에,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바닥벽에 상기 기립편의 수용홈을 형성한 경우는 압출 플레이트와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바닥벽의 간극에 종이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캐리어의 압출 플레이트의 상부·하부를 후방향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상기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를 원호면으로 하여, 이들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와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바닥벽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적극적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면, 종이류가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기립편과 더불어,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취급 장치(지폐 입출금 장치) 및 그 일부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C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비교예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의 지폐 입출금 장치(종이류의 취급 장치)의 일부에 다발 반송 장치를 설치하여, 종이류인 지폐의 다발 반송을 행하는 구성의 일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취급 장치(지폐 입출금 장치) 및 그 일부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각각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비교예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반송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지폐 입출금 장치이며, 지폐(P)의 다발을 장치 내외로 입출금하는 입출금부(2)와, 입금된 지폐(P)의 다발을 승강 스테이지(승강 부재 )(3a)에서 아래쪽으로 반송하여, 인출 롤러로 한 장씩 분리하여 조출하는 인출부(3)와, 지폐(P)의 정상 또는 이상을 이미지 센서에 의해 판정하는 감별부(4)와, 정상으로 판단된 지폐(P)가 보내지는 일차 보류부(5)와, 이상으로 판단된 지폐(P)가 보내지는 리젝트 공간(6)과, 일차 보류부(5) 및 리젝트 공간(6)에 집적된 지폐(P)를 위쪽의 다발 반송로(7)까지 반송하는 승강 스테이지(승강 부재)(5a, 6a)와, 다발 반송로(7)에 반송된 지폐(P)를 다발 상태인 채로 압출 반송하는 다발 반송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도 4에 있어서, 다발 반송로(7)는 상호 별개의 독립된 정상벽(71)과 바닥벽(72) 및 좌우 양측벽(73, 73)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 형태의 다발 반송 장치(8)는 상기 다발 반송로(7) 내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10)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여 이루어지고, 전방을 향해 요철 형상이 교대로 연속하는 빗살형 상판(11)과, 상기 빗살형 상판(11)의 좌우 양측을 각각 아래쪽으로 절곡한 2개의 측판(12, 12)과, 빗살형 상판(11)의 뒤쪽에서 앞쪽을 향해 뒷면으로부터 되접어 꺾은 5개의 얇고 긴 바닥판(13, 13, 13, 13, 13)과, 각 얇고 긴 바닥판(13)의 선단측을 직각으로 세운 5개의 압출 플레이트(14, 14, 14, 14, 14)를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10)의 각부에 대해 설명하면, 빗살형 상판(11) 전방의 각 볼록 형상 부분의 선단측을 직각으로 세워서 5개의 지지편(11a, 11a, 11a, 11a, 11a)을 형성하고(도 2, 도 4A, 도 4B, 도 4C 참조), 이들에 의해 각 압출 플레이트(14)를 후측 에서 보강하고 있다.
또한, 빗살형 상판(11)의 정면 좌측에는 직사각형 소편을 기립시킨 플래그(1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래그(11b)를 도시하지 않은 광학 센서로 검지함으로써, 다발 반송로(7)를 주행하는 캐리어(10)의 동작 제어를 행하고 있다.
나아가서, 빗살형 상판(11)의 좌우 양측에는 수직인 회전축에 수평으로 부착한 좌우 방향 지지 롤러(15A, 15A)가 2개씩 세워져 있다. 이들 좌우 방향 지지 롤러(15A)는 다발 반송로(7)의 좌우 양측벽(73, 73)에 접촉하여 캐리어(10)를 좌우 방향으로 지지하고, 덜걱거림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킨다.
좌우의 양측판(1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부가 개구한 직사각형의 절결부(12a, 12a, 12a, 12a, 12a)가 소정 간격으로 5개 병설되어 있다. 또한, 양측판(12)의 하부 가장자리 근방에는 수평인 회전축에 수직으로 부착한 상하 방향 지지 롤러(15B, 15B, 15B, 15B)가 4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하 방향 지지 롤러(15B)는 다발 반송로(7)의 외측에 설치한 상기 다발 반송로(7)와 평행하게 부설한 단면コ자 형태 또는 역コ자 형태의 2개의 레일(30, 30)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고, 캐리어(10)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여, 덜걱거림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킨다.
