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632A -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632A
KR20220113632A KR1020210025537A KR20210025537A KR20220113632A KR 20220113632 A KR20220113632 A KR 20220113632A KR 1020210025537 A KR1020210025537 A KR 1020210025537A KR 20210025537 A KR20210025537 A KR 20210025537A KR 20220113632 A KR20220113632 A KR 2022011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egetable
much
sausa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채희정
이종민
박민경
강민지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1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2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texturising
    • A23J3/225Texturised simulated foods with high protein content
    • A23J3/227Meat-like textured fo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05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from liliaceae, e.g. onions, 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Abstract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은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및 물을 포함하는 분말 및 액상 재료를 준비하고, 채소류와 견과류를 포함하는 원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케이싱에 넣어 케이싱된 소시지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및 비트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미 재료는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소류는 표고버섯, 양파 및 마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과류는 캐슈넛 및 아몬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Vegetable sausage made from vegetable ingredi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기반 대체육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습관의 보편화로 인하여 육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과 질병, 환경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 예방, 건강 증진 및 영양학적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환경친화적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져 육류 대체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매년 육류 단백질의 추가 공급이 필요한 상황에서 육류 대체식품으로서 식물성 고기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시장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고기는 동물성 지방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콜레스테롤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감소시키고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잘 만들어진 식물성 고기에는 동물성 고기에 부족한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하게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성 고기는 육고기로 만든 혼합 육햄이나 소시지와 비슷한 씹힘성을 갖는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식물성 고기의 주 사용 재료인 식물성 단백질은 외형적으로 육류의 형태를 구현할 수는 있지만, 육류 특유의 조직감과 맛을 구현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특히, 식물성 단백질은 콩 특유의 비린내로 인하여 기호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 사용되는 식물성 단백질의 단일 사용으로는 육류에 가까운 맛과 조직감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식물성 고기와 관련된 새로운 제조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식물성 고기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조직콩단백질을 주재료로 배합하여 육고기와 유사한 조직감을 재현한 한국등록특허 10-0878329호(조직콩단백질을 이용한 콩소시지 제조방법), 효소처리된 조직대두반백질을 이용하여 콩 비린내를 줄이고 조직감을 개선한 한국등록특허 10-1021941호(효소처리된 조직대두반백질을 이용한 콩햄버거 패티의 제조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조직감 재현의 수단이 콩단백질로만 국한되어 있다는 단점 및 한계가 있다. 콩단백질의 단일적인 사용으로 인해 실제 육류에 미치는 맛과 육즙, 외향 등을 모두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296186호(식물성 고기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서는 식물성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식물성 고기를 제조하였으나, 조직감과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에 국한되어, 식물성 고기의 맛의 향상 및 육즙 재현에는 미비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육류 대체식품으로서 맛과 조직감, 육즙, 외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모두 높은 재현성을 갖는 식물성 고기 및 관련 제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78329호 (공개일 2008.12.31)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21941호 (공개일 2009.11.25)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96186호 (공개일 2013.02.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맛과 조직감, 육즙, 외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제 육류에 가까운 우수한 재현성을 가지며 아울러 향상된 기호도를 갖는 소시지 형태의 육류 대체식품(즉, 식물성 소시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소시지 형태의 육류 대체식품(즉, 식물성 소시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및 물을 포함하는 분말 및 액상 재료를 준비하고, 채소류와 견과류를 포함하는 원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케이싱에 넣어 케이싱된 소시지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및 비트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미 재료는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소류는 표고버섯, 양파 및 마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과류는 캐슈넛 및 아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반죽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3.26 ∼ 17.9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1.87 ∼ 2.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9.43 ∼ 12.7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0.93 ∼ 1.2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는 100℃ 온도에서 약 2분 내지 4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는 분쇄용 믹서기를 이용해서 약 30초 내지 2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는 100℃ 온도에서 약 10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 후, 상기 소시지를 냉동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및 물을 포함하는 분말 및 액상 재료를 준비하고, 채소류와 견과류를 포함하는 원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케이싱에 넣어 케이싱된 소시지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반죽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4.65 ∼ 33.3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9.77 ∼ 13.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조미 재료는 6.03 ∼ 8.1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채소류는 10.45 ∼ 14.1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견과류는 5.61 ∼ 7.59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되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로서, 케이싱 내에 채워진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은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채소류, 견과류 및 수분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4.65 ∼ 33.3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9.77 ∼ 13.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조미 재료는 6.03 ∼ 8.1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채소류는 10.45 ∼ 14.1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견과류는 5.61 ∼ 7.59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수분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되는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가 제공된다.