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723B1 -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723B1
KR100760723B1 KR20027014031A KR20027014031A KR100760723B1 KR 100760723 B1 KR100760723 B1 KR 100760723B1 KR 20027014031 A KR20027014031 A KR 20027014031A KR 20027014031 A KR20027014031 A KR 20027014031A KR 100760723 B1 KR100760723 B1 KR 10076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sample
coating composition
cellulose particle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701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498A (ko
Inventor
알렉산더 스튜어트 리차드슨
존 앤드류 스미스
Original Assignee
월드와이드 코팅스 아이피 피티와이 리미티드
월드와이드 파이어 리타든트 아이피 피티와이 리미티드
월드와이드 서멀 매니지먼트 아이피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와이드 코팅스 아이피 피티와이 리미티드, 월드와이드 파이어 리타든트 아이피 피티와이 리미티드, 월드와이드 서멀 매니지먼트 아이피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월드와이드 코팅스 아이피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1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3Cellulosic [e.g., wood, paper, cork, ray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 Y10T428/27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of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 Y10T428/27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of coating
    • Y10T428/277Cellulosic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93Of 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aper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지지매체, 및 (ii)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으며, 약 10 g/L 이하의 양으로 상기 지지매체에 분산된 다수의 셀룰로오스 입자를 포함하며, 종이에 도포하기에 적합한 수용성 코팅 조성물은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i) 지지매체, 및 (ii)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으며, 약 5 g/L 이하의 양으로 상기 지지매체에 분산된 다수의 셀룰로오스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유용한 열적 특성을 갖는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 조성물, 셀룰로오스, 지지매체

Description

코팅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용한 열적 특성을 갖는 코팅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coating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열은 세 가지 메커니즘(mechanism), 즉 복사, 전도 및 대류에 의해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건물 및 다른 구조물의 단열로 인한 장점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fibreglass) 및 울(wool) 같은 열전도도가 좋지 않은 물질을 사용하여 건물 및 다른 구조물을 단열한다. 이러한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벽 및 천장에 사용되어 따뜻한 계절 동안에는 구조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키며, 추운 계절 동안에는 구조물 외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킨다.
페인트(paint)가 도포될 표면을 통한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키는 페인트에 대한 수많은 개발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면, 소듐 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스테릭산(steric acid), 포타슘 타이타네이트 섬유(potassium titanate fibre), 소결유리가루(glass frit), 알루미늄 플레이크(aluminium flake), 질석(vermiculite), 진주암(perlite) 및 유리솜과 같은 물질은 단열 페인트를 생산하기 위해서 페인트 첨가제(additive)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각각은 단열 페인트 생산에 있어서 단지 제한된 가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첨가제들을 함유한 페인트는 표면에 대한 도포 용이성, 및 페인트 코팅의 미관(aesthetic appearance)과 같은 페인트의 바람직한 특성이 손상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제601148호에는 우수한 단열 특성을 갖는 것으로 기술된 페인트 생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는 경화성 액체 페인트 기재, 실리카(silica) 입자 및 사탕수수찌끼(bagasse)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높은 강화 페인트 코팅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실리카 및 사탕수수찌끼 입자들은 상기 혼합물의 60중량%까지 구성한다. 상기 코팅은 페인트칠을 하지 않은 동일한 구조물에 비해 복사열에 영향받는 구조물의 내부에서 감소된 온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사탕수수찌끼 입자의 기재된 치수로는 상기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하기 어려우며, 상기 페인트 코팅의 외관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된 입도(particle size)가 큰 실리카 및 사탕수수찌끼 입자들은 코팅에서 곰팡이와 같은 문제를 초래한다.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의 실리카 입자 및 사탕수수찌끼 입자 위의 상기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의 매우 얇은 층에서는 큰 입도가 문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박층(thin layer)은 상기 사탕수수찌끼 입자에 도달하는 수분의 적당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곰팡이가 성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페인트 코팅을 효과적이게 하는 데 필요한 두께로 인해 상기 조성물은 내외장 가정용 페인트 및 자동차 마무리와 같은 페인트의 희석제(thinner) 코팅이 필요한 도포에 사용하기에 부적당한 생 성물이 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제10487/92호에는 종이코팅 조성물에서 1 내지 10㎛의 평균 입도를 갖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입자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이코팅 조성물은 수용성 현탁액(suspension)에서 셀룰로오스 입자를 포함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이코팅 조성물은 광학적 광택제(optical brightener)의 성능을 강화하는 데 유용하다고 한다. 상기 특허는,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이 종이 또는 상기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임의의 표면에서 열전달을 변경하는 효과를 갖는 지에 대해서 암시 및 시사하는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놀랍게도 코팅 조성물 전체에 걸쳐 분산된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코팅 조성물이 유용한 열적 특성을 갖는 코팅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i) 지지매체(supporting medium), 및 (ii)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으며, 약 10 g/L 이하의 양으로 상기 지지매체에 분산된 다수의 셀룰로오스 입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입자를 얻기 위해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셀룰로오스 섬유, 셀룰로오스 유도체 또는 양자의 혼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라디아타 소나무(radiata pine) 및 마카다미아(macadamia) 껍질과 같은 적당한 천연물질로부터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평균 건조 입도를 얻기 위해서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를 미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는 "머크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Merck Australia Pty Ltd)"에 의해서 생산된 박막 크로마토그래프(thin film chromatography)용 Avicel 1.02330.0000을 포함한다. 상기 제품은 4 x 25㎛의 평균 크기를 갖는 막대 형상의 입자형태로 존재하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액체 지지매체에 첨가되어 높은 전단(shear)하에 분산되는 경우, 상기 입자들은 쪼개져 약 4 x 7㎛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1㎛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셀룰로오스 입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입도를 갖으며, 즉 입도가 상기 조성물의 평균 입도의 20%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에서 셀룰로오스 입자의 양은 약 10 g/L 이하이며, 일반적으로 0.0002 g/L 내지 10 g/L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에서 셀룰로오스 입자의 양은 5 g/L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은, 예를 들면 0.01 g/L 내지 0.1 g/L 범위내 또는 0.0002 g/L 내지 0.01 g/L 범위내의 양으로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매체는 액체 매체이며,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표면에 코팅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액체(liquid)"는 비결정(amorphous) 물질, 젤라틴(gelatinous) 물질, 유동(fluid) 물질 및 주입성(pourable)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매체는 액체 페인트성 조성물(liquid paint based composition)이며,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하면 상기 표면에 건조 페인트 코팅을 형성한다. 액체 페인트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중합체(polymer), 용제(solvent), 여러 첨가제 및 종종 안료(pigment)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하는 경우, 상기 액체 페인트성 조성물에서 중합체를 가교하는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페인트성 조성물은 폴리에스터, 알키드(alkyd), 아크릴, 폴리우레탄, 에폭사이드, 비닐, 폴리아마이드, 실리콘과 같은 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액체 페인트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는 물 또는 유기 용제 또는 무기 용제를 포함한다.