나아가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상하 방향 지지 롤러(15B)로 캐리어(10)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에 소정의 상하 간극(L1, L2)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상하 간극(L1, L2)은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지폐(P)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압출 플레이트(14)에 의한 지폐(P)의 압출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크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압출 플레이트(14)는 대소폭이 다른 거의 직사각형의 판형체로서, 그 상부 가장자리부 및 하부 가장자리부에는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또는 2개의 기립편(14a, 14a…)이 기립하고 있다. 이들 기립편(14a)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한 수용홈(71a, 72a) 내에 수습되고,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의 상하 간극(L1, L2)에 지폐(P)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부 및 하부를 후방향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접힘편(14b)을 형성하고, 이들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원호면(14c, 14c…)으로 한다(도 6 참조). 이들 원호면(14c)은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하 간극(L1, L2)과 더불어, 지폐(P)가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성의 캐리어(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20)은, 복수의 구동 롤러(21, 21…)와 풀리(22, 22…) 및 타이밍 벨트(23, 23…)로 이루어지고 있다.
각 구동 롤러(21)는 다발 반송로(7)의 외측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좌우 양측벽의 각각에 소정 간격을 두고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원판(21a)의 표면 원주를 따라 4개의 보스(21b, 21b, 21b, 21b)를 등간격으로 또한 방사상으로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원판(21a)의 이면 중심에 회전축(21c)을 설치한 구성이다.
각 구동 롤러(21)의 회전축(21c)에는 풀리(22)가 각각 고정하고 있으며, 인접하는 구동 롤러(21, 21…)끼리의 각 풀리(22)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23)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21)의 전부가 연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발 반송로(7)의 최후미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구동 롤러(21, 21)는 단일의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동기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위치(Q, R)에서, 승강 스테이지(3a, 5a, 6a)의 승강 궤도와, 다발 반송 장치(8)의 캐리어(10)의 주행 궤도를 교차시킴으로써, 이들 승강 스테이지(3a, 5a, 6a)와 캐리어(10) 상호간에서의 종이류(P)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 구성이다.
이 구성에 대해, 위치(R)에서의 승강 스테이지(5a(6a))와 캐리어(10)의 구동계를 예로 전술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스테이지(5a(6a))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풀리(9a, 9a(9b, 9b))가 부착되어 있고, 각 풀리(9a, 9a(9b, 9b))에 세로 방향으로 권취하여 부착한 타이밍 벨트(9c, 9c(9d, 9d))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승강 스테이지(5a(6a))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캐리어(10)는 전술한 각 풀리(22, 22…)의 회전축을 상기 풀리(9a(9b))보다 길게 함으 로써, 상기 풀리(9a(9b))와의 간섭을 회피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실시 형태의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에 의하면,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각 구동 롤러(21)의 보스(21b)를 캐리어(10)의 각 절결부(12a)에 순차 체결시킴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캐리어(10)를 다발 반송로(7)의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로 지폐(P)를 다발 상태인 채로 압출 반송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10)의 각 절결부(12a)와 각 구동 롤러(21)의 보스(21b)의 유극을 크게 함으로써, 각 절결부(12a)에 보스(21b)를 확실하게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좌우의 각 구동 롤러(21)의 회전에 위상차가 생긴 경우에도, 상기 위상차를 상기 유극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장치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발 반송로(7)에서 전후 방향으로 자유로운 캐리어(10)에 각 구동 롤러(21)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행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다발 반송로(7)에 플랫 벨트를 종단시킬 필요가 없어지고, 캐리어(10)의 주행 궤도인 상기 다발 반송로(7)에 다른 벨트 등의 반송 기구,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승강 스테이지(3a, 5a, 6a)를 승강시키기 위한 벨트 반송 기구를 교차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다발 반송 장치(8)는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갖는다.
나아가서, 캐리어(10)는 그 절결부(12a)에 각 구동 롤러(21)의 보스(21b)가 체결되기만 하면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승강 스테이지(3a, 5a, 6a)와 교차하는 위치(Q, R)에서, 이들의 구동계를 회피하기 위해 각 풀리(22, 22…)의 간격을 넓게 취하는 등의 대응이 가능하고, 상기 캐리어(10)의 승강 스테이지(3a, 5a, 6a) 상의 통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나아가서, 인접하는 구동 롤러(21, 21…) 끼리의 각 풀리(22)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23)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21)의 전부를 연동시킨 것에 의해, 다발 반송로(7)를 길고 안정된 구동력으로 반송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전술한 종래의 벨트 반송 기구와 같이 플랫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롤러, 샤프트라는 부품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에 기립편(14a, 14a…)을 설치하는 동시에,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에 각 기립편(14a)의 수용구(71a, 72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1)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의 상하 간극(L1, L2)에 지폐(P)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어떠한 처리없이 에지(14c')인 채로 하고, 또한, 각 압출 플레이트(14)와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의 상하 간극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엣지(14c')와 다발 반송 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에 형성된 의도하지 않은 협소한 상하 간극에 지폐(P)가 걸려, 그대로 캐리어(10)가 후퇴하는 때에 출금 에러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0)의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원호면(14c)으로 하는 동시에, 이들 원호면(14c)과 다발 반송로(7)의 정상벽(71) 및 바닥벽(72) 사이에 소정의 상하 간극(L1, L2)을 적극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들 상하 간극(L1, L2)에 지폐(P)가 들어간 경우에도, 캐리어(10)가 후퇴한 때에 지폐(P)가 원활하게 빠져 나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지폐(P)가 각 압출 플레이트(14)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립편(14a)과 더불어 종이걸림 등의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보다 안정된 다발 반송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ATM 등의 지폐 입출금 장치(1)의 일부에 본 다발 반송 장치(8)를 설치하여 지폐(P)를 다발 반송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금 통장, 티켓, 상품권, 수표, 카드, 증권, 채권 등에 관한 종이류의 사행 수정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등의 종이류를 다발 상태인 채로 반송하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상기 다발 반송 장치를 구성 요소로 하는 ATM 등의 종이류의 취급 장치에 있어서, 특히 동작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정된 다발 반송을 실현 할 수 있는 동시에, 다른 반송 기구에 영향받지 않는 폭넓은 범용성을 지니고, 구성 부품과 설치 공간의 대폭적인 삭감을 꾀할 수 있다.

