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176B1 -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176B1
KR100745176B1 KR1020010026847A KR20010026847A KR100745176B1 KR 100745176 B1 KR100745176 B1 KR 100745176B1 KR 1020010026847 A KR1020010026847 A KR 1020010026847A KR 20010026847 A KR20010026847 A KR 20010026847A KR 100745176 B1 KR100745176 B1 KR 10074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raking
reel
bale arm
b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485A (ko
Inventor
사토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8962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95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40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341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2000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부재의 이동량의 변동에 상관없이 로터를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있고 또한 제동부재로의 접촉시에 이동부재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터 제동장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 제동하는 장치로서, 제동부재와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재는 릴 본체의 로터에 면하는 앞부분에 마련되고, 제동면과, 제동면 앞쪽에 제동면과 연속되어 마련되며 제동면보다 서서히 패인 도입면을 적어도 외형의 일부에 갖는 탄성체 부재이다. 이동부재는 베일 아암의 줄 권취자세로부터 줄 개방자세로의 요동에 연동되어 도입면 쪽으로부터 제동면에 접촉하도록 제동부재의 압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로터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부재이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Brake device for rotor of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의 좌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제1 로터아암의 평면도.
도 4는 제1 로터아암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베일 반전기구를 도시한 릴 몸체의 정면도.
도 6은 베일 반전기구를 도시한 릴 몸체의 저면 부분도.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의 도 3a 및 도 3b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릴 본체
3...로터
17...베일 아암
18...베일 반전기구
50, 80...토글 스프링 기구
51, 151...이동부재
51a...선단부
51b...중간부
51c, 151c...후단부
52...절환부재
54...로터 제동기구
55, 81...로드
56...가이드부재
57, 82...코일 스프링
60a...경사면
65...제동부재
65a...제동면
65b...도입면
본 발명은 로터 제동장치,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아암의 요동에 대응해서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의 로터에는 낚싯줄을 스풀에 안내하기 위한 베일 아암 이 마련되어 있다. 베일 아암은 낚싯줄을 감을 때에 낚싯줄을 스풀 외주로 안내하는 줄 권취자세와 스풀에서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줄 권취자세로부터 넘어진 줄 개방자세를 취할 수 있다.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유지함과 동시에 로터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해서 줄 개방자세에서 줄 권취자세로 되돌리기 위해서 로터에는 베일 반전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베일 반전장치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4839호에 개시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베일 반전장치는, 베일 아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에 선단이 결합되고 로터에 장착된 토글 스프링과, 베일 아암의 요동 중심의 근방에 선단이 결합되며 기단(基端)이 릴 본체를 향해서 전후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에 접촉하도록 릴 본체에 마련되는 절환돌기를 갖추고 있다.
토글 스프링은 베일 아암을 2가지 자세로 양분하여 가압하고 베일 아암을 2자세로 유지한다. 토글 스프링은 로터의 로터 아암에 형성된 홈부에 수납된 코일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가압되는 링크부재를 가지고 있다. 링크부재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압압되는 축부재와, 축부재의 선단에 소정 범위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크를 가지고 있다. 이 링크의 선단이 베일 아암의 요동 중심 근방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부재는 줄 개방자세로 베일 아암이 요동되면 절환돌기에 접촉하는 위치로 후퇴한다. 그리고 로터가 줄 권취 방향에 회전하면 절환돌기에 접촉하여 전진한다. 이 전진에 의하여 토글 스프링이 수축하고 토글 스프링에 의해서 베일 아암이 줄 권취자세로 돌아간다.
이러한 구성의 베일 반전장치에서는 줄 개방자세로 베일 아암이 요동하면 이동부재가 절환돌기에 접촉하는 위치로 후퇴한다. 이 때 토글 스프링에서는 링크가 요동하면서 사점(死點)을 넘을 때까지는 축부재가 후퇴하고 사점을 넘으면 축부재가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가압되어 전진한다. 그리고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재가 절환돌기에 접촉하여 전진한다. 이 전진에 의하여 링크가 요동됨과 동시에 축부재가 사점을 넘을 때까지 후퇴한다. 그리고 사점을 넘으면 전진하여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로 돌린다.
이러한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을 실시하여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는 로터의 역회전을 금지한 상태에서 낚싯줄을 집게손가락의 안쪽 아래 부분으로 걸고 나서 베일 아암을 줄 개방자세로 반전시킨다. 이 때에는 낚싯줄을 걸기 쉽도록 라인 롤러가 낚싯대 쪽이 되도록 로터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낚싯대를 내리고 그 도중에서 낚싯줄을 집게손가락에서 놓아서 낚시바늘 뭉치가 착수되는 것을 기다린다. 낚시바늘 뭉치가 착수된 후 기구가 적당히 내려간 시점에서 핸들을 조금 감아 베일 반전장치에 의해서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로 돌린다.
또, 캐스팅 후나 배낚시할 때 등에 낚시바늘 뭉치의 자중으로 낚싯줄을 풀어낼 때에는 베일 아암을 줄 개방자세로 반전시킨 후 집게손가락의 선단부로 스풀 선단을 누르고 낚싯줄에 집게손가락의 안쪽 아래 부분을 접촉시켜 줄 나가기를 방지하는 서밍이라는 조작을 실시한다. 이 때에는 베일 아암이 장애가 되지 않을 만한 위치로 로터를 회전시킨다.