응고하여 표면에 코팅을 형성할 수 있는 비페인트성 조성물이 적당한 액체 지지매체가 될 수 있다. 그런 매체로는 중합체성 화합물 (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수지(resin) 또는 종이 조성물이 포함된다.
표면에 도포될 때 응고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기 표면에 젤라틴 또는 점 성 액체 코팅을 형성하는 매체도 적당한 액체 지지매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매체는 필름과 유사한 물질처럼 자유 기립(free standing)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매체일 수 있으며, 상기 매체는 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표면에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은 창문 같은 유리에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용으로 적합하다.
상기 지지매체는 또한 접착제(adhesiv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매체는 창문 필름을 유리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또는 다층(multi-layered) 창문 필름의 경우에는 창문 필름의 다른 박판(sheet)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창문 필름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층일 수 있다.
상기 지지매체는 일반적인 페인트성 코팅 조성물과 같은 일반적인 코팅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수단에 의해서 상기 지지매체에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매체가 액체 페인트성 조성물과 같은 액체인 경우,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일반적으로 고전단분산기(Higher Shear Disperser)로 알려진 장치를 사용하여 높은 전단하에서 분산된다. 상기 지지매체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자유 기립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매체인 경우,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일반적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제조 중에 상기 지지 매체에 분산된다.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코팅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하여 그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수단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 른 코팅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하여 상기 표면에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매체가 일반적인 코팅 조성물인 경우, 일반적인 코팅 조성물을 표면에 도포하여 그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물품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하여 상기 표면에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매체가 일반적인 페인트성 조성물인 경우, 물품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페인트칠해 건조하면 상기 표면에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천연 또는 인공 물질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플라스틱 물질, 직물, 섬유, 필름, 세라믹, 복합 재료, 콘크리트, 나무, 인간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는 데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운송수단, 건물, 이동 용기 또는 저장 탱크와 같은 물품 또는 구조물의 일부분에 코팅을 형성하는 데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벽, 지붕 또는 건물의 다른 부분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 데 적용된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자동차의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는 데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표면에 도포되어 2㎛와 250 ㎛ 사이 두께를 갖는 건조 필름 코팅을 형성하기 위해서 건조에 적합한 페인트성 조성물이다. 건물과 같은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의 도포에 접합한 페인트성 조성물의 경우, 상기 페인트성 조성물은 35㎛ 와 120㎛ 사이의 두께를 갖는 건조 필름의 건 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마감용 페인트의 경우, 상기 페인트성 조성물은 약 20㎛ 와 70㎛사이의 두께의 건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코팅은 고체 물질, 필름(film)과 유사한 물질 또는 젤라틴 또는 점성 액체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 또는 구조물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물품 또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은 하나 이상의 다층 코팅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은 표면에 언더코트(undercoat) 또는 첫 번째 코팅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언더코트 층 위에 상도도료(top coat)가 형성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은 유용한 열적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이 표면에 도포되고, 상기 코팅된 표면이 복사열에 노출되는 경우,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유사한 코팅에 비해서 상기 코팅은 상기 표면을 통한 열전달을 감소 또는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이 금속 구조물의 외부 표면에 도포되고 상기 구조물이 복사열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코팅은 상기 구조물을 단열하므로, 셀 룰로오스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을 갖는 동일한 구조물 또는 외부 표면에 코팅을 갖지 않는 동일한 구조물보다도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상기 구조물의 내부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험에 의하면, 구조물 외부의 주위 온도가 상기 구조물의 내부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외부 표면의 코팅은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외부 표면상의 코팅을 갖는 동일한 구조물 또는 외부 표면에 코팅을 갖지 않는 동일한 구조물보다도 빠른 속도로 구조물 외부로 열전달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전기모터, 용접 베이(bay) 또는 유사물과 같은 열발생 기계류를 포함하는 건물 같은 구조물에 있어서 특히 유용한 특성이다.
상기 코팅이 창문 같은 유리 표면에 도포된 플라스틱 필름이고 상기 코팅된 표면이 복사열에 노출되는 경우,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한 플라스틱 필름 코팅에 비해 상기 코팅은 상기 표면을 통한 열전달을 증가시킨다.
