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483B1 -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483B1
KR100738483B1 KR1020050125958A KR20050125958A KR100738483B1 KR 100738483 B1 KR100738483 B1 KR 100738483B1 KR 1020050125958 A KR1020050125958 A KR 1020050125958A KR 20050125958 A KR20050125958 A KR 20050125958A KR 100738483 B1 KR100738483 B1 KR 10073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abric
conveyor
automatic
pack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489A (ko
Inventor
지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텍
Priority to KR1020050125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4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자동포장기의 원단 입출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다수의 롤링기에 따라 각각 다른 원단이 롤링되어 포장기를 거쳐 자동포장되는 경우, 종래 수작업으로만 포장 원단 분류가 가능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 포장기로부터의 취출 후 원래의 롤링기 번호에 따라 각각 다른 적재카트에 포장 원단을 적재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 자동포장기로의 입력 및 출력 작업이 기계적으로 처리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동포장기, 원단, 입력, 출력

Description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A sequence-control apparatus for input and output for a rolled textile wrapp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구성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단 자동포장기 20 : 원단투입장치
25 : 원단 롤링기 26 : 투입컨베이어
27 : 투입검지센서 28 : 투입이송센서
30 : 원단 취출장치 35 : 적재카트
36 : 취출컨베이어 37 : 취출검지센서
38 : 취출이송센서 39 : 실린더 피더구동부
본 발명은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원단을 롤링하는 롤링기가 독립적으로 다수 연속 배열된 투입장치에서 유입되는 원단을 포장한 후, 포장 원단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카트가 독립적으로 다수 연속 배열된 취출장치에 투입하는 시스템에서, 해당 포장 원단이 적절한 적재카트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입출 자동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형 원단 포장기라 함은, 롤링기에서 가공이 끝나서 둥글게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원단이 컨베이어(conveyer)를 통해 이송되어 오면, 이를 비닐로 감싼 뒤에 비닐 포장된 원단 센터를 열을 이용하여 접착 및 절단하고, 양 측면의 비닐을 열로 가열하여 밀착하여 붙임으로써 자동으로 포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롤형 원단 포장기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99-80549호(공개일: 1999년 11월 15일)의 "롤형 원단 포장기"에서 본 발명자에 의해서 개시된 바 있으며, 또한 히터 플레이트와 받침판의 사이에 원단의 끝부분이 끼여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설치하여 원단의 끝부분이 끼여 있는 경우 에는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원단이 방해되지 않도록 처리한 뒤에 포장을 함으로써, 포장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 접착 및 절단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3-40855호(공개일: 2003년 5월 23일)의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 접착 및 절단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기술된 바 있다.
상기한 롤형 원단 포장기에는 원단을 원단공급부('입구'라고도 칭함)에 제공하기 위한 콘베이어벨트 구성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롤링기에서 가공이 끝나고 롤형으로 권취된 원단이 콘베이어를 통해 승강판에 입수되며 실린더에 의하여 상승되고 승강판에 있는 원단이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원단진입구로 들어가는 구성이다.