상기 종래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베일 아암을 줄 개방자세로 두었을 때에 역회전 방지기구로 인하여 역회전이 금지되어 있으면 줄 풀림 방향으로 로터가 회전하는 일은 없다. 그렇지만 줄 권취 방향으로는 로터가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근래에 로터는 높은 감아들이기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회전 밸런스가 향상되어 있으므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밸런스를 향상시킨 스피닝 릴에서는 줄 권취 방향으로 간단히 회전되기 쉽다. 로터가 회전하면 캐스팅이나 서밍 각각에 적합한 회전 위상으로 로터를 회전시켜도 로터의 회전 위상이 쉽게 어긋날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릴 본체에 접촉하여 로터를 제동하는 제동부재가 이동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부재는 이동부재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면 릴 본체의 앞쪽 면에 접촉하여 압축되어 로터를 제동한다. 이와 같이 베일 반전 시에 로터를 탄성적으로 제동하면 로터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로터의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이동부재에 장착된 제동부재가 릴 본체에 접촉되어 압축됨으로써 로터를 제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작 오차나 부착 오차 등에 의하여 이동부재의 접촉 위치가 전후로 변동하면 제동부재의 압축량이 변동한다. 압축량이 변동하면 로터의 제동력이 변동되어 로터를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제동부재를 릴 본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동부재를 제동부재의 압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동부재의 단부(端部)에서 바깥쪽 면을 향하여 이동시켜서 제동부재에 접촉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동부재의 이동량의 변동에 상관없이 로터를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이렇게 구성하면 이동부재가 제동부재의 단부에 접촉할 때에 이동부재가 원활하게 이동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동부재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로부터 줄 개방자세로 원활하게 절환시키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토글 스프링이 베일 아암을 가압하여 줄 권취자세로 돌릴 때에 축부재는 요동하지 않고 링크만이 축부재에 대해서 요동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가압방향과 링크가 베일 아암을 압압하는 방향이 다른 방향이 된다. 따라서 축부재로부터 링크를 통해서 베일 아암으로 전달되는 힘이 링크의 요동 각도만금 작아져서 토글 스프링이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로 되돌릴 힘이 약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을 강화하면,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로부터 줄 개방자세로 반전시킬 때 반전에 필요한 힘이 커져서 베일 아암을 반전시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줄 개방자세에서 로터를 제동 가능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의 이동량의 변동에 상관없이 로터를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있으며 또한 제동부재에의 접촉시에 제동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로터 제동장치를 갖는 베일 반전장치에 있어서 토글 스프링의 가압력을 베일 아암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발명 1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서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로서, 이동부재와 제동부재를 갖추고 있다. 이동부재는 베일 아암의 줄 권취자세에서 줄 개방자세로의 요동에 연동해서 로터 내에서 릴 본체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로터에 장착된 부재이다. 제동부재는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베일 아암이 줄 개방자세에 있을 때에 이동부재가 접촉 가능한 제동면과, 제동면과 연속해서 이동부재의 이동방향 상류쪽에 마련되고 이동방향 상류쪽이 하류쪽보다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도입면을 갖추며 상기 릴 본체에 마련된 탄성체제의 부재이다. 이 로터 제동장치에 있어서는, 베일 아암이 줄 권취자세에서 줄 개방자세로 요동하면 그것에 연동되어서 이동부재가 도입면쪽으로부터 제동면에 접촉해서 로터가 제동된다. 여기서는 제동면의 이동 방향 상류쪽에 상류쪽이 하류쪽보다 이동부재에서 멀어지도록 도입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동면이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의 이동량이 변동되어도 제동력이 변화되지 않고 로터를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동면을 향하여 서서히 이동부재에 가까워지는 도입면 쪽으로부터 제동면에 접촉하므로 이동부재의 이동이 원활해진다.
발명 2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는 릴 본체 앞부분에 이동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실질적으로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탄성체제이다. 이 경우에는 로터의 회전 위상에 대한 제동 가능한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발명 3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 서, 제동면은 제동부재의 외주면에 평탄한 원주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입면은 상기 제동면의 앞부분에 앞쪽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감소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는 선단부가 상기 베일 아암에 결합되고, 상기 베일 아암의 요동에 연동되어 줄 권취자세에 대응하는 릴 본체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줄 개방자세에 대응하는 릴 본체에 접근하여 도입면을 거쳐서 상기 제동면에 접촉하는 제2 위치에 후단부가 적어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아암이 줄 권취자세에서 줄 개방자세에 요동하면 이동부재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도입면 쪽으로부터 제동면에 접촉한다. 여기서는 이동부재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제동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동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의 구성이 간소하다.
발명 4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도입면은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 형상의 테이퍼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입면의 형상이 간소하기 때문에 도입면의 형성이 용이하다.
발명 5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도입면은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감소되는 둥그스름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입면이 둥그스름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가 이동되면서 제동면에 접촉할 때에 더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베일 아암 자세의 절환이 더 원활해진다.
발명 6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 서, 이동부재는 선단부가 베일 아암의 요동 중심 근방을 향하여 요동 축심을 따르도록 굴곡되고 후단부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향하여 굴곡되며 그 사이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서 배치된 부재로서 후단부가 로터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단부가 베일 아암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요동 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는 굴곡되게 형성된 이동부재의 선단부를 베일 아암에 결합하고 후단부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만 하면 베일 아암의 요동 운동을 이동부재의 후단부의 전후 운동에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다.
발명 7에 따른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결합홈부는 베일 아암의 요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호 형상의 홈이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아암이 요동해서 이동부재의 선단부가 원호 형상의 홈의 요동 방향 상류쪽 단부(端部)에 접촉하면 이동부재가 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이동부재의 이동이 종료되어도 베일 아암은 토글 스프링 기구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동부재의 선단부가 홈의 요동 방향 하류쪽의 단부에 접촉될 때까지 더 요동한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의 이동량보다 베일 아암의 요동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발명 8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의 제동면에 접촉하는 후단면은 둥그스름하다. 이 경우에는 제동부재에 접촉하는 이동부재의 후단면이 둥그스름하므로 이동부재가 이동되면서 제동부재에 접촉할 때나 제동부재로부터 이격될 때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두 자세에서의 자세 절환이 원활하게 된다.