놀랍게도, 상기 코팅 조성물에 분산된 셀룰로오스 입자의 평균 입도가 작아질 수록,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의 유용한 열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조성물에 첨가되어야 하는 셀룰로오스 입자의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면,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1 g/L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페인트성 조성물로 형성된 200㎛의 건조 필름 두께를 갖는 페인트 코팅은 건조 필름 두께가 200㎛인 코팅에서 약 16㎛의 평균 크기를 갖는 미분된 셀룰로오스 입자를 약 15 g/L 함유한 조성물로 형성된 페인트 코팅과 유사한 열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하면,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의 열적 특성은 상기 조성물에서 셀룰로오스 입자의 비율이 1 g/L 에서 0.0002 g/L로 감소할 때에도 유지된다.
도 1은 여기에서 기술된 실험에서 시험된 시료들의 단면도(일정 비율이 아님)이다.
도 2는 실험장치의 선도(diagrammatic view)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자 3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A, B 및 C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A 및 시료 B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코팅은 수용성 아크릴 페인트임)
도 4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A, B 및 C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지 않는 시료 A 및 시료 B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도 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C, D 및 E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지 않는 시료 D 및 시료 E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코팅은 수용성 아크릴 페인트임)
도 4c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C, D 및 E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D 및 시료 E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도 4d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C, F 및 G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F 및 시료 G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코팅은 수용성 아크릴 페인트임)
도 5 내지 도 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A 및 시료 C 및 제3 시료(시험 시료)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A 및 시험 시료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코팅은 수용성 아크릴 페인트임)
도 11 및 도 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A 및 시료 C 및 제3 시료(시험 시료)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A 및 시험 시료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시험 시료 상의 코팅은 폴리우레탄 페인트 - 2 팩(pack), 폴리에스터 기재 및 아이소사이아네이트(isocyanate) 촉매임)
도 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세 시료들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상기 시료들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코팅은 플라스티졸(plastisol) 형태의 코일 코팅임)
도 14 및 도 1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시료 A 및 제2 시료(시험 시료)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상기 시료들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시험 시료 상의 코팅은 수성 잉크임)
도 1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두 시료들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코팅을 갖는 상기 시료들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코팅은 창문 필름임)
도 1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한 폼(foam) 코팅을 갖는 두 시료들 및 코팅을 갖지 않는 제3 시료의 비노출 표면에 대한 온도 대 시간 그래프이며, 상기 폼 코팅을 갖는 시료들의 표면에 복사열이 가해졌다. (상기 코팅은 내화성 폼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인 방법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고자 한다.
도 1에는 이하에서 기술될 실험에서 사용된 시료들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료 10은 기판(substrate) 12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 11을 포함한다.
유리 박판(sheet)에 도포된 창문 필름 코팅이 관련된 실험들을 제외한 이하에서 기술된 모든 실험에서, 상기 기판 12는 치수가 200 x 300 x 0.9 mm인 강철판(steel plat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철 기판 12의 한쪽 200 x 300 mm 표면에, 코팅 11을 형성하였다. 상기 강철 기판 12의 반대쪽 200 x 300 mm 표면에는 일반적인 흑페인트(black paint)의 박층을 코팅하였다. 상기 시료들은 건물 및 운송수단과 같은 구조물에 도포된 대표적인 코팅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의 성능(performance)을 비교하기 위해서, 처음에는 참조 시료들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성 아크릴 페인트(water base acrylic paint)에 55 g/L의 비율로 셀룰로오스 입자를 첨가하고 높은 전단(sheer)하에 분산시켜서 코팅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 기 셀룰로오스 입자는 55㎛의 평균 입도를 갖는다. 주된 참조 시료(시료 A)는 상기된 치수의 강철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강철판의 200 x 300 mm의 한쪽 표면에, 앞서 조제한 코팅 조성물로 코팅을 형성하였다. 상기 페인트의 건조 시에 측정한 상기 페인트 코팅의 두께는 270㎛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강철판의 200 x 300 mm의 반대쪽 표면에 일반적인 흑페인트의 박층을 도포하였다.
여기에 기술된 참조 시료들 및 다른 시료들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시험하였다.
상기 시험장치는 열 싱크(sink)로 작용하는 박스 30을 포함하며, 벽 31 및 기부 32를 구비한다. 상기 벽 31 및 기부 32는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박판으로 단열하여 열손실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외부 응축(condensation) 가능성을 줄였다. 상기 상자 30 안에서의 열흡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상기 상자 30은 격자(lattice)같은 형태로 놓여진 얼음 43의 컬럼 블록(column block)들을 포함한다. 두 개의 가변속도(multi-speed) 회전 블레이드 팬(blade fan) 44를 이용하여 순환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바람 냉기 인자(wind chill factor)를 준다.
상기 상자 30은 또한 내부에 형성된 동일한 세 개의 사각 구멍 34를 구비한 상부 표면 33을 갖는다. 각각의 구멍은 상기 장치로 시험될 상기한 시료 A와 같은 시료 36을 지지하는 지그(jig) 35에 의해서 둘러싸여진다. 도 2에서, 오른쪽 단부 사각 구멍 34는 상기 시료들 36에 의해서 숨겨져 있다.
상기 시료들 36 각각의 위에는 상기 시료 36의 상부 표면에 열조사원을 제공하는 광원 37이 장착된다. 상기 광원 37은 들보(beam) 38에 매달려 있으며, 상기 들보 38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시료들 36 상의 상기 광원 37의 위치에서 대응 이동이 허용된다.
각 광원은 전기회로(미도시)로 제어되는 100W 텅스텐 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37의 휘도를 필요한 휘도로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전기 회로에 사이리스터(thyristor) 제어 (미도시)가 제공된다.
