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455B1 -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455B1
KR100750455B1 KR1020040080937A KR20040080937A KR100750455B1 KR 100750455 B1 KR100750455 B1 KR 100750455B1 KR 1020040080937 A KR1020040080937 A KR 1020040080937A KR 20040080937 A KR20040080937 A KR 20040080937A KR 100750455 B1 KR100750455 B1 KR 10075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int block
print
prin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115A (ko
Inventor
우찌다다쯔로
오오무라히로시
구지라이야스히로
다까기요시히로
아리또미마사노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32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ta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64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 H04N1/0086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H04N1/00856Preventive measures
    • H04N1/00864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 H04N1/0086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 H04N1/0087Modifying the reproduction, e.g. outputting a modified copy of a scanned original with additional data, e.g. by adding a warning message with hidden additional data, e.g. data invisible to the human ey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Grada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출력 화상에 틴트 블록(tint block) 화상을 부가하여 인쇄하는 경우에서도 인쇄 출력 화상을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 용지의 인쇄 가능 영역인 물리 페이지를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각의 영역(논리 페이지)에 의도하는 문서/화상을 인쇄하며, 이 물리 페이지 내에서 어떠한 논리 페이지에도 속하지 않는 영역에만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한다. 이러한 소위 N 업 인쇄에서 여백이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이 여백에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한다. 따라서, 어떠한 인쇄 출력 화상이 인쇄되더라도 그것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위조 방지, 틴트 블록 화상, 중첩 인쇄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호스트 컴퓨터(3000)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를 위한 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호스트 컴퓨터(3000)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를 위한 구성의 다른 예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구성을 확장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스풀 파일(303)을 생성하는 스풀러(302)에서의 페이지 단위 보존 단계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서 스풀 파일(303) 생성 프로세스와 이후 설명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의 사이에서의 제어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인 도 5a 및 도 5b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디스풀러(305)에서 인쇄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인쇄 설정 입력 다이얼로그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인쇄 작업의 출력 수신지에 대하여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스풀 파일 매니저(304)로부터 디스풀러(305)에 대하여 물리 페이지의 인쇄 요구를 행할 때에 전달되는 데이터 형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필드(1002)에 도시된 작업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스풀 파일 매니저(304)로부터 디스풀러(305)에 대하여 물리 페이지의 인쇄 요구를 행할 때에 전달되는 데이터 형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의 필드(1202)의 물리 페이지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스풀 파일 매니저(304)로부터 디스풀러(305)에 대하여 물리 페이지의 인쇄 요구를 행할 때에 전달되는 데이터 형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의 부가 인쇄 정보(1304)의 데이터 형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틴트 블록 인쇄 기능의 상세 설정을 편집하는데 이용되는 다이얼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및 16b는 틴트 블록 인쇄 기능의 상세 설정을 편집하는데 이용되는 다이얼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틴트 블록 패턴의 묘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틴트 블록 패턴의 묘화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틴트 블록 패턴의 묘화 처리의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틴트 블록 화상 인쇄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틴트 블록 인쇄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서 "중첩 인쇄"가 지정된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a 및 2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농도 보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틴트 블록 화상의 2개의 영역인 잠상부 및 배경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a 및 25b는 틴트 블록 화상의 가시화된 화상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a 및 26b는 틴트 블록 화상에서의 카무플라주(camouflage)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a 및 27b는 틴트 블록 화상에 의한 농도 간섭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애플리케이션
202: 그래픽 엔진
203 : 프린터 드라이버
205 : 틴트 블록 처리부
301 : 디스패처
302 : 스풀러
303 : 스풀파일
304 : 스풀 파일 매니저
305 : 디스풀러
306 : 프리뷰어
308 : 틴트 블록 층 결정부
1500 : 프린터
3000 : 호스트 컴퓨터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사물의 사용 등을 제지하는 틴트 블록(tint block)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처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표(ledger sheet)나 주민 카드 등의 복사를 금지하거나, 혹은 복사하는 것을 제지하기 위하여, 위조방지 용지라고 불리는 특수한 인쇄를 실시한 용지가 이용되고 있다. 이 위조방지 용지는 용지가 원본의 상태일 경우에는 사람의 눈으로 인식하기 어렵지만, 복사기 등을 이용하여 원본을 복사한 경우에는 복사된 용지 상에 나타나게 되는 "COPY"와 같은 문자 등이 내재되는 용지이다. 이에 의해, 원본으로서의 인쇄 시트와, 원본을 복사한 복사물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 위조방지 용지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복사하는 사람은 그 복사된 용지의 사용을 주저하게 된다. 또한, 위조방지 용지는 복사 행위 그 자체를 억 제한다고 하는 심리적 제지 효과를 갖는다. 위조방지 용지의 원본에 있어서 문자열을 사람이 인식하기 어렵게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원본과 복사물을 명확하게 구별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혹시, 원본에 있어서도 사람이 분명히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COPY"와 같은 문자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를 복사물로서 인식할 가능성이 발생하고, 위조방지 용지로서의 의미가 없게 된다. Wicker의 미국 특허 제5788285 및 Mowry 등의 미국 특허 제6000728에는 이러한 위조방지 용지의 제작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조방지 용지는 특수한 인쇄 기술을 충분히 이용함으로써 제작되기 때문에, 통상의 용지와 비교하여 비용이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조방지 용지는 제작 시에 설정한 문자만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위조방지 용지의 용도나 설정하는 문자가 제한된다. 즉, 종래의 위조방지 용지는 그 제작 상의 문제로 인해 용도라는 면에서 유연성에 부족하다.
한편, 여러가지 콘텐츠의 디지털 데이터화에 따라, 장표나 주민 카드 등의 콘텐츠도 마찬가지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장표나 주민 카드의 이용 등, 그 취급에 관한 디지털화는 아직 과도기에 있다. 그 결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한 디지털 데이터의 콘텐츠를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용지에 출력하고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최근 프린터 성능의 비약적인 향상이 달성되고 있고, 이는 종래의 위조방지 용지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 용지를 컴퓨터와 프린터를 이용하여 요구가 있는 즉시 인쇄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주목되는 한 이유이다. 일본 특개 2001-197297호 공보 및 일본 특개 2001-238075호 공보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콘텐츠 데이터를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 출력할 때에, 콘텐츠 데이터의 배경에 틴트 블록(복사 위조 방지 패턴)이라고 불리는 화상을 중첩하여 출력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틴트 블록 화상은 원본(프린터로 출력한 인쇄물)에 있어서는 사람의 눈에 대하여 단순한 패턴이나 단지 배경색으로만 인식되지만, 원본을 복사하면 복사물상에 소정의 문자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복사한 사람에게 위조방지 용지와 마찬가지의 제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가 컴퓨터로 생성된 틴트 블록 화상과 함께 출력되는 경우, 당연히 통상의 인쇄 용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기술이 위조방지 용지를 이용하는 기술에 비교하여 비용의 면에서 이점이 있다. 또한, 콘텐츠를 인쇄 출력할 때에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사 시에 가시화되는 문자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쇄를 실행한 사용자명이나 출력 일시 등의 동적인 정보를 문자로서 나타낼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틴트 블록 화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사되는 경우, 복사 전에는 인식할 수 없던 소정의 문자 등을 가시화하여, 그 복사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지하고, 복사물인 것, 바꾸어 말하면 원본이 아닌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식별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틴트 블록 화상은 기본적으로 복사시 복사물에 있어서 남아있는(나타나는) 영역과, 복사물에 있어서 사라지거나 혹은 상기 남아있는 영역에 비교하여 엷어서 인식하여 어렵게 되는 영역의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 2개의 영역은 인쇄한 상태에서는 거의 동일한 농도이므로, 거시적으로 언뜻 보아서는 "COPY"와 같이 복사에 의해서 가시화되는 문자 등이 숨겨져(매립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없다. 그러나, 미시적으로는 예를 들면 인쇄된 도트의 레벨에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2개의 영역은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후, 복사에 의해서 나타나는 화상을 "잠상"이라고 하고, 사라지거나 혹은 엷게 되는 화상을 "배경"이라고 편의적으로 부른다. 틴트 블록 화상은 기본적으로 이 잠상 화상과 배경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후술의 카무플라주(camouflage) 화상을 또한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용어로서 잠상을 전경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단, 틴트 블록 인쇄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복사물에 있어서 사람의 눈에 의해 인식가능한 화상으로서 "COPY"와 같은 문자나 로고, 패턴이 나타나는(가시화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사물에서 문자 "COPY"가 윤곽을 그린 문자로 표현되더라도 틴트 블록 인쇄로서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이 경우, "COPY"라는 문자를 배경 화상으로서 생성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전자 사진이나 잉크 젯 시스템과 같은 도트 프린터인 경우, 복사물에서 남아있는 영역(잠상부 또는 전경부)은 집중된 도트 매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남아있는 영역의 화상 농도에 비하여 엷은 농도로 재현되거나 사라지는 영역(배경부)은 분산된 도트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된 상태에서, 각각의 영역의 농도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방식으로 화상을 설정함으로써 틴트 블록 화상 전체의 농도가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는 2개의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트가 분산되어 배치되는 배경부와 집중된 도트의 매스가 배치되는 잠상부에 의해 틴트 블록 화상이 구성된다. 이 두 영역은 각각 다른 망점(half tone dot) 처리나 디더(dither) 처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망점 처리를 이용하여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 적은 선 수의 망점 처리는 잠상에 적합하고, 높은 선 수의 망점 처리는 배경부에 적합하다. 디더 처리를 이용하여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 도트 집중형 디더 매트릭스를 이용한 디더 처리는 잠상부에 적합하고, 도트 분산형 디더 매트릭스를 이용한 디더 처리는 배경부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는 원고의 미소한 도트를 판독하는 입력 해상도 및 미소한 도트를 재현하는 출력 해상도에 의존하는 재현 능력에 있어서 한계점을 갖는다. 틴트 블록 화상의 배경부의 도트가 복사기로 재현할 수 있는 도트의 한계점보다 작게 형성되고, 잠상부의 도트 매스가 한계점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복사에 의해 틴트 블록 화상의 큰 도트 매스에 의한 화상은 복사물상에 재현되고, 작은 도트에 의한 화상은 복사물상에 재현되지 않는다. 그 결과, 잠상이 가시화된다. 또한, 복사에 의해서 분산된 작은 도트가 완전하게 사라지지 않더라도, 배경부의 농도가 집중된 도트 매스와 비교하여 낮은 경우라도, 잠상은 상대적으로 보다 현저하게 인식될 수 있다.