발명 9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 서, 베일 아암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양분하여 가압하는 토글 스프링 기구와 릴 본체의 앞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로터가 줄 권취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위치로 이동한 상기 이동부재의 돌출된 후단부에 접촉하며 이동부재를 제1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절환부를 더 갖는다. 이 경우에는 베일의 반전장치와 로터 제동장치에서 구성 요소를 겸용할 수 있어서 컴팩트한 스피닝 릴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 10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9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베일 아암의 이동부재의 결합 위치와 다른 위치에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일 아암을 상기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양분하여 가압하며 또한 그 가압방향이 상기 베일 아암의 요동에 대응해서 변화한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아암이 줄 권취자세에서 줄 개방자세로 반전하면 이동부재의 타단이 제2 위치에 이동한다. 이 때, 토글 스프링 기구는 일단 사점까지 수축한 후 신장하여 베일 아암을 줄 개방자세 쪽으로 힘을 보탠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위치로 이동한 이동부재의 선단에 절환부가 접촉하여 이동부재가 제1 위치 쪽으로 압압되어 이동한다. 그러면, 베일 아암이 줄 권취자세 쪽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토글 스프링 기구의 사점을 넘으면, 토글 스프링 기구가 신장하여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 쪽으로 압압한다. 이 결과 베일 아암이 줄 개방자세로 반전하고 또한 그 자세로 유지된다. 이 줄 권취자세로의 요동시 토글 스프링 기구의 가압방향은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서 변화한다. 여기서는 베일 아암이 요동할 때에 토글 스프링 기구의 가압력이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 변 화하므로 토글 스프링 기구의 가압력을 베일 아암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발명 11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9 또는 10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베일 아암에 일단이 결합된 축부재와, 축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안내하고 또한 로터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 부재와,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축부재를 진출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베일 아암이 요동하면 토글 스프링 기구의 가이드 부재가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서 요동하므로 베일 아암을 압압하는 방향이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서 변화되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이 축부재를 통해서 베일 아암에 효율적으로 전달된다.
발명 12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9 또는 10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베일 아암에 일단이 결합된 축부재와, 로터에 안내되며 일단이 상기 축부재에 타단이 상기 로터에 각각 걸려서 지지되어 축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토글 스프링 기구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토글 스프링 기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 13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1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축부재의 외주 쪽에 배치되고 축부재에 걸려서 지지되는 일단의 감김 직경이 다른 부분보다 작은 코일 스프링이다. 이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의 일단의 감김 직경이 작고 다른 부분이 크므로 일단을 축부재에 걸어서 지지해도 축부재와의 사이에 큰 틈이 생긴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 내부에서 축부재가 자세를 바꿔도 코일 스프링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발명 14에 따른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장치는 발명 1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 서, 가압부재와 상기 로터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부재를 안내하는 합성 수지제 시트 부재를 더 갖는다. 이 경우에는 가압부재가 로터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가압부재가 신축되어도 로터가 손상을 입지 않는다. 이 때문에 로터를 마그네슘 합금 등 비교적 부식되기 쉬운 금속으로 형성해도 로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제 시트 부재에 의하여 가압부재가 신축되기 쉬워진다.
발명 15에 따른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장치는 발명 9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재는 절환부가 마련된 부분에서 직경 방향 안쪽으로 우회한 D자형의 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절환부와 제동부재를 같은 원호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 가능하게 되며 이동부재의 후단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발명 16에 따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는 발명 9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환부는 상기 로터의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쪽이 상류쪽보다 릴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로터쪽으로 돌출한 제1 경사면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이동부재가 절환 부재의 제1 경사면에 접촉하며 서서히 로터 쪽으로 압압된다. 그러면, 베일 아암이 줄 권취자세로 돌아간다. 여기서는 제1 경사면에 의해 원활하게 베일 아암을 줄 권취자세로 복귀시켜 줄 수 있다.
발명 17에 따른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장치는 발명 16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환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돌출 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1 경사면의 돌출 부분에서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쪽을 향하여 돌출량이 감소되는 제2 경사면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제1 경사면과 함께 산 모양의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 제2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이동부재가 절환 부재 에 접촉해도 제2 경사면에서 절환 부재로 원활하게 안내되어 손상을 입기 어려워진다.
발명 18에 따른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장치는 발명 16 또는 17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환부의 경사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동부재의 이동부재와의 접촉부보다 로터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동부재를 마련해도 이동부재가 절환부에 확실히 맞닿아 베일 아암을 줄 개방자세에서 줄 권취자세로 돌릴 수 있다.
발명 19에 따른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면은 제동부재의 앞쪽 단면에 평탄한 환상면(環狀面)으로 형성되고 도입면은 제동면의 앞부분 외주 쪽에 뒤쪽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확대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이동부재는 선단부가 베일 아암에 결합되고 베일 아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줄 권취자세에 대응하는 릴 본체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줄 개방자세에 대응하는 릴 본체에 접근하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연동부와, 연동부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로터에 마련되며 연동부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 도입면을 거쳐 제동면에 접촉하는 이동부를 갖춘다. 이 경우에는 제동부재의 앞쪽 단면에 제동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동면의 평면도를 높게 유지하기 쉬워져서 제동력을 더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갖춘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 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으로서 로터(3)의 앞 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릴 몸체(2a)와 릴 몸체(2a)의 공간을 막기 위하여 릴 몸체(2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 부재(2b)를 갖고 있다.
릴 몸체(2a)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로서 상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T자형의 낚싯대 부착 부분(2c)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몸체(2a)의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릴 몸체(2a) 및 덮개 부재(2b)의 앞쪽 끝에는 원형 플랜지부(2d)와, 플랜지부(2d)보다 작은 직경이며 선단이 개구된 원통부(2e)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e)의 단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의 일부가 잘려나간 D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b)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의 부재로서 3군데에서 릴 몸체(2a)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플랜지부(2d)에 있어서, 릴 몸체(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절환 부재(5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로터 구동기구(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축(10)과,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11)와, 이 페이스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갖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 부분(12a)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앙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해서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 기구(71)를 통해서 연결된 스풀 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 본체(16)와, 로터 본체(16)의 선단에 줄 개방자세와 줄 권취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아암(17)과, 베일 아암(17)을 줄 권취자세로 돌리기 위하여 로터 본체(16)에 장착된 베일 반전기구(18)를 갖추고 있다.
