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758B1 -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758B1
KR100777758B1 KR1020020016734A KR20020016734A KR100777758B1 KR 100777758 B1 KR100777758 B1 KR 100777758B1 KR 1020020016734 A KR1020020016734 A KR 1020020016734A KR 20020016734 A KR20020016734 A KR 20020016734A KR 100777758 B1 KR100777758 B1 KR 100777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sensor
control device
passa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147A (ko
Inventor
모리노유이치
오가와스미타카
안마토모사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66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13Condition determining device, e.g. oxygen sensor, accelerometer, ionizer chamber, thermocoup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P. C. B.에 장착된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10, 60)로서,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11, 61)와 케이스 본체에 수용되는 P. C. B.(23, 63)과 P. C. B.상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압력흡입관(21)을 가지는 압력센서(20) 및 케이스 본체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31)를 포함하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컨넥터 박스(27)는 케이스 본체의 한 측벽에 부착된다. 압력센서는 컨넥터 박스의 근방에 배치된다. 제1 압력통로(38)는 덮개와 일체로 형성되어 압력센서와 대향한다. 제1 압력통로와 연결되는 제2 압력통로(41)는 덮개와 일체로 형성되어 컨넥터 박스와 같은 방향으로 신장한다.
제어장치, 압력센서

Description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CONTROL UNIT INCORPORATING PRESSURE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고;
도 4a에서 4c는 제1 실시형태인 제어장치의 조립과정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의 흡입통로 내부압력 검지용 검지시스템의 설명도(트로틀 바디에 내장)이고;
도 7은 종래의 흡입통로 내부압력 검지용 검지시스템의 설명도(트로틀 바디와 분리)이다.
*도면의 주요부의 설명*
10, 60: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11, 61: 케이스 본체
13: 전측벽 14: 후측벽
16: 우측벽 18: 개구
20: 압력센서 21: 압력흡입관
23, 63: P. C. B.(인쇄배선회로기판) 27: 컨넥터 박스
31: 덮개 32b: 모서리부
38: 제1 압력통로 41: 제2 압력통로
42: 성형수지 주입구 47: 성형수지
본 발명은 제어장치 내부에 수용되는 P. C. B.(Printed circuit board)에 장착된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트로틀 바디의 흡입통로 내부의 압력을 검지하는 일 예에 대해서는 일본국 실용공개공보 소 3-122246호 "엔진의 흡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 압력센서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트로틀 바디(100)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101)를 도시하고 있다.
트로틀 바디(100)는 압력센서(102)를 포함한다. 압력센서(102)는 압력실(104)과 연결되는 압력흡입부(103)를 가진다. 압력실(104)은 압력통로(105)를 통하여 흡입통로(106)와 연결되어 있다. 압력센서(102)는 트로틀 밸브(107)의 하류의 압력을 검지한다. 전자제어장치(101)는 압력센서(102)에 의해 검지된 압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엔진(도시되지는 않음)의 작동변수를 제어한다. 트로틀 바디(100) 내에 전자제어장치를 내장함으로써 압력통로(105)가 트로틀 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전자제어장치(101)는 레이아웃의 제한 등으로 인해 트로틀 바디(100)의 근방에 배치될 수 없게 된다. 그에 대한 일 예는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도 7은 트로틀 바디(110)와 분리 배치되어 있는 전자제어장치(111)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제어장치(111)는 케이스(112)와 케이스(112)내에 설비된 P. C. B.(113)를 가진다. 압력센서(114)는 P. C. B.(113)상에 장착되어 있다. 압력센서(114)는 내압호스(105)를 통하여 호스접속부(116)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호스(117)는 케이스(112)의 전단부(112a, 도면의 오른쪽 끝부분)에 설비된 호스접속부(116)에 연결된다. 압력호스(117)는 {트로틀 밸브(118a)의 하류에서} 트로틀 바디(110)의 흡입통로(118)와 연결되어 있다. 하네스(120)는 케이스(112)의 후단부(112b, 도면의 왼쪽 끝부분)에 설비된 컨넥터(119)와 연결되어 있다. 전자제어장치(111)는 엔진을 제어하기 위해 배터리와 액추에이터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센서(114)는 트로틀 밸브(118a) 하류의 흡입통로(118) 압력을 검지한다. 압력센서(114)에 의해 검지된 압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장치(111)는 엔진의 작동변수와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그러나, 전자제어장치(111)의 압력센서(114)를 내압호스(115)를 통해 호스접속부(116)에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어 구성부품 수의 증가를 가져온다.