도 25a 및 25b는 잠상의 가시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된 상태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5b는 도 25a를 복사기로 복사한 경우에 얻어진 복사물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5a와 도 25b에 의해, 집중된 도트 매스에 의한 잠상이 나타나고, 분산된 도트에 의한 배경이 사라지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원본에 있어서 잠상이 매립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기 어렵게 하는 "카무플라주"라는 기술이 틴트 블록 화상에 적용되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카무플라주는 잠상부 및 배경부와는 다른 농도의 패턴을 틴트 블록 화상에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기술이다. 카무플라주를 적용한 틴트 블록 화상은 잠상부 및 배경부와는 다른 농도의 카무플라주 화상이 인식되고 잠상부가 더욱 눈에 띄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무플라주 화상은 인쇄물에 장식적인 인상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26a는 카무플라주 화상이 제공되지 않은 틴트 블록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26b는 카무플라주 화상이 제공된 틴트 블록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복사후에 복사물에 있어서 가시화되는 잠상에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카무플라주 화상을 구성하는 도트는 복사물에 있어서 재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면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무플라주 화상을 윤곽이 그려진 화상으로 묘화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틴트 블록 인쇄가 실시된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틴트 블록 화상의 농도와 인쇄하여야 할 콘텐츠, 즉 인쇄 출력되는 화상(이하, 인쇄 대상이라고도 함)의 농도가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한 경우에는,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에 의해서 인쇄 대상을 인식하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7, 도 18 및 도 19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워터마크 인쇄 또는 중첩 인쇄의 형태로 인쇄 용지의 인쇄 가능 영역(이하, 물리 페이지라고도 함) 전체에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COPY PROHIBITED 등의 문자가 미리 인쇄된 위조방지 용지와 동일한 아이디어를 채택한 것이다. 인쇄되는 화상이 인쇄 용지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 관계로 인쇄되더라도, 잠상으로부터 가시화된 화상이 복사된 인쇄 대상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채택의 한 이유이다. 그 결과, 인쇄 출력 화상 전체가 틴트 블록 화상과 중첩되어 인쇄된다. 이 경우에, 인쇄 출력 화상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틴트 블록 화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농도이면, 인쇄 출력 화상을 식별하는 것이 종종 곤란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출력 화상과 해당 화상에 인접하는 부분의 틴트 블록 화상의 농도값이 가까운 경우에는 인쇄 출력 화상의 윤곽을 판별하기 어렵게 되고, 인쇄 출력 화상과 상기 화상에 중첩되는 부분의 틴트 블록 화상의 농도값이 가까운 값인 경우에는 인쇄 출력 화상 자체의 내용을 판별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도 27a 및 27b는 상술한 인쇄 출력 화상과 틴트 블록 화상에 있어서의 농도의 간섭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a는 틴트 블록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인쇄한 인쇄 출력예를 나타내고 있다. 틴트 블록 처리가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배경(512)은 인쇄 용지의 배경색이고, 배경의 농도는 인쇄 용지의 중앙의 인쇄 대상인 타원(511)의 농도와 다르다. 따라서, 이 농도 차에 의해 인쇄 대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7b는 틴트 블록 처리를 실시한 경우의 인쇄 출력예를 나타낸다. 중앙 타원(511)의 농도와 틴트 블록 화상(513)의 농도가 유사 하면, 타원(511)을 식별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되는 경우에서도 인쇄 출력 화상을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는, 인쇄 출력되는 제1 화상, 및 잠상 화상과 배경 화상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인쇄 매체의 인쇄 가능 영역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화상을 배치하고, 상기 인쇄 가능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외의 제2 영역에 상기 제2 화상을 배치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화상과 다른 화상이 되도록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서는, 인쇄 출력되는 제1 화상, 및 잠상 화상과 배경 화상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화상의 최대 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의 농도값이 상기 제2 화상의 상기 최대 농도값보다 소정값만큼 큰 농도값보다 큰 농도 범위내로 되도록 상기 제1 화상의 농도값을 보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서는, 인쇄 출력되는 제1 화상, 및 잠상 화상과 배경 화상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 리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는 인쇄 매체의 인쇄 가능 영역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화상을 배치하고, 상기 인쇄 가능 영역의 상기 제1 영역 외의 제2 영역에 상기 제2 화상을 배치하며,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화상과 다른 화상이 되도록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측면에서는, 인쇄 출력되는 제1 화상, 및 잠상 화상과 배경 화상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2 화상의 최대 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의 농도값이 상기 제2 화상의 최대 농도값보다 소정값만큼 큰 농도값보다 큰 농도 범위내로 되도록 상기 제1 화상의 농도값을 보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축소 인쇄나 N 업(N-up) 인쇄 등 인쇄 매체의 인쇄 가능 영역에 인쇄 출력하여야 할 화상을 인쇄하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이 있는 인쇄를 제어하는 경우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대한 인쇄 모드가 다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영역에는 인쇄 출력하여야 할 화상과 간섭하지 않는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영역에는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하지 않는 모드가 채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틴트 블록 화상을 제1 영역에 인쇄하지만, 인쇄 출력하여야 할 화상에 따라서 그 화상을 간섭하지 않는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하여, 제2 영역의 틴트 블록 화상과는 다른 모드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인쇄하여야 할 틴트 블록 화상의 최대 농도에 기초하여, 그 최대 농도보다 소정값만 높은 농도 범위에서 화상을 인쇄하기때문에, 인쇄하여야 할 화상은 농도 차에 의해서 틴트 블록 화상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틴트 블록 화상과 인쇄하여야 할 화상이 중첩되는 방식으로 인쇄되는 영역에서도 인쇄되는 화상의 내용이 명확하게 판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가 실행되는 경우에서도 인쇄 출력 화상을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효과,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수반하는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인 호스트 컴퓨터와 인쇄 장치인 프린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인쇄 처리 및 그것에 수반하는 틴트 블록 화상의 기본적인 묘화 데이터의 생성(복사 위조 금지 패턴)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사 시에 복사물에서 가시화되는 부분을 잠상부 또는 전경부라고 한다. 복사 시에 복사물에서 사라지거나 또는 잠상부에 비교하여 엷은 색으로 되는 부분을 배경부라고 한다. 그리고, 잠상부에는 "COPY" 및 "VOID"와 같은 텍스트 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틴트 블록 화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텍스트 정보는 복사물에서 주위의 화상에 대하여 윤곽이 그려진 문자와 같이 표현되는(가시화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 잠상부와 배경부 사이의 도트의 집중과 분산의 관계는 윤곽이 그려지지 않은 문자에 대한 관계에 역관계가 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틴트 블록 화상의 종류, 생성 처리, 색상, 형상, 사이즈 등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인쇄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이면, 단일 장치, 복수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및 LAN 및 W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시스템에 접속되어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도면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3000)는 ROM(3)의 프로그램 ROM 혹은 외부 메모리(11)에 저장된 문서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 20 이후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도형, 화상, 문자, 표(표 계산 등을 포함함) 등이 혼재하는 문서 처리의 실행을 제어하는 CPU(1)를 구비하고 있다. 이 CPU(1)가 시스템 버스(4)에 접속되는 장치의 제어를 총괄한다. ROM(3)의 프로그램 ROM 혹은 외부 메모리(11)는 CPU(1)의 제어 프로그램인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이하 OS) 등을 저장하고 있다. ROM(3)의 폰트 ROM 혹은 외부 메모리(11)는 문서 처리에 사용되는 폰트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다. ROM(3)의 데이터 ROM 혹은 외부 메모리(11)는 문서 처리 등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RAM(2)은 CPU(1)의 주 메모리, 작업 영역 등으로서 기능한다.
키보드 제어기(KBC)(5)는 키보드(9) 및 포인팅 장치로부터의 키 입력을 제어 한다. CRT 제어기(CRTC)(6)는 틴트 블록 화상의 표시를 포함하는, CRT 디스플레이(CRT)(10)에 의한 표시를 제어한다. 참조 번호 7은 디스크 제어기(DKC)를 나타내며, 부팅 프로그램, 각종 애플리케이션, 폰트 데이터, 사용자 파일, 편집 파일, 프린터 제어 커맨드 생성 프로그램(이하 프린터 드라이버) 등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HD),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FD) 등의 외부 메모리(11)와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프린터 제어기(PRTC)(8)는 쌍방향성 인터페이스(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프린터(1500)에 접속되어, 프린터(1500)와의 통신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CPU(1)는 예를 들면 RAM(2)상에 설정된 표시 정보 RAM에의 윤곽 폰트의 전개(래스터화) 처리를 실행하고, 이는 CRT(10)상에서의 WYSIWYG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CPU(1)는 CRT(10) 상의 도시되지 않는 마우스 커서 등으로 지시된 커맨드에 응답하여 이미 등록된 각종 윈도우를 열어서,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사용자는 인쇄를 실행할 때 인쇄의 설정에 관한 윈도우를 열어서, 프린터의 설정 및 인쇄 모드의 선택을 포함하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대한 인쇄 처리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프린터(1500)는 프린터(1500)에 설치된 CPU(12)에 의해서 제어된다. 프린터 CPU(12)는 ROM(13)의 프로그램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등 혹은 외부 메모리(1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시스템 버스(15)에 접속되는 인쇄부( 프린터 엔진)(17)에 인쇄 출력 정보로서의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ROM(13)의 프로그램 ROM은 CPU(12)의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ROM(13)의 폰트 ROM에는 인쇄 출력 정보를 생성할 때에 사용하는 폰트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ROM(13)의 데이터 ROM은 프린터가 하드 디스크 등의 외부 메모리(14)가 없는 것인 경우에는, 호스트 컴퓨터상에서 이용되는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CPU(12)는 입력부(18)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 처리가 가능하여, 프린터 내의 정보 등을 호스트 컴퓨터(3000)에 통지할 수 있다. RAM(19)은 CPU(12)의 주 메모리, 작업 영역 등으로서 기능하는 RAM이고,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확장 포트에 접속되는 선택적인 RAM 수단에 의해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RAM(19)은 출력 정보 전개 영역, 환경 데이터 저장 영역, NVRAM 등에 이용된다. 상술한 하드디스크(HD), IC 카드와 같은 외부 메모리(14)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MC)(20)에 의해 제어된다. 외부 메모리(14)는 옵션으로서 접속되고, 폰트 데이터, 에뮬레이션 프로그램, 폼(form)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참조 번호 1501은 상술한 조작 패널을 나타내며, 스위치, LED 표시기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외부 메모리(14)는 1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 이상의 외부 메모리(14)가 설치되고 내장 폰트 외에 옵션 카드 및 다른 언어 시스템에 속하는 프린터 제어 언어를 해석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외부 메모리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도시하지 않는 NVRAM을 갖고, 조작 패널(1501)을 통해 프린터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인쇄부(17)는 본 실시예에서 전자 사진 방식의 엔진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화상 및 수반하는 틴트 블록 화상은 이들 인쇄 데이터에 따라서 형성되는 토너의 도트에 의해서 인쇄된다. 또, 본 발명의 적용상, 인쇄의 방식은 물론 이러한 전자 사진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잉크 젯 방식과 같은 도트를 형성하여 인쇄를 행하는 어떠한 방식의 인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호스트 컴퓨터(3000)에서의 인쇄 처리를 위한 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애플리케이션(201), 그래픽 엔진(202), 프린터 드라이버(203) 및 시스템 스풀러(204)는 외부 메모리(11)에 저장된 파일로서 존재하고, 이들 각각은 실행되는 경우에 OS나 그 모듈을 이용하는 모듈에 의해서 RAM(2)에 로드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애플리케이션(201) 및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외부 메모리(11)의 FD나 도시되지 않는 CD-ROM, 혹은 도시되지 않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메모리(11)의 HD에 추가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201)은 RAM(2)에 로딩되어 실행된다. 이 애플리케이션(201)으로부터 프린터(1500)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은 그래픽 엔진(202)을 이용하여 출력(묘화)를 행하는데 그래픽 엔진(20)은 실행가능하도록 RAM(2)에 로딩된다.