로터 본체(16)는 릴 몸체(2a)에 스풀 축(15)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부(30)와, 원통부(30)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및 제2 로터아암(31, 32)을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및 제2 로터아암(31, 32)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로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 앞 부분에는 앞쪽 벽(33)이 형성되어 있고 앞쪽 벽(33)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을 피니언 기어의 앞 부분(12a) 및 스풀 축(15)이 관통되어 있다. 앞쪽 벽(33)의 앞 부분에 로터(3) 고정용의 너트(1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터아암(31, 32)은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30) 의 뒷부분 외주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와,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에서 각각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면서 앞쪽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아암부(31b, 32b)와, 양 접속부(31a, 32a)와 양 아암부(31b, 32b)의 양 바깥쪽 부분을 각각 덮는 제1 및 제2 커버 부재(31c, 32c)를 갖고 있다.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는 원통부(30)와 원주 방향으로 원활하게 각각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아암부(31b, 32b)는 제1 및 제2 접속부(31a, 32a)와 원활하게 연속되어 형성된 원통부(30)와 간격을 두고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아암부(31b, 32b)는 선단부에서 원통부(30)의 접속부분을 향해서 원활하게 만곡되어 있다. 양 접속부(31a, 32a)와 양 아암부(31b, 32b)의 양 바깥쪽 부분에는 개구(31d, 32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커버 부재(31c, 32c)는 개구(31d, 32d)를 각각 외주 쪽에서 막고 있다. 이 제1 커버 부재(31c)와 제1 접속부(31a) 및 제1 아암부(31b) 사이에는 수납 공간(4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부(31b) 선단의 외주 쪽에는 제1 베일 지지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아암부(31b)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일 반전기구(18)를 장착하기 위한 장공(36) 및 장착공(37)과, 제1 베일 지지부재(40)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공 붙이 보스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아암부(32b)의 선단 내주 쪽에는 제2 베일 지지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부재(40)는 제1 아암(31b)의 선단에 나사 결합된 부착핀(39)에 의하여 제1 로터아암(31)에 부착된다. 이 부착핀(39)은 걸림이 적은 6각공 붙이 볼트로 형성되어 그 머리부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선단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와, 라인 롤러(41)를 사이에 두고 제1 베일 지지부재(40)에 고정된 고정축 커버(47)가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7)는 선단이 뾰족한 변형 원추 형상이다. 고정축 커버(47)의 선단부와 제2 베일 지지부재(42) 사이에는 선재를 대략 U자형으로 만곡시킨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베일 지지부재(40, 42), 라인 롤러(41), 베일(43) 및 고정축 커버(47)에 의해서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베일 아암(17)이 구성된다. 베일 아암(17)은 도 3a에 도시한 줄 안내자세와 도 3b에 도시한 줄 안내자세에서 반전된 줄 개방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베일 반전기구의 구성]
베일 반전기구(18)는 수납 공간(48)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 반전기구(18)는 베일 아암(17)을 줄 개방자세에서 줄 안내자세로 로터(3)의 회전에 연동해서 복귀시킴과 동시에 양 자세로 그 상태를 유지한다.
베일 반전기구(18)는 도 3a 및 도 3b∼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공간(48) 내에서 제1 아암부(31b)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토글 스프링 기구(50)와, 수납 공간(48)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부재(51)와, 이동부재(51)에 접촉 가능하게 플랜지부(2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절환 부재(52)와, 로터(3)를 제 동하기 위한 로터 제동기구(54)를 갖고 있다.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일 아암(17)이 줄 권취자세가 되는 제1 위치와 줄 개방자세가 되는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제1 로터아암(31) 내에 배치되며 베일 아암(17)을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일단이 제1 베일 지지부재(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 아암부(30b)를 따라 연장되는 로드(55)와 로드(55)가 진퇴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제1 아암부(31b)에 중간부가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 부재(56)와 로드(55)를 진출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57)을 갖고 있다.
로드(5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55a)가 외주 쪽으로 절곡되고 제1 베일 지지부재(40)에 형성된 결합 구멍(40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로드(55)의 외주면에는 스프링 결합용 돌기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6)는 전단이 개구된 바닥을 갖는 각통 형상의 부재이며, 장착공(37)에 결합되도록 돌출하는 요동 축(56a)을 축 방향의 중간부에 구비하고 있다. 요동 축(56a)은 로터(3)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56)는 요동 축(56a)을 중심으로 제1 로터아암(31)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요동 축(56a)의 축심과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해서,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로드(55)의 제1 베일 지지부재(40)에 대한 결합 위치가 다른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베일 아암(17)을 양 자세로 양분하여 가압하여 양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동부재(5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 등 금속제 선재의 양단을 90도 다른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이동부재(51)는 도 3a에 도시한 이격 위치와 도 3b에 도시한 접촉 위치에 제1 아암부(31b)에 대략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동부재(51)는 도 3a 및 도 3b∼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부(51a)가 외주 쪽으로 절곡되고 제1 베일 지지부재(40)에 요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원호 형상의 결합홈(40b)의 요동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중간부(51b)는 로드(55)로부터 직경 방향 안쪽에서 제1 아암부(31b)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51c)는 중간부(51b)에서 내주 쪽으로 절곡되고 또한 로터(3)의 중심(회전 축심)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다. 이렇게 후단부(51c)를 로터(3)의 중심을 향하게 하면 절환 부재(52)에 접촉하여 압압되었을 때에 힘의 전달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선단부(51a)를 원호 형상의 결합홈(40b)의 단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요동시 베일 아암의 요동량보다 이동부재(51)의 이동량을 결합홈(40b)의 원호 방향의 길이만큼 적게 할 수 있다. 후단부(51c)는 장공(36)을 관통하며 로터 제동 기구(54)를 구성하는 제동부재(65)의 전단면에 조금 겹쳐지는 위치까지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후단면에 약간 둥그스름하다. 장공(36)의 폭은 이동부재(51)의 직경과 대략 같은 크기이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는 베일 아암(17)의 요동에 연동되어서 장공(36)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한다.
이동부재(51)의 결합홈(40b)에서의 결합단(結合端)은 베일 아암(17)이 줄 개방자세에 있을 때에, 후단부(51c)와 베일 아암(17)의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보다 줄 권취자세 쪽에 위치되어 있다. 즉, 이동부재(51)는 접촉 위치(도 3b)에 있을 때의 후단부(51c)의 축심과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요동 축심을 연결하는 선분에서 같은 방향으로 이격 위치와 접촉 위치에서 제1 베일 지지부재(40)로의 결합 위치가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가 절환 부재(52)에 의하여 압압되었을 때에 제1 베일 지지부재(40)를 줄 권취자세 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접촉 위치에 있을 때 후단부(51c)의 단면은 제동부재(65)의 전단면보다 깊숙한 쪽에서 외주면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51)의 이동량이 약간 변동되어도 항상 같은 제동력이 얻어진다.
