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348B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348B1
KR100768348B1 KR1020037007046A KR20037007046A KR100768348B1 KR 100768348 B1 KR100768348 B1 KR 100768348B1 KR 1020037007046 A KR1020037007046 A KR 1020037007046A KR 20037007046 A KR20037007046 A KR 20037007046A KR 100768348 B1 KR100768348 B1 KR 10076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ed
needle
sinker
tip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526A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이코마겐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6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니들베드(5, 6) 상에 형성되는 니들 홈(13)에 진퇴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바늘(15)과, 각 바늘(15, 15) 사이에 설치되어 스티치 형성에 대하여 작동하는 싱커(41, 123)와, 니들베드 첨단부(53, 121)를 구비하는 니들베드의 적어도 한 쌍을 니들베드 갭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하는 횡편기(1)에 있어서, 상기 싱커(41, 123)와 니들베드 첨단부(53, 121)의 쌍방을 니들베드에 대하여 바늘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조작 수단(60, 151)으로 이들 싱커(41, 123)와 니들베드 첨단부(53, 121)의 쌍방을 진퇴 조작하여 전후 니들베드(5, 6)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절한다.

Description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전후(前後) 니들베드(needle bed) 사이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 간격의 넓이를 조정할 수 있는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에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가 니들베드 갭 간격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두부(頭部)를 서로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니들베드 상에는 다수의 바늘과 싱커(sinker)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후로 대치(對峙)하는 니들베드의 첨단부(尖端部)나 싱커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하 니들베드 갭 간격이라고 한다)의 치수는, 편성기(knitting machine)의 게이지(gauge)나 훅 사이즈(hook size)에 의하여 결정되어 있고, 일부의 횡편기에서는 이 니들베드 갭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이 첨단부는 피아노선(piano wire)으로 형성되거나 니들베드 기판(needle bed 基板) 그 자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니들베드의 양단(兩端)에 니들베드 갭 치수 조정용의 녹 핀(knock-pin)을 삽입하기 위한 녹 구멍(knock-in hole)이 복수(複數)로 형성되어 있어 니들베드에 장착되는 바늘의 훅 사이즈(L, M, S)에 따라 본체 베드에 형성된 녹 구멍에 대한 녹 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니들베드의 본체 베드에 대한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싱커 및 니들베드 첨단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넓히거나 좁힐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7게이지의 편성기로 6게이지나 8게이지 텍스쳐(texture)의 편성포(knitted fabric)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편성포를 편성하는 중에 니들베드를 통상의 편성(니트(knit)나 코이동(loop transfer))을 하는 진출 위치로부터 후방(後方)으로 퇴피(退避)시킨 상태로 하고, 이 사이에 필요한 편성 조작을 하고, 그 후에 퇴피 상태에 있는 니들베드를 원래의 진출 위치로 복귀시키는 니들베드의 퇴피 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서 날실 삽입 기구(warp yarn insertion mechanism)를 구비하는 횡편기가 있다. 이것은 씨실(welt yarn)을 사용하여 편성포가 편성되는 사이에는 전후 니들베드가 진출 위치에 세트(set)되어 있고, 레이스 바(lace bar)라고 불리는 날실 삽입용의 급사 장치(給絲 裝置)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레이스 바의 하위에 있는 니들베드가 레이스 바의 요동(搖動)을 수반하는 래핑(lapping) 동작을 할 때에 레이스 바를 간섭하지 않도록 하방으로 퇴피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고특허공보 특공소51-42225호의 도1에 나타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편성된 보더(border) 등의 편성포를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니들베드의 하위에 설치되는 코이동 바(loop transfer bar) 상의 포인트 바늘(point needle)로 코이동하는 토핑 편성기(topping knitting machine)라고 불리는 편성기의 경우에도 니들베드의 하방으로부터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승강(進退昇降)하는 코이동 부재(loop transfer member)와 니들베드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니들베드의 퇴피 기구가 설치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46-973호의 도14, 도15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 모든 것도 중량이 큰 니들베드 전체를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변경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조정에는 큰 파워가 필요하여 일본국 공고특허공보 특공소51-42225호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46-973호에서는 대규모의 구동 기구가 편성기에 구비되어 있다. 니들베드에 장착되는 바늘의 훅 사이즈(L, M, S)에 따라 본체 베드에 형성된 녹 구멍에 대한 녹 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와 같은 구동 기구는 필요하지 않지만 작업자에게 그 변경 작업은 막대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은 큰 파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편성포를 편성하는 중에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니들베드(needle bed) 상에 형성되는 니들 홈(needle groove)에 진퇴(進退)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바늘과, 각 바늘 사이에 설치되어 스티치(stitch) 형성에 대하여 작동하는 싱커(sinker)와, 니들베드 첨단부(尖端部)를 구비하는 니들베드의 적어도 한 쌍을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하는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에 있어서, 상기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의 쌍방(雙方)을 니들베드에 대하여 바늘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이들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의 쌍방을 진퇴 조작하여 전후(前後)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조작 수단은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의 쌍방을 동시에 일괄(一括)하여 진퇴 조작한다.