그러나, 다수의 원단 롤링기들에서 롤링 가공되어진 원단들이 일련의 투입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자동 포장기에 유입되어 자동 포장된 후 다시 일련의 취출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원단 적재카트들에 보내지는 시스템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롤링기에 따라 각각 다른 원단이 롤링되어지므로 자동 포장 취출 후 원래의 롤링기 번호에 따라 각각 다른 소정의 적재 카트에 보내지도록 자동 제어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롤링기들 및 투입컨베이어들로 이루어진 투입장치에서 원단이 자동포장기 입구측에 공급 되어, 자동포장된 후, 다수의 적재카트 및 취출컨베이어들로 이루어진 취출장치로 유출되어, 적절한 소정의 적재카트로 투입하기 위한,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원단 자동포장기 입구측에 형성된 원단투입장치 및 출구측에 형성된 포장 원단취출 장치로 이루어진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원단투입장치는 원단롤링기 및 투입컨베이어로 이루어진 투입유닛이 다수로 일렬 배치되고, 포장 원단취출장치는 적재카트 및 취출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취출유닛이 다수로 일렬 배치되며 ; 상기 각각의 투입컨베이어 일측에는 투입검지센서가 고정되고, 투입컨베이어들 사이에는 투입이송센서가 장착되며 ; 상기 각각의 취출컨베이어 일측에는 취출검지센서 및 실린더 피더구동부가 고정되고, 취출컨베이어들 사이에는 취출이송센서가 장착되며 ; 상기 센서들 신호에 따라 실린더 피더구동부를 작동시켜 포장원단을 소정의 적재카트에 밀어넣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동작이 시작되면 각 롤링기로부터 각 투입컨베이어로 원단이 유입되며, 각 투입검지센서 및 투입검지센서 직전에 배치된 투입이송센서 신호를 확인하여 각 투입컨베이어 변수 를 설정하는 단계 ; 원단 자동포장기 입구측 투입컨베이어 변수를 원단 자동포장기 출구측 취출컨베이어 변수로 전달하는 단계 ; 각 취출컨베이어의 취출검지센서 및 취출검지센서 직전에 배치된 취출이송센서 신호를 확인하여 각 취출컨베이어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 각 취출컨베이어 변수가 각 적재카트값과의 일치를 확인하는 단계 ; 및 실린더피더구동부를 작동시켜 포장원단을 피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직전’ 또는 ‘직후’라는 표현은 해당 컨베이어를 기준으로 원단 진행방향에 따라 정의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를들면, 본 발명은 투입컨베이어 및 취출컨베이어가 자동포장기 양단인 입구측 및 출구측에 직접 인접한 실시예를 대상으로 하나, 상기 컨베이어들 및 자동포장기 입구 및 출구 사이에 보조적인 투입컨베이어 및 보조적인 취출컨베 이어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3이상의 다방향(multi-direction)투입이 가능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제어장치 구성 개략도이며 이에 의하면, 제어장치(1)는 원단 자동포장기(10) 입구측에 형성된 원단투입장치(20) 및 출구측에 형성된 포장 원단취출장치(30)로 이루어지며, 원단투입장치는 원단롤링기(25) 및 투입컨베이어(26)로 이루어진 투입유닛이 다수로 일렬 배치되고, 포장 원단취출장치(30)는 적재카트(35) 및 취출컨베이어(36)로 이루어진 취출유닛이 다수로 일렬 배치되며 ; 상기 각각의 투입컨베이어 일측에는 투입검지센서(27)가 고정되고, 투입컨베이어들 사이에는 투입이송센서(28)가 장착되며 ; 상기 각각의 취출컨베이어(36) 일측에는 취출검지센서(37) 및 실린더 피더구동부(39)가 고정되고, 취출컨베이어들 사이에는 취출이송센서(38)가 장착되며 ; 상기 센서들 신호에 따라 실린더 피더구동부를 작동시켜 포장원단을 소정의 적재카트에 밀어넣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장치에서 원단을 포장기 입구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투입컨베이어는 도시되지 아니한 콘베이어 구동부 정회전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장치에서 포장 원단을 이송시키기 위한 취출컨베이어 역시 도시되지 아니한 컨베이어 구동부 정회전에 의해 상기 투입컨베이어와 동일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수들은 한정되지 아니하나, 투입컨베이어수는 취출컨베이어 수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자동포장기 입출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자동포장기로의 입력 및 출력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에서의 롤링기 및 적재카트 수는 한정되지 아니하나, 이하, 롤링기가 총 4개이며, 이에 대응되는 적재카트가 총 4개인 경우를 예로써 장치 및 알고리즘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투입장치(20)를 설명한다. 제1 롤링기와 쌍을 이루는 제1 투입컨베이어 일측에는 제1 투입검지센서가 배치되나, 원단이송 정방향으로 직전 투입이송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제2 롤링기(25)와 쌍을 이루는 제2 투입컨베이어(26) 일측에는 제2 투입검지센서(27) 및 원단이송 정방향으로 직전에 배치된 제2 투입이송센서(28, 첫번째 투입이송센서이나 설명의 일관성을 위하여 제2 투입이송센서라고 칭함)가 구비되고, 연속적으로 제3 롤링기와 쌍을 이루는 제3 투입컨베이어 일측에는 제3 투입검지센서 및 제3 투입이송센서 ; 제4 롤링기(25')와 쌍을 이루는 제4 투입컨베이어(26') 일측에는 제4 투입검지센서(27') 및 제4 투입이송센서(2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투입검지센서들은 위치감지센서이며 바람직하게는 포토센서로써 롤링기로부터 원단이 유입되어 해당 컨베이어에 위치할 때 ON 상태이며, 해당 컨베이어에 어떠한 원단도 위치하지 아니하면 OFF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이송검지센서들 역시 포토센서로써 원단이 해당 구간을 지날 때 ON 상태이며, 해당 지역을 통과하면 OFF 상태로 유지된다.