그래픽 엔진(202)은 프린터 등의 인쇄 장치마다 준비된 프린터 드라이버(203)를 외부 메모리(11)로부터 RAM(2)에 로딩하고, 애플리케이션(201)의 출력을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설정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201)으로부터 수신된 GDI(Graphic Device Interface) 함수를 DDI(Device Driver Interface) 함수로 변환하여,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DDI 함수를 출력한다.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 수신한 DDI 함수에 기초하여, 프린터가 인식 가능한 제어 커맨드, 예를 들면 PDL(Page Description Language)로 변환한다. 변환에 의해 얻어진 제어 커맨드는 "OS"에 의해서 RAM(2)에 로딩된 시스템 스풀러(204)를 거치고, 인터페이스(21)를 통해 프린터(1500)에 인쇄 데이터로서 출력되도록 인쇄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 시스템은 프린터 드라이버(203) 내에 틴트 블록 처리부(205)를 갖는다. 틴트 블록 처리부(205)는 프린터 드라이버(203)의 빌트인(built-in) 모듈일 수 있고, 개별 설치에 의해 추가되는 라이브러리 모듈의 형식일 수도 있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틴트 블록 처리부(205)를 동작시킴으로써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에 관한 후술하는 틴트 블록 화상의 커맨드 생성 등을 실행한다.
또한, 틴트 블록 층 결정부(308)(도 3 참조)는 틴트 블록 처리부(205)에 설치된 모듈이고, 제2 실시예에서의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 순서의 자동 결정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 관련의 소프트웨어 모듈
도 3은 호스트 컴퓨터(3000)에서의 인쇄 처리를 위한 구성의 다른 예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구성을 확장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구성은,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인쇄 명령을 보낼 때에, 중간 코드로 이루어지는 스풀 파일(303)을 일시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의 구성에서, 애플리케이션(201)이 인쇄 처리로부터 해방되는 때는 프린터 드라이버(203)가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의 모든 인쇄 명령을 프린터의 제어 커맨드로 변환한 시점이다. 이에 대하여, 도 3의 구성에 있어서는, 스풀러(302)가 모 든 인쇄 명령을 중간 코드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스풀 파일(303)로 출력하는 시점이다. 통상, 후자가 단시간내에 끝난다. 또한, 도 3으로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스풀 파일(303)의 내용이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확대, 사이즈 축소, 복수의 페이지를 1 페이지에 축소하여 인쇄하는 등의 애플리케이션이 갖지 않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코드 데이터로 스풀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 2의 구성에 대해 시스템 확장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인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의해 제공되는 윈도우를 통해 설정을 행하며,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그 설정 내용을 RAM(2) 혹은 외부 메모리(11)에 저장한다.
이하,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확장된 처리 방식에서는,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의 인쇄 명령인 DDI 함수를 디스패처(301)가 수신한다. 디스패처(301)가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 수신한 인쇄 명령(DDI 함수)이 애플리케이션(201)으로부터 그래픽 엔진(202)에 행해진 인쇄 명령(GDI 함수)에 기초하는 것인 경우에는, 디스패처(301)는 외부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스풀러(302)를 RAM(2)에 로딩하여, 프린터 드라이버(203)가 아니고 스풀러(302)에 인쇄 명령(DDI 함수)을 송신한다.
스풀러(302)는 수신한 인쇄 명령을 해석하고 각각의 페이지에 대한 중간 코드로 변환하여 스풀 파일(303)에 출력한다. 페이지 단위로 저장되어 있는 중간 코드의 스풀 파일을 페이지 기술 파일(PDF:Page Description File)이라고 부른다. 또한, 스풀러(302)는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에 관한 처리 설정(N 업, 양면 인쇄, 스테이플링, 컬러/모노크롬 지정 등)을 프린터 드라이버(203)로부터 획득하고 작업 단위의 파일로서 스풀 파일(303)에 저장한다. 이 작업 단위로 저장되어 있는 설정 파일을 작업 설정 파일(종종 간략하게 SDF(Spool Description File)라고 함)라고 부른다. 이 스풀 기술 파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스풀 파일(303)은 외부 메모리(11) 상에 파일로서 생성되지만, RAM(2)상에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풀러(302)는 외부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스풀 파일 매니저(304)를 RAM(2)에 로딩하고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 스풀 파일(303)의 생성 상황을 통지한다. 그 후,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스풀 파일(303)에 보존된 인쇄 데이터에 관한 처리 설정의 내용에 따라서 인쇄를 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그래픽 엔진(202)을 이용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외부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디스풀러(305)를 RAM(2)에 로딩한다. 그리고,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디스풀러(305)에 대하여 스풀 파일(303)에 기술된 중간 코드의 페이지 기술 파일에 기초하는 제어 커맨드 생성 처리를 행하도록 지시한다.
디스풀러(305)는 스풀 파일(303)에 포함되는 중간 코드의 페이지 기술 파일을 스풀 파일(303)에 포함된 처리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설정 파일에 따라 처리하여, GDI 함수를 재생성하고, 또한 그래픽 엔진(202)을 통해 GDI 함수를 출력한다. 여기서,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에 관한 커맨드 생성을 위해, 틴트 블록 처리 부(205)가 로딩되어 처리를 실행한다.
디스패처(301)가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 수신한 인쇄 명령(DDI 함수)이 디스풀러(305)로부터 그래픽 엔진(202)에 발행된 인쇄 명령(GDI 함수)에 기초를 둔 것인 경우에는, 디스패처(301)는 스풀러(302)가 아니고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인쇄 명령을 보낸다.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 취득한 DDI 함수에 기초하여 페이지 기술 언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터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고, 시스템 스풀러(204)를 통해 프린터(1500)에 출력한다.
또한, 도 3은 상술한 확장 시스템 외에 프리뷰어(306), 설정 변경 에디터(307)를 배치하여, 틴트 블록 화상의 프리뷰를 포함하는 프리뷰, 인쇄 설정 변경, 복수의 작업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 프리뷰, 인쇄 설정 변경, 복수 작업의 결합을 행하기 위해서, 우선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프린터 드라이버의 특성에서, "출력 수신처의 지정"을 행하는 수단인 풀 다운 메뉴(901)에 있어서 "저장(STORE)"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 프리뷰만을 보고 싶은 경우에는, 출력 수신처의 지정으로서 "프리뷰(PREVIEW)"를 선택함으로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프린터 드라이버의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는 내용은 설정 파일로서 OS가 제공하는 구조체(Windows(등록상표) OS에서는, DEVMODE라고 불림)에 저장된다. 그 구조체에는 예를 들면 스풀 파일(303)에 저장된 처리 설정중에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서 저장을 실행하는지의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처리 설정을 판독하고 저장의 지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 파일(303)에 페이지 기술 파일과 스풀 기술 파 일이 생성 및 저장된다. 또한, 스풀 파일 매니저의 윈도우 화면이 팝업되어, 스풀 파일(303)에 스풀된 작업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스풀 파일 매니저의 윈도우 화면 상에서, 어떤 단일 작업 혹은 결합 작업의 프리뷰가 지정된 경우, 외부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프리뷰어(306)를 RAM(2)에 로딩하여 프리뷰어(306)에 대하여 스풀 파일(303)에 기술된 중간 코드의 작업의 프리뷰 처리를 행하도록 지시한다.
중간 인쇄 데이터의 보존 처리
도 4는 스풀 파일(303)을 생성하는 스풀러(302)에서 페이지 단위 저장 단계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서, 우선 단계 501에서는 스풀러(302)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그래픽 엔진(202)을 통해 인쇄 요구를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쇄 설정을 입력하는 다이얼로그가 표시되고, 프린터 드라이버가 이 다이얼로그로부터 입력된 인쇄 설정을 스풀러(303)에 전달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설정 입력 다이얼로그는 부호 801로 나타내는, 1 물리 페이지에 레이아웃되는 논리 페이지의 수를 결정하는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단계 502에서, 스풀러(302)는 수신한 인쇄 요구가 작업 개시 요구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단계 502에서 이 요구가 작업 개시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 흐름(흐름)이 단계 503으로 진행하여, 스풀러(303)가 중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스풀 파일(303)을 생성한다.
계속해서, 단계 504에서, 스풀러(302)는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 인쇄 처리 의 진척을 통지한다. 계속하여 단계 505에서, 스풀러(302)가 페이지 수 카운터를 1로 초기화한다. 여기서,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인쇄가 개시된 작업에 대한 작업의 정보나 처리 설정 등을 스풀 파일(303)로부터 판독하여 저장한다.
한편, 단계 502에서, 이 요구가 작업 개시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506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506에서, 스풀러(302)는 수신한 요구가 작업 종료 요구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요구가 작업 종료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507로 진행하여, 스풀러(302)가 이 요구가 페이지 공급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507에서 이 요구가 페이지 공급 요구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흐름이 단계 508로 진행하여, 스풀러(302)가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 인쇄 처리의 진척을 통지한다. 그리고, 스풀러(302)는 페이지 카운터를 증가시켜, 중간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페이지 기술 파일을 닫고, 다음의 페이지 기술 파일을 생성한다. 단계 507에서 수신된 요구가 페이지 공급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509로 진행하여, 스풀러(302)가 페이지 기술 파일로의 중간 코드의 기입을 준비한다.
다음에, 단계 510에서, 인쇄 요구를 스풀 파일(303)에 저장하기 위해서, 스풀러(302)는 인쇄 요구의 DDI 함수를 중간 코드로 변환한다. 단계 511에서, 스풀러(302)는 단계 510에서 저장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인쇄 요구(중간 코드)를 스풀 파일(303)의 페이지 기술 파일로 기입한다. 그 후, 흐름은 단계 501로 되돌아가서, 다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쇄 요구를 수신한다. 이 일련의 단계 501로부터 단계 511까지의 처리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작업 종료 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한다. 또한, 스풀러(302)는 동시에 프린터 드라이버(203)로부터 DEVMODE 구조체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 설정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작업 설정 파일로서 스풀 파일(303)에 저장한다.