이에 의하면 니들베드의 선단부(先端部)에 형성되어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작동하는 싱커나 싱커와 함께 전후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에 면(面)하는 니들베드 첨단부가 동시에 니들베드 상에서 니들베드 갭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싱커나 니들베드 첨단부의 위치를 니들베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니들베드 갭의 치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싱커를, 니들베드 선단으로부터 니들베드 이면측(裏面側)에 형성되는 싱커 홈(sinker groove) 내에서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하고, 니들베드 첨단부를, 싱커의 앞쪽 가장자리 근방의 바늘의 진퇴궤적(進退軌跡) 하방에 바늘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 구멍에 관통시키는 편사 결합 선재(yarn retaining wire rod)로 구성하고, 싱커의 니들베드 이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피조작부(被操作部)를 조작 수단으로 진퇴 조작함으로써 싱커 및 편사 결합 선재를 진퇴 조작하여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한다.
또한 각 싱커의 피조작부의 전부(全部)에 대하여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조작부를 설치하고 니들베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부재(slide member)에 의하여 각 싱커를 진퇴 조작한다.
또한 상기 싱커에 형성되는 피조작부는, 니들베드 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진퇴 제어용의 버트(butt)로 구성하고,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캠 홈(slotting cam)에서 캠 결합시켜 싱커를 진퇴 조작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면 니들베드의 스티치에 결합하는 첨단부가 선재로 구성되고, 이는 싱커에 형성된 삽입 구멍을 관통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싱커의 니들베드 이면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에 싱커를 진퇴 조작하는 조작 수단과 결합하는 피조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피조작부가 조작 수단에 의하여 진퇴 이동되면 싱커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선재도 진퇴하여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가 조정된다. 또한 니들베드의 이면측에 피조작부를 배치시켜 이를 조작 수단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의 상면측에 배치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배치 스페이스(configuration space)를 확보하기가 쉽다.
또한 나란하게 설치되는 모든 싱커의 각 피조작부는 각 싱커의 피조작부의 전부에 대하여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조작부를 설치하고 니들베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된 조작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를 진퇴 조작함으로써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싱커의 버트는 슬라이드 부재가 진퇴 이동함으로써 캠 홈에 의하여 캠 결합되어 진퇴 조작된다.
또한 상기 니들베드는, 니들베드 본체부와 상기 니들베드 본체부의 전방(前方)에서 니들베드 본체부에 대하여 바늘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니들베드 선단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니들베드 선단부에 싱커 및 니들베드 첨단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니들베드 선단부가 조작 수단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어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가 조정된다.
또한 니들베드 선단부는 니들베드 본체부 상에 진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이에 의하면 싱커 및 니들베드 첨단부를 형성하는 니들베드의 선단 부분이 별체(別體)로 형성되어 있어 니들베드 상에 바늘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그리고 니들베드 선단부가 조작 수단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어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가 조정된다.
또한 상기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가 전후 니들베드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전후 니들베드에 있어서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를 각각 진퇴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의 조정폭(調整幅)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니들베드의 진퇴량을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L, M, S와 같은 훅 사이즈(hook size)의 변경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편성 소재나 편성 조직 등의 편성 조건에 따라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미묘하게 바꾸어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횡편기의 니들베드 부분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는 일방의 니들베드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니들베드의 선두측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4는 니들베드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니들베드 선단측의 평면도이다.
