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944B1 -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 Google Patents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944B1
KR100240944B1 KR1019970071123A KR19970071123A KR100240944B1 KR 100240944 B1 KR100240944 B1 KR 100240944B1 KR 1019970071123 A KR1019970071123 A KR 1019970071123A KR 19970071123 A KR19970071123 A KR 19970071123A KR 100240944 B1 KR100240944 B1 KR 10024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flavor
sesame
sesam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079A (ko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유정
주식회사서울식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 주식회사서울식연 filed Critical 유정
Priority to KR101997007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944B1/ko
Publication of KR98000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옥배유를 주제로 하고 이에 적당량의 참기름과 함께 참깨향, 불고기향을 지니는 미량의 향신료를 혼합하여 참깨로만 조성된 순수 참기름의 고유한 풍미와 쇠고기 불고기향을 동시에 지니는 조미유를 제공하여 육류를 찍어먹는 소스오일과 여러 음식물, 예컨데 무침음식에 첨가하는 조미유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향 조미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옥배유 70~90중량%, 순수참기름 10~30중량%를 혼합하여 조미류 100중량%를 조성하고, 이에대하여 참깨오일향 향신료 3~6중량% 및 쇠고기 불고기향 향신료 0.01~0.1중량%를 첨가하여 염가로서 참기름 고유의 풍미와 쇠고기 불고기향의 풍미를 지니는 조미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향 조미유
본 발명은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옥배유를 주제로 하고 이에 적당량의 참기름과 함께 참깨향, 불고기향을 지니는 미량의 향신료를 혼합하여 참깨로만 조성된 순수 참기름의 고유한 풍미와 쇠고기 불고기향을 동시에 지니는 조미유(調味油)를 제공하여 육류를 찍어먹는 소스오일과 여러 음식물, 예컨대 무침음식에 첨가하는 조미유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향 조미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옥배유 70~90중량%, 순수참기름 10~30중량%를 혼합하여 조미류 100중량%를 조성하고, 이에대하여 참깨오일향 향신료 3~6중량% 및 쇠고기 불고기향 향신료 0.01~0.1중량%를 첨가하여 염가로서 참기름 고유의 풍미와 쇠고기 불고기향의 풍미를 지니는 조미유를 제공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의 소스유로 사용하거나 각종 음식물에 첨가하는 조미유로 참기름을 사용하고 있음은 통상적이다. 그러나 참기름은 고가의 참깨만을 사용하고 있어 다른 조미유에 비하여 고가이다. 따라서 일반가정에서 상용하기에는 상당한 부담이 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비교적 저렴한 옥배유를 주제로 하고 이에 적당량의 참기름을 혼합하고 여기에 참깨향 및 불고기향을 지니는 미량의 향신료를 첨가한 순수한 참기름 고유의 풍미와 불고기향을 지닌 착향 조미유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저렴하게 구입하여 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참깨향과 불고기향에 의하여 음식물의 맛과 향을 배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성되는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옥배유 70~90중량%와, 참기름 10~30중량%를 혼합하여 조미류 100중량%를 조성하고, 이에대하여 채종유 80중량%와 참깨오일향 2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참깨오일향 향신료 3~6중량% 및 미량의 갈릭향, 불고기향, 소고기향 등의 조성물로 된 불고기향 향신료 0.01~0.1중량%를 첨가한 후, 이를 혼합, 교반하여 순수한 참기름의 풍미와 짙은 암갈색의 동일한 색상을 띄도록 액상의 착향 조미유를 얻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착향 조미유의 전체적인 조성물의 성분과 배합비율은 다음 표1과 같다.
Figure kpo00001
표 1에서 첨가물 1의 참깨오일향 향신료는 시중에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혼합참깨오일과 순수한 채종유를 20중량% : 80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맛과 향의 관능시험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혼합 참깨오일은 식품허가 품목 '경기도 제20호'인 것을 사용하였는 바, 그 자체의 성분과 배합비율은 다음 표 2와 같다.
Figure kpo00002
표 1에서 첨가물 2의 불고기향 향신료는 시중에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식품허가 품목 '경기도 제20호'인 불고기향을 사용하는 것이 맛과 향을 알아보는 관능시험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냈으며, 그 자체의 성분과 배합비율은 다음 표 3과 같다.
Figure kpo00003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재료인 옥배유는 옥수수배아에서 추출한 것으로, 가격면에서 참기름에 비하여 월등히 저렴하다. 이러한 옥배유가 전체성분중에서 70~90중량%를 차지하므로 조미유에 대한 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참기름은 고가인 원료에서 추출함으로 옥배유와 경제적인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기름을 옥배유와 혼합할 때 순수한 참기름 고유의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과 색깔을 갖게하기 위하기 위한 경제적인 혼합비율은 관능시험결과 최소한 10~30중량%를 배합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해서, 참기름 첨가량이 10중량%에 미달할 경우 다소 풍미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 미각이 뒤떨어지고 30중량%이상이 첨가될 때에는 풍미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참기름의 첨가 비율은 10~30중량%에서 참기름과 동일한 풍미를 발휘하는 조미유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다. 결국, 참기름과 옥배유와 혼합할 때 참기름을 30중량%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풍미의 변화없이 제조비만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참기름을 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혼합비율이다.