각 시료 36의 하부 표면에 J형 열전대(thermocouple)를 부착하였다. 상기 열전대 38은 양면 접착 테이프 수단에 의해서 상기 하부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광원 37의 중심 바로 아래에 있는 상기 시료 36의 중심에 상기 열전대 38이 위치하도록 보장하는 템플레이트(template)를 사용하여 상기 열전대 38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열전대 도선(lead) 39는 상기 상자 30을 밀봉하는 발포 고무 스트립(strip)을 지나 외부로 신장하여 전자 냉접합(cold junction) 41로 신장하며, 차례로, 상기 접합 41은 컴퓨터 42에 연결된다. 각 열전대 38에 의해서 각 시료 36의 하부 표면에서 측정된 온도를 상기 컴퓨터 42가 저장하고 표시한다.
상기 시험장치의 최초 설정 및 교정 동안에는, 약 0.9 mm의 두께를 갖는 연마된 세 개의 알루미늄 박판을 상기 지그 35에 장착한 후 시험하여 세 개의 열전대 38로부터 나온 출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표준 실험을 수행하였다:
(i) 시험을 위한 세 개의 시료 36을 선택한 후, 상기 광원 37에 의해서 조사될 200 x 300 mm 표면에 대해서 시료의 반대쪽 200 x 300 mm 표면상에 상기 열전대 38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템플레이트로 마크(mark)하였다.
(ii) 열전대 38을 상기 광원 37에 의해서 조사될 200 x 300 mm 표면의 반대쪽 200 x 300 mm 표면에 있는 각 시료 36에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iii) 그리고 나서 상기 세 시료 36을 수분동안 회전 팬 앞에 놓아둠으로써 주위 온도가 되게 한다.
(iv) 상기 세 시료 36을 재빨리 상기 지그 35에 실어, 상기 광원 37에 의해서 조사될 상기 시료들 36의 표면이 상기 광원을 향하게 하여 상기 광원 37의 스위치를 켠다.
(v)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동하여 각 시료 36의 상기 하부 표면 45 (즉, 상기 광원 37에 의해 조사된 200 x 300 mm 표면의 반대쪽 200 x 300 mm 표면)의 온도를 컴퓨터에 저장하고 나타낸다.
대부분의 실험에서, 수분 후에 광원을 껐으며, 각 시료 36의 상기 하부 표면 45의 온도는 상기 컴퓨터 42에 의해서 저장 표시되었으며, 한편 상기 광원이 꺼진 후 일정 시간동안 광원을 켰다.
제1 실험에서, 상기한 참조 시료 (시료 A)와 시료 A에 사용된 수성 아크릴 페인트로 형성된 페인트 코팅을 갖고 있으나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 시료 (시료 B), 및 200 x 300 mm 표면 양쪽에 일반적인 흑페인트의 박층을 도포한 200 x 300 x 0.9 mm 의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시료 (시료 C)를 비교하였다. 상기 시료들 각각에 열전대를 부착하였고, 상기 시료들이 상기 시험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시료 A 및 시료 B의 페인트 코팅 11은 상기 광원 37에 의해서 조사된다.
상기 시료들을 상기 시험장치에 적절히 배치하고 상기 광원 37을 비추었다. 상기 열전대 38로 측정된 온도는 상기 컴퓨터 42에 기록되었다.
상기 제1 실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시료 A의 비노출 표면의 최대 온도는 약 37℃ 였으나, 시료 B 및 시료 C의 비노출 표면들의 최대 온도는 각각 약 42℃ 및 67℃ 였다. 이러한 결과는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이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에 비해 코팅이 도포된 시료를 통한 열전달의 크기를 감소시킨다는 점을 설명하는 것이다.
다른 실험에서, 앞서 시험한 동일 시료들 (즉: 시료 A, 시료 B, 시료 C)을 시료 A 및 시료 B의 상기 코팅 층 대신에 부착된 열전대 38로 시험하였으며, 상기 광원이 흑페인트의 박층으로 코팅된 시료 A 및 B의 표면을 조사하도록 상기 시험장치에 상기 시료들을 배치하였다. 도 4a에는, 이번 실험에서 상기 열전대 38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 증가가 나타나 있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시료 A의 비노출 표면의 최대 도달 온도는 약 74℃였으나, 시료 B 및 시료 C의 비노출 표면들의 최대 온도는 각각 약 66℃에 도달하였다.
도 4 및 도 4a에 도시된 결과에 의하면,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코팅을 도포시킨 시료를 통한 열전달의 크기는 상기 광원 37이 제공한 열복사가 시료의 어느 표면에 조사되는 지에 달려 있다. 시료 A 및 시료 B의 코팅 표면을 열복사로 조사하는 경우, 시료 A를 통한 열전달은 시료 B 및 C보다 작았다. 흑색 페인트의 박층으로 코팅된 시료 A 및 B의 표면들을 열복사로 조사하는 경우, 시료 A를 통한 열전달은 시료 B 및 C를 통한 열전달보다 컸다.
유사한 결과가 두 개의 강철판을 가지고 시험한 다른 일련의 실험들에서 얻어졌으며, 상기 두 개의 강철판 중 하나는 분산된 셀룰로오스 입자 (55 g/L에서, 평균 직경 50㎛)를 갖는 액체 페인트성 조성물로 형성된 백색이 아닌 페인트를 200 x 300 mm 한쪽 표면에 코팅한 강철판 (시료 D)이며, 다른 하나는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한 페인트성 조성물로 형성된 페인트 코팅을 200 x 300 mm 한쪽 표면에 코팅한 강철판 (시료 E)이다. 상기 페인트의 색은 당업계에서 "environmental green"으로 알려진 갈색/녹색이었다. 양 시료의 다른 200 x 300 mm 표면에는 일반적인 흑페인트의 박층을 코팅하였다. 도 4b에 흑페인트의 박층이 코팅된 시료 D 및 E의 표면에 열을 가한 실험 결과를 도시하였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흑페인트의 박층이 코팅된 시료 D 및 E의 표면에 열이 가해졌을 때, 셀룰로오스 입자를 포함한 코팅을 갖는 시료 D가 시료 E 및 시료 C보다 더 높은 열전달율을 나타내었다. 시료 D 및 시료 E의 각각의 코팅 표면에 조사하였을 때의 결과는 도 4c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역으로 시료 D의 열전달율이 시료 E 또는 시료 C보다 낮았다.