유사하게 구성된 취출장치(30)를 설명한다. 자동 포장기(10) 입구측에서 롤형 원단이 유입되어 자동으로 원단이 포장되고, 포장된 롤형 원단이 출구측으로 유출되며, 원단 자동포장기 출구측에 위치된 제4 적재카트(35')와 쌍을 이루는 제4 취출컨베이어(36') 일측에는 제4 취출검지센서(37') 및 제4 피더구동부(39')가 배치되나, 포장 원단이송 정방향으로 직전 취출이송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한 것은 제1 투입유닛에서 투입이송센서를 고려하지 아니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3 적재카트와 쌍을 이루는 제3 취출컨베이어 일측에는 제3 취출검지센서 및 제3 피더구동부가 배치되며 포장 원단이송 정방향으로 제3 취출컨베이어 입력 직전에 배치된 제3 취출이송센서가 구비되고, 연속적으로 제2 적재카트(35)와 쌍을 이루는 제2 취출컨베이어(36) 일측에는 제2 취출검지센서(37), 제2 피더구동부(39) 및 제2 취출이송센서(38) ; 제1 적재카트와 쌍을 이루는 제1 취출컨베이어 일측에는 제1 취출검지센서, 제1 피더구동부 및 제1 취출이송센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취출검지센서들은 투입검지센서와 동일한 위치감지센서이며 바람직하게는 포토센서로써 포장 원단이 유입되어 해당 취출컨베이어에 위치할 때 ON 상태이며, 해당 컨베이어에 어떠한 포장 원단도 위치하지 아니하면 OFF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취출이송센서들 역시 투입이송센서와 동일한 포토센서로써 포장원단이 해당 구간을 지날 때 ON 상태이며, 해당 지역을 통과하면 OFF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센서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변수값들을 설정한다. 우선, 투입장치에 장착된 센서들에 의한 변수값 및 설정방법을 설명한다. 해당 투입컨베이어에 원단이 위치되면 해당 투입검지센서들은 ON 되고, 한편 원단이 어떠한 이유라도 존재하지 아니하면 해당 투입검지센서들은 OFF으로 설정되며, 하기 제어방법에 의거하여 각 투입컨베이어들 일측에 부착된 투입검지센서들에 따른 변수들(이하, '투입컨베이어 변수'라 함, Conv_1 내지 Conv_4) 값을 설정한다. 또한 투입이송센서들에 따른 변수들(이하, '투입이송변수'라고 칭함)은 Pass_N(N+1)S 및 Pass_N(N+1)E로 정하되, 상기 Pass_N(N+1)S 변수는 제N 투입컨베이어에서 제(N+1) 투입컨베이어 사이의 이송검지센서가 ON일 때, 즉 원단이 상기 구간을 지나기 시작(S)할 때, 1로 설정되며, Pass_N(N+1)E 변수는 제N 컨베이어에서 제(N+1) 컨베이어 사이의 이송검지센서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경될 때, 즉 원단이 상기 구간을 통과(End)할 때, 1로 설정되도록 설계된다. 예를들면, Pass_12S는 제1 컨베이어 및 제2 컨베이어 사이를 원단이 지나기 시작하면 1로 설정되며, Pass_12E는 이 상태에서 0 으로 설정되나, 원단이 제1 투입컨베이어 및 제2 투입컨베이어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면 1로 설정된다.