게다가, 내압호스(115)의 일단은 압력센서(114)에 연결해야 하고, 내압호스(115)의 타단은 호스접속부(116)에 연결해야 하므로, 전자제어장치(111)의 조립과 설치에 시간이 소비된다.
구성부품 수의 증가와 조립과 설치시의 시간소비는 전자제어장치(111)의 단가의 절감을 저해한다.
케이스(112)의 후단(112b)에 설비된 컨넥터(119)에 하네스(12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왼손으로 하네스(120)를 컨넥터(119)에 연결하는 동안에 오른손으로는 케이스(112)를 지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압력호스(117)를 케이스(112)의 전단(112a)에 설비된 호스접속부(116)에 연결하는 경우 오른손으로 압력호스(117)를 호스접속부(116)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12)를 왼손으로 넘겨야 한다.
하네스(120)를 연결한 후에, 압력호스(117)를 연결하기 위해 케이스(112)를 왼손으로부터 오른손으로 넘겨야 하므로 전자제어장치(111)의 조립과 설치에 시간이 소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센서를 내장하며, 간단하며 조립하기 쉬운 구조를 가지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가 제공되는데, 이는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 케이스 본체에 수용되는 P. C. B.; P. C. B.상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압력흡입관을 가지는 압력센서; 케이스 바디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압력흡입관은 덮 개 쪽으로 신장하며, 덮개는 압력흡입관이 거기에 끼워 맞춰지는 제1 압력통로와, 그리고 제1 압력통로로부터 외부로 신장하는 제2 압력통로와 일체로 설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 제어장치에서, 덮개를 케이스 본체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제1 압력통로가 압력흡입관에 끼워 맞추어지므로, 압력흡입관이 제1 압력통로를 통하여 제2 압력통로와 연결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종래 사용되던 접속호스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하므로, 구성부품 수가 감소되어 구조의 단순화와 이로 인한 단가의 절감을 가져온다. 또한, 이것은 접속호스로 제1 압력통로와 압력센서를 연결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주어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 제어장치에서 케이스 본체는 박스형태를 하고 있으며, 케이스 본체의 네 개의 측벽 중 하나에 설비된 컨넥터 박스와, 덮개에 형성된 제2 압력통로는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네스를 컨넥터 박스에 연결하는 작업과 압력호스를 제2 압력통로에 연결하는 작업은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장치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하네스를 컨넥터 박스에 연결하고 나서, 제어장치를 잡고 있는 손을 바꿀 필요 없이 압력호스를 제2 압력통로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어장치의 총 길이는 컨넥터 박스와 제2 압력통로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서 보다 더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장착공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며, 운반 시에 제어장치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압력센서는 컨넥터 박스의 근방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압력센서의 두께는 P. C. B.상의 다른 저항소자 등의 그것보다 더 크다. 컨넥터 박스 의 두께도 또한 일반적으로 P. C. B.상에 장착된 여러 제어회로부품의 그것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제어장치의 최대두께는 압력센서와 컨넥터 박스의 두께에 의해서 결정된다. 덮개와 일체로 성형된 제2 압력통로가 길어질수록, 덮개 성형상의 기술적 곤란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압력센서를 컨넥터 박스의 근방에 배치한다. 압력센서와 컨넥터 박스의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어장치의 최대두께는 오직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는 일 개소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로 인해 제어장치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압력센서가 컨넥터 박스의 근방에 배치되는 구조는 제1 압력통로가 압력센서 위에 위치하게 하며, 제1 압력통로와 연결되며 컨넥터 박스와 같은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2 압력통로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제2 압력통로의 직경을 감소시켜 덮개 성형상의 기술적 곤란을 감소시킨다. 더구나, 압력센서와 컨넥터 박스를 한꺼번에 배치하면, 제어장치의 내부를 하나의 큰공간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제어장치의 내부를 성형수지로 충진시킬 때 성형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 내부로 성형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는 압력센서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덮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비된다. 압력센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두께가 두꺼우므로 성형수지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염려를 제거하기 위해 압력센서는 모서리 부분에 설비되며, 성형수지의 주입구는 덮개의 다른 모서리부분 즉 압력센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에 설비된다. 이는 제어장치의 내부를 성형수지로 충진시킬 때 성형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도 3에서처럼 내부가 성형수지(47)로 충진된 제어장치(10)의 충진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장치(10)는 상자모양으로서 상부에 개구(18)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11)와 개구(18)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31)를 가진다. P. C. B.(23)는 케이스 본체(11)에 수용되어있다. 압력센서(20)와 주요부품인 CPU와 함께 여러 제어회로 구성부품(25)들이 P. C. B.(23)상에 장착되어 있다.