도6은 니들베드 선단측을 니들베드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7은 니들베드 이면측으로부터 본 싱커를 진퇴 조작하는 싱커 조작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의 도8a는 도7의 선Ⅷ-Ⅷ에 대한 싱커 조작 수단과 싱커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니들베드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싱커41을 진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8b는 도8a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싱커를 후퇴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횡편기의 니들베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니들베드 기판을 구성하는 본체부와 선단부를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니들베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예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의 횡편기1은, 다수의 바늘과 싱커(sinker)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전후(前後) 니들베드(needle bed)를 역(逆)V자 모양으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도1은 횡편기의 니들베드 부분의 개략을 나타내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뒤쪽 니들베드의 단면도(후술하는 조작 수단을 생략한다)를 나타내고, 도3은 도2에 나타내는 니들베드의 선두측(先頭側) 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4는 니들베드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후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 간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진출,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후퇴라고 표현한다. 또한 횡편기의 각 부를 설명할 때에 니들베드 갭에 면(面)하는 부위를 앞, 그 반대의 부위를 뒤라고 표현한다.
앞쪽 니들베드5와 뒤쪽 니들베드6은 본체 베드3 상에 재치(載置)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17의 치수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가 뒤쪽 니들베드6측에만 설치되어 있고, 앞쪽 니들베드5는 종래 구조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뒤쪽 니들베드6에 대하여 설명한다. 뒤쪽 니들베드6은, 니들베드 기판(needle bed 基板)7의 상면(上面)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니들 플레이트 홈(needle plate groove)9, 9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11을 삽입하고,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11, 11 사이에 니들 홈(needle groove)13을 형성하고, 이 니들 홈13 내에서 바늘15를 니들베드 갭 간격17측을 향하여 진퇴 이동하도록 지 지한다. 니들 플레이트11은, 그 선단측(先端側)에 형성한 오목부19를 니들베드 기판7의 오목부8에 와이어21로 각 홈9와 직교하여 관통시킴으로써 홈 내에서 위치가 결정됨과 아울러 후단측(後端側)을 코킹(calking) 등으로 하여 니들베드 기판7에 고정한다. 니들 홈13에는 선단(先端)에 훅(hook)16을 구비하고 래치(latch)18의 회전에 의하여 훅16을 개폐하는 래치 니들(latch needle)15가 수용되지만, 슬라이더(slider)에 의하여 훅을 개폐하는 복합 바늘 등 다른 형식의 바늘이더라도 좋다. 바늘15는 니들 플레이트11 상면에 니들 홈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홈14를 관통하는 누름판12에 의하여 니들 홈13 내에 지지된다.
바늘15는 그 후방부(後方部)에 형성되는 오목부23에 잭(jack)25 선단의 볼록부27을 결합함으로써 잭25와 일체(一體)가 된다. 잭25는 진퇴 제어용의 버트(butt)28, 29를 니들베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캐리지(carriage)31 상에 설치되는 캠(cam)32와 결합하여 진퇴 조작됨으로써 바늘15는 니들베드 갭 간격17에 대하여 진퇴 이동한다. 잭25는 니들 홈의 저부(底部)로 연장되는 탄성 다리부(elastic leg)33을 형성하고, 버트28, 29를 니들 홈의 외부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한 와이어35에 의하여 니들 홈 내에 지지된다.
니들베드 기판7의 니들베드 갭 간격17에 면(面)하는 선두측에는 상기 니들 플레이트 장착용의 홈9와 연결됨과 아울러 니들베드 기판의 하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니들 플레이트 홈과 홈의 폭이 동일한 싱커 홈(sinker groove)37이 동일한 피치(pitch)로 형성되고, 이 싱커 홈37 내에 싱커41이 수용된다. 니들베드 기판7의 선단 부분을 일부 절제하여 바늘15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도록 홈34를 형성하고, 이 홈 내에 와이어51을 가로로 놓는다. 이 와이어5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싱커41은 개략 L자형 모양을 한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고, 앞쪽 가장자리에는 스티치(stitch)를 형성할 때에 스티치의 싱커 루프(sinker loop)를 결합하는 스티치 형성 엣지(stitch forming edge)43이 형성된다. 스티치 형성 엣지43의 바로 후방에는 피아노선(piano wire) 등의 편사 결합용의 금속제 선재(metal wire rod)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44가 형성된다. 이 삽입 구멍44는 바늘의 진퇴궤적(進退軌跡)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각 싱커41의 삽입 구멍44에 피아노선53을 삽입한다. 피아노선53의 니들베드 갭 간격에 면하는 전면(前面) 부분은 니들베드 첨단부(尖端部)가 되고,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첨단부의 가장자리에서 올드 루프(old loop)를 바늘로부터 녹 오버(knock over)시킨다. 이 니들베드의 첨단부는 속칭 "버지"(Verge)라고 불린다.