Claims (6)

  1. 종이류의 다발 반송로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 가능하며, 정면에 상기 종이류의 다발을 압출하는 압출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동시에, 좌우 양측면에 상부가 개구한 절결부를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캐리어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원주 상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보스를 배치한 구동 롤러를 상기 다발 반송로의 좌우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한 구동 전달 수단을 구비하고,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각 구동 롤러의 보스를 상기 캐리어의 각 절결부에 순차 체결시킴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캐리어를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각 절결부를 상부가 개구한 직사각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 전달 수단의 각 구동 롤러에 배치한 보스를 원주형으로 하여, 각 절결부의 횡폭을 보스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양자 사이의 유극을 크게한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 수단의 각 구동 롤러에 각각 풀리를 설치하여, 인접하는 상기 구동 롤러끼리의 각 풀리를 각각 별개의 타이밍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각 구동 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연동시킨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압출 플레이트에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 및/또는 바닥벽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기립편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 및/또는 바닥벽에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기립편의 수용홈을 형성한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플레이트의 상부 및/또는 하부를 뒤쪽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상기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 및/또는 하단 가장자리를 원호면으로 하여, 이들 압출 플레이트의 상단 가장자리 및/또는 하단 가장자리와 상기 다발 반송로의 정상벽 및/또는 바닥벽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와, 상기 종이류를 다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승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궤도를 상기 다발 반송 장치의 캐리어의 주행 궤도와 교차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와 캐리어 상호간에서의 상기 종이류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의 취급 장치.
KR1020067021189A 2004-03-15 2004-11-29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 KR100780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3610A JP4326989B2 (ja) 2004-03-15 2004-03-15 紙葉類の束搬送装置及び取扱装置
JPJP-P-2004-00073610 2004-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733A KR20060130733A (ko) 2006-12-19
KR100780304B1 true KR100780304B1 (ko) 2007-11-28

Family

ID=3497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189A KR100780304B1 (ko) 2004-03-15 2004-11-29 종이류의 다발 반송 장치 및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66598B2 (ko)
EP (1) EP1726546B1 (ko)
JP (1) JP4326989B2 (ko)
KR (1) KR100780304B1 (ko)
CN (1) CN100554108C (ko)
DE (1) DE602004017227D1 (ko)
ES (1) ES2314496T3 (ko)
WO (1) WO20050876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457A2 (ko) * 2008-12-23 2010-07-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KR100981470B1 (ko) 2008-07-07 2010-09-10 이근주 지폐 띠지 결속 장치에 구비되는 띠지절단결속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5340A (ja) 2008-10-16 2010-04-30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紙葉類収納繰出装置
KR101462893B1 (ko) * 2008-12-24 2014-11-1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입금장치
JP5226869B2 (ja) * 2009-06-29 2013-07-03 富士通株式会社 束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JP7126313B2 (ja) * 2016-05-11 2022-08-26 富士電機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の収納構造
CN105328973B (zh) * 2015-12-09 2018-01-09 重庆锦沙沣包装有限公司 一种纸板生产机组
CN111099290A (zh) * 2018-10-29 2020-05-0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具轨道控制的轨道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3958A (en) * 1987-08-25 1989-03-01 Nec Corp Conveying device for block of sheet paper
JP2001190819A (ja) * 2000-01-11 2001-07-17 Takasago Electric Ind Co Ltd 紙幣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0816A (en) * 1930-05-19 1936-02-11 Newton Steel Company Feed table for sheets