압력센서(20)는 압력흡입관(21)을 가진다. 압력흡입관(21)은 덮개(31) 쪽으로 신장한다. 보스(37)는 압력흡입관(21)과 대향하는 지점에서 덮개(31)의 내면(31a)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37)는 압력흡입관(21)을 수용하기 위해 제1 압력통로(38)에 형성되어 있다. 그 내부에 제2 압력통로(41)가 형성되는 압력관(40)은 보스(37)와 일체로서 형성되며 제어장치(10)의 외부로 신장한다. 제1 그리고 제2 압력통로(38, 41)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개구(18)가 덮개(31)에 의해 폐쇄되면 제1 압력통로(38)는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압력흡입관(21)상에 끼워 맞춰진다.
여러 연결터미널(28)을 포함하고 있는 컨넥터 박스(27)는 케이스 본체(11)의 네 측벽(13, 14, 15, 16)중 전측벽(13)에 부착된다. 컨넥터 박스(27)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이다.
케이스 본체(11)의 전측벽(13)은 전측벽과 좌측벽(13, 16) 사이의 모서리부(13a)의 근방에 설비되는 노치(19)를 가진다. 덮개(31)가 케이스 본체(11) 위에 놓여지면 압력관(40)은 노치(19) 안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노치(19)는 U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압력관(40)의 외부지름보다 약간 더 큰 폭을 가진다.
측벽(13, 14, 15, 16)들은 각각 그 내부에 설비된 단부를 가진다. 도 3은 그러한 단부(13b, 14b)들을 도시한다{좌측벽과 우측벽(15, 16)의 단부는 도시하지 않음}. P. C. B.(23)는 단부 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부공간(45)과 하부공간(46)이 그 사이에 놓여진 기판(23)에 의해 구분된다.
기저판(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13a)의 근방에서 아래로 신장하는 돌출부(12a)를 가진다. 돌출부(12a)가 설비됨에 따라 케이스 본체(11)의 하부공간(46)은 돌출부(12a)에 비례하여 확대된다. P. C. B.(23)의 이면에 장착된 압력센서(20)는 확대된 공간에 수용된다.
덮개(31)는 직각의 덮개판(32)을 가진다. 덮개판(32)은 덮개(31)가 케이스 본체(11)에 끼워 맞추어졌을 때, 덮개(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네 개의 측부에서 틀부(33, 34, 35, 36)와 계합하여 일체로 설비된다. 틀부(33, 34, 35, 36)는 케이스 본체(11)에 끼워져서 덮개(31)로 개구(18)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덮개(31)는 적소에 놓여서 케이스 본체(11)상에 장착된다.
보스(37)는 덮개판(32)의 전측틀부(33)와 좌측틀부(36)가 서로 교차하는 모서리부의 근방에서 덮개판(32)상에 설비된다. 보스(37)는 제1 압력통로(38)를 이루는 통로를 가진다. 보스(37)의 일단부(37a)에는 요홈(37b)이 설비된다. O-링은 요홈(37b)에 끼워 맞춰져 있다.