또 다른 실험에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머크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에 의해서 제조된 Avicel 1.02330.0000) 0.1 g/L 를 백색의 수성 아크릴 페인트 코팅 조성물에 첨가하여,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를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입자로 파쇄하는 높은 전단하에 분산시켰다. 이러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을 갖는 시료 (시료 F)를 셀룰로오스 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동일한 페인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을 갖는 다른 시료 (시료 G)와 비교하였다. 시료 F 및 시료 G의 코팅 표면에 열을 가한 실험 결과를 도 4d에 나타내었다. 도 4d에 도시된 결과는 시료 F의 열전달이 시료 G의 열전달보다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료 A의 성능은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을 갖는 시료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준이었다.
시료 A와 동일한 페인트 기재 (수성 아크릴)를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낸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 비율로 첨가시킨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코팅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 ("머크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에 의해서 제조된 Avicel 1.02330.0000)와 상기 페인트 기재를 혼합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를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입자로 파쇄하는 높은 전단하에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를 분산시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표 1에 나타낸 건조 두께의 코팅을 갖는 시료들은 상기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된 것이며 (시험 시료들), 상기 시험 시료들을 전기한 시료 A 및 시료 C와 함께 시험하였으며, 상기 코팅을 갖는 시험 시료의 표면 및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A의 표면에 열을 가하였다. 도 5-10에는 상기 시험장치 30 안의 일부 시료들에 부착된 열전대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가 나타나 있다.
참조 시료 (시료 A)와 비교하는 상기 시료들의 상대적 비효율성(relative inefficiency)은 상기 시료의 최대 도달 온도와 시료 A의 최대 도달 온도 차이를 시료 C의 최대 도달 온도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음수는 상기 시료가 상기 시료를 통해서 열전달을 지연하는 효율이 시료 A보다 더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료들의 상대적 비효율성이 표 1에 나타나 있다.
시료 코드 도면 코팅 두께(㎛) 혼합 비율 (g/L) 상대적 비효율성(%)
964 110 10 1.525
965 5 110 9 -1.571
966 110 8 -2.067
967 110 7 -1.246
968 110 6 0.363
969 6 110 5 -2.615
970 110 4 -1.178
971 110 3 -3.026
972 110 2 -0.015
973 110 1 -2.531
974 90 0.8 4.517
975 7 90 0.6 -2.384
976 90 0.4 -0.471
986 110 0.2 0.067
987 110 0.08 7.35
988 8 110 0.06 -1.34
989 110 0.04 2.00
990 110 0.02 3.696
1000 110 0.008 -0.928
1001 9 110 0.006 -3.334
1002 110 0.004 -1.908
1003 110 0.002 3.422
1032 110 0.0008 -4.114
1033 10 110 0.0006 -4.604
1034 110 0.0004 -6.796
1035 110 0.0002 -5.67

상기 표에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 코팅을 갖는 기질의 하부 표면보다도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상기 기질의 하부 표면을 유지하는 상기 페인트 코팅의 능력은 상기 혼합 비율이 크기 순서로 감소할 때에도 유지된다. 이러한 결과는 코팅의 바람직한 열적 특성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셀룰로오스 입자의 양이 지금까지 예상한 것 보다 상당히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보다 작은 입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입자를 보다 적은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매우 미세한 입도가 필요한 자동차 페인트와 같은 분야에서 상기 페인트가 현재 도포용으로 사 용되고 있는 페인트들의 미감에 필적하기만 한다면 상기 분야용의 바람직한 열적 특성을 갖는 페인트의 개발이 가능해 진다.
또한, 선택된 혼합 비율에서 코팅의 제조 필름 두께를 변화시킨 효과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런 모든 실험에서, 코팅 조성물에 사용된 셀룰로오스 입자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 ("머크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에 의해서 제조된 Avicel 1.02330.0000)였으며, 상기 입자들을 표 2에 기재한 혼합 비율로 페인트 코팅 조성물에 첨가하여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를 10㎛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입자로 파쇄하는 높은 전단하에서 분산시켰다. 표 2에 나타낸 건조 두께의 코팅을 갖는 시료들은 상기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조제되며 (시험 시료들), 상기 코팅을 갖는 시험 시료의 표면 및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A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한 시료 A 및 C와 함께 시험 시료들을 시험하였다. 참조 시료 (시료 A)와 비교하는 상기 시료들의 상대적 비효율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계산하였다. 이번 실험의 결과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시료 코드 코팅 두께(㎛) 혼합 비율(g/L) 상대적 비효율성(%)
974 90 0.8 4.52
975 90 0.6 -2.38
976 90 0.4 -0.47
978 80 1 7.12
979 70 1 5.94
980 60 1 8.99
981 50 1 13.51
982 40 1 20.15
983 30 1 23.21
984 20 1 34.24

상기 표의 결과를 보면, 놀랍게도 필름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코팅의 비효율성이 상기 참조 시료 (시료 A)의 특성에 비례하여 악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결과는 외삽(extrapolation)하면, 약 95㎛의 두께에서 10㎛ 이하의 평균 입도를 갖는 미세결정성 입자를 1 g/L 함유한 코팅을 구비한 시료의 효율성이 270㎛ 두께 층에서 50㎛ 셀룰로오스 입자를 55 g/L 함유한 참조 시료 (시료 A)와 동일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러 다른 코팅 조성물에서 상기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의 사용 효과를 알아내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모든 실험에서, 사용된 미세결정성 입자는 "머크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에 의해서 제조된 제품 Avicel 1.02330.0000으로부터 얻었다. 창문 필름 코팅이 관련된 실험을 제외한, 모든 실험에서 상기 셀룰로오스 입자를 다른 코팅 조성물 구성분들에 첨가하여 높은 전단응력하에서 분산시켰다.