참깨오일향 향신료는 혼합된 채종유와 참기름에 대하여 3~6중량%로서 미량이지만 혼합참깨오일과 채종유가 배합되어있어 참기름이 갖고 있는 고소한 향과 채종유에서 발산되는 유채꽃향이 후각을 자극하여 식욕을 돋게 한다.
그리고 불고기향 향신료는 혼합된 채종유와 참기름에 대하여 0.01~0.1중량%로서 극히 미량이지만 소고기향과 갈릭향이 적절히 배합되어 있으므로 특히 육류의 구운향을 배가시켜 식욕을 돋우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특성을 갖는 모든 원료를 예시한 비율대로 칭량하여 배합하고교반기로 약30분간 상온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혼합함으로서 완성품을 얻을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식용유는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용기에 소망하는 용량대로 포장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품화된 조미유는 짙은 암갈색 액체상태의 성상을 갖게되며, 가공식품의 착향이나 조리에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참기름 풍미를 함유하면서 적절히 배합된 여타 오일과 향신료에 의하여 음식물에 독특한 맛과 향이 부여되고 미각과 후각을 자극하여 식욕을 돋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비교적 저렴한 옥배유를 주제로 하였으므로 제품을 저렴하게 만들어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옥배유에 적당량의 참기름이 배합되어 있으므로 순수한 참기름의 고소한 풍미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미유는 옥수수 배아에서 추출한 옥배유를 주제로 하고 이에 최소한의 참기름과 함께 참깨향과 불고기향 등을 갖는 향신료와 혼합하여 순수한 참기름 맛과 불고기향 등을 갖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옥배유를 주제로 하면서도 순수한 참기름과 같은 성상과 풍미를 유지하므로 고가의 순수한 참기름 대신에 일반 가정에서도 저렴하게 구입하여 상용할 수 있으며, 기타 미량의 향신료가 어우러져 독특한 향을 발산하므로 음식물에 조미하여 섭취시 후각을 자극하여 식욕을 돋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성되는 조미유 100중량%에 대하여, 옥배유 70~90중량%와, 참기름 10~30중량%를 혼합하여 조미유 100중량%를 조성하고, 이에 대하여 채종유 80중량%, 참깨오일향 20중량%의 비율로 혼합된 참깨오일향 향신료 3~6중량% 및 갈릭향, 불고기향, 소고기향 등의 조성물로 된 불고기향 향신료 0.01~0.1중량%를 첨가한 후, 이를 혼합, 교반하여 얻은 순수한 참기름이 갖는 풍미와 색상을 띄도록 한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향 조미유.
KR1019970071123A 1997-12-20 1997-12-20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KR10024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123A KR100240944B1 (ko) 1997-12-20 1997-12-20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123A KR100240944B1 (ko) 1997-12-20 1997-12-20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79A KR980000079A (ko) 1998-03-30
KR100240944B1 true KR100240944B1 (ko) 2000-01-15

Family

ID=1952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123A KR100240944B1 (ko) 1997-12-20 1997-12-20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05B1 (ko) * 2002-10-02 2005-07-11 윤병기 자장소스 볶음용 기름 및 그 제조방법
CN103783171A (zh) * 2012-10-26 2014-05-14 鲍玲玲 一种食用调和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05B1 (ko) * 2002-10-02 2005-07-11 윤병기 자장소스 볶음용 기름 및 그 제조방법
CN103783171A (zh) * 2012-10-26 2014-05-14 鲍玲玲 一种食用调和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79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2495A (ko) 떡볶이용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떡볶이용 소스
CN113662162A (zh) 一种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KR100240944B1 (ko) 옥배유를 주제로한 착형 조미유
KR20190023281A (ko) 맛기름 및 맛기름 제조방법
KR101919694B1 (ko) 숯불향이 가미된 데리야끼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7900B1 (ko) 고추씨맛 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398778B1 (ko) 고추맛 기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384524B1 (ko) 햄버거용 소스와 그 제조방법
KR20180119818A (ko) 귤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KR20180037761A (ko) 소불고기용 양념의 제조방법
JP3366260B2 (ja) 蒸し料理用調味ソース
KR100332100B1 (ko) 비빔밥용 소고기 꿀고추장
JP4025717B2 (ja) 分離型液体調味料
KR20200089516A (ko) 치킨용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KR20200073828A (ko) 강황 소재를 활용한 떡갈비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747799B2 (ja) 液状調味料
RU2197870C1 (ru) Композиция комплексной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для инъецирования полуфабрикатов из мяса птицы длите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KR20170032686A (ko) 된장을 이용한 조미 조성물
CN118120889A (zh) 一种用于拌面的香辣香精
KR20000001958A (ko) 육류 가공식품용 쏘스 제조방법
KR100476072B1 (ko) 볶음춘장의 제조방법
Oli et al.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salad creams made from locally available raw materials
JP2022130970A (ja) ルウの製造方法及びルウ
KR20220113632A (ko)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0495U (ko) 표고버섯 순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