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492B1 -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492B1
KR100608492B1 KR1020050019574A KR20050019574A KR100608492B1 KR 100608492 B1 KR100608492 B1 KR 100608492B1 KR 1020050019574 A KR1020050019574 A KR 1020050019574A KR 20050019574 A KR20050019574 A KR 20050019574A KR 100608492 B1 KR100608492 B1 KR 10060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abric
sensor
mai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화인기계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인기계전자(주) filed Critical 화인기계전자(주)
Priority to KR1020050019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10Sequence control of conveyors operating in comb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공급부에 원단을 투입함에 있어서 좌 및/또는 우측 양방향으로부터의 원단 공급이 가능한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포장장치 및 양방향 콘베이어 조합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어, 공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롤형 원단 표장장치, 양방향 투입

Description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A sequence-control apparatus for providing a rolled textile from di-directions and a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의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단방향 투입 컨베이어 부분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컨베이어 구성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롤형 원단 포장장치 3 : 원단공급부 15: 실린더
16 : 승강판 17 : 원단 진입구 51 : 원단
52 : 콘베이어벨트 55 : 피딩롤라 56: 비닐롤 57 : 받침롤라
100 : 메인콘베이어 200 : 좌콘베이어 300 : 우콘베이어
101, 102 : 메인센서 201 : 좌센서 301 : 우센서
105 : 메인센서부 205 : 좌센서부 305 : 우센서부
106 : 메인콘베이어 구동부 206 : 좌콘베이어 구동부 306 : 우콘베이어 구동부
400 : 제어부 500 : 원단 피딩실린더 구동부
본 발명은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공급부에 원단을 투입함에 있어서 좌 및/또는 우측 양방향으로부터의 원단 공급이 가능한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형 원단 포장장치라 함은, 가공이 끝나서 둥글게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원단이 컨베이어(conveyer)를 통해 이송되어 오면, 이를 비닐로 감싼 뒤에 비닐 포장된 원단 센터를 열을 이용하여 접착 및 절단하고, 양 측면의 비닐을 열로 가열하여 밀착하여 붙임으로써 자동으로 포장을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롤형 원단 포장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99-80549호(공개일: 1999년 11월 15일)의 "롤형 원단 포장기"에서 본 발명자에 의해서 개시된 바 있으며, 또한 히터 플레이트와 받침판의 사이에 원단의 끝부분이 끼여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설치하여 원단의 끝부분이 끼여 있는 경우에는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원단이 방해되지 않도록 처리한 뒤에 포장을 함으로써, 포장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 접착 및 절단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3-40855호(공개일: 2003년 5월 23일)의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 접착 및 절단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기술된 바 있다.
상기한 롤형 원단 포장장치에는 단방향으로 원단을 원단공급부(3)에 제공하기 위한 콘베이어벨트 구성이 포함되는데 그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공이 끝나고 롤형으로 권취된 원단(51)이 콘베이어벨트(52)를 통해 승강판(16)에 입수되며 실린더(15)에 의하여 상승되고 승강판(16)에 있는 원단(51)이 경사면을 따라 굴러서 원단진입구(17)로 들어가는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 원단 투입구성은 단방향으로만 구성되어 원단포장장치 및 컨베이어의 조합이 한정되어 장치 및 방법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공급부로의 양방향 원단 투입이 가능한,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양방향 투입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좌콘베이어 일측에 장착되어 좌콘베이어상에 원단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좌센서부, 우콘베이어 일측에 장착되어 우콘베이어상에 원단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우센서부, 좌콘베이어 및 우콘베이어 사이에 이들 콘베이어와 연장 배치되는 메인콘베이어 양단에 장착되어 메인콘베이어 상에 원단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가지는 메인센서부 ; 메인콘베이어에 존재하는 롤형 원단을 롤형 원단포장장치 공급부에 피딩하기 위한 피딩실린더 구동부 ; 좌콘베이어에 존재하는 롤형 원단을 메인콘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좌콘베이어 구동부 ; 우콘베이어에 존재하는 롤형 원단을 메인콘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우콘베이어 구동부 ; 좌 또는 우콘베이어 구동부와 연동되는 메인콘베이어 구동부 ; 및 원단 이송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서 좌, 우 및 메인콘베이어, 피딩실린더 