보스(37)와 압력관(4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압력통로(38)와 제2 압력통로(41)는 서로 연결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을 이룬다. 압력관(40)의 앞부분(40a)은 덮개(31)의 틀부(33)로부터 L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덮개판(32)에서 보스(37)로부터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모서리부(32a)에는, 도 3에 도시된 성형수지(47)를 제어장치(10)의 상부공간(45)에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42)가 설비된다. 따라서 모서리부(32a)에 설비된 성형수지 주입구(42)는 압력센서(20)와 그 센서(20) 위에 위치하는 보스(37)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장치(10)의 상부공간(45)이 성형수지(47)로 채워질 때, 보스(37)는 성형수지(47)의 흐름을 방해하지 아니한다. 상부공간(45)에서의 성형수지(47) 흐름이 양호하여,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공간(45)을 채우게 된다.
컨넥터 박스(27) 내부의 여러 연결터미널(28)은 전원에 연결되며, 압력센서(20)와 여러 종류의 다른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검지한 여러 제어회로부품들로부터의 제어신호들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엔진의 작동변수들은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압력센서(20)는 컨넥터 박스(27)의 근방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센서(20)는 P. C. B.(23)상에 장착된 어떤 부품보다 큰 두께(t1)를 가진다. 컨넥터 박스(27)도 어떤 제어회로부품보다도 더 큰 두께(t2)를 가진다. 따라서, 제어장치(10)의 최대두께는 압력센서(20)와 컨넥터 박스(27)의 두께에 의해서 결정된다.
제어장치(10)의 최대두께 결정부분인 압력센서(20)와 컨넥터 박스(27)를 케이스 본체(11)의 한 쪽에 배치하는 것은 전체 제어장치(10)의 두꺼운 부분을 일 개소에 배치하는 것이므로, 제어장치(10)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특히 제어장치(10)의 내부공간이 줄어들 수 있으며, 제어장치(10)의 경량 설계가 용이해진다.
압력센서(20)가 컨넥터 박스(27)의 근방에 배치되므로, 압력센서(20) 위에 위치하는 제1 압력통로(38)와 연결되는 제2 압력통로(41)를 가지는 압력관(40)은 압력센서(20)가 컨넥터 박스(27)에서 상대적으로 더 먼 곳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관(40)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그 직경이 작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관(40)이 거기에 일체로 성형되는 덮개(31)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결과적으로 덮개(31)의 단가를 절감시킨다.
게다가, 압력센서(20)와 컨넥터 박스(27)를 한곳에 배치하는 구조는 제어장치(10)의 상부공간(45)이 하나의 큰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즉, 만약 압력센서(20)가 컨넥터 박스(27)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된다면, 압력관(40)은 상부공간(45)을 가로질러 신장해야 하므로 상부공간(45)의 부피가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러한 구조는 제어장치(10)의 상부공간(45)을 충진하는 때에 성형수지(47)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제어장치의 평면도이다. 컨넥터 박스(27)는 케이스 본체(11)의 전측벽(13)에 부착되어 있다. 연결터미널(28)을 하네스(30) 에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29)가 컨넥터 박스(27)에 끼워져 있다. 결과적으로 P. C. B.(23)상에 장착된 여러 제어회로부품들은 하네스(30)에 연결된다. 압력호스(43)는 전측벽(13)에 일체로 형성된 압력관(40)에 연결된다.
컨넥터 박스(27)와 압력관(40)이 케이스 본체(11)의 전측벽(13)에 설비되어 같은 방향으로 신장하므로, 제어장치(10)의 전체 길이는 그 부품들(27, 40)이 각각 제어장치(10)의 반대측벽{전측벽(13)과 후측벽(14)}에 설비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짧아지게 되며, 또한 운반하는 경우에 있어 제어장치(10)의 취급이 용이해 진다. 나아가, 하네스(30)를 컨넥터 박스(27)에, 그리고 압력호스(43)를 압력관(40)에 각각 연결하는 동작이 제어장치(11)의 한쪽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 손으로는 제어장치(10)를 쥐고 다른 한 손으로 하네스(30)를 컨넥터 박스(27)에 연결한 후, 작업자는 컨넥터 박스(27)를 쥐고 있는 손을 바꾸지 않고도 압력호스(43)를 압력관(40)에 연결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장치(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에서, P. C. B.(23)의 이면(23a)상에 압력센서(20)를 장착함에 의해, 압력흡입관(21)은 기판(23)에 설비된 삽입홀(24)로부터 기판(23)의 표면(23b) 방향으로 돌출하여 덮개(31) 쪽으로 신장한다. 덮개(31)가 케이스 본체(11)상에 끼워 맞춰지면, 덮개(31)의 제1 압력통로(38) 역시 압력흡입관(21)에 끼워 맞춰진다. 보스(37)에 설비된 O-링은 제1 압력통로(38)와 압력흡입관(21) 사이의 간격을 막아준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압력센서(20)의 압력흡입관(21)과 제1 압력통로(38)의 연결을 위해 종래 사용되던 연결호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부품 수의 감소는 연결호스 연결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조립과 단가의 절감을 용이하게 한다.