로터 제동기구(54)는 줄 개방자세에 베일 아암(17)이 요동했을 때에 로터(3)를 제동하는 것으로서 이동부재(51)와 원통부(2e)의 기단부에 장착된 제동부재(65)를 갖고 있다. 즉, 이동부재(51)는 베일 반전기구(18)를 구성함과 동시에 로터 제동기구(54)도 구성한다.
제동부재(65)는 베일 아암(17)이 줄 개방자세에 있을 때에 로터(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동부재(65)는 단면이 사각형,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고무, 이소프렌-고무, 클로로프렌-고무,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등의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제의 링 형상의 부재이다. 제동부재(65)의 외주면에는 절환 부재(52)를 회피하는 부분을 빼고 평탄한 원주면으로 구성된 제동면(65a)이 형성되어 있다. 제동부재(65)는 단면이 D자형인 원통부(2e)의 기단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동부재(65)는 정면에서 볼 때 D자형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제동부재(65)의 직선부는 절환 부재(52)를 우회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동부재(65)의 제동면(65a)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도입면(65b)이 제동면(65a)과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입면(65b)은 줄 개방자세로의 요동에 연동한 이동부재(51)의 이동 방향 상류쪽이 하류쪽보다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동면(65a)과 연속해서 둥그스름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동면(65a)에 연속해서 경사진 도입면(65b)을 형성하면 이동부재(51)가 제동부재(65)에 접촉할 때 둥그스름한 이동부재(51)의 선단이 제동부재(65)의 도입면(65b)을 거쳐서 제동면(65a)에 원활하게 접촉한다. 이 때문에 베일 아암(17)의 자세의 절환이 원활해진다. 원통부(2e)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d)와 간격을 두고 환상 돌기(2f)가 형성되어 있고 제동부재(65)는 플랜지부(2d)와 환상 돌기(2f) 사이에 그들에 접촉되게 장착되어 있다.
절환 부재(52)는, 예를 들어 나일론66이나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제의 부재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몸체(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서 플랜지부(2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몸체(2a)와 덮개 부재(2b)의 분할 부분에는 사각형의 잘린부분(53)이 형성되어 있다. 절환 부재(52)는 경사면(60a)은 갖는 캠부(60)와, 캠부(60)에 일체 형성된 잘록한 부분(61)과 날밑 부(62)를 갖고 있다. 경사면(60a)은 도 6에 화살표로 표시한 로터(3)의 줄 권취 회전 방향의 하류쪽이 상류쪽에 의해서 로터(3)를 향하여 앞쪽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이다. 잘록한 부분(61)은 잘린부분(53)에 끼워 맞춰지는 크기를 갖고 있고 플랜지부(2d)의 두께와 대략 같은 크기의 틈을 캠부(60)와 걸림턱부(6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부(62)는 잘록한 부분(61)보다 큰 단면을 갖고 있으며 플랜지부(2d)의 뒷면에 접촉한다.
이렇게 구성된 절환 부재(52)는 릴 몸체(2a)에 덮개 부재(2b)를 장착할 때, 예를 들어 릴 몸체(2a) 쪽의 잘린부분(53)에 잘록한 부분(61)을 끼워 맞춰 덮개 부재(2b)를 릴 몸체(2a)에 나사고정하기만 하면 릴 본체(2)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고정을 위한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릴 본체(2)에 절환 부재(52)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2)가 부식되기 쉬운 마그네슘 합금제라도 이동부재(51)가 접촉하는 절환 부재(52)는 릴 본체(2)와 별개 부재이므로 베일 아암(17)이 반전할 때에 릴 본체(2)가 손상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손상에 따른 부식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2)에 장착되는 절환 부재(52)는 유전체인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절환 부재(52)를 릴 본체(2)에 접촉시켜도 릴 본체(2)가 전해 부식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토글 스프링 기구(5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위치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1 위치는 베일 아암(17)의 줄 권취자세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베일 아암(17)의 줄 개방자세에 대응하고 있다. 또, 이동부재(51)는 도 3a에 도시한 이격 위치와 도 3b에 도시한 접촉 위치에 후단부(51c)가 장공(36)에 안내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이 이격 위치가 줄 권취자세에 대응하고 접촉 위치가 줄 권취자세에 대응한다. 접촉 위치에서는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의 단면이 제동부재(65)의 전단면보다 깊숙한 쪽에서 제동면(65a)이 약간 압축되도록 접촉한다. 이 때문에 이동부재(51)의 이동 위치, 즉 접촉 위치가 축 방향으로 변동되어도 제동력은 변동하지 않는다. 또, 접촉 위치에서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의 테두리면은 절환 부재(52)의 경사면(60a)에 접촉하고 이동부재(51)는 이격 자세를 향하여 앞쪽으로 압압된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의 역회전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기구(70)가 배치되어 있다. 역회전 방지기구(70)는 롤러형의 일방향 클러치를 갖고 있고, 일방향 클러치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로터(3)의 역회전을 금지·해제한다.
스풀(4)은 로터(3)의 제1 로터아암(31)과 제2 로터아암(3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 축(15)의 선단에 드래그 기구(71)를 통해서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줄감기 동체부(4a)와, 줄감기 동체부 뒷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b)와, 줄감기 동체부(4a)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4c)를 갖고 있다.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 시에는 역회전 방지기구(70)에 의해서 로터(30)를 역회전 금지상태로 해서 베일 아암(17)을 줄 개방자세로 반전시킨다. 베일 아암(17)을 줄 개방자세로 반전시키면, 제1 베일 지지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부재(42)는 뒤쪽으로 넘어지고, 베일 반전기구(18)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베일 아암(17)이 줄 개방자세로 넘어진 상태에서는 스풀(4)로부터의 낚싯줄을 용이하게 풀어낼 수 있다.
이 줄 권취자세에서 줄 개방자세로의 요동에 있어서 토글 스프링 기구(50)에서는,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회전에 의해서 로드(55)가 도 3a에 있어서 서서히 물러 들어가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며 도 3b에 도시한 제2 위치에 이른다. 이 때 사점을 넘을 때까지 물러 들어간다. 사점을 넘으면 로드(55)가 코일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의해 진출하여 베일 아암(17)을 줄 개방자세 쪽으로 절환시킴과 동시에 그 자세로 유지한다.