두 팩(pack) 폴리우레탄 코팅 (Interthane 80)을 사용하여, 코팅을 갖는 시료들을 조제하였다 (시험 시료들). 시험 시료 중 하나에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0.1 g/L 함유한 코팅을 강철판의 한쪽 200 x 300 mm 표면에 형성하였다. 다른 시료에서는,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코팅을 강철판의 한쪽 200 x 300 mm 표면에 형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강철판의 다른 쪽 200 x 300 mm 표면에는 일반적인 흑페인트의 박층을 코팅하였다. 상기 시험 시료들의 각각을 상기한 시료 A 및 시료 C와 함께 시험하였는 데, 상기 코팅을 갖는 시험 시료의 표면 및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 A의 표면에 열을 가하였다. 도 11에는 상기 표준 참조 시료 (시료 A) 및 양쪽이 모두 흑판으로 이루어진 시료 (시료 C)와 비교해서 미세 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0.1 g/L 함유한 코팅을 갖는 시험 시료에 대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12에는 상기 표준 참조 시료 (시료 A) 및 양쪽이 모두 흑판으로 이루어진 시료 (시료 C)와 비교해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코팅을 갖는 시험 시료에 대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상기 두 팩 폴리우레탄 코팅에서 상기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의 존재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코팅을 갖는 시료에 비하여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코팅을 갖는 시료의 비조사 표면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다른 실험에서는, 세 개의 강철판의 한쪽 200 x 300 mm 표면에 코일(coil) 코팅(플라스티졸형 코일 코팅)을 도포함으로써 세 시료를 조제하였다. 첫 번째 시료 (시료 1)에서, 상기 코일 코팅은 그것을 통해서 미세셀룰로오스 입자 1 g/L를 분산시켰다. 두 번째 시료 (시료 2)에서, 상기 코일 코팅은 그것을 통해서 셀룰로오스 입자 15 g/L을 분산시켰다. 세 번째 시료 (시료 3)에서, 상기 코일 코팅은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코일 코팅을 갖는 시료들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세 시료들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3에 나타나 있다. 도 13에서, 상기 코일 코팅에 분산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1 g/L의 존재가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를 함유하지 않는 코일 코팅 및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L를 함유하는 코일 코팅에 비하여 시료의 비조사 측면의 온도를 상당히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형태의 페인트 코팅 조성물에서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입자의 분산이 상기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에서 열적 효과를 나타내 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잉크 코팅을 갖는 두 시료 (시험 시료들)를 조제하고 상기 코팅을 갖는 시료들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 시험장치에서 시험하였다. 도 14는 상기 표준 참조 시료 (시료 A)와 비교하여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 1 g/L 를 갖는 수성 잉크로 형성된 수성 잉크 코팅을 구비한 시험 시료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상기 표준 참조 시료 (시료 A)와 비교하여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갖지 않는 수성 잉크로 형성된 수성 잉크 코팅을 구비한 시험 시료시험 시료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성 잉크에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의 존재가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를 갖지 않는 수성 잉크로 형성된 코팅을 구비한 시료에 비하여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를 갖는 수성 잉크로 형성된 코팅을 구비한 시료의 비조사 측면의 온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창문 필름 코팅을 가지고 시험을 수행하였다. 유리판 (시료 1)에 도포하기 전, 제조과정 중에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갖는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 (0.1 g/L) 를 창문 필름 물질 안에 고르게 분산시켰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 두께의 유사 창문 필름을 가지고 유사한 유리판을 만들었다 (시료 2). 상기한 유사 방법으로 상기 시험장치에서 상기 두 유리 시료들을 시험하였는 데, 상기 창문 필름 코팅을 갖는 유리판의 표면에 열을 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6에 나타나 있다. 도 16에서, 상기 창문 필름 물질에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의 포함이 열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내화성 폼(foam)을 가지고 시험을 수행하였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입자 ("머크 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에 의해서 생산된 Avicel 1.02330.0000) 1 g/L을 높은 전단하에서 한정된 양의 내화성 폼 안으로 고르게 분산시켰다. 두 강철판들은 각 판의 중심에서 75 mm2 면적을 둘러싸는 10 mm의 높은 벽을 형성하는 댐(dam)으로 준비되었다. 첫 번째 시료 (시료 1)는 상기 폼에 고르게 분산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1 g/L을 갖는 폼 코팅을 갖으며, 두 번째 시료 (시료 2)는 셀룰로오스 입자가 첨가되지 않은 폼 코팅을 갖는다. 각 댐에 동일한 양의 폼을 첨가하였다. 상기한 두 시료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시험장치에서 시험하였으며, 폼 코팅을 갖지 않는 시료 (시료 3)와 함께 상기 폼 코팅을 갖는 시료의 표면에 열을 가하였다. 그 결과가 도 17에 나타나 있다. 셀룰로오스 입자의 존재로 인하여 셀룰로오스 입자를 함유한 폼 코팅을 갖는 시료의 비조사 측면이 40분에 걸친 시험시간 내내 보다 더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는 것이 도 17에 나타나 있다. 