이 싱커41에는 2개의 삽입 구멍44a, 44b가 형성되어 있고, 피아노선을 삽입하는 구멍을 적당하게 교체하여 올드 루프의 녹 오버 타이밍을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44보다 더 후방측에는, 싱커가 자유롭게 진퇴하도록 니들베드 기판 상에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상기 와이어51을 삽입하는 긴 구멍(slot)45가 형성된다.
싱커41의 플레이트 부재의 두께는, 선단부46이 얇게 형성되고, 니들베드 선단측에서 바늘의 측면(側面)을 지지하는 긴 구멍 형성부 주변47은 니들 플레이트11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긴 구멍 형성부 주변47로부터 싱커의 L자 굴곡부48에 걸친 장소42는 일측면(一側面)이 깎인 얇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L자 굴곡부48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부49는 긴 구멍 형성부 주변47과 동일한 두께로 되어 있다. 장소42에 형성되는 공간부(空間部)는, 비산(飛散)한 섬유 찌꺼기 등이 싱커 홈 내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고 니들베드의 하방으로 털어 버리기 위한 것이다.
싱커41의 후방부49에는 피조작부(被操作部)로서 니들베드 기판7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어 버트(control butt)50이 형성된다. 싱커41은, 전방측에 있어서 긴 구멍45에 와이어51을 관통시킴과 아울러 후방측에 있어서 니들베드 기판7의 하면에서 싱커 홈3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55를 관통하는 누름판57에 의하여 니들베드 기판7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싱커41은 이들 와이어51과 누름판57에 의하여 니들베드 상에서 니들베드 갭17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된다.
도5는 니들베드 선단측의 평면도이고, 도6은 니들베드 선단측을 니들베드 하방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싱커41과 피아노선53은 후술하는 조작 수단에 의하여 일괄하여 진퇴 조작되지만, 도면에서는 진퇴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 정도가 니들베드 갭 간격을 좁힌 상태, 나머지 반 정도가 니들베드 갭 간격을 넓힌 상태를 각각 나타냄과 아울러 조작 수단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싱커41과 피아노선53을 진퇴 조작하는 조작 수단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뒤쪽 니들베드6을 하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니들베드 이면(裏面)에는, 나란하게 설치되는 싱커 홈37의 열(列)과 직교하여 니들베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니들베드 갭 간격17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1슬라이드 바(first slide bar)61과, 이 제1슬라이드 바61과 니들베드6 사이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슬라이드 바(second slide bar)71이 부착 부재(mounting member)81, 82, 83, 84에 의하여 니들베드 이면에 슬라이딩(sliding)하도록 부착된다.
제1슬라이드 바61에는, 니들베드 이면과 대치(對峙)하는 전방측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 홈(slotting cam)63이 형성되어 있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싱커41의 각각의 제어 버트50이 이 캠 홈63 내로 돌출한다. 제1슬라이드 바61의 상기 캠 홈63의 후방측에는 제2슬라이드 바71을 수용하는 수용부6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65에 캠 종동부(cam follower)66a, 66b가 니들베드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제2슬라이드 바71에는, 상기 제1슬라이드 바61의 캠 종동부66a, 66b를 수용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 바61을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 조작시키기 위한 홈 캠73a, 73b가 상기 캠 종동부66a, 66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슬라이드 바71의 일방(一方)의 단부(端部)에는 래크(rack)75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 모터(drive motor)85의 모터 축(motor shaft)86에 축지(軸支)된 피 니언(pinion)87이 나사결합한다. 구동 모터85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부착 부재를 통하여 본체 베드3의 적당한 장소에 고정된다.