구동부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동작이 시작되면 원단 교번 투입을 위하여 제어부 원단투입플래그(flag) INPUT_L, INPUT_R 값을 각각 0으로 셋팅하는 단계, 메인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 메인센서가 오프인 경우, 좌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 좌센서가 온인 경우, 우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 우센서가 온인 경우, 원단투입플래그 INPUT_L 값을 확인하는 단계, INPUT_L=0 인 경우, INPUT_L=1로 셋팅하면서 좌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단계, INPUT_L=1인 경우, INPUT_L=0으로 셋팅하면서 우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단계, 메인콘베이어상의 원단을 원단피딩실린더 구동을 통하여 원단포장장치 공급부에 피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
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
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예를들면, 본 발명은 좌우 양방향 콘베이어를 대상으로 하나, 3이상의 다방향(multi-direction)투입이 가능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컨베이어 구성 개략도이며,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공급부(3) 선단에 메인콘베이어(100)가 위치하며, 메인콘베이어 좌,우측에 연장되어 좌콘베이어(200) 및 우콘베이어(300)가 설치된다. 상기 좌,우 콘베이어는 원단을 메인콘베이어 상으로 이송시키 기 위한 콘베이어로서 도시되지 아니한 콘베이어 구동부 정,역회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콘베이어(100) 양단에 위치감지센서(101, 102)가 설정되어, 메인콘베이어 상에 원단이 공급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위치감지센서는 양단에 위치되어, 양 위치감지센서(101,102)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메인콘베이어(100)상에 원단이 적정위치에 공급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콘베이어 중간에 단일 위치감지센서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좌콘베이어(200) 선단에 별도의 위치감지센서(201)가 장착되어, 좌콘베이어 상에 원단이 대기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며, 우콘베이어(300) 선단에 또 다른 별도의 위치감지센서(301)가 설치되어, 우콘베이어 상에 원단이 공급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의 구성은, 좌콘베이어(200) 일측에 장착되어 좌콘베이어상에 원단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좌센서부(205), 우콘베이어(300) 일측에 장착되어 우콘베이어상에 원단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우센서부(305), 좌콘베이어 및 우콘베이어 사이에 이들 콘베이어와 연장 배치되는 메인콘베이어(100) 양단에 장착되어 메인콘베이어 상에 원단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가지는 메인센서부(105) ; 메인콘베이어에 존재하는 롤 형 원단을 롤형 원단포장장치 공급부에 피딩하기 위한 피딩실린더 구동부(500) ; 좌콘베이어에 존재하는 롤형 원단을 메인콘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좌콘베이어 구동부(206) ; 우콘베이어에 존재하는 롤형 원단을 메인콘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우콘베이어 구동부(306) ; 좌 또는 우콘베이어 구동부와 연동되는 메인콘베이어 구동부(106) ; 및 원단 이송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서 좌, 우 및 메인콘베이어, 피딩실린더 구동부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메인센서(101,102), 좌센서(201), 우센서(301)는 메인센서부(105), 좌센서(205), 우센서부(305) 각각의 구체적 실시형태임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법 투입 시퀀스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우콘베이어상의 원단보다 좌콘베이어상의 원단을 메인콘베이어상으로 이송시키는 제어에 우선순위를 두어, 동작이 시작되면(S10) 원단 교번 투입을 위하여 제어부 원단투입플래그(flag) INPUT_L, INPUT_R 값을 각각 0으로 셋팅하는 단계(S20), 메인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30), 메인센서가 오프인 경우, 좌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40), 좌센서가 온인 경우, 우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50), 우센서가 온인 경우, 원단투입플래그 INPUT_L 값을 확인하는 단계(S60), INPUT_L=0 인 경우, INPUT_L=1로 셋팅하면서(S70) 좌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단계(S80), INPUT_L=1인 경우, INPUT_L=0으로 셋팅하면서(S70') 우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단계(S80'), 메인콘베이어상 의 원단을 원단피딩실린더 구동을 통하여 원단포장장치 공급부에 피딩하는 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예비적으로 메인센서가 온인 경우, 원단피딩실린더를 구동하여 메인콘베이어 상에 존재하는 원단을 원단공급부에 제공하는 단계 ; 좌센서가 오프인 경우, 우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 우센서가 온인 경우, (S80') 단계로 이동되며, 오프인 경우, 종료하는 단계 ; 또는 (S50) 단계에서 우센서가 오프인 경우 (S80) 단계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시작과 동시에 메인콘베이어에 원단이 존재하는 경우 ; 좌,우 콘베이어에 원단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원단 양측 투입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전원이 인가된 후에 프로그램화되어 제어부(4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도 4의 동작수순이 제어부(400)에 의해서 실행되면 동작이 시작된다(S10).