한편, 단계 506에서, 스풀러(302)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쇄 요구가 작업 종료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인쇄 요구는 모두 종료되기 때문에, 흐름은 단계 512로 진행한다. 스풀러(304)는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 인쇄 처리의 진척을 통지하여 처리를 끝낸다.
스풀 파일의 생성
도 5는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서의 스풀 파일(303) 생성 프로세스와 인쇄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의 사이에서의 제어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601에서,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스풀러(302) 혹은 디스풀러(305)로부터의 인쇄 처리의 진척 통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602에서,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진척 통지가 전술의 단계 504에서 통지되는 스풀러(302)로부터의 인쇄 개시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통지가 인쇄 개시 통지이면, 흐름은 단계 603로 진행하여, 스풀러 파일 매니저(304)가 인쇄의 처리 설정을 스풀 파일(303)로부터 판독하여 작업의 관리를 개시한다.
한편, 단계 602에서, 그 통지가 스풀러(302)로부터의 인쇄 개시 통지가 아니면, 흐름은 단계 604로 진행한다. 단계 604에서,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진척 통지가 전술의 단계 508에서 통지되는 스풀러(302)로부터의 1 논리 페이지의 인쇄 종료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그 통지가 1 논리 페이지의 인쇄 종료 통지이면, 흐름은 단계 605로 진행하여, 이 논리 페이지에 대한 논리 페이지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단계 606에서, 이 시점에서 스풀링이 종료된 n 논리 페이지에 대하여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1 물리 페이지의 인쇄를 개시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인쇄 가능한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607로 진행하여, 인쇄하는 1 물리 페이지에 대하여 할당되는 논리 수에 기초하여 물리 페이지 번호를 결정한다.
물리 페이지의 계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처리 설정이 1 물리 페이지에 4 논리 페이지를 배치하는 설정인 경우, 제1 페이지는 제4 논리 페이지가 스풀된 시점에 인쇄 가능해지고, 인쇄 후에 제1 페이지가 출력된다. 계속해서, 제2 물리 페이지는 제8 논리 페이지가 스풀된 시점에 인쇄 가능하게 된다. 또, 논리 페이지 수의 총수가 1 물리 페이지에 배치되는 논리 페이지 수의 배수가 아니더라도, 단계 512에서의 스풀 종료 통지에 따라서 1 물리 페이지에 배치되는 논리 페이지가 결정 될 수 있다.
또한, 단계 608에서, 인쇄 가능해진 물리 페이지를 구성하는 논리 페이지 수와, 그 물리 페이지 등의 정보가 작업 출력 설정 파일(물리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에 저장된다. 저장 형식은 도 9에 도시한다. 물리 페이지 정보가 1 물리 페이지에 대하여 추가된 것이 디스풀러(305)에 통지된다. 그 후 흐름은 단계 601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통지를 대기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인쇄 작업이 종료되지 않더라도 인쇄 데이터의 1 페이지, 즉 1 물리 페이지를 구성하는 논리 페이지가 스풀된 시점에 인쇄 처리가 가능하다.
한편, 단계 604에서, 진척 통지가 스풀러(302)로부터의 1 논리 페이지의 인쇄 종료 통지가 아닌 경우에, 흐름은 단계 609로 진행하여,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전술의 단계 512에서 통지되는 스풀러(302)로부터의 작업 종료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그 통지가 작업 종료 통지인 경우에, 흐름은 전술한 단계 606으로 진행한다. 한편, 통지가 작업 종료 통지가 아닌 경우, 흐름은 단계 610로 진행하여,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수신된 통지가 디스풀러(305)로부터의 1 물리 페이지의 인쇄 종료 통지인지의 여부 판정한다. 여기서, 통지가 1 물리 페이지의 인쇄 종료 통지인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612로 진행하여, 모든 처리 설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처리가 종료된 경우, 흐름은 단계 612로 진행하여,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디스풀러(305)에 처리 종료의 통지한다. 한편, 처리 설정에 대한 처리가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흐름은 전술한 단계 606으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풀러(305)는 인쇄 처리를 행하는 단위로서 1 물리 페이지 수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단계 608에서, 1 물리 페이지의 인쇄 처리를 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파일에 순차적으로 저장하여, 그 파일을 재이용 가능한 형식으로 하고 있다. 재이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가 공유 메모리 등의 고속 매체를 사용하여, 물리 페이지 단위로 연속적으로 겹쳐쓰기하여, 속도를 향상하고 자원을 절약하는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디스풀링의 진척이 스풀링의 진척보다 빠른 경우나 전 페이지의 스풀링 종료 후에 디스풀링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단계 608에서, 각각의 물리 페이지에 대하여 페이지 인쇄가 가능함을 통지하지 않고서, 디스풀링측의 진척에 따라서, 복수의 물리 페이지 혹은 전 물리 페이지가 인쇄가능하게 되었다는 내용을 통지하여, 통지 횟수를 절약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통지가 디스풀러(305)로부터의 1 물리 페이지의 인쇄 종료 통지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흐름은 단계 613로 진행하여,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디스풀러(305)로부터의 인쇄 종료 통지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통지가 디스풀러(305)로부터의 인쇄 종료 통지라고 판정된 경우, 흐름은 단계 614로 진행하여,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해당하는 페이지 기술 파일(303)을 삭제하여 처리를 끝낸다. 한편, 통지가 디스풀러(305)로부터의 인쇄 종료 통지가 아닌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615로 진행하여, 스풀 파일 매니저(304)가 기타 통상 처리를 행하고 다음의 통지를 대기한다.
스풀 파일의 출력
도 6은 디스풀러(305)에서의 인쇄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디스풀러(305)는, 스풀 파일 매니저(304)로부터의 인쇄 요구에 따라서, 스풀 파일(303)로부터 필요한 정보(페이지 기술 파일 및 스풀 기술 파일)을 판독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인쇄 데이터는 PDL인 것도 이미 설명되었다.
인쇄 데이터의 생성함에 있어서는, 우선, 단계 701에서 전술의 스풀 파일 매니저(304)로부터의 통지를 디스풀러(305)에 입력한다. 계속되는 단계 702에서, 디스풀러(305)는 입력된 통지가 작업의 종료 통지인지 아닌지 판정한다. 통지가 작업 종료 통지이면, 흐름은 단계 703으로 진행하여, 디스풀러(305)가 종료 플래그를 설정하고, 흐름은 단계 705로 진행한다. 한편, 통지가 단계 702에서 작업 종료 통지가 아닌 경우에는, 흐름이 단계 704로 진행하여, 디스풀러(305)가 전술한 단계 608에서의 1 물리 페이지의 인쇄 개시 요구가 통지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통지된 요구가 단계 704에서 인쇄 개시 요구인 것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710으로 진행하여, 디스풀러(305)가 기타 에러를 처리하고, 흐름은 단계 701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통지를 대기한다.
한편, 단계 704에서 요구가 1 물리 페이지의 인쇄 개시 요구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705으로 진행하여, 디스풀러(305)가 단계 704에서 통지된 인쇄 가능한 물리 페이지의 ID를 보존한다. 계속하여 단계 706에서, 디스풀러(305)는 단계 705에서 ID를 보존한 모든 물리 페이지에 관하여 인쇄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 판정한다. 여기서, 전 물리 페이지가 처리된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707로 진행하여, 디스풀러(305)가 전술의 단계 703에서 종료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종료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쇄 작업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여, 디스풀러(305)가 처리 종료를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707에서, 종료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701로 되돌아가 다음의 통지를 대기한다.
한편, 단계 706에서, 인쇄 가능한 물리 페이지가 남아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708로 진행하여, 디스풀러(305)가 보존된 물리 페이지 ID로부터 미 처리의 물리 페이지 ID를 차례로 판독하여, 판독한 물리 페이지 ID에 대응하는 물리 페이지의 인쇄 데이터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판독하고 인쇄 처리를 행한다.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디스풀러(305)는 스풀 파일(303)에 저장된 인쇄 명령을 그래픽 엔진(202)이 인식 가능한 형식(GDI 함수)으로 변환하여 이를 전송한다. 복수의 논리 페이지를 1 물리 페이지에 레이아웃하는 처리 설정(이하 N 페이지 인쇄라 함)에 대해서는, 디스풀러(305)가 이 단계에서 사이즈 축소 및 배치를 고려하여 이를 변환한다.
필요한 인쇄 처리가 종료되었으면, 디스풀러(305)는 계속하여 단계 709에서 1 물리 페이지의 인쇄 데이터 생성의 종료를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 통지한다. 그리고, 흐름은 다시 단계 706으로 되돌아가서, 단계 705에서 보존해 둔 인쇄 가능한 물리 페이지의 모든 ID에 대하여 인쇄 처리를 행할 때까지 단계 708, 709, 및 706이 반복된다.