폼이 증발하여 더 이상 액체가 존재하지 않는 지점에서 곡선의 굴곡이 생긴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상기 폼 코팅이 액체가 모두 증발된 후에도 훨씬 낮은 온도에 머무른다는 것이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를 함유하지 않는 폼 코팅을 갖는 시료와 동일한 온도에 도달하는 데 있어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폼 코팅을 갖는 시료의 경우 약 두 배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넓게 기술된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체적인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많은 변형 및/ 또는 변경이 가능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기술된 선행 기술 문헌에 대한 언급은 상기 문헌이 오스트레일리아 또는 어떤 다른 나라에서 공통된 일반적인 기술의 일부분을 형성한다는 것에 대한 인정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유용한 열적 특성을 갖는 코팅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 및 그러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의 유용한 열적 특성은 건물과 같은 구조물, 운반 수단, 저장 탱크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i) 지지매체, 및 (ii) 10㎛ 이하의 평균 건조 입도를 가지며, 10 g/L 이하의 양으로 상기 지지매체에 분산된 복수의 셀룰로오스 입자를 포함하며, 종이에 도포하기에 적합한 수용성 코팅 조성물은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입자를 0.0002 g/L 내지 10 g/L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입자를 5 g/L 이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매체는 액체 또는 폼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매체는 페인트성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표면에 도포되기에 적합한 필름 물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은 플라스틱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매체는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9. 제1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
  10.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적어도 한 표면에 제1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제1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코팅 층을 하나 이상 구비한 다층 코팅임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12.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적어도 한 표면에 제1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제1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코팅 층을 하나 이상 구비한 다층 코팅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KR20027014031A 2000-04-20 2001-04-20 코팅 조성물 KR100760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Q7079A AUPQ707900A0 (en) 2000-04-20 2000-04-20 Coating composition
AUPQ7079 2000-04-20
PCT/AU2001/000457 WO2001081482A1 (en) 2000-04-20 2001-04-20 Coating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498A KR20030017498A (ko) 2003-03-03
KR100760723B1 true KR100760723B1 (ko) 2007-10-04

Family

ID=382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7014031A KR100760723B1 (ko) 2000-04-20 2001-04-20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7566493B2 (ko)
EP (1) EP1276818A4 (ko)
JP (1) JP2003535159A (ko)
KR (1) KR100760723B1 (ko)
CN (1) CN1187416C (ko)
AU (3) AUPQ707900A0 (ko)
BR (1) BR0110215A (ko)
CA (1) CA2406597C (ko)
EA (1) EA005507B1 (ko)
HU (1) HUP0301006A2 (ko)
IL (2) IL152333A0 (ko)
IN (1) IN2002DE01131A (ko)
MX (1) MXPA02010327A (ko)
NZ (1) NZ521966A (ko)
PL (1) PL358018A1 (ko)
WO (1) WO2001081482A1 (ko)
ZA (1) ZA2002093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90723B (en) * 2003-02-21 2007-12-01 Hosiden Corp Key-top plate
TWI483093B (zh) * 2009-12-30 2015-05-01 Foxconn Tech Co Ltd 筆記型電腦
FR2960133B1 (fr) * 2010-05-20 2012-07-20 Pvl Holdings Papier pour un article a fumer presentant des proprietes de reduction du potentiel incendiaire
US8702862B2 (en) 2012-07-03 2014-04-22 Columbia Insurance Company Universal VOC-free metallic/pearlescent colorants
US9932496B2 (en) 2014-02-12 2018-04-03 Advanced Wood Paint, LLC Liquefied wood coating
ES2648230T3 (es) * 2014-07-28 2017-12-29 Flooring Technologies Ltd. Procedimiento para producir placas de materia derivada de la madera decoradas y panel de suelo producido a partir de la placa de materia derivada de la madera
CN104910720A (zh) * 2015-05-26 2015-09-16 江苏高科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油漆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328A (en) 1998-07-08 1999-11-23 Btg, A Partnership Non-skid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982A (en) 1970-09-11 1980-10-07 Blount David H Process to break down cellulose polymers and produce cellular solid or solid reaction products
US4089994A (en) 1974-05-24 1978-05-16 Auto-Make Up Method of repairing lacquer damage
CA1042413A (en) * 1974-11-28 1978-11-14 Yasumasa Okuda Manufacture of catalyst carrier
US4155887A (en) 1978-02-07 1979-05-22 Hetson George W Stabilized insulating latex pai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480053A (en) 1980-03-11 1984-10-30 Aperm Of South Carolina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US4751141A (en) * 1981-01-12 1988-06-14 Alkor Gmbh Kunststoffverkauf Process for the manufacture and use of a polypropylene foil with improved adhesion
IN166824B (ko) 1985-03-08 1990-07-21 Tihana Pty Ltd
JPS62191482A (ja) * 1986-02-19 1987-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ルロ−ス系断熱材組成物と施工法
JPH07115439B2 (ja) * 1987-01-14 1995-12-13 日本製箔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フイン材
US4791020A (en) * 1987-02-02 1988-12-13 Novacor Chemicals Ltd. Bonded composites of cellulose fibers polyethylene
JPH01254782A (ja) * 1988-04-04 1989-10-11 Nippon Paint Co Ltd ロールコート塗料用組成物
GB2229726B (en) 1989-03-04 1992-04-08 Tioxide Group Plc Polymer granul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106888A (en) 1990-02-22 1992-04-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cetal compositions stabilized with microcrystalline or fibrous cellulose and at least one co-stabilizer compound