동작이 시작된 후에 제어부(400)는 플래그 INPUT_L, INPUT_R 값을 0으로 셋팅시키고 (S20), 메인센서부(105) 신호를 판단한다(S30). 메인센서부 센서(101,102)가 온인 경우, 메인콘베이어(100)에 원단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원단피딩 실린더를 구동시켜 포장장치(1) 원단공급부(3)에 원단을 제공한다. 메인센서(101,102)가 오프인 경우 메인콘베이어(100)에 공급된 원단이 없으므로, 좌 또는 우콘베이어로부터 원단을 공급받아야 하며, 본 발명은 좌콘베이어로부터의 원단공급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된다. 좌센서(201) 신호를 판단하여(S40), 온인 경우, 좌콘베이어(200)에 원단이 존재하고 있으며, 연속하여 우센서(301) 신호를 판단하여(S50), 온인 경우, 플래그 INPUT_L 값을 판단하여(S60), 상기 플래그 값이 0 인 경우, 플래그 INPUT_L값을 1로 셋팅하고(S70), 좌콘베이어 구동부(206) 및 메인콘베이어 구동부(106)을 구동시켜(S80) 좌콘베이어 상에 놓인 원단은 메인콘베이어(100) 상으로 이송된다. 만일, S60 단계에서 플래그 INPUT_L=1 이라면, 전 사이클에서 좌콘베이어 상의 원단이 이송된 것이므로, 교번을 위하여, 플래그 INPUT_L값을 0로 셋팅하고(S70'), 우콘베이어 구동부(306) 및 메인콘베이어 구동부(106)을 구동시켜(S80') 우콘베이어 상에 놓인 원단은 메인콘베이어(100) 상으로 이송된다. 상기 좌 또는 우콘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원단은 원단 피딩실린더 구동부(500)를 구동시켜 원단을 포장장치 원단공급부(3)에 제공한다(S90). 메인콘베이어(100)로부터 공급부로 원단 이송이 완료되면, 일 사이클이 완성되며, 제어는 좌센서 신호 판단단계(S40)로 리턴된다. 상기 절차를 동일하게 수행하면서, 좌 또는 우콘베이어 상에 제공되는 원단은 교대로 메인콘베이어 상에 공급되며, 연속하여 포장장치 선단에 장착된 원단공급부에 투여될 수 있어 교번 투여가 가능하다. (S40) 단계, 즉 좌센서가 오프인 경우, 좌콘베이어에 공급된 원단이 없는 경우, 제어는 우센서(301) 신호를 판단하며, 만일 우센서(301) 신호가 오프인 경우, 좌 및 우콘베이어에 투여된 원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작동은 종료된다. 그러나, 우센서 신호가 온인 경우, 즉 좌콘베이어에는 원단이 없으나, 우콘베이어 상에는 원단이 투여된 경우 제어는 (S80')으로 넘어가서 우콘베이어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시키고, 연속하여 원단피딩실린더를 구동하여 원단공급부에 원단을 제공한다. 한편, (S50) 단계, 즉 좌 센서는 온이지만, 우센서가 오프인 경우, 좌콘베이어 상에만 원단이 투여된 경우, 제어는 (S80)으로 넘어가서 좌콘베이어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시키고, 연속하여 (S90)에 의하여 원단공급부로 원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원단공급 제어장치 또는 방법은 좌센서(201) 및 우센서(301) 양측에서의 신호가 오프인 경우, 즉 양측 콘베이어(200, 300) 상에 원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종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여, 포장장치 및 양방향 콘베이어 조합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어, 공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후 상호 상이한 원단에 대한 포장 및 분류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섬유 가공분야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5)

  1. 좌콘베이어(200) 일측에 장착되어 좌콘베이어상에 원단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좌센서부(205), 우콘베이어(300) 일측에 장착되어 우콘베이어상에 원단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우센서부(305), 좌콘베이어 및 우콘베이어 사이에 이들 콘베이어와 연장 배치되는 메인콘베이어(100) 양단에 장착되어 메인콘베이어 상에 원단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가지는 메인센서부(105) ; 메인콘베이어에 존재하는 원단을 롤형 원단포장장치 공급부에 피딩하기 위한 피딩실린더 구동부(500) ; 좌콘베이어에 존재하는 원단을 메인콘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좌콘베이어 구동부(206) ; 우콘베이어에 존재하는 원단을 메인콘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한 우콘베이어 구동부(306) ; 좌 또는 우콘베이어 구동부와 연동되는 메인콘베이어 구동부(106) ; 및 원단 이송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서 좌, 우 및 메인콘베이어, 피딩실린더 구동부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2. 동작이 시작되면(S10) 원단 교번 투입을 위하여 제어부 원단투입플래그(flag) INPUT_L, INPUT_R 값을 각각 0으로 셋팅하는 단계(S20),