이상이, 디스패처(301), 스풀러(302), 스풀 파일 매니저(304), 및 디스풀러(305)를 이용한 인쇄 처리의 흐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하는 것에 의해, 스풀러(302)가 중간 코드를 생성하여 스풀 파일(303)에 저장하는 시점에서 애플리케이션(201)이 인쇄 처리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프린터 드라이버(203)로 인쇄 데이터를 직접 출력하는 것보다도 단시간내에 인쇄 처리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스풀 파일(303)에 프린터 드라이버의 인쇄 설정을 근거로 한 중간 파일(페이지 기술 파일, 스풀 기술 파일)을 일시적으로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인쇄되어야 하는 인쇄 프리뷰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파일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쇄 작업의 결합이나 재배열이 가능해지고, 인쇄를 실행하기 위해 재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도 인쇄 설정 의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스풀러(302)를 이용한 인쇄 처리에서, 그래픽 엔진(202)이 인쇄를 실행하는 시점에서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이 생성되고, 프리뷰나, 작업 결합 등을 행하는 경우에도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이 생성된다.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은 단일 작업인 경우는 스풀 기술 파일과 동일하고, 결합 작업인 경우에는 복수의 작업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이 생성된다. 여기서, 작업 출력 설정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의 구성
도 9는 단계 608에서 스풀 파일 매니저(304)에 의해 인쇄 가능하게 생성된 물리 페이지를 구성하는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의 예를 나타낸다. 필드(1001)는 작업을 식별하기 위한 ID에 대한 것이다. 이 ID는 본 정보를 보존하고 있는 파일명이나 공유 메모리의 명칭의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필드(1002)는 작업 설정 정보에 대한 것이다. 작업 설정 정보는 그래픽 엔진(202)에 대하여 작업의 인쇄를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조체; N 페이지 인쇄의 지정; 페이지 프레임 등의 추가 묘화의 지정; 부수, 스테이플링 등의 마감 지정 등 1개의 작업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는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작업 설정 정보(1002)에는 작업에 대한 기능에 따라 충분한 정보가 저장된다. 필드(1003)는 작업의 물리 페이지 수에 대한 것이고, 이는 본 필드 이후 이 수 만큼의 물리 페이지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가능한 물리 페이지 수를 통지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이 필드가 없더라도 동작 가능하다. 이 필 드 이후, 필드(1004)로부터 마지막 필드가 필드(1003)에 저장된 수만큼의 물리 페이지 정보를 저장한다. 물리 페이지 정보는 도 12에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필드(1002)에 도시된 작업 설정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드(1101)는 물리 페이지의 총 수에 대한 것이다. 필드(1102)는 전 논리 페이지의 총 수에 대한 것이다. 필드(1101 및 1102)는 인쇄 데이터에 추가하여 페이지 번호 등을 부가 정보로서 인쇄하는 경우 등에 이용한다. 인쇄가 계속되는 경우, 양 필드는 잠정적인 값으로 설정되거나, 혹은 인쇄가 종료할 때까지 스풀 파일 매니저(304)는 인쇄 가능한 물리 페이지의 정보의 작성을 연기한다. 필드(1103)는 본 인쇄 작업을 얼머나 많은 부수 인쇄하는가를 지정하는 부수 정보에 대한 것이다. 필드(1104)는 필드(1103)가 복수의 부수의 인쇄를 지정한 경우, 인쇄가 복사의 부수의 페이지 순서를 맞추는 설정을 하여야하는지의 여부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필드(1105)는 스테이플링, 펀칭, 및 Z 문자 폴딩과 같은 마감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프린터가 프린터 본체 혹은 외부에 피니셔를 갖는 경우에 지정된다. 필드(1106)는, 본 발명에 따른 틴트 블록 인쇄; 페이지 프레임 등의 장식; 날짜 등의 부가 정보; 사용자명; 페이지 수; 워터마크 인쇄 등의 작업에 대하여 부가하는 부가 인쇄 정보의 저장에 대한 것이다. 기능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본 작업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필드의 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가 양면 인쇄가 가능한 경우에는, 양면 인쇄의 지정을 저장하는 필드가 추가된다.
도 11은 도 9의 필드(1004)에 도시된 물리 페이지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필드(1201)는 물리 페이지 번호에 대한 것이고, 이 값은 인쇄 순서 의 관리나 물리 페이지 번호를 추가적으로 인쇄하고 인쇄하는 순서를 관리할 때 사용된다. 필드(1202)는 물리 페이지 설정 정보에 대한 것으로, 각각의 물리 페이지에 대하여 레이아웃 및 컬러/모노크롬을 지정 가능한 경우, 레이아웃이나 컬러/모노크롬의 설정을 저장한다. 필드(1203)는 이 물리 페이지에 할당되는 논리 페이지 수에 대한 것으로, 1 물리 페이지에 4 페이지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4" 혹은 "4 페이지 인쇄"를 도시하는 ID가 저장된다. 필드(1204) 및 이후의 필드는 필드(1203)에 의해 지정된 수만큼 논리 페이지의 정보를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201)에 의해 인쇄된 페이지 수에 의존하여 필드(1203)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 수보다도 실제 페이지 데이터 수가 적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이 불일치는 그 논리 페이지 정보에 빈 페이지를 나타내는 특별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대응한다.
도 12는 물리 페이지 설정 정보(120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드(1301)는 물리 페이지상의 논리 페이지의 배치 순서에 대한 것으로, N 페이지 인쇄에 있어서 물리 페이지상에 논리 페이지를 배치하는 방법(좌측위로부터 가로로, 좌측위로부터 아래로 등)의 지정을 저장하고 있다. 몇몇 시스템은 페이지 번호의 순서가 아니라 배치의 순서로 필드(1301)의 설정을 대용하여, 필드(1204) 이후의 논리 페이지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필드(1302)는 양면 인쇄의 정면/후면의 정보에 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제본 여백을 정면 및 후면에 대한 적합한 측에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필드(1303)는 컬러 페이지 또는 모노크롬 페이지를 지정하는 것에 대한 것으로, 프린터가 모노크롬 모드와 컬러 모드를 갖는 경우, 사용자가 컬러 페이지와 모노크롬 페이지가 혼재하는 문서에서 컬러 페이지를 컬러 모드로, 모노크롬 페 이지를 모노크롬 모드로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사용되는 값을 저장한다. 필드(1304)는 부가 인쇄 정보에 대한 것으로, 물리 페이지에 대하여, 페이지 번호 및 날짜 등의 부가 정보를 인쇄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물리 페이지 설정 정보에 대하여 시스템의 기능에 따라서 필드가 추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5 이후에 설명되는 틴트 블록 화상 인쇄는 물리 페이지에 대하여 부가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이는 도 10에 도시하는 필드(1106)에 보유된 틴트 블록 인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물리 페이지에 대한 설정 정보로서 필드(1304) 내에도 저장된다. 작업에 대한 부가 인쇄 정보(1106) 및 부가 인쇄 정보(1304)에서 틴트 블록 인쇄에 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 형식의 일례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3은 필드(1204)로 도시된 논리 페이지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드(1401)는 논리 페이지의 ID에 대한 것이고, 이 ID를 이용하여 스풀 파일(303)로부터 논리 페이지에 대응하는 페이지 기술 파일의 중간 코드를 참조한다. 이 ID는 이 ID를 이용하여 논리 페이지의 중간 코드에 액세스 할 수 있으면 되고, 파일, 메모리 포인터, 또는 논리 페이지를 구성하는 중간 코드 자신일 수 있다. 필드(1402)는 논리 페이지 번호에 대한 것으로, 논리 페이지를 부가 정보로서 인쇄하는 경우나 논리 페이지 ID의 보조 정보에 사용된다. 필드(1403)의 포맷 정보에는 논리 페이지 단위로 저장될 수 있는 각종 설정 항목이 저장된다. 예를 들면, 페이지 프레임 등의 부가 인쇄 정보, 및 확대/축소율 등의 논리 페이지 단위에 지정되는 각종 설정의 정보이다. 또한, 필요하면, 각각의 논리 페이지에 대한 컬러/ 모노크롬 정보 등의 논리 페이지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에, 논리 페이지 단위로 설정의 변경 또는 각각의 논리 페이지에 대한 속성 정보가 불필요한 시스템에서는 필드(1403)는 불필요하다.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 기술 파일도 작업 출력 설정 파일과 거의 마찬가지이고, 인쇄 형상(단면/양면, 제본 인쇄), 인쇄 레이아웃(N 업, 포스터 인쇄), 부가 정보(틴트 블록 인쇄 정보, 워터마크, 날짜, 사용자명 등), 부수, 용지 사이즈로 구성된 작업 정보; 및 논리 페이지의 배치 순서, 양면 인쇄의 정면 또는 후면인가, 컬러 모드 등로 구성된 물리 페이지에 대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지금까지 설명한 확장 시스템 외에, 작업의 설정 변경 기능을 갖는 설정 변경 에디터(307)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설정 변경 에디터(307)는 상술한 스풀 기술 파일 혹은 작업 출력 설정 파일의 내용을 대화식으로 변경가능하게 하는 에디터이다. 설정 변경 에디터(307)는 본 발명에 직접 관계하지않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의 설명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틴트 블록 화상의 워터마크 인쇄 또는 중첩 인쇄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6a에 도시하는 워터마크 인쇄 또는 중첩 인쇄를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라디오 버튼(2210)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워터마크 인쇄 또는 중첩 인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틴트 블록 화상 데이터와 인쇄 출력 화상 데이터(원고 데이터)의 최 종적인 중첩 순서가 정해진다. 그리고, 그 순서에 따라, 도 17에서 설명하는 틴트 블록 화상의 워터마크 인쇄 또는 도 18에서 설명하는 틴트 블록 화상의 중첩 인쇄가 실행된다. 또한, 워터마크 인쇄 및 중첩 인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5 내지 도 16a 및 도 16b는 틴트 블록 화상 인쇄에 관한 설정을 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프린터 드라이버(203) 내에 배치되어 있는 틴트 블록 인쇄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화면의 일례이다. 이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이얼로그의 특성 시트(2101)에서 틴트 블록 인쇄에 관한 설정을 사용자가 행할 수 있게 한다.
참조 번호 2102는 인쇄 작업에 대하여 틴트 블록 인쇄(틴트 블록 화상을 포함하는 인쇄, 이하 동일함)를 실행하는지를 지정하는데 이용되는 체크 박스이다. 이 지정은 도 10에서의 부가 인쇄 정보(1106) 내에 틴트 블록 인쇄를 행하는지의 설정으로서 저장된다. 참조 번호 2103은 틴트 블록 인쇄의 복수의 설정 정보를 1개의 식별자(스타일)로 지정 가능하게 하기 위한 스타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를 나타낸다.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복수의 스타일을 선택 가능하게 되고, 각 스타일과 도 14에 도시하는 틴트 블록 인쇄 정보의 관계가 레지스트리에 등록된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2104)을 누르는 것에 의해, 도 16a에 도시하는 스타일 편집용 다이얼로그(2201)가 표시된다. 참조 번호 2105는 틴트 블록 인쇄에서의 전경 및 배경 사이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때에 이용하는 체크 박스이다. 사용자가 버튼 (2106)을 누르는 것에 의해, 콘트라스트 조정 화면(도시되지 않음)이 표시된다.
도 16a는 틴트 블록 인쇄의 개개의 상세 설정을 편집하는데 이용되는 다이얼로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참조 번호 2201은 틴트 블록 화상 정보 편집용 다이얼로그 전체를 나타낸다. 이 표시 영역에서, 후술하는 개개의 틴트 블록 화상 정보에 의해서 생성되는 틴트 블록 화상의 결과가 프리뷰를 위해 표시된다. 참조 번호 2202는 도 15의 영역(2103)으로 선택 가능한 스타일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버튼(2203 및 2204)을 이용하여 신규 스타일의 추가, 임의의 스타일의 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참조 번호 2205는 현재 지정되어 있는 스타일 명칭이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2206은 틴트 블록 인쇄에 이용되는 묘화 대상의 종류를 선택하는 라디오 버튼이다. 사용자가 이 라디오 버튼(2206)을 조작하여 "문자열(CHARACTOR STRING)"을 선택하면 텍스트 대상이 사용되고, 사용자가 "화상(IMAGE)"을 선택하면, BMP 등으로 대표되는 화상 데이터가 사용될 것이다. 도 16a 및 도 16b에 "문자열"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얼로그(2201)에는 참조 번호 2207 내지 2209에 의해 지정된 설정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편집 가능하게 된다. 한편, 영역(2206)에서 "화상"이 선택되는 경우, 정보(2207 내지 2209)는 표시되지 않고, 그 대신에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드(2215)의 화상 파일 명칭 및 파일 선택 다이얼로그(도시 안됨)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2216)이 표시된다.