케이스 본체(11)의 기저판(12)과 P. C. B.(23)에 의해서 한정되는 하부공간(46)은 성형수지(47)에 의해서 충진된다. P. C. B.(23)와 덮개(31)에 의해서 한정되는 상부공간(45)을 성형수지(47)로 충진시키는 것은 방수성과 방진성의 향상을 가져온다.
제어장치(10)는 케이스 본체(11)의 기저판(12)을 따라 설비되어 압력센서(20)를 커버하기 위한 전자기 쉴드판(49)을 가진다. 따라서, 전자기 쉴드판(49)에 의해 커버된 압력센서(20)와 P. C. B.(23)상의 다른 구성부품들은 제어장치(10) 외부에서 생성된 전자기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제어장치(10)에서 압력호스(43)는 압력관(40)에 연결되어 압력센서(20)의 압력흡입관(21)이 엔진의 흡입통로(50)의 내부{나비밸브(51)의 하류부분}와 연결되게 한다. 따라서, 압력센서(20)는 흡입통로(50) 내부에서 나비밸브(51)의 하류부분의 흡입압력을 검지한다. 흡입통로(50)내부의 화살표는 공기흐름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로서, 압력센서(20)를 내장한 제어장치(10)의 조립과정이 도 4a부터 4b까지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4a에서, 압력센서(20)가 그 위에 장착된 P. C. B.(23)가 케이스 본체(11)의 개구(18)로부터 본체(11)로 삽입되고, 전측벽(13)과 후측벽(14)의 단부(13b, 14b) 위에 장착된다. 그리고 나서 덮개(31)가 도시된 화살표 ①의 방향으로 케이스 본체(11)의 개구(18) 위에 놓여진다.
도 4b에서, 덮개(31)가 케이스 본체(11)의 개구(18) 위에 놓여짐에 따라 압 력센서(20)의 압력흡입관(21)은 덮개(31)의 제1 압력통로(38) 안에 끼워 맞춰진다. 이어서, 성형수지(47)는 도시된 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성형수지 주입구(42)를 통해 상부공간(45)으로 주입되어 그 공간(45)을 충진시킨다. 성형수지(47)는 케이스 본체(11)와 P. C. B.(23) 사이의 간격을 통해 케이스 본체(11)의 하부공간(46)으로 흘러 들어가 그 공간(46)을 충진시킨다.
그후에 한 손, 예를 들어 왼손으로는 제어장치(10)를 쥐고, 다른 손 즉 오른손으로는 플러그를 쥐고서 화살표 ③으로 도시된 것처럼 컨넥터 박스(27)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컨넥터 박스(27)와 하네스(30)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c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어장치(10)는 여전히 왼손으로 쥐고, 오른손으로는 압력호스(43)를 쥐고서 압력관(40)에 연결한다. 컨넥터 박스(27)와 압력관(40)이 제어장치(10)의 같은 쪽에 설비되어 같은 방향으로 신장하므로, 작업자는 제어장치(10)를 왼손으로 쥐고있는 상태에서 하네스(30)와 그리고 압력호스(43)와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작업 중에 제어장치를 쥐고 있는 손을 바꿀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제어장치(10)의 차량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기를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제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부품과 동일한 구성부품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6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10)와 다음과 같은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60)에서는 압력센서(20)가 P. C. B.(63)의 표면(63a)에 장착되며, 기판(63)은 케이스 본체(61)의 기저면(62)에 배치된다는 점이다. 다른 구성부품들은 제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장치(10)에서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
케이스 본체(61)의 기저면(62)에 P. C. B.(63)를 배치함에 따라, 케이스 본체(61) 내부에는 하나의 공간이 생긴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1) 내부의 공간은 제1 실시형태(도 3)에서와는 달리 상부와 하부공간(45, 46)으로 나누어지지 아니한다. 이것은 성형수지(47)의 충진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성형수지 주입구(42)는, 압력센서(20)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되게 하기 위해 덮개(32)의 후단 우측 모서리부(32a)에 설비된다. 따라서, 성형수지(47)가 제어장치(61)의 내부공간(65)에 주입될 때, 압력센서(20)와 보스(37)는 성형수지(47)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성형수지는 용이하게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장치(61)의 내부공간을 성형수지(47)로 충진시키는데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에서 개구(18)는 케이스 본체(11, 61)의 표면에 설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하지만, 개구는 케이스 본체(11, 61)의 기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31)에 성형수지 주입구(42)를 만들고, 성형수지 주입구(42)에 대향하는 P. C. B.(23, 63)에 성형수지통로를 설비하면, 성형수지는 케이스 본체(11)의 하부공간(46)으로부터 상부공간(45)으로 또는 케이스 본체(61)의 기저면으로부터 내부공간(65)으로 용이하게 흐르게 된다.