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및 비트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미 재료는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소류는 표고버섯, 양파 및 마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과류는 캐슈넛 및 아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서,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3.26 ∼ 17.9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1.87 ∼ 2.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9.43 ∼ 12.7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0.93 ∼ 1.2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분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맛과 조직감과 육즙 및 외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제 육류에 가까운 우수한 재현성을 가지며 아울러 향상된 기호도를 갖는 소시지 형태의 육류 대체식품(즉, 식물성 소시지)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찹쌀가루, 아몬드, 캐슈넛 등을 사용하여 조직감 및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양파, 마늘, 버섯, 참기름, 소금, 바베큐소스, 허브솔트 등의 채소류와 조미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일부 재료에 가열 처리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맛과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재료를 적절히 그리고 적정량 사용함으로써, 육즙과 외관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육류를 대신할 수 있으면서 맛과 영양, 기호도 측면에서 우수한 식물성 고기 제품을 제공하여,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성인병 등)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식물성 소시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용어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아울러,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 "실질적으로" 등의 정도의 용어는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를 감안하여, 그 수치나 정도의 범주 또는 이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식물성 소시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식물성 소시지)의 제조방법은 '분말 및 액상 재료'와 '원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는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및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물 재료는 채소류와 견과류를 포함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각 재료를 필요한 양 만큼 계량하여 준비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식물성 소시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S20),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S30),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마련하는 단계(S40), 상기 혼합 반죽을 케이싱에 넣어 케이싱된 소시지를 만드는 단계(S50) 및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분리대두단백(isolated soy protein)(ISP), 찹쌀가루, 밀전분 및 비트분말(즉, beetroot powd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미 재료는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금은 천일염, 재제염 또는 정제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솔트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 또한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채소류는 표고버섯, 양파 및 마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견과류는 캐슈넛 및 아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비트분말,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참기름, 표고버섯, 양파, 마늘, 캐슈넛 및 아몬드는 모두 식물성 재료일 수 있고, 상기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는 조미 목적의 재료일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식물성 소시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 상기 식물성 오일, 상기 조미 재료, 상기 채소류, 상기 견과류 및 상기 물의 함량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성 소시지의 제조시, 상기 혼합 반죽에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4.65 ∼ 33.3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9.77 ∼ 13.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미 재료는 6.03 ∼ 8.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채소류는 10.45 ∼ 14.1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견과류는 5.61 ∼ 7.59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 상기 식물성 오일, 상기 조미 재료, 상기 채소류, 상기 견과류 및 상기 물의 함량은 아래의 표 2에 정리한 바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즉,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성 소시지의 제조시, 상기 혼합 반죽에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6.97 ∼ 31.0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10.69 ∼ 12.3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미 재료는 6.60 ∼ 7.6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채소류는 11.44 ∼ 13.16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견과류는 6.14 ∼ 7.06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물은 31.06 ∼ 35.7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표 1의 조건을 만족하거나 특히 표 2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맛과 조직감, 육즙, 외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제 육류에 가까운 우수한 재현성을 가지며 아울러 향상된 기호도를 갖는 식물성 소시지를 제조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 상기 식물성 오일, 상기 조미 재료, 상기 채소류, 상기 견과류 각각이 포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재료들과 그 함량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성 소시지의 제조시, 상기 혼합 반죽에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3.26 ∼ 17.9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1.87 ∼ 2.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9.43 ∼ 12.7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0.93 ∼ 1.2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비트분말,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참기름, 소금, 바베큐소스, 허브솔트, 표고버섯, 양파, 마늘, 캐슈넛, 아몬드 및 물의 함량은 아래의 표 4에 정리한 바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4
즉,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성 소시지의 제조시, 상기 혼합 반죽에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4.51 ∼ 16.69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6.23 ∼ 7.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2.05 ∼ 2.3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4.19 ∼ 4.8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10.32 ∼ 11.8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6.23 ∼ 7.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6.23 ∼ 7.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4.19 ∼ 4.8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1.02 ∼ 1.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3.07 ∼ 3.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3.07 ∼ 3.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물은 31.06 ∼ 35.7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표 3의 조건을 만족하거나 특히 표 4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맛과 조직감, 육즙, 외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제 육류에 가까운 우수한 재현성을 가지며 아울러 향상된 기호도를 갖는 식물성 소시지를 제조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분리대두단백과 밀전분은 육류의 조직감 재현에 기반의 되는 재료일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육질의 쫄깃한 식감을 보다 잘 구현하기 위한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캐슈넛과 아몬드는 고소한 맛과 특유의 식감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양파와 마늘, 표고버섯은 육류의 조직감 개선 및 향미 개선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은 육류의 육즙 재현 및 향미 개선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식물성 소시지에서는 실제 육류 및 동물성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미, 착향, 착색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참기름과 함께 바베큐소스, 소금, 허브솔트와 같은 조미 재료가 사용되었다. 