베일 아암(17)이 줄 개방자세로 요동하면, 결합홈(40b)의 요동 방향 상류쪽 단부에 이동부재(51)의 선단부(51a)가 접촉하면, 이동부재(51)는 이격 위치에서 접촉 위치를 향해서 이동을 시작한다. 그리고 제2 위치에 이르면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의 단면은 제동부재(65)의 도입면(65b)을 거쳐 제동면(65a)에 조금 들어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 결과 로터(3)가 제동되어 그 회전 위상이 유지된다. 이 때,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의 단면이 제동부재(65)의 제동면(65a)에 약간 들어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51)의 접촉 위치가 축 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접촉 상태가 변동되지 않아 제동력이 변화되지 않는다. 또, 이동부재(51)가 제동부재(65)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에 의하여 로터(3)가 제동되어 있을 뿐이어서 로터(3)를 손으로 회전시키든지 핸들(1)에 의해서 회전시키면 쉽게 회전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로터(3)가 마찰력에 의해서 제동되어 회전 위상이 유지되기 때문에 베일 아암(17)을 줄 개방자세로 했을 때에 로터(3)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캐스팅 시나 서밍 시에 로터의 갑작스러운 회전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게다가 로터(3)는 마찰에 의해서 제동되어 있을 뿐이어서 로터(3)를 가압하면 쉽게 돌려서 회전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낚싯줄을 잡는 손의 집게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그러면, 낚싯줄은 낚시바늘 뭉치의 무게에 의해 힘있게 방출된다.
캐스팅 후에 베일 아암(17)을 줄 개방자세로 유지한 채의 상태로 핸들(1)을 예를 들어 왼손으로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기구(5)에 의해서 로터(3)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3)가 줄 권취자세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일 아암(17)이 베일 반전기구(18)에 의해서 줄 권취자세로 복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이동부재(51)가 로터(3)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의 테두리면이 릴 본체(2) 측에 고정된 절환 부재(52)의 경사면(60a)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서 이동부재(51)가 앞쪽으로 압압되어 도 6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이격 위치로 절환된다. 제1 베일 지지부재(40)를 줄 권취자세로 요동시킨다. 이에 따라 토글 스프링 기구(50)의 가이드 부재(56)가 도 3b에 도시한 제2 위치에서 도 3a에 도시한 제1 위치를 향해서 요동한다. 그리고 사점을 넘으면 코일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의해 로드(55)가 진출하고 베일 아암(17)과 줄 권취자세로 절환함과 동시에 그 자세로 유지한다. 베일 아암(17)이 줄 권취자세로 복귀되면, 제1 베일 지지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부재(4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앞쪽으로 기립하고 있다. 베일 아암(17)이 줄 권취자세로 돌아가면 베일 아암(17)에 의해서 낚싯줄이 스풀(4)에 안내되어 스풀(4) 외주에 감긴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토글 스프링 기구(50)를 로드(55)와 가이드 부재(56)와 코일 스프링(57)로 구성했지만,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글 스프 링 기구(80)를 로드(81)와 로드(81)의 외주측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82)로 구성해도 좋다.
토글 스프링(80)의 로드(81)는 선단에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결합공(40a)에 결합되도록 제1 베일 지지부재(40)를 향해 절곡된 결합부(81a)를 갖고 있다. 또, 로드(81)는 중간부에 코일 스프링(82)의 선단부를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결합 돌기(81b)를 갖고 후단부에 약간 만곡한 만곡부(81c)를 갖고 있다. 결합 돌기(81b)에는 코일 스프링(82)의 선단이 맞닿는 와셔(83)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82)의 선단부에서 로드(81)로 힘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코일 스프링(82)은 아암부(31b)에 장착된, 예를 들어 나일론66 등의 합성 수지제 안내 시트(84)에 접촉하여 안내된다. 안내 시트(84)는 코일 스프링(82)의 일면을 안내함과 동시에 걸어 지지하도록 절곡된 벽면부(84a)를 갖고 있다. 벽면부(84a)는 코일 스프링(82)의 측면부 및 기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82)이 신축되기 쉬워짐과 동시에 코일 스프링(82)이 신축할 때에 아암부(31b)가 손상을 입지 않는다.
코일 스프링(82)의 와셔(83)에 걸려서 지지되는 선단부는 다른 부분보다 감김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단부 이외에서 코일 스프링(82)과 로드(81) 사이에서 큰 틈이 생겨 코일 스프링(82) 내부에서 로드(81)가 자세를 바꿔도 코일 스프링(82)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또, 아암부(31b)에는 제1 커버 부재(31c)를 장착하기 위한 나사공 붙이 보스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토글 스프링 기구(80)를 갖는 베일 반전기구에서도 요동시에 코일 스프링(82)에 의한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가압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82)의 기단부 내주면에 접촉하는 보스부나 기단부 외주면을 덮는 커버부 등을 마련해서 코일 스프링(82)의 기단부를 걸어서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들 보스부나 커버부를 제1 베일 지지부재(40)의 요동축과 평행한 축 둘레로 요동하도록 아암부(31b)에 장착해도 좋다. 예를 들어 보스부의 기단면에 원호 홈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아암부(31b) 내에 원호 홈부에 결합되는 원호 홈부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서 보스부를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방법도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부재를 합성 고무제로 했지만, 탄성을 갖는 것이라면 금속, 합성 수지, 코르크 등 목재, 피혁 등이라도 좋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51)를 금속제의 선재로 구성했지만 이동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단부가 전후 이동하여 제동부재의 제동면에 접촉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좋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베일 반전기구(18)를 제1 로터아암(31) 쪽에 장착했지만, 제2 로터아암(32) 쪽에 장착해도 좋다. 또, 한쪽 로터아암에 로터 제동기구(54)를 제거하는 베일 반전기구(18)를 마련하고 다른 쪽의 로터아암에 로터 제동기구(54)를 마련해도 좋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환 부재(52)의 경사면(60a)이 줄 권취 회전 방향 상류쪽에서 하류쪽을 향하여 돌출량이 증가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60a)에 더해서 경사면(60a)의 돌출 부분에서 줄 권취 회전방향 하류쪽을 향하여 돌출량이 감소되는 경사면(60b)을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돌출량이 감소되는 경사면(60a)을 형성하면 절환 부재(52)가 산 모양의 경사면이 된다. 이 결과 베일 아암(17)이 줄 개방자세에 있을 때에 무리하게 역회전(줄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해져서 이동부재(51)가 절환 부재(52)에 접촉해도 베일 반전기구(18)의 이동부재(51)가 경사면(60b)에서 절환 부재(52)에 원활하게 안내되어 손상을 입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2개의 경사면(60a, 60b)을 갖는 절환 부재(52)는 릴 본체(2)와 일체 형성된 절환 부재에도 적용될 수 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가 장공(36)에 의해서 전후로 안내되고 있지만, 장공(36)을 완전한 전후 방향이 아니라 좌우로 조금 움직여 배치하고 후단부(51c)를 비스듬하게 안내해도 좋다. 이렇게 비스듬하게 후단부(51c)를 안내하면 줄 개방자세일 때에 후단부(51c)를 로터(3)의 중심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또, 후단부(51c)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면 후단부(51c)를 다시 로터(3)의 중심을 향해 절곡할 필요가 없어진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51)의 후단부(51c)의 선단이 둥그스름하지만, 후단부(51c)의 선단을 만곡시켜서 제동부재(65)의 제동면(65a)에 접촉시켜도 좋다.