또한, 제어장치(10, 60)는 일정 용적을 가지는 입방체임으로 직육면체일 것이 일반적이나, 어떠한 형태로 할지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 제어장치에서는 제1 압력통로가 압력흡입관에 끼워 맞추어지므로, 압력흡입관이 제1 압력통로를 통하여 제2 압력통로와 연결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종래 사용되던 접속호스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하므로, 구성부품 수가 감소되어 구조의 단순화와 이로 인한 단가의 절감을 가져온다.
또한 컨넥터 박스와 제2 압력통로가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하네스를 컨넥터 박스에 연결하는 작업과 압력호스를 제2 압력통로에 연결하는 작업은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조립이 간단하다.
나아가 압력센서는 모서리 부분에 설비되며, 성형수지의 주입구는 덮개의 다른 모서리 부분 즉 압력센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에 설비되어 제어장치의 내부를 성형수지로 충진시킬 때 성형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장점을 가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10,60)로서: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 본체(11,61);
    상기 케이스 본체에 수용되는 P. C. B.(23,63);
    상기 P. C. B.상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압력흡입관(21)을 가지는 압력센서(20);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덮개(31)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흡입관은 상기 덮개 쪽으로 신장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압력흡입관이 거기에 끼워 맞춰지는 제1 압력통로와, 그리고 상기 제1 압력통로로부터 외부로 신장하는 제2 압력통로와 일체로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1, 61)는 박스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네 측벽(13, 14, 15, 16)중의 하나에 설비된 컨넥터 박스(27)와, 상기 덮개(31)에 형성된 상기 제2 압력통로(41)가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20)는 상기 컨넥터 박스(27)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수지(47)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42)가 상기 압력센서(2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덮개(31)의 모서리부에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KR1020020016734A 2001-03-29 2002-03-27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KR100777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97161 2001-03-29
JP2001097161A JP4801274B2 (ja) 2001-03-29 2001-03-29 圧力センサを内蔵した制御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147A KR20020077147A (ko) 2002-10-11
KR100777758B1 true KR100777758B1 (ko) 2007-11-19

Family

ID=1895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734A KR100777758B1 (ko) 2001-03-29 2002-03-27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90777B2 (ko)
JP (1) JP4801274B2 (ko)
KR (1) KR100777758B1 (ko)
CN (1) CN1311150C (ko)
ES (1) ES2189700B1 (ko)
IT (1) ITTO20020280A1 (ko)
TW (1) TWI2273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9568B2 (en) * 2002-01-24 2005-05-10 Sensarray Corporation Process condition sensing wafer and data analysis system
US7757574B2 (en) * 2002-01-24 2010-07-20 Kla-Tencor Corporation Process condition sensing wafer and data analysis system
CN1323466C (zh) * 2002-02-02 2007-06-27 沃尔夫冈·B·特尔纳 极端子
US7186131B2 (en) * 2003-03-19 2007-03-06 Kulite Semiconductor Products, Inc. Vibration isolated transducer connector
JP2004309212A (ja) * 2003-04-03 2004-11-04 Denso Corp 圧力センサ及び吸気系圧力測定装置
CN100408380C (zh) * 2003-08-01 2008-08-06 西门子公司 电子单元以及用于制造电子单元的方法
US7275445B2 (en) * 2003-08-11 2007-10-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dular pressure sensor drive connectable to a computer
JP4161860B2 (ja) * 2003-09-12 2008-10-08 国産電機株式会社 モールド形電子制御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AT412815B (de) * 2003-11-24 2005-07-25 Siemens Ag Oesterreich Steuergerät für ein getriebe in einem kraftfahrzeug