US3708074A (en) * 1971-07-15 1973-01-02 Steel Storage Syst Inc Steel racking apparatus
US3902589A (en) * 1973-07-20 1975-09-02 Ermanco Inc Roller conveyor system
CH626027A5 (ko) * 1976-07-09 1981-10-30 Ferag Ag
NZ189037A (en) * 1977-12-09 1983-03-15 Conveyor Mfg Co Ltd Live roller conveyor limited torque drive
US4750605A (en) * 1985-08-07 1988-06-14 Lamb Technicon Corp. Workpiece transfer system
JPS6453958U (ko) 1987-09-30 1989-04-03
US5096367A (en) * 1989-02-08 1992-03-17 Kinetic Robotics Inc. Processes for handling material
DE4009139C1 (ko) * 1990-03-21 1991-09-05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4790 Paderborn, De
US5205703A (en) * 1991-05-14 1993-04-27 Thermoguard Equipment, Inc. Top sheet hold down for stacked sheet handling machine
US5449262A (en) * 1994-05-26 1995-09-12 Diamond Machine Co. Inserter/extractor used with carousel of storage bins
JPH0956119A (ja) 1995-08-16 1997-02-25 Fuji Electric Co Ltd 開放形回転電機の冷却装置
US5878016A (en) * 1996-02-01 1999-03-02 Tokyo Pigeon Co., Ltd. Disk changer
JPH11278665A (ja) 1998-03-30 1999-10-12 Glory Ltd 紙幣束収納投出装置および紙幣束入出金機
US6450319B1 (en) * 1998-04-20 2002-09-17 Ferag Ag Processing system for processing piece goods
JP4238421B2 (ja) 1999-06-30 2009-03-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US6644459B2 (en) * 2001-12-19 2003-11-11 Rapistan Systems Advertising Corp. Belt transfer assembly
EP1341170B1 (en) * 2002-02-27 2007-06-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changer
US7306091B2 (en) * 2004-11-05 2007-12-11 Tkf Incorporated Tapered spline roller for curved roller convey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3958A (en) * 1987-08-25 1989-03-01 Nec Corp Conveying device for block of sheet paper
JP2001190819A (ja) * 2000-01-11 2001-07-17 Takasago Electric Ind Co Ltd 紙幣搬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470B1 (ko) 2008-07-07 2010-09-10 이근주 지폐 띠지 결속 장치에 구비되는 띠지절단결속기구
WO2010074457A2 (ko) * 2008-12-23 2010-07-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WO2010074457A3 (ko) * 2008-12-23 2010-09-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55407A (ja) 2005-09-22
JP4326989B2 (ja) 2009-09-09
US7766598B2 (en) 2010-08-03
ES2314496T3 (es) 2009-03-16
KR20060130733A (ko) 2006-12-19
DE602004017227D1 (de) 2008-11-27
CN100554108C (zh) 2009-10-28
CN1926035A (zh) 2007-03-07
US20070007712A1 (en) 2007-01-11
EP1726546A1 (en) 2006-11-29
EP1726546B1 (en) 2008-10-15
EP1726546A4 (en) 2008-01-09
WO2005087635A1 (ja)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598B2 (en) Bundle transport apparatus for paper sheet materials and handling apparatus for the same
EP1139303B1 (en) Reversing and aligning mechanism for sheet processing apparatus
WO2013014984A1 (ja) 搬送方向切替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US6341934B1 (en) Collating apparatus
CN109195891B (zh) 正反面反转装置、纸张处理机及正反面反转方法
KR10207970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모듈
US7357391B2 (en) Device for selectively stacking sheets
KR101106660B1 (ko) 매체 반송장치 및 자동 거래장치
US20120132505A1 (en) Sheet bundle convey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US5762597A (en) Modular folding device in a folder-gluer machine for processing flat elements
KR101452561B1 (ko) 매체 반송 장치 및 지폐 자동 입출금기
JP6482756B2 (ja) 紙葉搬送装置
JP2007308233A (ja) 紙葉類処理装置
WO2021186647A1 (ja) 搬送経路切替え機構、及び、紙葉類取扱装置
CN217293683U (zh) 传输机构及折纸机及复合机
JP7242403B2 (ja) 紙葉類搬送機構
JP5011753B2 (ja) 紙幣搬送装置
JP4392929B2 (ja) 紙幣搬送装置
JP2549068Y2 (ja) 紙葉類整列装置
JP4472954B2 (ja) 遊技島における紙幣収納装置
KR20220084595A (ko) 매체 반송경로 절환장치
CN114571781A (zh) 传输机构及折纸机及复合机
KR10101649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5325695B2 (ja) 紙葉類集積繰出装置
KR20210123919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반송경로 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