구동 모터85가 정회전(正回轉) 또는 역회전(逆回轉) 구동함으로써 제2슬라이드 바71이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홈 캠73a, 73b 내에서 캠 종동부66a, 66b가 경사부67a, 67b를 넘어 상하의 평탄부(平坦部)68a, 68b, 69a, 69b를 지나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슬라이드 바61이 진출 또는 후퇴된다. 제1슬라이드 바61이 진퇴 이동함으로써 캠 홈63 내에 있는 싱커41의 제어 버트50이 일괄하여 진퇴 이동되어 스티치에 작용하는 싱커의 스티치 형성 엣지43 및 피아노선53이 동시에 진퇴 이동된다. 도8의 도8a는 도7의 선Ⅷ-Ⅷ에 대한 싱커 조작 수단과 싱커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니들베드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싱커41을 진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8b는 도8a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싱커를 후퇴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뒤쪽 니들베드를 래킹(racking) 구동이 가능한 니들베드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진폭(振幅)의 원하는 범위까지 제1슬라이드 바61의 싱커41의 제어 버트50과 결합하는 캠 홈63을 형성함으로써 뒤쪽 니들베드가 래킹한 상태에서도 래킹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싱커41을 진퇴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횡편기1의 뒤쪽 니들베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횡편기1에서는 싱커41 및 피아노선53을 진출시킨 상태에서 니트(knit)나 코이동(loop transfer) 등의 통상의 편성을 함으로써 편성포를 편성한다. 그리고 싱커41 및 피아노선53을 상기 진출 위치로부터 후퇴시켰을 때에는, 도7에 있어서 싱커 구동 수단60의 구동 모터85가 우회전되어 래크 피니언(rack-and-pinion)에 의하여 제2슬라이드 바71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캠 종동부66a, 66b가 홈 캠73a, 73b 내의 상부의 평탄부69a, 69b로부터 하부의 평탄부68a, 68b로 안내되어 제1슬라이드 바61을 후퇴시킨다. 그 결과 싱커41과 피아노선53이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하기 때문에 니들베드 갭 간격17의 넓이는 보통 편성할 때와 비교하여 넓어진다.
그리고 싱커41과 피아노선53이 후퇴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이에 필요한 편성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때에 이루어지는 편성 동작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편성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토핑 편성기(topping knitting machine)의 니들베드의 퇴피(退避)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 사이에 편성된 보더(border)를 니들베드의 바늘로부터 니들베드의 하위에 설치한 코이동 바 상의 포인트 바늘(point needle)로 코이동하기 위하여 니들베드 하방으로부터 코이동 부재가 니들베드 갭 간격에 대하여 진출하여 스티치를 받은 후에 코이동 부재가 하강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등의 필요한 편성 동작을 하고, 그 후에 구동 모터85가 좌회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2슬라이드 바71을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슬라이드 바61을 진출시켜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 편성포의 편성을 속행한 다.
이렇게 종래의 횡편기와 같이 니들베드 전체를 진퇴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니들베드 갭 부근에 설치되는 적어도 싱커나 니들베드 첨단부 등의 니들베드를 구성하는 일부의 구성 요소만을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적은 구동력으로 충분하여 조작 수단을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뒤쪽 니들베드의 싱커와 피아노선을 진퇴 조작하여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하도록 하였지만, 앞쪽 니들베드를 뒤쪽 니들베드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 각각의 니들베드에서 싱커와 피아노선을 진퇴 조작하더라도 좋다. 또한 구동 모터의 모터 축의 회전량을 무단계(無段階)로 조정하여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미묘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의 횡편기의 니들베드는, 니들베드의 첨단부를 형성하는 피아노선을 관통시킨 각 싱커를 니들베드의 선단에 각각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시킨 것에 비하여 실시예2에 의한 니들베드101은, 도9에 나타내는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 기판103은 본체부105와 선단부107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도10은 니들베드 기판103을 구성하는 본체부105와 선단부107을 분리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니들베드101의 기판 본체부105의 선단 부분에는, 기판 선단부107의 후 단면(後端面)에 형성되는 오목부113 내에 결합되어 기판 선단부107을 기판 본체부105 상에 지지하는 지지부111이 형성된다. 기판 본체부105와 기판 선단부107의 각각의 상면에는, 니들 플레이트115를 삽입하기 위한 홈117, 118이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된 니들 플레이트115, 115 사이에 니들 홈119를 형성한다. 기판 선단부107은 니들 플레이트115를 장착한 상태에서 기판 본체부105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니들 플레이트115는 기판 선단부107이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 이동할 때의 가이드(guide)로서도 작용한다.
기판 선단부107은, 그 자체의 첨단 부분121을 스티치와 결합하는 버지로 함과 아울러 싱커123을 장착하기 위한 싱커 홈125를 구비하고 있다. 싱커123은 전체가 균일한 두께의 얇은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고, 싱커 홈125는 니들 플레이트 장착용의 홈117보다 홈의 폭이 좁다. 싱커123은 기판 선단부107의 첨단 부분12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리127과 기판 하면으로 연장되는 탄성 다리128을 구비한다. 싱커123은 각 다리127, 128의 선단에 형성되는 결합부131, 132를 기판 선단부107에 형성되는 결합부133, 135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기판 선단부107에 고정된다. 버지(첨단부)를 앞의 실시예와 같이 피아노선에 의하여 형성하더라도 좋고 또는 버지와 싱커의 양방(兩方)을 기판 선단부와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기판 선단부107의 상면130은 바늘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면(sliding surface)이 된다. 상기에 설명하지 않은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한다.