    메인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30), 메인센서가 오프인 경우, 좌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40),
    좌센서가 온인 경우, 우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50),
    우센서가 온인 경우, 원단투입플래그 INPUT_L 값을 확인하는 단계(S60),
    INPUT_L=0 인 경우, INPUT_L=1로 셋팅하면서(S70) 좌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단계(S80), INPUT_L=1인 경우, INPUT_L=0으로 셋팅하면서(S70') 우 및 메인콘베이어를 구동하는 단계(S80'),
    메인콘베이어상의 원단을 원단피딩실린더 구동을 통하여 원단포장장치 공급부에 피딩하는 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메인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30)에서 메인센서가 온인 경우, 원단피딩실린더를 구동하여 메인콘베이어 상에 존재하는 원단을 원단공급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좌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40)에서 좌센서가 오프인 경우, 우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 우센서가 온인 경우, (S80') 단계로 이동되며, 오프인 경우, 종료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우센서 온,오프 판단 단계(S50)에서 우센서가 오프인 경우 (S80) 단계로 이동되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방법.
KR1020050019574A 2005-03-09 2005-03-09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0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74A KR100608492B1 (ko) 2005-03-09 2005-03-09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574A KR100608492B1 (ko) 2005-03-09 2005-03-09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348U Division KR200385650Y1 (ko) 2005-03-09 2005-03-09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492B1 true KR100608492B1 (ko) 2006-08-03

Family

ID=3718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574A KR100608492B1 (ko) 2005-03-09 2005-03-09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4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3410A (en) Automatic apparatus for hemming a tubular workpiece
KR100342420B1 (ko) 타이어의 바코드 인쇄장치
KR100608492B1 (ko)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및 방법
JP4364690B2 (ja) 接着剤塗布方法
KR200385650Y1 (ko)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원단 양방향 투입 시퀀스 제어장치
US6984285B2 (en) Splicer for splicing strips of in rubber material embedded cords to each other
JP4681967B2 (ja) 玉縁縫いミシン
ITMI951703A1 (it) Cilindro scaricatore automatico per macchine tessili
KR100738483B1 (ko) 원단 자동포장기의 입출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3771860B2 (ja) 平面状可撓性部材の平積方法
JPH07100282A (ja) 縫製装置
JPH05238519A (ja) ハンガー搬送装置
JP2000095327A (ja) 搬送設備
CN108893878A (zh) 缝纫机
CN114476260B (zh) 一种基于视觉的服装标识判别与剔除装置
KR200354059Y1 (ko)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포장기용 가압식 원단이송장치
JP5365178B2 (ja) ストレッチ包装方法及びストレッチ包装機
WO2022157890A1 (ja) 布類ピックアップ装置
JPH07185156A (ja) ラベル供給装置
JPH105500A (ja) 洗濯済みシーツ拡張機
KR940006341Y1 (ko) 원단자동포장기
KR970000025Y1 (ko) 벽돌 이송장치
JPH0637258B2 (ja) 延反機に於ける布体しわ除去方法
JPH09183557A (ja) ラップ材の貼着装置
KR100319067B1 (ko) 못 자동 정렬장치 및 그 정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