참조 번호 2207은 틴트 블록 화상으로서 사용하는 문자열을 표시 및 편집하 기 위한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2208는 문자열의 폰트 정보를 표시 및 편집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폰트 명칭만을 선택 화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서체의 정보(볼드, 이탤릭 등) 및 장식 문자 정보 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다. 참조 번호 2209는 틴트 블록 패턴으로서 사용되는 문자열의 폰트 사이즈를 표시 및 지정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대(LARGE)", "중(MEDIUM)", "소(SMALL)"의 3 단계로 지정 가능한 형식을 상정하고 있지만, 포인트 수의 직접 입력 등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폰트 사이즈 지정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참조 번호 2210은 틴트 블록 패턴과 원고 데이터의 인쇄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을 나타낸다. "워터마크 인쇄(WATERMARK PRINTING)"가 지정된 경우에는, 프린터의 비트맵 메모리 상에 틴트 블록 화상을 묘화한 후, 그 틴트 블록 화상 상에 겹쳐쓰도록 원고 데이터를 묘화한다. 한편, "중첩 인쇄(SUPERPOSITION PRONTING)"가 지정된 경우에는, 먼저 원고 데이터를 묘화한 후, 그 원고 데이터에 대하여 겹쳐쓰도록 틴트 블록 화상을 묘화한다. 묘화의 상세한 처리는 후술한다.
참조번호 2211는, 틴트 블록 패턴의 배치 각도를 지정하는 라디오 버튼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으로 올라감(UPWARD TO THE RIGHT)", "우측으로 내려감(DOWNWARD TO THE RIGHT)", "가로방향(HORIZONTAL)"의 선택이 가능하다. 각도를 임의로 지정 가능한 수치 입력 영역이나,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각도를 지정할 수 있는 슬라이더 바(slider bar) 등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각도지정 방법이 확장될 수 있다. 참조번호 2212은, 틴트 블록 패턴(전경 패턴 및 배경 패턴)에 이용되 는 컬러를 표시 및 지정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2213는, 전경 패턴 및 배경 패턴을 교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체크박스를 나타낸다. 이 체크 박스가 체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복사시에 복사물에서 전경 패턴이 나타나며, 체크되어 있는 경우, 복사시에 배경 패턴이 나타나고, 전경 패턴이 개괄적 특징으로 표현되도록, 틴트 블록이 인쇄된다.
참조번호 2214는, 원고에 임베드된 틴트 블록 패턴을 인식하기 어렵게 만드는, 카무플라주 화상을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영역을 나타내며, 복수의 패턴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또한, 카무플라주 화상의 미사용에 대한 선택도 제공된다.
틴트 블록 인쇄 설정 정보의 데이터 형식
다음, 도 16a 및 도 16b에 설명된 틴트 블록 인쇄 설정 정보에 관련되는 부가 인쇄 정보(1106, 1304)로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필드(2001)에서는, 도 16a의 영역(2206)으로 지정되는, 틴트 블록 인쇄에서 생성되는 묘화 대상(텍스트 형식 혹은 화상)의 형식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한다. 필드(2002)에서는, 도 16a의 영역(2207∼2209), 또는 도 16b에 의해 지정되는, 필드(2001)의 정보로 지정되는 묘화 대상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텍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문자열, 폰트명, 사이즈 정보를, 화상이 선택되는 경우, 입력될 화상 파일의 위치를 저장한다. 필드(2003)에서는, 도 16a의 영역(2210)에서 지정되는, 틴트 블록 패턴을 원고 데이터의 앞에서 혹은 뒤에서 묘화할지(묘화 순서)를 지정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필드(2004)에서는, 도 16a의 영역 (2211)에서 지정되는, 묘화 대상이 배치되는 각도 정보를 저장한다. 필드(2005)에는, 도 16a의 영역(2212)에서 지정되는, 틴트 블록 패턴(전경 패턴 및 배경 패턴)에 사용되는 컬러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필드(2006)에서는, 도 16a의 체크 박스 2213에서 지정되는, 전경 패턴과 배경 패턴의 교환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필드(2007)에서는, 도 16a의 영역(2214)으로 지정되는 카무플라주 화상의 패턴 부가 정보를 저장한다. 필드(2008)에서는, 전경 패턴의 농도 정보를 저장한다. 필드(2009)에서는, 배경 패턴의 농도 정보를 저장한다.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
도 17 및 도 18은, 틴트 블록 인쇄에서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그림들은 각각 도 16a에서 설명한, 각각 "워터마크 인쇄" 및 "중첩 인쇄"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도 6의 단계 708에서의 인쇄 처리, 즉 인쇄 데이터의 생성 처리의 과정에서 수행된다.
우선, "워터마크 인쇄", 즉, 먼저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 데이터가 미리 생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7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워터마크 인쇄"는 프린터의 비트맵 메모리에서, 틴트 블록 화상 데이터 위에 원고 데이터를 래스터화하는 처리이다. 그러므로, 인쇄 데이터의 생성 순서는, 원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에 앞서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단계 1901에서, 도 14에서 도시한 틴트 블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틴트 블록 처리부(205)는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한다. 그 상세한 처리는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후, 원고 데이터의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가 수행된다. 단계 1902에서, 카운터가 초기화된다. 단계 1903에서, 카운터가 미리 설정된 한 물리 페이지당의 논리 페이지 수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운터가 논리 페이지 수와 같다면, 본 처리를 종료하며, 같지 않다면 단계 1904로 진행한다. 단계 1904에서, 카운터를 1 증가시킨다. 단계 1905에서, 한 페이지당 논리 페이지 수 및 카운터를 기초로, 이 후에 인쇄 데이터 생성 처리를 하게 되는 논리 페이지에 대한 유효 인쇄 영역을 계산한다. 단계 1906에서, 도 11과 같은 형식으로 통지된 물리 페이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운터를 인덱스로서 사용하여 현재의 논리 페이지 번호가 판독되고, 해당 논리 페이지는 유효 인쇄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크기가 축소된다. 단, N 페이지 인쇄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연히 축소될 필요가 없다.
다음에, "중첩 인쇄", 즉, 먼저 원고 데이터의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첩 인쇄"는 프린터의 비트맵 메모리에서, 원고 데이터 상에 틴트 블록 화상을 래스터화하는 처리이다. 따라서, 인쇄 데이터의 생성 순서는, 틴트 블록 화상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에 앞서, 먼저 원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단계 1902에서, 카운터가 초기화된다. 다음, 단계 1903에서, 카운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한 물리 페이지당 논리 페이지 수에 도달되었는지 판정된다. 논리 논리 페이지 수와 같다면, 단계 1908로 진행하고, 같지 않다면, 단계 1904로 진행 한다. 단계 1904에서 카운터가 1 증가된다. 단계 1905에서, 한 페이지당 논리 페이지 수 및 카운터를 기초로, 이 후에 생성되는 논리 페이지에 대한 유효 인쇄 영역이 계산된다. 단계 1906에서, 도 11과 같은 형태로 통지된 물리 페이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운터를 인덱스로서 사용하여 현재의 논리 페이지 번호가 판독되며, 해당 논리 페이지는 유효 인쇄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크기가 축소된다. 단, N 페이지 인쇄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연히 축소될 필요가 없다. 한 물리 페이지로서 소정 수의 논리 페이지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었다면, 단계 1908로 진행한다. 단계 1908에서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되는 물리 페이지의 유효 인쇄 영역에 기초하여, 도 14에 나타낸 틴트 블록에 관한 정보에 따라, 틴트 블록 처리부(205)가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한다. 그 상세 처리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7에 나타낸 단계 1901의 틴트 블록 화상 생성 처리 및 도 18에 나타낸 단계 1908의 틴트 블록 화상 생성 처리의 세부사항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틴트 블록 화상 생성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단계 2701에서 틴트 블록 화상 생성처리가 시작된다. 구체적으로는, 틴트 블록 화상 생성방향과 전술한 틴트 블록 인쇄 설정정보가 틴트 블록 처리부(205)에 입력된다. 다음에, 단계 S2702에서, 틴트 블록 처리부(205)는 배경 임계값 패턴, 전경 임계값 패턴, 기초 화상, 카무플라주 화상을 판독한다. 여기서, 기초 화상이란,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화상 데이터이다. 이 것은 도 14에 도시한 각종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풀러(305)에 의해서 생성되는 화상이다.
또한, 단계 2703에서, 틴트 블록 처리부(205)는 틴트 블록 화상을 생성함에 있어서의 초기 화소를 결정한다. 예컨대, A4 용지의 인쇄 가능 영역 전체에 대하여 좌측 위로부터 우측 아래까지 래스터 주사 순서로 화상 처리를 수행하여 틴트 블록 화상이 생성되는 경우, 인쇄 가능 영역의 좌측위가 초기 위치로 지정된다. 이 경우, 인쇄 가능 영역과 틴트 블록 화상 영역이 동일하다.
다음, 단계 2704에서, 틴트 블록 처리부(205)는 배경 임계값 패턴, 전경 임계값 패턴, 기초 화상, 및 카무플라주 화상을 틴트 블록 화상 영역의 좌측위로부터 타일 형식으로 배치하는 처리를 이하의 수학식 1에 기초한 계산에 의해서 실행한다. 이 계산에 의해서, 인쇄 시의 도트에 대응하는 화소값이 상기 화소 위치에 기입되는지가 판정된다. 이 때, 화소값은 입력된 컬러의 정보에 대응한다. 여기서, 배경 임계값 패턴 및 전경 임계값 패턴은, 도트의 기입/미기입에 대응하는 "1" 및 "0"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데이터이다. 이러한 화상들은 전경(잠상) 화상 및 배경 화상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각각의 디더 매트릭스에 의해서 이진화된 데이터이다.
Figure 112007019912362-pat00036
수학식 1 식의 구성 요소들를 이하에 나타낸다.
nComouflage: 카무플라주 화상에서 목적 화소가 카무플라주 패턴을 구성하는 화소이면 0,그렇지 않으면 1.
nSmallDotOn: 배경 임계값 패턴의 화소값이 흑색이면 1, 백색이면 0(컬러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
nLargeDotOn: 전경 임계값 패턴의 화소값이 흑색이면 1, 백색이면 0(컬러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
nHiddenMark: 기초 화상에서 목적 화소가 잠상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이면 1, 배경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이면 0.
¬nHiddenMark: nHiddenMark의 부정. 전경부에서 0, 배경부에서 1이 됨.