(h)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환 부재(52)를 플랜지부(2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했지만, 플랜지부(2d)에 일체 형성해도 좋다.
(i)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입면(65d)을 곡면으로 구성했지만, 앞쪽으로 갈수 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해도 좋다.
(j)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51)가 전후로 이동했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151)의 후단부(151c)를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이 경우 제동부재(165)의 제동면(165a)은 전단면에 형성된다. 또한, 도입면(165b)은 곡면이 아니라 제동면(165a)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이동부재(151)에 베일 아암(17)의 요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연동부(미도시)와 연동부의 이동에 의하여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51a)를 마련하여 이동부(151a)의 후단부(151c)를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동면의 이동방향 상류쪽에 상류쪽이 하류쪽보다 이동부재에서 멀어지도록 도입면이 형성되고, 또한 제동면이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의 이동량이 변동되어도 제동력이 변화되지 않으며 로터를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동면을 향하여 서서히 이동부재에 가까워지는 도입면 쪽에서 제동면에 접촉하므로 이동부재의 이동이 원활해진다.
다른 발명에 의하면 베일 아암이 요동할 때에 토글 스프링 기구의 가압력이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서 변화되기 때문에 토글 스프링 기구의 가압력을 베일 아암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Claims (19)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를,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요동하는 베일 아암의 요동에 따라서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로서;
    상기 베일 아암의 상기 줄 권취자세에서 상기 줄 개방자세로의 요동에 연동되어 상기 로터 내로부터 상기 릴 본체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장착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일 아암이 줄 개방자세에 있을 때에 상기 이동부재가 접촉 가능한 제동면과, 상기 제동면과 연속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 상류쪽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방향 상류쪽이 하류쪽보다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도입면을 가지며, 상기 릴 본체에 마련된 탄성체제의 제동부재;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릴 본체 앞부분에 상기 이동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실질적으로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탄성체제인 스피닝 릴의 베일 제동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은 상기 제동부재의 외주면에 평탄한 원주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입면은 상기 제동면의 앞부분에 앞쪽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이 감소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선단부가 상기 베일 아암에 결합되고, 상기 베일 아암의 요동에 연동되어 상기 줄 권취자세에 대응하는 상기 릴 본체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상기 줄 개방자세에 대응하는 상기 릴 본체에 접근해서 상기 도입면을 거쳐서 제동면에 접촉하는 제2 위치로 후단부가 적어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면은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 형상의 테이퍼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면은 앞쪽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감소되는 둥그스름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선단부가 베일 아암의 요동 중심 근방을 향하여 요동 축심 을 따르도록 굴곡하고 후단부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향하여 굴곡되며 그 사이가 상기 로터의 회전 축심을 따라서 배치된 부재로서, 상기 후단부가 상기 로터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단부가 상기 베일 아암에 형성된 결합홈부에 요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는 상기 베일 아암의 요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호 형상의 홈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제동면에 접촉하는 후단면은 둥그스름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아암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양분하여 가압하는 토글 스프링 기구;
    상기 릴 본체의 앞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로터가 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한 상기 이동부재의 돌출된 후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제1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절환부를 더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베일 아암의 상기 이동부재의 결합 위치와 다른 위치에 선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일 아암을 상기 줄 권취자세와 줄 개방자세로 양분하여 가압하며 또한 그 가압방향이 상기 베일 아암의 요동에 대응해서 변화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1. 제9 또는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베일 아암에 일단이 결합된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를 진퇴 가능하게 안내하고 또한 상기 로터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축부재를 진출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갖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2. 제9 또는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스프링 기구는,
    상기 베일 아암에 일단이 결합된 축부재와
    상기 로터에 안내되며 일단이 상기 축부재에 타단이 상기 로터에 각각 걸려서 지지되어 상기 축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갖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축부재의 외주쪽에 배치되고 상기 축부재에 걸려 지지되는 일단의 감김직경이 다른 부분보다 작은 코일 스프링인 스피닝 릴의 로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로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부재를 안내하는 합성 수지제 시트 부재를 더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절환부가 마련된 부분에서 직경 방향 안쪽으로 우회한 D자형의 부재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로터의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쪽이 상류쪽보다 상기 릴 본체의 앞면으로부터 상기 로터 쪽으로 돌출한 제1 경사면을 갖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의 돌출 부분과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1 경사면의 돌출 부분으로부터 상기 줄 권취 회전 방향 하류쪽을 향하여 돌출량이 감소되는 제2 경사면을 갖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8. 제16 또는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의 경사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동부재의 상기 이동부재와의 접촉부보다 상기 로터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은 상기 제동부재의 앞쪽 단면에 평탄한 환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입면은 상기 제동면의 앞부분 외주 쪽에 뒤쪽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선단부가 상기 베일 아암에 결합되고 상기 베일 아암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줄 권취자세에 대응하는 상기 릴 본체로부터 이격된 제1 위치와 상기 줄 개방자세에 대응하는 상기 릴 본체에 접근하는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의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이동에 연동되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로터에 마련되며 상기 연동부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도입면을 거쳐 상기 제동면에 접촉하는 이동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KR1020010026847A 2000-06-23 2001-05-16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KR100745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9627A JP3759576B2 (ja) 2000-06-23 2000-06-23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0-189627 2000-06-23