한편, 취출장치에 장착된 센서들에 의한 변수값 및 설정방법은 상기 투입장치와 유사하며 이하 설명한다. 해당 취출컨베이어에 포장 원단이 위치되면 해당 취 출검지센서들은 ON 상태로 설정되며, 취출컨베이어 상에 포장 원단이 어떠한 이유라도 존재하지 아니하면 해당 취출검지센서들은 OFF으로 설정되며, 제어방법에 따라 취출검지센서들에 따른 변수들(이하, '취출컨베이어 변수'라 함, OConv_4 내지 OConv_1)가 설정된다. 또한 취출이송센서들에 따른 변수들(이하, '취출이송변수'라 함)은 OPass_(N+1)(N)S 및 Pass_(N+1)(N)E로 정하되, 상기 Pass_(N+1)(N)S 변수는 제(N+1) 취출컨베이어 및 제N 취출컨베이어 사이의 취출이송센서가 ON일 때, 즉 포장 원단이 상기 구간을 지나기 시작(Start)할 때, 1로 설정되며, Pass_(N+1)(N)E 변수는 제(N+1) 취출컨베이어 및 제N 취출컨베이어 사이의 취출이송센서가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경될 때, 즉 포장 원단이 상기 구간을 통과(End)할 때, 1로 설정되도록 설계된다. 예를들면, Pass_43S는 제4 취출컨베이어 및 제3 취출컨베이어 사이를 포장 원단이 통과하기 시작하면 1로 설정되며, Pass_43E는 이 상태에서 0 으로 설정되나, 포장 원단이 제4 취출컨베이어 및 제3 취출컨베이어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면 1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서 요구되는 변수 초기값들은 모든 0으로 설정된다.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제2 롤링기 및 제4 롤링기로부터 동시에 원단이 해당 투입컨베이어(26, 26')에 유입되었다고 가정하면, 해당 투입검지센서(27, 27')에 의한 투입컨베이어 변수들, Conv_2 및 Conv_4를 설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직전 투입이송센서(28, 28')에 의한 투입이송 변수인 Pass_N(N+1)E을 확인한다. 제2 컨베이어 직전 투입이송변수 Pass_12E 및 제4컨베이어 직전 투입이송변수 Pass_34E 값을 확인하여 이 변수들이 1로 설정되어 있다면 직전 투입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원단이므로 Conv_2=Conv_1 및 Conv_4=Conv_3 등으로 이전 투입컨베이어 변수 Conv_N 값으로 설정한 후, Pass_N(N+1)S 및 Pass_N(N+1)E가 리셋되며, 상기 투입이송변수들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롤링기에서 유입된 원단이므로 Conv_2=2 및 Conv_4=4 등으로 해당 롤링기 번호가 설정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제1 투입컨베이어 변수 Conv_1의 경우는 직전 투입이송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므로, 제1 투입컨베이어에 원단이 위치된 경우에는 Conv_1=1로 설정될 뿐이며, 직전 투입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바는 없다고 확인한다.
간단한 설명을 위한 상기 예에서, 초기에는 투입이송변수들 Pass_N(N+1)S 및 Pass_N(N+1)E 값들이 모두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투입컨베이어변수들은 각각 Conv_2=2 및 Conv_4=4로 설정된다.
원단들이 해당 투입컨베이어들(26, 26')에 유입된 후, 투입컨베이어들이 동시 구동되어 원단 진행 정방향 유닛단위로 이송되면, 투입이송변수들은 각각 Pass_23S=1, Pass_23E=1로 설정되며, Pass_23E=1 이므로, 직전 Conv_2 변수값을 Conv_3 변수값으로 설정하고 투입이송변수들은 리셋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Conv_3=2로 설정되어, 해석하기로는 현재 제3 투입컨베이어 상에 위치된 원단은 제2 롤링기로부터 유입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4 투입컨베이어(26') 상에 위치되었던 원단은 자동 포장기(10) 입구측을 통하여 포장기로 진입되어 자동포장되어 출구측으로 방출되어 취출장치 최초 취출컨베이어(36') 상에 놓이되, 이때 자동포장기 입구측 직전 투입컨베이어(26') 변수 Conv_4 값은 출구측 직후 최초 취출컨베이어(36') 변수값으로 설정된다. 