처리될 각 화소에 대하여 모든 요소를 이용하여 수학식 1을 계산할 필요는 없다. 불필요한 계산을 생략하여 처리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nHiddenMark= 1이면, ¬nHiddenMark=0이고, nHiddenMark= 0이면, ¬nHiddenmark= 1이 된다. 따라서, nHiddenMark= 1이면 이하의 수학식 2의 값을 nLargeDotOn의 값으로 하고, nHiddenMark= 0이면, 수학식 2의 값을 nSmallDotOn의 값으로 하면 좋다.
또한, nCamouflage의 값은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괄호내의 항에 곱해지는 값이기 때문에, nCamouflage= 0이면, nWriteDotOn= 0이 된다. 따라서, nCamouflage= 0인 경우는 이하의 수학식 2의 계산을 생략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9912362-pat00037
또한, 화상의 길이 및 폭의 치수는 각각 배경 임계값 패턴, 전경 임계값 패 턴, 기초 화상, 카무플라주 화상의 길이들 및 폭들의 최소 공배수이다. 그러므로, 틴트 블록 처리부(205)가 반복의 최소 단위인 틴트 블록 화상의 일부분만을 생성하여, 그 틴트 블록 화상의 일부분을 틴트 블록 화상 영역 전체에 타일 형상으로 반복하여 배열하면, 틴트 블록 화상 생성에 관한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2705에서, 단계 2704에서 CPU(1)가 계산 결과(nWriteDotOn의 값)을 판정한다. 즉, nWriteDotOn= 1이면, 흐름은 단계 2706로 진행하고, nWriteDotOn= 0이면, 흐름은 단계 2707로 진행한다.
단계 S2706에서는, 인쇄 시의 도트에 대응하는 화소값을 기입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화소값은 틴트 블록 화상의 컬러에 의해서 바뀔 수 있다. 또한, 프린터의 토너 혹은 잉크의 컬러에 맞추어 화소값을 설정함으로써 컬러 틴트 블록 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토너나 잉크의 복수의 컬러를 조합한 2차색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단계 2707에서는, 처리될 영역의 전 화소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처리될 영역의 전 화소가 처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 2708로 진행하여, 미처리의 화소를 선택하고 다시 단계 2704-2706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고 데이터의 공백 영역, 백색 화상으로 칠해진 영역의 유무, 원고 데이터를 생성한 애플리케이션 등에 따라서, 워터마크 인쇄 인지 또는 중첩 인쇄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틴트 블록 인쇄를 사용하기 용이한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 틴트 블록 화상 데이터와 원고 화상 데이터를 비트맵 화상로서 합성하는 처리는 프린터(1500)에서 실행된다. 프린터에서의 합성 처리에서, 중첩 인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선 원고 화상 데이터를 비트맵 메모리상에 래스터화하고, 틴트 블록 화상 데이터를 원고 화상 데이터 상에 겹쳐쓰도록 래스터화한다. 이 때, 단순하게 틴트 블록 화상 데이터를 겹쳐쓰면, 원고 화상이 보이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중첩 인쇄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AND/OR 라고 하는 논리 묘화(logical drawing)를 이용함으로써 틴트 블록 화상이 원고 화상에 겹쳐쓰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다음의 처리가 수행된다: 원고 화상 데이터를 전개하여 얻어진 비트맵 화상의 화소가 백색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경우, 그 화소에 대응하는 틴트 블록 화상 데이터는 상기 화소 위치에 대응하는 비트맵 메모리 상에 겹쳐쓰고, 화소가 백색이 아닌 색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경우에는, 그 화소에 대응하는 틴트 블록 화상 데이터가 겹쳐써지지 않는다.
이상 설명된 시스템에 기초하여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의 몇가지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제1 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틴트 블록 화상 인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이는 소위 N 업 인쇄에서의 틴트 블록 화상의 인쇄에 관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예는 N=4의 N 업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그 시스템은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 용지(인쇄 매체) 내의 4개의 인쇄 영역(이후, 각 영역은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으로 언급됨) 내에 인쇄되지 않도록 구성되지만, 이 인쇄 영역을 제외한 공백 영역에는 인쇄된다.
구체적으로는, 참조번호 5201은 N 업 인쇄가 수행되는 경우의 인쇄 용지 내의 인쇄 가능 영역(물리 페이지)를 표시하고, 참조번호 5211, 5212, 5213, 5214는 각각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정된 인쇄 영역으로서의 페이지 배치 영역들(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을 표시한다. 이러한 N 업 인쇄의 설정이 스풀 기술 파일(SDF)에 있는 경우, 디스풀러(305)(도 3)가 물리 페이지를 영역들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각각의 영역 상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발행되는 페이지를 축소시키고 이동시킴으로써 인쇄를 수행하도록 그래픽 엔진에 지시한다.
이어서, 이 물리 페이지 내에 있으면서 어떤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도 속하지 않는 영역, 즉, 도 20에서 회색으로 도시된 영역(5220)에만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된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틴트 블록 화상 인쇄에 관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처리는 도 17에 도시된 "워터마크 인쇄"의 기본 구성에 기초하여, 단계 1905에서의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대한 유효 인쇄 가능 영역의 계산" 후에, 단계 1910에서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대한 유효 인쇄 가능 영역을 공백으로 렌더링하는 것, 즉 상기 영역의 화소 값이 제로로 되도록 묘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후에 단계 1906에서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서 묘화가 수행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1910에서는, 단계 1901에서 묘화되고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5211, 5212, 5213, 5214) 내에 레이아웃되는 틴트 블록 화상을 소거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이어서, 인쇄출력 화상이 그 후의 단계 1906에서 이 영역들에 묘화된다. 그 결과로서, 단계 1901에서 묘화된 틴트 블록 화상이 공백 영역(5220)에만 인쇄될 것이다. 도 17은 "워터마크 인쇄"의 예를 도시하고, 도 18은 "중첩 인쇄"의 예를 도시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대상이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되는 영역(5220)에 인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언급된 동일한 처리는 "워터마크 인쇄" 및 "중첩 인쇄" 둘 모두에서 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처리가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 내의 논리 페이지 데이터의 묘화와 틴트 블록 화상의 소거 간의 타이밍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지정함으로써 설명될지라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처리의 흐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타이밍은 단지 틴트 블록 화상이 최종적으로 공백 영역에만 형성되는 방식으로 제어될 것을 필요로 한다.
앞서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공백이 N 업 인쇄로부터 발생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이 공백에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된다. 이에 의해, 인쇄되는 화상이 무엇이든지, 틴트 블록 화상이 그 인쇄된 화상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틴트 블록 화상의 농도가 인쇄 출력 화상의 농도와 가까운 경우에도, 인쇄출력 화상이 양호하게 인식될 수 있고, 틴트 블록 인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그 인쇄된 화상의 품질 저하가 또한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은 논리 페이지에서 인쇄된 화상은 크기가 감소되었기 때문에 원래 사람의 눈으로 인식하기 어렵지만, 제1 실시예는 다른 영역에 틴트 블록 화상을 인쇄함으로써 본질적으로 사람이 인식하기 어려운 화상이 더 인식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복수의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과 그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 이외의 공백 영역이 있는 경우에, 앞서 언급된 N 업 인쇄와 같은 인쇄를 수행함에 있어서, 틴트 블록 화상이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도 인쇄되고, 이 틴트 블록 화상은 공백 영역에 인쇄된 틴트 블록 화상과는 다르게 행해지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인쇄된 틴트 블록 화상은, 그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인쇄 출력되는 화상이 인식가능해지도록 문자, 패턴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공백 영역에 인쇄되는 틴트 블록 화상과 구별된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구성은,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어, 물리 페이지에 대한 틴트 블록 설정과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대한 틴트 블록 설정이 도 14에 도시된 틴트 블록 인쇄의 데이터 구조내에 별개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서로 다른 틴트 블록이 물리 페이지(즉, 상기 언급된 공백 영역) 및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각각 인쇄될 수 있다.
도 22는 "중첩 인쇄"가 지정된 경우에 본 실시예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1906의 "논리 페이지 묘화" 후에,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대한 틴트 블록 패턴이 단계 1907에서 묘화된다는 점에서 도 21에 먼저 도시된 처리와 다른다.
"워터마크 인쇄"가 지정된 경우의 본 실시예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이 처리는 도 21에 도시한 처리와 다르다. 단계 1910에서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으로부터 틴트 블록 화상을 소거한 후, 공백 영역 내의 화상과 다르고 공백화된 데이터(화소 값이 제로) 이외의 틴트 블록 화상이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묘화된다는 것 이다. 그 후, 단계 1906에서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 내의 묘화가 수행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틴트 블록 화상의 농도가 인쇄 출력 화상의 농도와 가까운 경우라도, 인쇄출력 화상은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게다가, 틴트 블록 화상이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 내에도 인쇄되고 결과적으로 물리 페이지 전체에 틴트 블록 화상이 인쇄되기 때문에, 단지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틴트 블록 화상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인쇄물 전체의 인상이나 미관이 더욱 개선된 인쇄물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대한 논리 페이지 데이터의 묘화와 틴트 블록 화상의 소거 간의 타이밍이 앞서 지정된 바와 같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처리 흐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처리는 단지 서로 다른 틴트 블록 화상이 최종적으로 공백 영역과 논리 페이지 배치 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방식으로 제어되면 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인쇄출력 화상의 농도가 틴트 블록 화상의 농도보다 임의의 값 이상 높게 되도록 보정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에 사용되지 않는 농도 범위가, 각 유형의 프린터 등에 대해 설정된 농도 뿐만 아니라 틴트 블록의 잠상 화상의 농도와 배경 화상의 농도에도 기초하여, 미리 결정되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시되는 개개의 인쇄 대상의 농도가 검출되며, 인쇄된 화상의 농도는 상기 검출된 농도가 인쇄에 사용되지 않은 밀도 범위 내에 존재 하지 않도록 보정된다는 것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이 농도 보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잠상 화상의 농도와 배경 화상의 농도는 이론적으로 동일한 농도가 되지만, 실제로는 인쇄 장치의 특성 및 상태에 따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서 잠상 화상(전경 패턴)의 농도(Df)는 23이고, 배경 화상(배경 패턴)의 농도(Db)는 20이다. 이 농도에 대하여 인쇄 출력 화상(인쇄 대상)의 농도를 임의의 값 이상으로 높게하기 위해서, 농도 마진(Dm)이 설정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 값은 13으로 설정된다. 또, 이 농도 마진은 에컨대, 출력 장치의 기종이나 상태와 같은 요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 값은 각 장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동일한 장치에 대해서도 일정한 기간의 경과 후에 다르게 될 수 있다.