US7044785B2 (en) * 2004-01-16 2006-05-16 Andrew Corporation Connector and coaxial cable with outer conductor cylindrical section axial compression connection
US7430124B2 (en) * 2004-03-12 2008-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using having a cable condui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322752B2 (ja) * 2004-08-03 2009-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JP4478007B2 (ja) * 2004-12-16 2010-06-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604361B2 (en) * 2005-12-13 2013-12-10 Kla-Tencor Corporation Component package for maintaining safe operating temperature of components
JP5078064B2 (ja) * 2007-01-29 2012-11-21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触覚センサ、劣化検出方法、および表面再生方法
US7458274B2 (en) * 2007-02-20 2008-12-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essure sensor incorporating a compliant pin
JP5023792B2 (ja) * 2007-04-26 2012-09-12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圧力センサ装置
JP5098772B2 (ja) * 2007-06-29 2012-1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装品ユニット
DE102007032594B4 (de) * 2007-07-12 2009-04-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uervorrichtung
EP2051298B1 (en) * 2007-10-18 2012-09-19 Sencio B.V. Integrated Circuit Package
CN201142464Y (zh) * 2007-11-21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20090194831A1 (en) * 2008-02-01 2009-08-06 Custom Sensors &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avity in pcb pressure sensor
JP5449249B2 (ja) * 2011-04-26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US8681493B2 (en) 2011-05-10 2014-03-25 Kla-Tencor Corporation Heat shield module for substrate-like metrology device
JP5384569B2 (ja) * 2011-07-07 2014-01-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US9377035B2 (en) * 2011-09-01 2016-06-28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Wireless pneumatic controller
JP6502769B2 (ja) * 2015-07-02 2019-04-17 旭サナック株式会社 圧力検出器
CN106102399A (zh) * 2016-08-22 2016-11-09 华景传感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真空泵电子控制器的密封结构
US10119869B1 (en) * 2017-12-21 2018-11-06 Tactotek Oy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ain gauge device, a strain gauge device, and the use of the device
USD867291S1 (en) * 2018-07-09 2019-11-19 Brava Home, Inc. Temperature sensor connector
JP7073443B2 (ja) * 2020-05-26 2022-05-23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ケース内回路基板への端子接続構造
FR3120701B1 (fr) * 2021-03-11 2024-01-19 Cedric Milharo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boîtier électronique à capteur de fluide et boîtier électronique obtenu.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036A (ja) * 1990-08-22 1992-04-03 Oki Electric Ind Co Ltd 圧力センサの製造方法
JPH08314544A (ja) * 1995-05-16 1996-11-29 Fuji Koki Seisakusho:Kk 圧力制御装置
JPH09138175A (ja) * 1995-11-14 1997-05-27 Omron Corp 圧力セン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力測定装置
JPH11159367A (ja) * 1997-11-28 1999-06-15 Nippon Soken Inc 吸気管内圧力伝達用通路
JPH11183292A (ja) * 1997-12-18 1999-07-09 Techno Excel Co Ltd 圧力センサ搭載の印刷配線基板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341U (ja) * 1982-01-06 1983-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ハウジング構造
DE3865944D1 (de) * 1987-09-24 1991-12-05 Siemens Ag Druckwandler mit einer schaltungsplatine, insbesondere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s.
FI81911C (fi) * 1987-12-07 1990-12-10 Vaisala Oy Trycksaendare.