JPH04139277A (ja) * 1990-09-28 1992-05-13 Toppan Printing Co Ltd 吸水性塗料および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
AU8884391A (en) 1990-12-05 1992-06-1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Insulating material
GB9101965D0 (en) * 1991-01-30 1991-03-13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JP3208825B2 (ja) 1991-05-28 2001-09-17 日本油脂株式会社 凹凸模様を有する塗膜形成用の粉体塗料、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塗装方法および塗膜
JPH04353574A (ja) * 1991-05-31 1992-12-08 Toyobo Co Ltd 防汚塗料用樹脂組成物
JPH0598589A (ja) 1991-10-01 1993-04-20 Oji Paper Co Ltd セルロース粒子微細繊維状粉砕物の製造方法
JPH05163445A (ja) * 1991-11-20 1993-06-29 Asahi Chem Ind Co Ltd 水性樹脂塗料組成物
WO1993012186A1 (en) 1991-12-16 1993-06-24 Peter Graham Ibbotson Antiglare and/or reflection formulation
JPH05279576A (ja) * 1992-04-03 1993-10-26 Asahi Chem Ind Co Ltd 水分散系合成重合体組成物
JPH0826252B2 (ja) * 1992-06-24 1996-03-13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目止め剤
JPH06136693A (ja) * 1992-10-22 1994-05-17 Asahi Chem Ind Co Ltd 紙塗工用塗液組成物
US5298076A (en) 1993-03-23 1994-03-29 Ciba-Geigy Corporation Carbazole dioxazine-pigmented plastics and coatings
JPH0782338A (ja) * 1993-09-13 1995-03-28 Minori Sekkei Jimusho: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379947A (en) 1993-11-09 1995-01-10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powder coating composition
AT400440B (de) * 1993-12-06 1995-12-27 Vianova Kunstharz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verdünnbaren lackbindemitteln und deren verwendung
JPH0872393A (ja) * 1994-07-08 1996-03-19 Canon Inc 液体組成物、インクセッ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と装置
DE19514420C1 (de) 1995-04-19 1997-03-06 Fraunhofer Ges Forschung Dampfbremse für den Einsatz zur Wärmedämmung von Gebäuden
RU2132859C1 (ru) * 1996-02-27 1999-07-10 Зоя Ивановна Завгородняя Водно-дисперсионная краска
US6037380A (en) * 1997-04-11 2000-03-14 Fmc Corporation Ultra-fine microcrystalline cellulose compositions and process
US6326323B1 (en) * 1998-02-13 2001-12-04 Komatsu Seiren Co., Ltd. Fabric for ink-jet recording
RU2139310C1 (ru) * 1998-06-15 1999-10-10 Пермский завод им.С.М.Кирова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тделочных работ
JP2000017859A (ja) * 1998-06-30 2000-01-18 Sekisui House Ltd 収納庫の設置構造
JP4150447B2 (ja) * 1998-08-21 2008-09-17 カクイ株式会社 微小炭素繊維懸濁液および微小炭素繊維含有塗料
JP2001247812A (ja) * 2000-03-02 2001-09-14 Asahi Kasei Corp 水系塗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328A (en) 1998-07-08 1999-11-23 Btg, A Partnership Non-skid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52333A (en) 2007-06-03
IL152333A0 (en) 2003-05-29
EP1276818A4 (en) 2005-06-15
AU2001250183B2 (en) 2004-07-29
HUP0301006A2 (en) 2003-07-28
ZA200209350B (en) 2003-10-20
AU2001250183B9 (en) 2004-12-23
AUPQ707900A0 (en) 2000-05-18
AU5018301A (en) 2001-11-07
KR20030017498A (ko) 2003-03-03
WO2001081482A1 (en) 2001-11-01
CA2406597A1 (en) 2001-11-01
EA005507B1 (ru) 2005-02-24
US20080311383A1 (en) 2008-12-18
IN2002DE01131A (ko) 2008-09-26
US20030145762A1 (en) 2003-08-07
MXPA02010327A (es) 2004-09-06
CN1187416C (zh) 2005-02-02
EP1276818A1 (en) 2003-01-22
BR0110215A (pt) 2003-01-21
MX243906B (ko) 2007-02-28
CA2406597C (en) 2010-07-06
PL358018A1 (en) 2004-08-09
CN1436218A (zh) 2003-08-13
NZ521966A (en) 2003-02-28
EA200201113A1 (ru) 2003-04-24
JP2003535159A (ja) 2003-11-25
US7566493B2 (en) 200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11383A1 (en) Coating composition
KR101847604B1 (ko)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수성 열반사 보온 단열도료 및 그 제조방법
CN105246690A (zh) 多层涂膜及多层涂膜的形成方法
KR101561567B1 (ko) 차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US9340971B2 (en) Advanced inorganic material for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JPH11323197A (ja) 遮熱性塗料
KR20190090957A (ko) 옥상 또는 지붕용 2-코트형 수성 차열성 방수 도료, 이를 사용한 2층 구조의 차열성 방수 도장 방법, 및 그에 따른 2층 구조의 차열성 방수 도막
CN104060750A (zh) 建筑板、以及建筑板的制造方法
KR20110128666A (ko) 단열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AU2001250183A1 (en) Coating composition
JP5124732B2 (ja) 断熱方法及び断熱構造
CN106957544A (zh) 一种反射型保温隔热无机涂料及其制备方法
JP5727986B2 (ja) 建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40607B1 (ko) 단열도료
CN103249560A (zh) 热功能性阻燃聚合物构件
JPH03275774A (ja) 耐久性に優れた膨張型耐火被覆材
Cai et al. Performance of a superamphiphobic self-cleaning passive subambient daytime radiative cooling coating on grain and oil storage structures
CN104675009B (zh) 建筑板及其制造方法
JP6938059B1 (ja) 屋根の融雪構造
CN102372970A (zh) 阻热型涂料
KR101893750B1 (ko) 건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416537A1 (en) Colorful Low-Emissivity Paints for Space Heating and Cooling Energy Efficiency
EP4053195A1 (en) Coating product for insulation boards and coated insulation board
Cottony et al. Solar heating of various surfaces
JP2002355922A (ja) 建材用アルミ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