도11은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니들베드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기판 선단부107의 양단에는, 기판 선단부107을 기판 본체부105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작 수단151과 연결하기 위한 결합편(結合片)133, 134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기판 본체부105의 바늘이 장착되지 않은 양단부(兩端部)137, 138의 상면에는 홈139, 141이 형성되고, 이 홈 내에 조작 레버(operating lever)143, 144가 수용되어 부착판147, 148로 고정된다. 각 조작 레버143, 144는 선단에 결합부143a, 144a가 형성되어 있어 기판 선단부107의 상기 결합편133, 134와 결합하고, 후단측에 형성된 결합부143b, 144b가 후술하는 구동 모터153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는 구동 레버155에 형성된 결합 홈157, 158에 결합한다. 159는 구동 모터153의 회전 구동을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래크로서, 선단부가 구동 레버155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레버155의 각 결합 홈157, 158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니들베드가 래킹한 상태에서도 조작 레버를 진퇴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기판 선단부107을 기판 본체부105에 대하여 상대변위(相對變位)시킴으로써 싱커 및 버지를 니들베드 갭 간격으로 진출 또는 후퇴시켜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한다.
상기에서는 니들베드의 상면측에서 구동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상기 실시예와 같이 니들베드 이면측에서 구동시켜도 좋다는 등 구동 기구는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래크 피니언(rack-and-pinion)을 대신하여 링크 기 구(linkage mechanism) 또는 다른 기구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횡편기는, 니들베드 갭 간격의 근방에 있어서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규정하는 싱커나 피아노선 등을 필요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훅 사이즈 변경 등의 편성 조건에 따라 니들베드 갭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날실 삽입 기구(warp yarn insertion mechanism)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니들베드 퇴피 기구에 적용하여 레이스 바(lace bar)와 니들베드의 충돌을 회피시키는 것이나 코이동 부재를 니들베드의 하방으로부터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형식의 토핑 편성기의 니들베드 퇴피 기구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니들베드 갭 간격의 근방에 설치되는 부재만을 가동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니들베드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더 적은 구동력으로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1에서는, 조작 수단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는 부재가 싱커나 피아노선이라는 비교적 경량(輕量)인 것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력을 더 줄일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의 제어 잭(control jack)은 캐리지의 캠에 결합시켜 진퇴 제어되기 때문에, 측면에서 볼 때에 캐리지의 캠과 니들베드 표면의 요철 부분이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도 종래의 니들베드 퇴피 기구와 같이 캐리지를 일단 니들베드의 외부로 퇴피시켜 맞물린 상태 를 해제한 후가 아니면 니들베드를 퇴피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없어져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는 도중에도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니들 홈은 나란하게 설치된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었지만 니들베드 기판에 직접 니들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구동 모터 등을 설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도중에 있어서도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정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예를 들면 LMS와 같이 훅 사이즈를 교환하였을 때에 1번만 또는 패턴(pattern)을 바꿀 때에 1번만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하면 되는 편성기의 경우에는 특별한 구동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수작업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는 등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니들베드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작동하는 싱커나 싱커와 함께 전후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에 면하는 니들베드 첨단부가 동시에 니들베드 상에서 니들베드 갭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싱커나 니들베드 첨단부의 위치를 니들베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니들베드 갭의 치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니들베드의 스티치에 결합하는 첨단부가 선재로 구성되고, 이는 싱커에 형성된 삽입 구멍을 관통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싱커의 니들베드 이면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분에 싱커를 진퇴 조작하는 조작 수단과 결합하는 피조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피조작부가 조작 수단에 의하여 진퇴 이동되면 싱커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선재도 진퇴하여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가 조정된다. 또한 니들베드의 이면측에 피조작부를 배치시켜 이를 조작 수단으로 조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의 상면측에 배치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가 쉽다.
또한 나란하게 설치되는 모든 싱커의 각 피조작부는 각 싱커의 피조작부의 전부에 대하여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조작부를 설치하고 니들베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부재에 설치된 조작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를 진퇴 조작함으로써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 및 니들베드 첨단부를 형성하는 니들베드의 선단 부분이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 니들베드 상에 바늘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그리고 니들베드 선단부가 조작 수단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어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가 조정된다.