또한, 비트분말은 착색 재료로서 육류의 색을 천연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들은 식물성 소시지의 맛과 향, 조직감은 물론이고 영양까지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비트분말,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참기름, 소금, 바베큐소스, 허브솔트, 표고버섯, 양파, 마늘, 캐슈넛, 아몬드 및 물의 함량은 아래의 표 5에 정리한 바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5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예시로서, 상기 식물성 소시지의 제조시, 상기 혼합 반죽에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5.6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6.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2.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4.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11.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6.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6.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4.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1.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3.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3.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물은 33.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채소류와 견과류를 포함하는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S20)에서는 S10 단계에서 계량된 원물 재료를 혼합한 후, 이를 약 100℃ 온도에서 약 2분 내지 4분 동안 가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온도에서 3분 동안 가열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원물 재료의 선 가열 처리를 통해서, 결과적으로, 제조되는 소시지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S30)는 분쇄용 믹서기를 이용해서 약 30초 내지 2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S30)는 분쇄용 믹서기를 이용해서 1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고, 이는 소시지의 맛과 식감 향상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마련하는 단계(S40)에서는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골고루 혼합한 후, 약 1분 내지 10분 정도, 예컨대, 약 3분 정도 반죽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반죽을 케이싱에 넣어 케이싱된 소시지를 만드는 단계(S50)에서는, 예를 들어, 콜라겐 케이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케이싱은, 예컨대, 약 26 mm의 지름과 약 15 m의 총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싱의 종류 및 치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소정의 케이싱기를 이용해서 상기 콜라겐 케이싱 내에 상기 혼합 반죽을 채워 소시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S60)는 약 100℃ 온도에서 약 10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찜기와 면보 등을 이용해서 100℃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쪄줄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S60) 후, 상기 소시지(즉, 완성된 소시지)를 냉동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 보관은 약 -18℃ 이하의 저온 보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소시지를 제조한 후(즉, S60 단계 후), 바로 냉동 보관함으로써 맛과 향, 물성 등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소시지는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로서, 케이싱 내에 채워진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은 표 1 내지 표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성분 및 구성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은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채소류, 견과류 및 수분(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채소류, 견과류 및 수분(물)의 함량은 표 1 및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4.65 ∼ 33.3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9.77 ∼ 13.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미 재료는 6.03 ∼ 8.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채소류는 10.45 ∼ 14.1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견과류는 5.61 ∼ 7.59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분(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6.97 ∼ 31.0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10.69 ∼ 12.3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미 재료는 6.60 ∼ 7.6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채소류는 11.44 ∼ 13.16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견과류는 6.14 ∼ 7.06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분(물)은 31.06 ∼ 35.7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및 비트분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미 재료는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채소류는 표고버섯, 양파 및 마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견과류는 캐슈넛 및 아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료들의 함량은 표 3 내지 표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3.26 ∼ 17.9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1.87 ∼ 2.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9.43 ∼ 12.7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0.93 ∼ 1.2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분(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4.51 ∼ 16.69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6.23 ∼ 7.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2.05 ∼ 2.3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4.19 ∼ 4.8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10.32 ∼ 11.8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6.23 ∼ 7.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19 ∼ 0.2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6.23 ∼ 7.1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4.19 ∼ 4.8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1.02 ∼ 1.18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3.07 ∼ 3.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3.07 ∼ 3.5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분(물)은 31.06 ∼ 35.7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5.6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찹쌀가루는 6.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밀전분은 2.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트분말은 4.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도씨유는 11.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참기름은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소금은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6.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허브솔트는 0.2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표고버섯은 6.7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양파는 4.5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마늘은 1.1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캐슈넛은 3.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아몬드는 3.3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수분(물)은 33.4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식물성 소시지와 시판되고 있는 기존의 식물성 소시지(시중제품 A, 시중제품 B)에 대하여 관능검사(sensory evaluation)를 진행하여 ANOVA(analysis of variance)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아래의 표 6과 같았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소시지는 표 5에 해당하는 재료 및 함량비(구성비)로 제조된 것이다.
