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005B1 -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005B1
KR100741005B1 KR1020040110319A KR20040110319A KR100741005B1 KR 100741005 B1 KR100741005 B1 KR 100741005B1 KR 1020040110319 A KR1020040110319 A KR 1020040110319A KR 20040110319 A KR20040110319 A KR 20040110319A KR 100741005 B1 KR100741005 B1 KR 10074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avor
sesame
weight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1652A (ko
Inventor
양근수
이윤영
Original Assignee
양근수
이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근수, 이윤영 filed Critical 양근수
Priority to KR102004011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0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첨가용 향미유에 관한 것으로, 참깨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옥배유, 채종유, 참깨향 및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용 요리에서 즉석에서 간편하게 사용되어, 육류 특유의 누린내를 제거하고 육질을 연하게 하며 독특한 향미를 오래 지속시켜 준다.
고기, 양념, 오일

Description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Flavoring oil composition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참깨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옥배유, 채종유, 참깨향 및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제조, 사용되는 기름으로는 통상, 참깨유, 들깨유, 대두유, 및 최근 들어 웰빙 영향의 열풍으로 올리브유 및 포도씨유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돼지고기나 소고기 등을 불고기, 갈비, 주물럭 등으로 조리할 때 사용하는 식품용 기름으로는 참깨유, 들깨유 및 대두유가 대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해 건강지향적, 고급지향적으로 식문화의 개념이 바뀌면서 보다 독특한 풍미의 양념이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고기의 냄새를 없앨 수 있고 육질을 부드럽게 하는 등의 기능성을 갖춘 오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오일과는 개념이 다른 건강지향적이며, 고급지향적인 욕구를 총족시키고, 소취 작용이 탁월하며 육질을 부드럽게 하는 기능성을 갖춘 오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오일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관능검사를 시행한 결과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참깨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옥배유, 채종유, 참깨향 및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용 향미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 참깨유 5-25중량%, 해바라기유 5-25중량%, 옥배유 30-50중량%, 채종유 1-10중량%, 대두유 25-55중량%, 및 0.0001-1중량%의 참깨향과 0.0001-1중량%의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추출 참깨유 5-25중량%, 해바라기유 5-25중량%, 대두유 5-25중량% 및 0.0001-1중량%의 참깨향을 혼합한 다음, 옥배유 30-50중량%와 채종유 1-10중량%, 대두유 20-30중량%를 순서대로 부가하고, 마지막으로 0.0001-1중량%의 토코페롤을 부가하여 교반하고, 침전 여과조를 거쳐 정제하고 포장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상의 제조공정에서 만들어진 오일 조성물은 상온유통에서 1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각종 육류요리와 볶음류, 구이류 및 나물무침의 양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의 양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추출참깨유 9.998%, 대두유 10%, 해바라기유 10%, 참깨향 0.002%를 혼합하여 총 중량 30%의 1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옥배유 40%, 채종유 5%, 대두유 24.99%를 부가하고, 마지막으로 토코페롤 0.002%를 부가하여 총 중량 100%의 최종 2차 조성물을 제조하여 V-믹서기에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30-60℃에서 교반기에서 균질 교반하였다. 침전, 여과조를 거쳐 정제하여 알루미늄 캔 또는 유리병에 적정량을 투입하고 포장하여 본 발명의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0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구성성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참깨유 대두유 (1차부가) 해바라기유 참깨향 옥배유 채종유 대두유 (2차부가) 토코페롤
실시예2 9.998 5 15 0.002 40 5 24.998 0.002
실시예3 9.998 10 10 0.002 35 10 24.998 0.002
실시예4 9.999 10 10 0.001 40 5 24.997 0.003
실시예5 9.998 10 10 0.002 40 10 19.998 0.002
실시예6 4.998 10 15 0.002 35 5 29.998 0.002
실시예7 14.998 10 5 0.002 45 5 19.998 0.002
실시예8 19.998 5 5 0.002 40 5 24.998 0.002
상기 실시예 1 내지 8의 조성물은 5 점 척도 기호도 검사 결과 전체적 품질에서 3.5이상을 나타내며, 항목별 실시예 사이에는 5%의 유의 수준에서 유의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일을 사용하여 양념한 고기 제품과 다른 양념의 양은 동일하게 사용하고 실시예 1의 오일 대신 참기름(비교예 1), 들기름(비예 2), 대두유(비교예 3)을 사용하여 양념한 양념육 제품에 대하여 관능요원 30명과 일반 가정주부 30명을 대상으로 2점 대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냄새 24시간 후 냄새 기호도
실시예 1 3.74 3.80 3.73 3.75
비교예 1 3.67 3.70 3.30 3.50
비교예 2 3.45 3.43 3.13 3.30
비교예 3 3.08 2.78 2.75 2.80
관능검사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양념한 경우 맛이나 향미가 우수하고, 특히 고기 양념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기의 누린내가 나지 않으며 오일 조성물 특유의 향이 오래 지속되어 양념을 한 후 숙성을 위해 고기를 재어 두는 경우에도 참기름이나 들기름처럼 향미가 감소되는 경향이 적었으며 육질을 연하게 해주어 맛을 좋게 해주는 효과가 있었다.
상기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기의 냄새를 제거해주고 육질을 연하게 해주어 고기 양념으로 사용되는 경우 맛과 향이 특히 탁월하며, 기타 나물무침이나 구이, 볶음, 조림 등의 식품 전반에 걸쳐 향미를 북돋우는 양념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추출 참깨유 5-25중량%, 해바라기유 5-25중량%, 옥배유 30-50중량%, 채종유 1-10중량%, 대두유 25-55중량%, 및 0.0001-1중량%의 참깨향과 0.0001-1중량%의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식품 첨가용 향미유 조성물.
  2. 추출 참깨유 5-25중량%, 해바라기유 5-25중량%, 대두유 5-25중량% 및 0.0001-1중량%의 참깨향을 혼합한 다음, 옥배유 30-50중량%와 채종유 1-10중량%, 대두유 20-30중량%를 순서대로 부가하고, 마지막으로 0.0001-1중량%의 토코페롤을 부가하여 교반하고, 침전 여과조를 거쳐 정제하고 포장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식품 첨가용 향미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40110319A 2004-12-22 2004-12-22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74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319A KR100741005B1 (ko) 2004-12-22 2004-12-22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319A KR100741005B1 (ko) 2004-12-22 2004-12-22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52A KR20060071652A (ko) 2006-06-27
KR100741005B1 true KR100741005B1 (ko) 2007-07-20