이어서, 일단 농도 마진이 설정되기만 하면, 인쇄에 사용되지 않는 농도 범위의 최대 농도(Dx)는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Dx = max(Df, Db)+ Dm
여기서, max(Df, Db)는 Df 및 Db 중 큰 값을 의미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Dx는 36이다. 이어서, 농도가 최대 농도(Dx)에서 최대 농도(Dmax)까지 범위의 농도에 존재하도록 인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농도 보상이 수행된다.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지시되는 대상의 농도(D-in)에 기초를 둔 인쇄를 수행함에 있어 지시되는 농도(D-out)는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즉, 도 23b에 도시된 직선 C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시되는 농도"의 보정이 다음의 식으로 수행된다:
D-out = (Dmax - Dx) / Dmax × D-in + Dx
구체적으로, 이상과 같은 농도 보정은 디스풀러(305)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인쇄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당연히, 동일한 보정이 화면 상에 출력되는 화상에 적용된 프리뷰어(306), 설정 변경 에디터(307)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지시되는 대상의 농도(D-in)가 상기의 농도 마진을 사용하여 설정된 최대 농도(Dx)보다 높은 경우에는,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은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원래 농도로 인쇄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틴트 블록 화상에 대하여 인쇄 출력하는 화상의 농도를 임의의 값 이상 높게하기 때문에, 인쇄된 화상의 농도는 틴트 블록 화상과 가까워지는 것이 방지되고, 인쇄된 화상의 식별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는 틴트 블록 화상과 농도가 가까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화상 윤곽이 희미해지는 등의 인쇄 화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쇄되는 화상이 중간 계조(gray scale) 화상인 경우에도, 인쇄 화상의 농도를 상기 식에 따라서 보상함으로써 원래의 계조를 거의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를 결합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논리 페이지에 인쇄된 틴트 블록 화상의 잠상 농도 및 배경 농도에 대하여 상기 농도 마진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는 소위 N 업 인쇄를 예로 들고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단순한 축소 인쇄와 같이, 인쇄 가능 영역에 인쇄 영역과 인쇄 영역 이외의 공백 영역을 생성하는 것과 같은 인쇄 형식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상술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다.
(또다른 실시예)
또,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판독기, 프린터 등)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고, 단일 장치로 이루어지는 기기(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각 도면에 도시한 흐름도의 수순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억 매체에 제정된 프로그램 코드를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판독 및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된다.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서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이 구비하는 메모리에 기입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 유닛을 구비하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그 처리에 의해서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라면 넓은 측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본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서 모든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출력 화상에 틴트 블록(tint block) 화상을 부가하여 인쇄하는 경우에서도 인쇄 출력 화상을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을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인쇄 출력되는 제1 화상과, 잠상 화상 및 배경 화상을 갖는 제2 화상을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제2 화상의 최대 농도값에 기초하여, 하한 농도값 이상의 농도값이 되도록 상기 제1 화상의 농도값을 변경하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하한 농도값은, 상기 제2 화상의 최대 농도값보다 소정값만큼 큰 농도값인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제1 화상에 상기 하한 농도값보다 작은 농도값이 있을 때에는, 해당 제1 화상의 농도값을 변경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인쇄 출력되는 제1 화상과, 잠상 화상 및 배경 화상을 갖는 제2 화상을 생성하는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제2 화상의 최대 농도값에 기초하여, 하한 농도값 이상의 농도값이 되도록 상기 제1 화상의 농도값을 변경하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하한 농도값은, 상기 제2 화상의 최대 농도값보다 소정값만큼 큰 농도값인 정보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화상에 상기 하한 농도값보다 작은 농도값이 있을 때에는, 해당 제1 화상의 농도값을 변경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삭제
  12.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의 인쇄 데이터 생성 수단으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방법의 인쇄 데이터 생성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40080937A 2003-10-10 2004-10-11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0750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2982A JP4266766B2 (ja) 2003-10-10 2003-10-10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JP-P-2003-00352982 2003-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115A KR20050035115A (ko) 2005-04-15
KR100750455B1 true KR100750455B1 (ko) 2007-08-22

Family

ID=3441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937A KR100750455B1 (ko) 2003-10-10 2004-10-11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89862B2 (ko)
EP (2) EP1528784B1 (ko)
JP (1) JP4266766B2 (ko)
KR (1) KR100750455B1 (ko)
CN (1) CN1312903C (ko)
DE (1) DE60200401756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4181B2 (en) 2002-10-10 2013-05-21 Document Security Systems, Inc. Single-color screen patterns for copy protection
JP4266766B2 (ja) 2003-10-10 2009-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5193648A (ja) * 2003-12-09 2005-07-21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92363A (ja) * 2004-09-24 2006-04-06 Canon Inc 印刷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4263156B2 (ja) * 2004-10-21 2009-05-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62186B2 (ja) * 2004-10-21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JP4096935B2 (ja) * 2004-10-22 2008-06-0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03272B2 (en) * 2004-11-15 2011-03-08 Canon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apparatus, print setting adjusting metho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readable program therein, and program
JP2006157195A (ja) * 2004-11-26 2006-06-1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2006186976A (ja) * 2004-12-02 2006-07-13 Ricoh Co Ltd 地紋認識手段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100628572B1 (ko) * 2004-12-10 200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트 문서 편집 방법 및 그 장치
JP4602805B2 (ja) * 2005-03-16 2010-12-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6277057A (ja) * 2005-03-28 2006-10-12 Brother Ind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56977B2 (ja) * 2005-03-29 2007-08-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707483B2 (ja) * 2005-07-08 2011-06-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651468B2 (ja) * 2005-07-08 2011-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13962B1 (ko) 2005-09-16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뷰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쇄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는장치 및 방법
JP4135012B2 (ja) * 2005-10-31 2008-08-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7166303A (ja) * 2005-12-14 2007-06-2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0558139C (zh) * 2005-12-15 2009-11-04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JP5441303B2 (ja) * 2006-01-20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785578B2 (ja) * 2006-03-17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817930B2 (ja) * 2006-03-31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95076B2 (ja) * 2006-03-3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機能制限方法及び印刷制御装置
US8488136B2 (en) 2006-05-12 2013-07-16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Printing system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7304931A (ja) * 2006-05-12 2007-11-22 Kyocera Mita Corp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印刷処理プログラム
JP4912052B2 (ja) * 2006-06-19 201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8675A (ja) * 2006-07-20 2008-02-0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処理プログラム
JP4829768B2 (ja) * 2006-12-19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を管理する管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を管理する管理装置の制御方法
JP5014832B2 (ja) * 2007-02-27 2012-08-2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263593A (ja) * 2007-03-19 2008-10-30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1973330B1 (en) 2007-03-19 2013-08-28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434282B2 (ja) * 2008-01-17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地紋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地紋画像生成装置
JP4502014B2 (ja) * 2008-01-17 2010-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地紋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地紋画像生成装置
JP5121611B2 (ja) * 2008-07-11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96681B1 (ko) * 2008-09-24 201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5467627B2 (ja) * 2008-12-22 2014-04-0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8817330B2 (en) * 2009-04-14 2014-08-26 Troy Group, Inc. Method for adjusting quality of a pantograph background pattern
JP5460215B2 (ja) * 2009-09-2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10199647A1 (en) * 2010-02-12 2011-08-18 Kabushiki Kaisha Toshiba Woven patter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woven pattern image processing method
US8451500B2 (en) * 2010-12-13 2013-05-28 Xerox Corporation Watermark encoding via pixel spacing modulation
JP5794007B2 (ja) * 2011-07-15 2015-10-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9087287B2 (en) 2013-03-13 2015-07-21 Xerox Corporation Individualizing reduction of original pages in N-up copying or printing
JP2015148847A (ja) 2014-02-04 2015-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ョブ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07891B1 (en) * 2014-09-30 2015-12-08 Ricoh Company, Ltd. Hidden information at flush pattern locations for print jobs
US9699357B1 (en) * 2016-05-03 2017-07-04 Xerox Corporation Printing devices and methods for rendering a surface using different color modes and profiles
JP2020019182A (ja) * 2018-07-31 2020-02-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2827A1 (en) * 1991-07-12 1993-01-13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Varying tone securing document
US6000728A (en) 1991-07-12 1999-12-14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Security document
KR20010111242A (ko) * 2000-06-09 2001-12-17 민태영 복사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370A (en) * 1982-09-10 1986-04-01 Burroughs Corporation Multi-tone cancellation phrase and background
US4582346A (en) * 1984-05-08 1986-04-15 Moore Business Forms, Inc. Document security system
GB2262065A (en) * 1991-12-07 1993-06-09 Moore Business Forms Inc Security printed document resistant to xerographic copying.
US5788285A (en) * 1996-06-13 1998-08-04 Wicker; Thomas M. Document protection methods and products
JP4054444B2 (ja) * 1997-07-30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3673643B2 (ja) * 1997-07-30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レイアウト装置及び印刷レイアウト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0050050A (ja) 1998-07-30 2000-0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092529B2 (ja) 1999-11-02 2008-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2001238075A (ja) 2000-02-23 2001-08-31 Nec Corp 画像出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方法
CA2552467C (en) * 2000-06-09 2009-08-11 National Printing Bureau, Incorporated Administrative Agency Authenticity discriminable printed matter and method of generating the same
JP2002067548A (ja) 2000-09-01 2002-03-08 Kobayashi Kirokushi Co Ltd 地紋入り印字紙及び地紋入り印字紙を利用した偽造防止帳票
JP2002190945A (ja) * 2000-10-12 2002-07-0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3809389B2 (ja) * 2001-04-19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印刷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47817B2 (ja) * 2002-01-16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26038B2 (ja) * 2002-01-17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印刷方法並びに印刷装置
JP2003308215A (ja) * 2002-02-14 2003-10-31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EP1398694B1 (en) * 2002-07-26 2013-09-1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5050050A (ja) 2003-07-31 2005-02-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通知方法及びシステム、情報通知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情報通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66766B2 (ja) 2003-10-10 2009-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2827A1 (en) * 1991-07-12 1993-01-13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Varying tone securing document
US6000728A (en) 1991-07-12 1999-12-14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Security document
KR20010111242A (ko) * 2000-06-09 2001-12-17 민태영 복사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9862B2 (en) 2009-09-15
US20090303510A1 (en) 2009-12-10
EP1528784B1 (en) 2008-11-05
EP1528784A3 (en) 2006-01-18
JP4266766B2 (ja) 2009-05-20
JP2005117589A (ja) 2005-04-28
KR20050035115A (ko) 2005-04-15
CN1312903C (zh) 2007-04-25
US8049928B2 (en) 2011-11-01
EP1993276A3 (en) 2011-11-30
DE602004017561D1 (de) 2008-12-18
US20050088701A1 (en) 2005-04-28
EP1993276A2 (en) 2008-11-19
CN1606329A (zh) 2005-04-13
EP1528784A2 (en)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455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US8189212B2 (en) Printing control based on a selected printing mode by a user
JP42900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774219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JP5103659B2 (ja) 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18797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印刷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93796B2 (ja) 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711032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5115875A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