즉, OConv_4=Conv_4(=4)로 설정되어, 해석하기로는 제4 취출컨베이어(36') 상에 놓인 포장 원단은 제4 롤링기(25')로부터 유입된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는 취출컨베이어 변수들, OConv_4 내지 OConv_1 값과 각각의 적재카트 상수값(4, 3, 2, 1)을 대비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실린더 피더구동부를 작동하여 푸셔(pusher)를 밀어 해당 적재카트에 포장원단을 떨어트린다. 현재 OConv_4=4로 설정되며, 이값은 해당 적재카트 상수값 4와 일치하므로 포장원단은 제4 적재카트(35’)에 푸셔에 의해 밀려 투입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되면, 각 롤링기로부터 유입된 원단은 해당 적재카트에 적절하게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간단한 예시에서 예정된, 현재 제3 투입컨베이어에 위치된 제2 롤링기(25)에서 유입된 원단을 제2 적재카트(35)에 투입하는 제어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컨베이어 변수 Conv_3=2로 설정되어 있으며, 투입유닛 단위로 투입컨베이어 구동에 의하여 제3 투입컨베이어에 있는 제2 롤링기에서 유입된 원단이 제4 투입컨베이어(26')로 진전되면, 해당 투입컨베이어 변수 Conv_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전 투입이송센서(28')에 의한 변수 Pass_34E를 판단하여 직전 투입컨베이어 변수값을 전달받아 Conv_4=2로 설정된다. 또 한번의 컨베이어 동시 구동에 의하여 제4 컨베이어(36')에 위치된 제2 롤링기(25)에서 유입된 원단은 자동포장기(10)로 진입되어 포장됨과 동시에 포장기 입구측 투입컨베이어(26') 변수값(Conv_4=2)은 포장기 출구측 최초 취출컨베이어 변수(OConv_4)로 전달된다. 제어부에 의하여 OConv_4=2 값 및 해당 제4 취출컨베이어에서의 적재카트 상수값(4)과 비교하되, 일치하지 아니하므로 피딩실린더는 구동되지 않고 연속적인 취출컨베이어 구동에 의하여 제4 취출컨베이어에 놓인 포장 원단은 제3 취출컨베이어로 진전된다. 이때, 직전 취출이송센서 신호에 따라 취출이송변수들이 OPass_43S=1, OPass_43E=1 로 설정되므로, 즉 이전 취출컨베이어인 제4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것이므로, 취출컨베이어 변수값을 전달받아 OConv_3=OConv4(=2)로 설정되고, 다시 해당 제3 컨베이어에서의 적재카트 상수값(3)과 비교하되, 일치하지 않으므로 제2 취출컨베이어(36)에 이송될 때 까지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연속 수행되어 제2 적재카트(35)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원단 자동포장기 입출 자동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된 후에 프로그램화되어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도 3의 동작수순이 제어부에 의해서 실행되면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각 롤링기로부터 각 투입컨베이어로 원단이 유입되며, 각 투입검지센서 및 투입검지센서 직전에 배치된 투입이송센서 신호를 확인하여 각 투입컨베이어 변수 Conv_N를 설정한다(S10). 이때, 상기 각 투입컨베이어 변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투입이송센서에 따른 투입이송변수 Pass_N(N+1)E 값을 확인한다 ; 원단 자동포장기 입구측 최후 투입컨베이어 변수를 원단 자동포장기 출구측 최초 취출컨베이어 변수로 전달한다(S20). ; 각 취출컨베이어의 취출검지센서 및 취출검지센서 직후에 배치된 취출이송센서 신호를 확인하여 각 취출컨베이어 변수를 설정한다(S30). 이때, 상기 각 취출컨베이어 변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취출이송센서에 따른 취출이송변수 Pass_(N+1)(N)E 값을 확인한다 ; 각 취출컨베이어 변수가 각 적재카트값과의 일치를 확인한다(S40) ; 및 상기 일치하는 경우 해당 롤링기로부터 유입된 포장 원단이므로 해당 적재카트에 밀어넣기 위하여 실린더피더구동부를 작동시켜 포장원단을 피딩하며(S50), 그렇지 못한 경우 해당 취출컨베이어에 위치한 포장 원단은 다음 취출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이러한 루트는 연속하여 수행되며, 투입 및 취출이송센서에 의한 변수들은 해당 컨베이어변수값이 이전 컨베이어변수값으로 대체되면 즉시 리셋된다.