Family

ID=3716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319A KR100741005B1 (ko) 2004-12-22 2004-12-22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0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543A (ko) * 2017-09-29 2019-04-08 박정천 즉석섭취용 분짜식 육류 제조 방법
KR20210105523A (ko) 2020-02-19 2021-08-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진보식품 식품 첨가용 향미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317B1 (ko) * 1990-01-09 1991-09-25 동방유량 주식회사 풍미 식용유의 제조방법
KR960008832A (ko) * 1994-08-26 1996-03-22 강유전성 인터럽터블 판독 메모리
KR960008832B1 (ko) * 1993-07-01 1996-07-05 제일제당 주식회사 양념유
JP2002209516A (ja) 2001-01-19 2002-07-30 Nisshin Oil Mills Ltd:The 食用油脂組成物
KR100519911B1 (ko) 2004-01-06 2005-10-10 김영용 참기름맛 기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317B1 (ko) * 1990-01-09 1991-09-25 동방유량 주식회사 풍미 식용유의 제조방법
KR960008832B1 (ko) * 1993-07-01 1996-07-05 제일제당 주식회사 양념유
KR960008832A (ko) * 1994-08-26 1996-03-22 강유전성 인터럽터블 판독 메모리
JP2002209516A (ja) 2001-01-19 2002-07-30 Nisshin Oil Mills Ltd:The 食用油脂組成物
KR100519911B1 (ko) 2004-01-06 2005-10-10 김영용 참기름맛 기름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0883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543A (ko) * 2017-09-29 2019-04-08 박정천 즉석섭취용 분짜식 육류 제조 방법
KR101993052B1 (ko) * 2017-09-29 2019-09-30 박정천 즉석섭취용 분짜식 육류 제조 방법
KR20210105523A (ko) 2020-02-19 2021-08-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진보식품 식품 첨가용 향미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652A (ko) 200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4075A (zh) 一种含有芝麻油和天然精油的调味油
JP4020350B2 (ja) カレー用香味増強組成物
CN113662162A (zh) 一种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KR100741005B1 (ko) 식품 첨가용 향미유 및 그 제조방법
CN108936564A (zh) 一种鱼辣椒酱及其制备方法
JP2022135251A (ja) 風味油の製造方法
CN111543498A (zh) 一种藤椒卤油的制造工艺
KR100666369B1 (ko) 바비큐용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조리방법
KR20180119818A (ko) 귤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CN104207161A (zh) 一种香辣兔头的制备方法
KR100512206B1 (ko) 떡볶이 조리용 양념 조성물
CN105192654A (zh) 一种棒棒鸡调味料
JP7282552B2 (ja) 風味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0174740B1 (ko) 육가공 제품
CN115462419B (zh) 一种调味辣椒鸡油及其制备方法
JP3238643B2 (ja) ルウ用調味材の製造方法及びルウの製造方法
CN109430797A (zh) 一种调配型意大利腊香肠油状香精及其制备方法
KR100240944B1 (ko)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KR20180083467A (ko) 고상의 고추기름 다대기 제조방법, 고상의 고추기름 다대기, 이를 이용한 가정간편식 국탕류 제조방법 및 가정간편식 국탕류
JP7389638B2 (ja) 中華風味油の製造方法
CN118120889A (zh) 一种用于拌面的香辣香精
CN109601951B (zh) 一种用于鱼类菜肴的骨香型汤膏及其制备方法
CN108402428B (zh) 一种炒制泡菜的生产工艺
KR20170067030A (ko) 흑초 냉면 육수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2537A (ko) 육류소스용 혼합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929

Effective date: 200705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