Figure pat00006
표 6의 평가는 DMRT(Duncan's Multiple Range Test) 방식으로 수행되었고, 결과 값들은 "평균±표준오차", 즉, "mean±SE" 이며, 이때, p-value(유의확률)는 0.05 미만이고(p < 0.05), N(모집단의 크기)은 7 이었다.
상기 표 6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소시지와 시판되고 있는 기존의 식물성 소시지(시중제품 A, 시중제품 B)에 대한 관능검사에서 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맛과 향, 기호도에서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소시지가 더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고, 색 및 씹힘성(조직감)에서는 시중제품과 유사하거나 향상된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재료로 제조한 식물성 소시지가 맛과 향, 조직감, 기호도 등 전반적인 측면에서 시중제품 보다 우수한 평가 결과(즉, 육류 재현성과 선호도)를 보인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맛과 조직감과 육즙 및 외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제 육류에 가까운 우수한 재현성을 가지며 아울러 향상된 기호도를 갖는 소시지 형태의 육류 대체식품(즉, 식물성 소시지)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찹쌀가루, 아몬드, 캐슈넛 등을 사용하여 조직감 및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양파, 마늘, 버섯, 참기름, 소금, 바베큐소스, 허브솔트 등의 채소류와 조미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일부 재료에 가열 처리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맛과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재료를 적절히 그리고 적정량 사용함으로써, 육즙과 외관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육류를 대신할 수 있으면서 맛과 영양, 기호도 측면에서 우수한 식물성 고기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성인병 등)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들 들어,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 및 표 1 내지 표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식물성 분말 재료의 구체적인 종류, 식물성 오일의 구체적인 종류, 조미 재료의 구체적인 종류, 채소류의 구체적인 종류 및 견과류의 구체적인 종류는 일부 변경/대체될 수 있고, 각 재료의 함량도 어느 정도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S10 : 분말 및 액상 재료와 원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S20 :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
S30 :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S40 : 분쇄된 원물 재료와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 반죽하는 단계
S50 : 소시지 형태로 케이싱하는 단계
S60 :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

Claims (7)

  1.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및 물을 포함하는 분말 및 액상 재료를 준비하고, 채소류와 견과류를 포함하는 원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케이싱에 넣어 케이싱된 소시지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및 비트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을 포함하고,
    상기 조미 재료는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를 포함하고,
    상기 채소류는 표고버섯, 양파 및 마늘을 포함하고,
    상기 견과류는 캐슈넛 및 아몬드를 포함하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반죽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3.26 ∼ 17.94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찹쌀가루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밀전분은 1.87 ∼ 2.5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비트분말은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포도씨유는 9.43 ∼ 12.7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참기름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소금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허브솔트는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표고버섯은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양파는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마늘은 0.93 ∼ 1.2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캐슈넛은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아몬드는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되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는 100℃ 온도에서 2분 내지 4분 동안 수행하고,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는 분쇄용 믹서기를 이용해서 30초 내지 2분 동안 수행하고,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는 100℃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하며,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 후, 상기 소시지를 냉동 보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5.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으로서,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및 물을 포함하는 분말 및 액상 재료를 준비하고, 채소류와 견과류를 포함하는 원물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물 재료를 가열 처리하는 단계;
    상기 가열 처리된 원물 재료를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원물 재료와 상기 분말 및 액상 재료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케이싱에 넣어 케이싱된 소시지를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된 소시지를 쪄서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반죽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4.65 ∼ 33.3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9.77 ∼ 13.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조미 재료는 6.03 ∼ 8.1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채소류는 10.45 ∼ 14.1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견과류는 5.61 ∼ 7.59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물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되는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6.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로서,