상기 간단한 설명을 위한 실시예는 당업자간에 용이하게 고안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을 생략한다. 예를들면, 자동포장기 입구측 및 출구측에 보조 컨베이어들이 연장된 경우, 또는 해당 투입컨베이어에서 작업자가 부정기적으로 원단을 임의로 들어내는 경우 등은 설명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에 속하는, 투입장치에서 각 롤링기 값을 인식하여 원단 진행방향으로 해당 롤링기 번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취출장치에서 해당 적재카트들 값과 비교하여 적절한 적재카트에 투입하는 방법 및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단 자동포장기의 원단 입출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여, 롤링기에 따라 각각 다른 원단이 롤링되는 경우, 종래 수작업으로만 포장 원단 분류가 가능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 포장 취출 후 원래의 롤링기 번호에 따라 각각 다른 적재카트에 보내질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섬유 가공분야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4)

  1. 원단 자동포장기 입구측에 형성된 원단투입장치 및 출구측에 형성된 포장 원단취출 장치로 이루어진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에 있어서, 원단투입장치(20)는 원단롤링기(25) 및 투입컨베이어(26)로 이루어진 투입유닛이 다수로 일렬 배치되고, 포장 원단취출장치(30)는 적재카트(35) 및 취출컨베이어(36)로 이루어진 취출유닛이 다수로 일렬 배치되며 ; 상기 각각의 투입컨베이어 일측에는 투입검지센서(27)가 고정되고, 투입컨베이어들 사이에는 투입이송센서(28)가 장착되며 ; 상기 각각의 취출컨베이어 일측에는 취출검지센서(37) 및 실린더 피더구동부(39)가 고정되고, 취출컨베이어들 사이에는 취출이송센서(38)가 장착되며 ; 상기 센서들 신호에 따라 실린더 피더구동부를 작동시켜 포장원단을 소정의 적재카트(35)에 밀어넣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위치감지센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3. 각 롤링기로부터 각 투입컨베이어로 원단이 유입되며, 각 투입검지센서 및 투입검지센서 직전에 배치된 투입이송센서 신호를 확인하여 각 투입컨베이어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
    원단 자동포장기 입구측 투입컨베이어 변수를 원단 자동포장기 출구측 취출컨베이어 변수로 전달하는 단계 ;
    각 취출컨베이어의 취출검지센서 및 취출검지센서 직전에 배치된 취출이송센서 신호를 확인하여 각 취출컨베이어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
    각 취출컨베이어 변수가 각 적재카트값과의 일치를 확인하는 단계 ; 및
    실린더피더구동부를 작동시켜 포장원단을 피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위치감지센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방법
KR1020050125958A 2005-12-20 2005-12-20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3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958A KR100738483B1 (ko) 2005-12-20 2005-12-20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958A KR100738483B1 (ko) 2005-12-20 2005-12-20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707U Division KR200413637Y1 (ko) 2005-12-20 2005-12-20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489A KR20070065489A (ko) 2007-06-25
KR100738483B1 true KR100738483B1 (ko) 2007-07-13

Family

ID=3836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958A KR100738483B1 (ko) 2005-12-20 2005-12-20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421B1 (ko) * 2011-12-19 2013-12-13 신상철 원단 구분 적재 방법 및 장치
KR101645350B1 (ko) * 2016-01-21 2016-08-03 주식회사 한진 권취원단 자동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9317A (ja) * 1988-11-14 1990-05-29 Kanebo Ltd 棒巻反の搬送方法
KR19980057422U (ko) * 1997-02-04 1998-10-15 메이 시유 셴 튜안 자동 카톤 캡-폴딩 및 시일링 장치
KR100245993B1 (ko) * 1997-07-02 2000-04-01 조계원 롤 자동포장장치
KR20050100534A (ko) * 2004-04-14 2005-10-19 우남순 롤제품의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9317A (ja) * 1988-11-14 1990-05-29 Kanebo Ltd 棒巻反の搬送方法
KR19980057422U (ko) * 1997-02-04 1998-10-15 메이 시유 셴 튜안 자동 카톤 캡-폴딩 및 시일링 장치
KR100245993B1 (ko) * 1997-07-02 2000-04-01 조계원 롤 자동포장장치
KR20050100534A (ko) * 2004-04-14 2005-10-19 우남순 롤제품의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489A (ko)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6205B (zh) 積載輸送機系統及搬送系統
EP2325087B1 (en) Back-to-back bundle strapping machine
JP3452693B2 (ja) 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供給装置
JPH0741177A (ja) 搬送された物品の予め選択された配列を繰り返し形成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096261B2 (ja) 布片処理装置
KR100738483B1 (ko)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H082680A (ja) 箱物品積層方法及び装置
KR200413637Y1 (ko)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KR101985728B1 (ko)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CN108290653B (zh) 容器处理系统和用于切换容器处理系统的操作的方法
KR102540354B1 (ko) 팔레타이저 시스템
JP3936951B2 (ja) タオル折畳み方法及びタオル折畳み機
JP4307147B2 (ja) 板状体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H0696410B2 (ja) 自動パレタイザ装置
ITVE20120022A1 (it) Dispositivo per alimentare pelli, particolarmente pelli bovine, ad una macchina arrotolatrice.
JP2005067863A (ja) 方向転換装置
JP2656442B2 (ja) 木材の乾燥装置
KR100608492B1 (ko)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85650Y1 (ko)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JP3668093B2 (ja) 給紙装置
JP5365178B2 (ja) ストレッチ包装方法及びストレッチ包装機
JP7467559B1 (ja) 物品仕分け装置
JP2001072323A (ja) 丁合装置
JP3480556B2 (ja) 搬送設備
JP3545451B2 (ja) 包装硬貨の整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