JP2000-240809 2000-08-09
JP2000240809A JP3753414B2 (ja) 2000-08-09 2000-08-09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485A KR20020000485A (ko) 2002-01-05
KR100745176B1 true KR100745176B1 (ko) 2007-08-01

Family

ID=2659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847A KR100745176B1 (ko) 2000-06-23 2001-05-16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09670B2 (ko)
EP (1) EP1166628B1 (ko)
KR (1) KR100745176B1 (ko)
CN (1) CN1298217C (ko)
AT (1) ATE253296T1 (ko)
DE (1) DE60101123T2 (ko)
ES (1) ES2210098T3 (ko)
MY (1) MY130405A (ko)
SG (1) SG134964A1 (ko)
TW (1) TW4747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95343B (en) * 2000-11-13 2002-07-21 Shimano Kk Spinning reel rotor
JP2002306032A (ja) * 2001-04-16 2002-10-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4307881B2 (ja) * 2002-08-28 2009-08-0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TW562247U (en) * 2002-12-06 2003-11-11 Hon Hai Prec Ind Co Ltd Battery connector
JP4266719B2 (ja) * 2003-06-13 2009-05-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892416B2 (ja) * 2007-06-15 2012-03-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EP2074885A2 (en) * 2007-12-27 2009-07-01 Daiwa Seiko Inc. Fishing spinning reel
US20120292416A1 (en) * 2008-04-08 2012-11-22 Gary Bennis Spinning Type Fishing Reel with Manual Bale Lock and Bale Release Mechanisms
CN102550511A (zh) * 2011-12-29 2012-07-11 宁波羚祐渔具有限公司 一种钓鱼卷线器的导线轮轴结构
JP6664974B2 (ja) * 2016-01-25 2020-03-1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964998B2 (ja) * 2017-03-08 2021-11-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6979844B2 (ja) * 2017-10-06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7212516B2 (ja) * 2018-12-27 2023-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3030443A (ja) * 2021-08-23 2023-03-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839A (en) * 1987-06-26 1989-01-10 Hioki Electric Works Input/output processor for information data
JPH104839A (ja) * 1996-06-20 1998-01-13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98685A (fr) * 1954-01-25 1955-08-17 Moulinet de pêche
US3045942A (en) 1960-05-20 1962-07-24 Herbert O Henze Spinning reel construction
US3627223A (en) 1967-12-12 1971-12-14 Carpano & Pons Spinning reel with winding drum brake
JPS5436079Y2 (ko) 1976-06-11 1979-10-31
US4095400A (en) 1977-06-06 1978-06-20 Development Finance Corporation Of New Zealand Spinning machine
SE7706721L (sv) * 1977-06-09 1978-12-10 Abu Ab Haspelrulle
FR2462098A1 (fr) 1979-07-26 1981-02-13 Mitchell Sa Moulinet de peche
US4291846A (en) 1979-09-17 1981-09-29 Brunswick Corporation Rotor brake for fishing reel
JPS58178876U (ja) 1982-05-26 1983-11-3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US4703902A (en) 1986-04-29 1987-11-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rag mechanism for fly fishing reel
US5120001A (en) 1989-07-07 1992-06-09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drag mechanism
FR2664793B1 (fr) 1990-07-20 1992-10-16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eche a verrouillage de bobine et de recuperateur.
JP2594253Y2 (ja) 1993-05-14 1999-04-2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N2169280Y (zh) * 1993-07-20 1994-06-22 王志乐 变速渔线轮
DE4427458B4 (de) * 1993-08-04 2004-04-15 Shimano Inc., Sakai Angelrolle
DE4437651C1 (de) 1994-10-21 1995-10-05 Henschel Karl Heinz Dipl Ing T Bremse einer Angelrolle
JPH08298902A (ja) 1995-05-09 1996-11-1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姿勢切り換え装置
DE19522835C2 (de) 1995-06-23 1998-11-26 Kuntze Angelgeraete Dam Angelrolle
JP3256123B2 (ja) 1995-10-04 2002-02-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3204492B2 (ja) 1995-10-16 2001-09-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3526200B2 (ja) 1997-06-24 2004-05-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3759573B2 (ja) * 2000-04-25 2006-03-2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839A (en) * 1987-06-26 1989-01-10 Hioki Electric Works Input/output processor for information data
JPH104839A (ja) * 1996-06-20 1998-01-13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09670B2 (en) 2003-08-26
ATE253296T1 (de) 2003-11-15
DE60101123T2 (de) 2004-09-09
EP1166628A1 (en) 2002-01-02
CN1329824A (zh) 2002-01-09
KR20020000485A (ko) 2002-01-05
ES2210098T3 (es) 2004-07-01
EP1166628B1 (en) 2003-11-05
DE60101123D1 (de) 2003-12-11
TW474782B (en) 2002-02-01
MY130405A (en) 2007-06-29
US20010054660A1 (en) 2001-12-27
SG134964A1 (en) 2007-09-28
CN1298217C (zh)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5176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장치
KR100695899B1 (ko) 스피닝릴의 베일 반전장치
EP1762142B1 (en) Spinning reel rotor braking device
US20160174536A1 (en) Spinning reel
US6729568B2 (en) Spinning reel bail tripping device
KR20030055176A (ko) 스피닝 릴의 베일 반전 장치
US6845934B2 (en) Rotor braking device for spinning reel
JP2000139290A (ja) 魚釣用リ―ルのロ―タ機構
JP375957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375341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KR20040107386A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436598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2000138A5 (ko)
JP457204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2051675A5 (ko)
JPH0914030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機構
JP20033101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1204311A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JP200413551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40571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