또한 전후 니들베드에 있어서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를 각각 진퇴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의 조정폭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니들베드의 진퇴량을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L, M, S와 같은 훅 사이즈의 변경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편성 소재나 편성 조직 등의 편성 조건에 따라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미묘하게 바꾸어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Claims (8)

  1. 니들베드(needle bed) 상에 형성되는 니들 홈(needle groove)에 진퇴(進退) 이동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바늘과, 각 바늘 사이에 설치되어 스티치(stitch) 형성에 대하여 작동하는 싱커(sinker)와, 니들베드 첨단부(尖端部)를 구비하는 니들베드의 적어도 한 쌍을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하는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에 있어서,
    상기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의 쌍방(雙方)을 니들베드에 대하여 바늘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싱커 홈의 열과 직교하여 니들베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니들베드 갭 간격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1슬라이드 부재와, 이 제1슬라이드 부재와 니들베드 사이에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의 쌍방을 진퇴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설치하여 전후(前後)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를 진퇴시킴으로써 싱커와 니들베드 첨단부의 쌍방을 동시에 일괄(一括)하여 진퇴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싱커를, 니들베드 선단으로부터 니들베드 이면측(裏面側)에 형성되는 싱커 홈(sinker groove) 내에서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지지하고, 니들베드 첨단부를, 싱커의 앞쪽 가장자리 근방의 바늘의 진퇴궤적(進退軌跡) 하방에 바늘의 진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 구멍에 관통시키는 편사 결합 선재(yarn retaining wire rod)로 구성하고, 싱커의 니들베드 이면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조작수단과 결합하는 피조작부(被操作部)를 조작 수단으로 진퇴 조작함으로써 싱커 및 편사 결합 선재를 진퇴 조작하여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에 형성되는 피조작부는, 니들베드 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진퇴 제어용의 버트(butt)로 구성하고,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캠 홈(slotting cam)에서 캠 결합시켜 싱커를 진퇴 조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는, 니들베드 본체부와 상기 니들베드 본체부의 전방(前方)에서 니들베드 본체부에 대하여 바늘의 진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니들베드 선단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니들베드 선단부에 싱커 및 니들베드 첨단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니들베드 선단부가 조작 수단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어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7. 제6항에 있어서,
    니들베드 선단부는 니들베드 본체부 상에 진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 갭 간격의 치수를 조정하기 위한 기 구가 전후 니들베드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037007046A 2000-12-04 2001-12-03 횡편기 KR100768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68994 2000-12-04
JPJP-P-2000-00368994 2000-12-04
PCT/JP2001/010567 WO2002046508A1 (fr) 2000-12-04 2001-12-03 Machine a tricoter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526A KR20030065526A (ko) 2003-08-06
KR100768348B1 true KR100768348B1 (ko) 2007-10-18

Family

ID=1883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46A KR100768348B1 (ko) 2000-12-04 2001-12-03 횡편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99443B2 (ko)
EP (1) EP1340847B1 (ko)
JP (1) JP3886904B2 (ko)
KR (1) KR100768348B1 (ko)
CN (1) CN1263913C (ko)
AU (1) AU2002224135A1 (ko)
DE (1) DE60132803T2 (ko)
WO (1) WO20020465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336B1 (ko) * 2019-03-06 2020-04-21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간극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횡편기 맹글링 장치
KR20200108126A (ko) * 2019-03-06 2020-09-17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2개의 노크-오버로 형성된 비트 사이에 조절 가능한 간극을 갖는 횡편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8290B2 (ja) * 2004-12-27 2009-10-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CN100535217C (zh) * 2007-04-16 2009-09-02 常熟市国盛针织机械厂 电脑针织横编机的针床与压纱装置的配合机构
KR101289984B1 (ko) * 2011-09-21 2013-07-2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용 니들 베드 장치
JP6487217B2 (ja) 2014-02-06 2019-03-20 有限会社ターナープロセス 遊離塩素濃度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殺菌方法および殺菌装置
JP6177263B2 (ja) * 2015-02-03 2017-08-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CN111501178B (zh) * 2019-01-30 2022-05-03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一种以横编机编织厚度可变立体织物的方法
CN111501181B (zh) * 2019-01-30 2021-07-13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嘴口可变的横编机结构
JP6557430B1 (ja) * 2019-02-13 2019-08-07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歯口隙間の大きさが変更可能な横編機構造