JPH03122246A (ja) 1989-10-06 1991-05-24 Furukawa Alum Co Ltd 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溶接用高力アルミニウム合金
US5257547A (en) * 1991-11-26 1993-11-02 Honeywell Inc. Amplified pressure transducer
JP3009971B2 (ja) * 1992-07-31 2000-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力センサ
US5341684A (en) * 1992-12-07 1994-08-30 Motorola, Inc. Pressure sensor built into a cable connector
JPH07318579A (ja) * 1994-05-27 1995-12-08 Tokai Rika Co Ltd 加速度センサ
US5969259A (en) * 1995-04-07 1999-10-19 Sensym, Inc. Side port package for micromachined fluid sensor
CN2241875Y (zh) * 1995-11-20 1996-12-04 上海铁道大学 霍尔型土壤压力传感器
DE19544974C1 (de) * 1995-12-01 1997-05-22 Siemens Ag Steuergerät, insbesondere zur Auslösung eines Rückhaltemittels in einem Fahrzeug
JP3482583B2 (ja) * 1996-04-30 2003-12-22 株式会社ケーヒン 圧力検知機の防水構造
DE19707503B4 (de) * 1997-02-25 2007-01-04 Infineon Technologies Ag Drucksenso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H1172400A (ja) * 1997-08-28 1999-03-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圧力検知装置
JPH11118640A (ja) * 1997-10-15 199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圧力センサ
US6076409A (en) * 1997-12-22 2000-06-20 Rosemount Aerospace, Inc. Media compatible packages for pressure sensing devices
US5942691A (en) * 1998-07-22 1999-08-24 Delco Electronics Corp. Differential pressure transducer assembly
JP2000162067A (ja) * 1998-11-25 2000-06-16 Nippon Seiki Co Ltd 圧力検出器
US6016102A (en) * 1999-01-29 2000-01-18 Eaton Corporation Pressure sensor housing
JP2000277930A (ja) * 1999-03-26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機器の樹脂充填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036A (ja) * 1990-08-22 1992-04-03 Oki Electric Ind Co Ltd 圧力センサの製造方法
JPH08314544A (ja) * 1995-05-16 1996-11-29 Fuji Koki Seisakusho:Kk 圧力制御装置
JPH09138175A (ja) * 1995-11-14 1997-05-27 Omron Corp 圧力セン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力測定装置
JPH11159367A (ja) * 1997-11-28 1999-06-15 Nippon Soken Inc 吸気管内圧力伝達用通路
JPH11183292A (ja) * 1997-12-18 1999-07-09 Techno Excel Co Ltd 圧力センサ搭載の印刷配線基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96134A (ja) 2002-10-09
US6590777B2 (en) 2003-07-08
KR20020077147A (ko) 2002-10-11
ES2189700B1 (es) 2004-10-16
JP4801274B2 (ja) 2011-10-26
CN1379229A (zh) 2002-11-13
ITTO20020280A1 (it) 2003-09-29
CN1311150C (zh) 2007-04-18
ES2189700A1 (es) 2003-07-01
ITTO20020280A0 (it) 2002-03-28
US20020154466A1 (en) 2002-10-24
TWI227301B (en) 200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758B1 (ko) 압력센서를 내장한 제어장치
US20110062775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ssembling method,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 apparatus
US6865938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mass of air flowing inside a line
KR20020032632A (ko) 통합식 엔진 컨트롤 센서
US6189379B1 (en) Thermal type air flow measuring instru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734939B2 (ja) 熱式流量計
JP7074928B2 (ja) 物理量検出装置
CN112334740B (zh) 物理量检测装置
US11112287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ement device
JP4848033B2 (ja) 電子制御ユニットの組付方法、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US20010045206A1 (en) Air/fuel module with integrated components and electronics
EP1422404B1 (en) Engine suction rate controller
EP1804037A2 (en) System with thermal type air flow measuring instru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609969B1 (en) Structure of provid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motor vehicle and structure of attaching heat-generating component of throttle body
EP1722094A2 (en) Air intake module for engines
JP2001234761A (ja) 内燃機関用モジュール及び吸気装置
JP2003074378A (ja) エンジンの吸気量制御装置
JP2004028797A (ja) 圧力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57473A (ja) 車両用電子制御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4028417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の配置構造
JP2004285898A (ja) スロットルボディの電気部品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US11307072B2 (en) Physical quantity detection device
JP2005188408A (ja) スロットル装置
KR102006850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커버 어셈블리
JP2002188535A (ja) エアクリー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