    케이싱 내에 채워진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은 식물성 분말 재료, 식물성 오일, 조미 재료, 채소류, 견과류 및 수분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24.65 ∼ 33.3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9.77 ∼ 13.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조미 재료는 6.03 ∼ 8.1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채소류는 10.45 ∼ 14.15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견과류는 5.61 ∼ 7.59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수분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되는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분말 재료는 분리대두단백, 찹쌀가루, 밀전분 및 비트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포도씨유, 코코넛 오일 및 참기름을 포함하고, 상기 조미 재료는 소금, 바베큐소스 및 허브솔트를 포함하고, 상기 채소류는 표고버섯, 양파 및 마늘을 포함하고, 상기 견과류는 캐슈넛 및 아몬드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성 소시지 충진물에서,
    상기 분리대두단백은 13.26 ∼ 17.94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찹쌀가루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밀전분은 1.87 ∼ 2.5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비트분말은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포도씨유는 9.43 ∼ 12.7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코코넛 오일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참기름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소금은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바베큐소스는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허브솔트는 0.17 ∼ 0.23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표고버섯은 5.69 ∼ 7.71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양파는 3.82 ∼ 5.18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마늘은 0.93 ∼ 1.27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캐슈넛은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아몬드는 2.80 ∼ 3.80 중량% 만큼 포함되고,
    상기 수분은 28.39 ∼ 38.41 중량% 만큼 포함되는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KR1020210025537A 2021-02-05 2021-02-25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3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24 2021-02-05
KR20210017024 2021-0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632A true KR20220113632A (ko) 2022-08-16

Family

ID=8306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37A KR20220113632A (ko) 2021-02-05 2021-02-25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63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29B1 (ko) 2007-06-26 2009-01-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직콩단백질을 이용한 콩소시지 제조방법
KR101021941B1 (ko) 2008-05-20 2011-03-16 (주)삼육식품 경기총판 효소처리된 조직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콩햄버거 패티의제조방법
KR101296186B1 (ko) 2011-07-27 2013-08-13 송현승 식물성 고기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29B1 (ko) 2007-06-26 2009-01-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직콩단백질을 이용한 콩소시지 제조방법
KR101021941B1 (ko) 2008-05-20 2011-03-16 (주)삼육식품 경기총판 효소처리된 조직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콩햄버거 패티의제조방법
KR101296186B1 (ko) 2011-07-27 2013-08-13 송현승 식물성 고기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8188B (zh) 一种红烧牛肉调味酱及其制备方法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2197398B1 (ko) 스팀찜기를 이용한 닭요리의 제조방법
KR20150134123A (ko) 해초 빵 및 그 제조방법
CN104872586A (zh) 一种布依风味肉末糟辣椒及其制作方法
KR101217884B1 (ko) 짬뽕 순두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짬뽕 순두부
KR101921331B1 (ko)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1002766B1 (ko) 된장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된장소스
KR101851984B1 (ko) 치즈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스테이크
KR101955824B1 (ko) 떡갈비를 함유한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462987B1 (ko) 부각제조방법
KR20220113632A (ko)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식물성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8742A (ko) 찰떡을 내포하는 어묵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21744B1 (ko) 콩 분말과 두부가 함유된 건강 햄버거
JPH0638710A (ja) ハンバー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5065B1 (ko) 돈피 젤라틴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 떡갈비의 제조방법
KR101246680B1 (ko) 패티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패티
CN109380708A (zh) 一种香辣下饭酱
KR101669869B1 (ko) 보리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514240B1 (ko) 해산물을 이용한 햄버그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KR102616350B1 (ko) 닭비린내가 제거된 닭갈비의 제조방법
KR20210010132A (ko) 콩물에 침지된 양념 황태포의 제조 방법
KR102600753B1 (ko) 조직감이 향상된 식물성 소시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0567B1 (ko) 웰빙 건강식 떡볶이용 떡 및 떡볶이의 제조방법
Pianjing et al. Utiliza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development of fish based Thai sn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