JP6557432B1 (ja) * 2019-02-25 2019-08-07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横編機を用いて厚みの異なる立体構造編物を編成する方法
US11639566B2 (en) * 2019-02-27 2023-05-0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US11313058B2 (en) * 2019-02-27 2022-04-26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structure with adjustable gap between two knock-over bits
EP3702501B1 (en) * 2019-03-01 2022-02-16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EP3702502B1 (en) * 2019-03-01 2022-05-11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structure with adjustable gap between two knock-over bi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66A (ja) * 1988-07-15 1990-01-29 Silver Seiko Ltd ゴム編地の編出し方法
KR910003886B1 (ko) * 1987-09-04 1991-06-15 가부시기가이샤 시마세이기 세이사꾸쇼오 횡 편 기
JPH0610246A (ja) * 1991-11-20 1994-01-18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の揺動制御装置
JPH07268748A (ja) * 1994-03-29 1995-10-17 Shima Seiki Mfg Ltd シンカー退避機構を有する横編機
KR960013904B1 (ko) * 1994-04-28 1996-10-10 카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있어서 실안내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2225B1 (ko) * 1971-06-12 1976-11-15
JPH03232823A (ja) * 1990-02-07 1991-10-16 Shima Seiki Seisakusho:Kk ノックオーバータイミング調整可変な機能を有する横編機
JP2694626B2 (ja) * 1991-09-17 1997-12-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JP2700204B2 (ja) * 1992-12-15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DE19704644B4 (de) * 1997-02-07 2006-06-14 H. Stoll Gmbh & Co. Flach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JP3140990B2 (ja) * 1997-08-11 2001-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ループ形成プレートを備えた横編機
DE10031684A1 (de) * 2000-06-29 2002-01-10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86B1 (ko) * 1987-09-04 1991-06-15 가부시기가이샤 시마세이기 세이사꾸쇼오 횡 편 기
JPH0226966A (ja) * 1988-07-15 1990-01-29 Silver Seiko Ltd ゴム編地の編出し方法
JPH0610246A (ja) * 1991-11-20 1994-01-18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の揺動制御装置
JPH07268748A (ja) * 1994-03-29 1995-10-17 Shima Seiki Mfg Ltd シンカー退避機構を有する横編機
KR960013904B1 (ko) * 1994-04-28 1996-10-10 카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있어서 실안내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336B1 (ko) * 2019-03-06 2020-04-21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간극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횡편기 맹글링 장치
KR20200108126A (ko) * 2019-03-06 2020-09-17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2개의 노크-오버로 형성된 비트 사이에 조절 가능한 간극을 갖는 횡편기 구조
KR102220400B1 (ko) * 2019-03-06 2021-02-2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2개의 노크-오버로 형성된 비트 사이에 조절 가능한 간극을 갖는 횡편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0847B1 (en) 2008-02-13
CN1263913C (zh) 2006-07-12
DE60132803T2 (de) 2009-07-09
WO2002046508A1 (fr) 2002-06-13
DE60132803D1 (de) 2008-03-27
AU2002224135A1 (en) 2002-06-18
EP1340847A1 (en) 2003-09-03
KR20030065526A (ko) 2003-08-06
JP3886904B2 (ja) 2007-02-28
JPWO2002046508A1 (ja) 2004-04-08
EP1340847A4 (en) 2004-04-14
US20040031292A1 (en) 2004-02-19
CN1478160A (zh) 2004-02-25
US6799443B2 (en) 2004-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348B1 (ko) 횡편기
KR100478553B1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KR101025153B1 (ko)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EP1835059B1 (en) Complex cam system
EP0594169B1 (e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ring mechanism
KR910003886B1 (ko) 횡 편 기
JP4406893B2 (ja) 高低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およびかかる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KR20000070011A (ko) 개선된 파일 직물, 이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파일
KR20200007693A (ko) 횡편기
JPH05214639A (ja) プラッシュ生地製造用の丸編み機およびシンカ
EP0672769A1 (en) Flat bed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members
JP5637984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EP0603006B1 (en) A transferring jack of a flat knitting machine
JP3408735B2 (ja)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US5417086A (en) Lock arrangement for a knitting machine
JP2013139644A (ja)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H05195384A (ja) 編針及びシンカを持つ2針床横編機
US4015443A (en) Knitted fabrics having pattern effects
JP2726959B2 (ja) 横編地の編成方法及び多段ベッド横編機
JP2628128B2 (ja) 横編機
EP4306698A1 (en)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US4553412A (en)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high speed secondary stitch attachment
JPS6331580B2 (ko)
JP2726958B2 (ja) 二段ベッド横編機
JPS62419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